KR101897928B1 -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928B1
KR101897928B1 KR1020170159380A KR20170159380A KR101897928B1 KR 101897928 B1 KR101897928 B1 KR 101897928B1 KR 1020170159380 A KR1020170159380 A KR 1020170159380A KR 20170159380 A KR20170159380 A KR 20170159380A KR 101897928 B1 KR101897928 B1 KR 10189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safety door
functional safety
thicknes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이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filed Critical 이원용
Priority to KR102017015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에 장착되며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는, 외판 및 외판과 결합되는 내판을 포함하며, 외측 절곡부는, 문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부 및 외측 수평부로부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측 수직부를 포함하며, 내측 절곡부는, 외측 수평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내측 수평부 및 내측 수평부로부터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내측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MULTI FUNCTIONAL SAFETY DOOR}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에 장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에너지 절약이 강조되고, 안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서도 단열 및 기밀이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단열 및 기밀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구조물의 실외측과 실내측의 온도차로 인해, 출입구와 같은 현관문이나 창문 등에 결로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출입구인 현관문 도어가 건물 외부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복도식 아파트 등은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심하므로, 이러한 도어와 도어가 장착되는 문틀 실내측에 결로 현상이 더욱 심해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주변 구조물의 부식과 더불어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최근 들어, 이러한 현관문 같은 도어 자체에서의 단열 및 기밀이 강하고 요구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단열 및 기밀을 강화한 다양한 도어가 제안되거나 출시되고 있는데, 어느 하나의 기능에만 중점을 둔 구조가 대부분이며, 복합 기능을 가질 경우, 각각의 기능에 따른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거나 출시된 종래 복합 기능을 갖는 구조의 도어는 구조가 복잡하고, 도어의 무게 및 두께가 커지며, 높은 제조 원가로 인해 가격 경쟁력, 또한, 낮은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결로 방지, 단열, 기밀에 더해 내화 성능, 또한, 확보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결로 방지, 단열, 기밀에 더해 내화 성능, 또한, 확보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구조물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에 장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실외측을 마주 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문틀과 소정 틈새를 갖게 배치되며 상기 소정 틈새 상에서 외측 절곡부를 갖는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외판; 및 상기 외판과 결합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측을 마주 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문틀과 소정 틈새를 갖게 배치되며 상기 소정 틈새 상에서 상기 외측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문틀과 대향 배치되는 내측 절곡부를 갖는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내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절곡부는,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 사이의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문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부; 및 상기 외측 수평부로부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적어도 1회 폴딩되는 외측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절곡부는, 상기 외측 수평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외측 수평부보다 상기 문틀의 반대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내측 수평부; 및 상기 내측 수평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외측 수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수직부와 동일한 횟수로 폴딩되는 내측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외측 수평부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내측 수평부보다 상기 외측 프레임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직부의 폴딩 폭은,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내측 수직부의 폴딩 폭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외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는, 상기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평부와 상기 내측 수평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열부재는, 세라믹 보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결로 방지, 단열, 기밀에 더해 내화 성능, 또한, 확보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에 장착되어 상기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외판과 내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결로 방지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에 장착되어 상기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외판과 내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는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출입구, 특히, 아파트 등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10)에 장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는 현관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는 구조물의 실내외측을 열거나 닫는 기타 다른 도어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는, 단열이나 강성 등을 위해 상기 구조물의 실내외측 방향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는 대략 6센티미터, 즉, 60T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는, 외판(100), 내판(200), 체결부재(300), 패킹부재(400) 및 단열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판(100)은, 소정 두께(t)의 스틸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구조물의 실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판(100)의 두께(t)는 대략 0.8T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판(100)은, 외측 프레임(110),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 및 외측 절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110)은, 상기 문틀(10) 장착 시 상기 구조물의 실외측을 마주 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은, 상기 외측 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과 닫혔을 때, 상기 문틀(10)의 내벽(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은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게 상기 문틀(10)의 내벽(15)과 소정 틈새(G)를 갖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절곡부(150)는 상기 소정 틈새(G) 상에서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의 단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측 절곡부(150)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네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네 테두리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절곡부(150)는, 외측 수평부(152) 및 외측 수직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평부(152)는,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의 단부로부터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 사이의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도면 상의 상하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문틀(10)의 내벽(15)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수평부(152)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에서 후술하는 내측 수평부(252)보다 상기 외측 프레임(11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직부(156)는, 상기 외측 수평부(152)로부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 프레임(110)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외측 수평부(152)와 함께 절곡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110)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직부(156)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에서 적어도 1회 폴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 수직부(156)가 2회 폴딩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수직부(156)의 폴딩 폭은 상기 외측 수평부(152)를 통한 절곡 구조를 감안하여 후술하는 내측 수직부(256)의 폴딩 폭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판(200)은, 상기 외판(100)과 같이 소정 두께(t)의 동일한 스틸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구조물의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이 같은 두께 및 재질로 마련되기에, 제조 원가 효율을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이 동일한 물질로 구비되어 열 팽창율 또한 서로 동일하기에, 고온에서의 형상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판(200)은, 내측 프레임(210),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230) 및 내측 절곡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210)은, 상기 문틀(10) 장착 시 상기 구조물의 실내측을 마주 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230)은, 상기 내측 프레임(210)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과 닫혔을 때, 상기 문틀(10)의 내벽(1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230)은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가 원활하게 열리고 닫힐 수 있게 상기 문틀(10)의 내벽(15)과 소정 틈새(G)를 갖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절곡부(250)는, 상기 소정 틈새(G) 상에서 상기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230)의 단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측 절곡부(250)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네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네 테두리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절곡부(250)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가 닫혔을 때, 상기 소정 틈새(G) 상에서 상기 외측 절곡부(1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문틀(10)의 내벽(15)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절곡부(250)와 상기 외측 절곡부(150)는, 상호 비접촉될 수 있게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실외측으로부터 상기 소정 틈새(G) 내로 유입되는 외기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절곡 유로(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 유로(b)는, 상기 소정 틈새(G) 내의 일측에서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의 수직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후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 프레임(110) 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측 절곡부(25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상기 내측 절곡부(250)는, 내측 수평부(252) 및 내측 수직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평부(252)는, 상기 외측 수평부(152)와 소정 간격(D1) 이격되고, 상기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230)의 단부로부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외측 수평부(152)보다 상기 문틀(10)의 내벽(15) 반대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직부(256)는, 상기 내측 수평부(252)로부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외측 수평부(152)와 소정 간격(D2)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측 수직부(256)와 상기 외측 수직부(156)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110)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직부(256)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상기 외측 수직부(156)와 동일한 횟수로 폴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내측 수직부(256)는 상기 외측 수직부(156)와 같이 2회 폴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수직부(256)와 상기 외측 수직부(156)의 폴딩 방향은 상기 절곡 유로(b) 내에서 상기 폴딩에 따른 단차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절곡 유로(b)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수직부(256)와 상기 외측 수직부(156)의 폴딩은 상기 절곡 유로(b)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절곡 유로(b)의 내벽 바깥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 폴딩에 따른 비틀림 강성 확보 구조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의 두께(t)에 상기 외측 수직부(156)의 폴딩 부분의 두께(t1) 및 상기 내측 수직부(256)의 폴딩 부분의 두께(t2)가 더 확보되기에, 비틀림 강성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7t에 해당하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측 수직부(156)의 폴딩 부분의 두께(t1)과 상기 내측 수직부(256)의 폴딩 부분의 두께(t2)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상기 구조물의 화재 시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변형을 막고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내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0)는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외측 수직부(156)와 상기 내측 수직부(256)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수직부(156)와 상기 내측 수직부(256)는 상호 간의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체결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리벳 또는 피스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재들(300)은 리벳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 개의 리벳들(300)과의 리벳 결합을 위해,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에는 복수 개의 리벳홀(138)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수직부(156)와 상기 내측 수직부(256)에는, 각각, 복수 개의 리벳홀들(158, 2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벳 결합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리벳들(300), 상기 외측 수직부(156) 및 상기 내측 수직부(256)는 H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별도의 이너 프레임 등의 추가 구조물 없이도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강성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벳 결합 시, 후술하는 서브 단열재(550) 또한 함께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후술하는 서브 단열재(550), 상기 복수 개의 리벳들(300) 및 상기 폴딩 부분들을 갖는 상기 외측 수직부(156) 및 내측 수직부(256)가 일체로 체결되기에,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내화 강성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00)는 단열 및 기밀성 확보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소정 틈새(G) 내에 구비되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패킹부재들(400)은, 단열성 및 난연성을 갖는 난연 개스킷들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틈새(G) 내에서 외기와 내기와의 온도차를 추가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각각의 패킹부재(400)에는 상기 완충 효과를 보다 더 높일 수 있게 내부에 소정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패킹부재들(400)은,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소정 틈새(G) 내에서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패킹부재들(400)은, 제1 개스킷(410), 제2 개스킷(430) 및 제3 개스킷(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스킷(410)은 상기 외판(100)과 상기 문틀(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개스킷(410)은, 상기 소정 틈새(G) 내의 상기 외측 프레임(110)과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130)과 상기 문틀(10)의 내벽(15)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개스킷(430)은 상기 내판(200)과 상기 문틀(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개스킷(430)은, 상기 소정 틈새(G) 내에서 상기 내측 상기 내측 프레임(230)과 상기 문틀(10)의 내벽(15)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3 개스킷(450)은, 상기 제1 개스킷(410)과 상기 제2 개스킷(4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개스킷(450)은, 상기 소정 틈새(G) 내의 일측,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수평부(152)와 상기 내측 수평부(25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문틀(10)의 내벽(15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개스킷(450), 상기 제1 개스킷(410) 및 상기 제2 개스킷(430)을 통해, 상기 소정 틈새(G) 내에 유입되는 공기층을 차단 및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 틈새(G) 내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내지 제3 개스킷(410, 430, 350)을 통해, 상기 실외측과 상기 제1 개스킷(410) 사이의 제1 공기층 구간(A1), 상기 제1 개스킷(410)과 상기 제3 개스킷(450) 사이의 제2 공기층 구간(A2) 및 상기 제3 개스킷(450)과 상기 제2 개스킷(430) 사이의 제3 공기층 구간(A3)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500)는 단열성 확보를 위해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단열부재(500)는 높은 단열성 뿐만 아니라 높은 난연성을 갖는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 사이 공간에 충진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열부재들(500)은, 메인 단열재(510) 및 서브 단열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단열재(510)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단열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 내부에 삽입되거나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인 단열재(510)는 높은 단열성 및 난연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단열재(550)는, 상기 절곡 유로(b) 내의 공간,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수직부(156)와 상기 내측 수직부(256) 사이의 이격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브 단열재(550)는 높은 단열성 및 난연성을 갖는 세라믹 보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보드(550)는 상기 외측 수직부(156)와 상기 내측 수직부(256)와 접착제를 통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세라믹 보드(550)와 같이 높은 단열성 및 난연성을 갖는 무기질 접착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결로 방지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6은 도 1의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결로 방지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가 닫혔을 때,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의 온도차가 클 경우, 예로써, 상기 실외측의 실외온도가 -10℃이고, 상기 실내측의 실내온도가 20℃일 때, 결로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때, 결로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 사이의 온도차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즉, 상기 실외측을 마주 하여 냉각된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 사이의 열전달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내판(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내측 절곡부(250)가 상기 외판(100)의 단부인 상기 외측 절곡부(150)와 비접촉되므로,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과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내측 절곡부(250)가 상기 외기가 유입되는 소정 틈새(G)로부터 상기 외측 절곡부(150)보다 더 멀게 배치되므로,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과의 열전달이 보다 더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틈새(G)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외측 절곡부(150)와 상기 내측 절곡부(250)가 형성하는 절곡 유로(b)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유입된 외기의 온도와 상기 실내측의 내기 온도와의 온도차가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측 절곡부(150)의 절곡 구조를 통해, 상기 외측 절곡부(150) 자체의 온도, 또한, 상기 실외 측에 노출된 상기 외측 프레임(110)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기에, 상기 외측 절곡부(150)와 상기 내측 절곡부(250) 사이의 온도차, 또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절곡 유로(b) 내에 상기 보조 단열재(550)가 구비되기에, 상기 외측 절곡부(150)와 상기 내측 절곡부(250) 사이의 온도차는 더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3 개스킷(410, 430, 450)을 통해 구획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공기층 구간(A1, A2, A3)를 통해 상기 소정 틈새(G)로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 및 구획하기에, 상기 외판(100)과 상기 내판(200) 사이의 온도차를 더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실외온도가 -10℃이고, 상기 실내 온도가 20℃일 때, 상기 제1 공기층 구간(A1)의 온도는 상기 외기 온도와 비슷하지만, 상기 제2 공기층 구간(A2)의 온도(T1)는 상기 제1 공기층 구간(A1)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공기층 구간(A3)의 온도(T2)는 상기 내기 온도보다는 낮지만 상기 제2 공기층 구간(A2)의 온도(T1)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상기 제1 내지 제3 개스킷(410, 430, 450)을 통해 상기 소정 틈새(G) 내에서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 사이의 온도차를 추가적으로 완충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기의 유입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3 개스킷(410, 430, 450)을 통해,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의 기밀성 또한 보다 더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결로 방지, 단열, 기밀에 더해 내화 성능, 또한, 확보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5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문틀 15: 내벽
50: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100: 외판
110: 외측 프레임 130: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
138: 리벳홀 150: 외측 절곡부
152: 외측 수평부 156: 외측 수직부
158: 체결홀 200: 내판
210: 내측 프레임 230: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
250: 내측 절곡부 252: 내측 수평부
256: 내측 수직부 300: 체결부재
400: 패킹부재 410: 제1 개스킷
430: 제2 개스킷 450: 제3 개스킷
500: 단열부재 510: 메인 단열재
550: 서브 단열재

Claims (8)

  1. 건축물의 구조물의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에 장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열거나 닫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실외측을 마주 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문틀과 소정 틈새를 갖게 배치되며 상기 소정 틈새 상에서 외측 절곡부를 갖는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외판; 및
    상기 외판과 결합되어 상기 구조물의 실내측을 마주 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문틀과 소정 틈새를 갖게 배치되며 상기 소정 틈새 상에서 상기 외측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문틀과 대향 배치되는 내측 절곡부를 갖는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내판;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절곡부는,
    상기 외측 문틀 대면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상기 실외측과 상기 실내측 사이의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문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부; 및
    상기 외측 수평부로부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적어도 1회 폴딩되는 외측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절곡부는,
    상기 외측 수평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내측 문틀 대면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외측 수평부보다 상기 문틀의 반대 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내측 수평부; 및
    상기 내측 수평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외측 수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수직부와 동일한 횟수로 폴딩되는 내측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수직부의 폴딩 부분의 실외측 단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의 폴딩 부분의 실외측 단부는, 각각,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외측 수직부의 폴딩 부분의 실내측 단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의 폴딩 부분의 실내측 단부는, 각각,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수평부 및 상기 내측 수평부보다 실내측을 향해 돌출되지 않고,
    상기 외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가, 각각, 상기 외측 수평부와 상기 내측 수평부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상기 외측 수직부의 폴딩 부분과 상기 내측 수직부의 폴딩 부분은, 상기 문틀의 측면의 소정 틈새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평부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내측 수평부보다 상기 외측 프레임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는,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직부의 폴딩 폭은,
    상기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내측 수직부의 폴딩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는,
    상기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평부와 상기 내측 수평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열부재는,
    세라믹 보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KR1020170159380A 2017-11-27 2017-11-27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KR10189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80A KR101897928B1 (ko) 2017-11-27 2017-11-27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80A KR101897928B1 (ko) 2017-11-27 2017-11-27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928B1 true KR101897928B1 (ko) 2018-09-12

Family

ID=6359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80A KR101897928B1 (ko) 2017-11-27 2017-11-27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217B1 (ko) * 2020-01-23 2020-06-29 이원용 현관 및 대피소용 방화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7Y1 (ko) * 2008-12-05 2010-05-12 (주)금강이엠씨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20150078822A (ko) * 2013-12-31 2015-07-08 (주)삼선씨에스에이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788657B1 (ko) * 2017-02-28 2017-10-20 이승용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47Y1 (ko) * 2008-12-05 2010-05-12 (주)금강이엠씨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20150078822A (ko) * 2013-12-31 2015-07-08 (주)삼선씨에스에이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788657B1 (ko) * 2017-02-28 2017-10-20 이승용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217B1 (ko) * 2020-01-23 2020-06-29 이원용 현관 및 대피소용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60B1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창호 시스템
KR101840760B1 (ko) 방화문과 그 제작방법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2094366B1 (ko) 고단열/고강도 커튼 월 창
JP6721464B2 (ja) ドア
KR20120074829A (ko) 창틀과 창문틀의 이중단열 구조
KR101384768B1 (ko) 결로 방지 도어 프레임
KR20190054322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JP7450781B2 (ja) ドア
KR101897928B1 (ko)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101103951B1 (ko) 문틀용 후레임
KR20190048501A (ko) 차열용 방화문
KR20190060656A (ko) 복합 기능성 안전 도어
KR102347889B1 (ko) 복합성능 방화문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JP2020090786A (ja) 建具用面材及び建具
KR100667586B1 (ko) 도어의 방음장치
KR20190001056U (ko)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KR102445829B1 (ko) 방화 및 단열 성능을 갖는 커튼월
KR200340522Y1 (ko) 방화문용 문틀 프레임
KR101951918B1 (ko) 차열 기능을 향상시킨 방화문
JP5608910B2 (ja) サッシ
KR101022962B1 (ko)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