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056U -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056U
KR20190001056U KR2020170005498U KR20170005498U KR20190001056U KR 20190001056 U KR20190001056 U KR 20190001056U KR 2020170005498 U KR2020170005498 U KR 2020170005498U KR 20170005498 U KR20170005498 U KR 20170005498U KR 20190001056 U KR20190001056 U KR 20190001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exposed
extending
vertica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533Y1 (ko
Inventor
임재경
Original Assignee
임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경 filed Critical 임재경
Priority to KR2020170005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3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문 내측에 설치되는 보강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부 패널(110)은 실외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외부 노출부(112)와 상기 외부 노출부(112)의 4개의 변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외측 연장부(114)와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끝단에서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바디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패널(120)은 실내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내부 노출부(122)와 상기 내부 노출부(122)의 4개의 변으로부터 실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 바디부(116)를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 외삽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수직 방향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수직부(210), 제1 수직부(210)의 끝단에서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수평 방향의 내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220), 및 수평부(220)의 끝단에서 상기 내측 바디부(116)의 내면을 따라 다시 수직으로 상기 내부 노출부(122)까지 연장 형성된 제2 수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재(200)의 상기 내측 노출부(122)에 접하는 끝단에 상기 보강재를 통한 열의 전달을 약화시키기 위한 열차단 부재(300)가 씌워지고,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 사이에 형성된 주된 공간(S1) 및 상기 외측 연장부(114)에 의하여 상기 주된 공간(S1)의 가장자리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공간(S2) 모두에 단열재가 충진된다.

Description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Reinforced Fire Door Structure with Strengthened Fireproof and Heat Insulation Factor}
본 고안은 화재시 화염의 유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화문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문 내측에 설치되는 보강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을 일정 거리 이격시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간에 단열재료를 충진하여 화재 발생시 내외부로의 화염이나 열의 이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화문과 문틀 사이에 화염에 강한 재료로 구성된 가스켓을 부착하여 유독 가스의 유출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방화문의 전형적인 형태는 외부 패널이
Figure utm00001
형태를 갖고, 내부 패널이
Figure utm00002
형태를 가져 조립시
Figure utm00003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방화문은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조립되고, 이들 패널이 비교적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자체 하중이나 외력 등에 의하여 비틀리고 휘어지는 문제가 있어 이를 보강하기 위한 두터운 금속재질의 내부 보강재를 두 패널 사이에 기본적으로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의 보강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에 걸쳐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고, 보강재의 의하여 구획된 내부 공간(B)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보강재의 외각 측의 공간(A)에는 보강재로 막혀서 인하여 단열재가 충진되지 못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외부 패널의 냉기가 열전도율이 큰 보강재를 통하여 최단거리로 직접 내부 패널에 전달되어 내부 패널의 표면에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하여 수증기가 응결하는 결로 현상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및 보강재로 구성되는 방화문에 있어서, 보강재에 의한 내외부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부 패널에 일단이 접하는 보강재의 열전달 경로를 최대화하여 내부 패널로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1 수직부와 수평부 및 제2 수직부로 구성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방화문 보강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외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외부 패널(110)과 실내에 배치되는 내부 패널(12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어 화재 발생시 내외부로의 화염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에 있어서,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 중 어느 한쪽의 패널에 가해지는 열을 다른 쪽의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재(200)를 구비한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로서, 상기 외부 패널(110)은 실외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외부 노출부(112)와 상기 외부 노출부(112)의 4개의 변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외측 연장부(114)와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끝단에서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바디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패널(120)은 실내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내부 노출부(122)와 상기 내부 노출부(122)의 4개의 변으로부터 실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 바디부(116)를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 외삽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수직 방향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수직부(210), 제1 수직부(210)의 끝단에서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수평 방향의 내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220), 및 수평부(220)의 끝단에서 상기 내측 바디부(116)의 내면을 따라 다시 수직으로 상기 내부 노출부(122)까지 연장 형성된 제2 수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재(200)의 상기 내측 노출부(122)에 접하는 끝단에 상기 보강재를 통한 열의 전달을 약화시키기 위한 열차단 부재(300)가 씌워지고,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 사이에 형성된 주된 공간(S1) 및 상기 외측 연장부(114)에 의하여 상기 주된 공간(S1)의 가장자리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공간(S2) 모두에 단열재가 충진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제1 수직부(210)의 상기 외부 노출부(112)에 접하는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 수평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강재(200)가 결합된 내측 바디부(116)의 변과 변이 접하는 4개의 가장자리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열전달 경로를 확장하여 외부 패널에 유입되는 열이 내부 패널로 최소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내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내부 패널의 표면에서 물이 응결하는 결로 현상을 최소활 수 있다. 또한, 열차단 부재에 의하여 열의 전달을 더욱 약화시킬 수 있고, 내화 및 단열, 결로 현상의 억제의 제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구조의 방화문 보강구조와 본 고안의 방화문 보강구조를 대비하여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에서 열차단부재가 설치되고 내부 패널이 결합되지 전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의 보강재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에 적용되는 보강재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에 적용된 열차단부재의 단면 형상 및 실제로 제작된 제품사진;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에 적용된 보조 보강부재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가 적용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문틀(20)이 배치되고, 문틀 사이에 방화문이 힌지(25) 구조로 결합되고, 닫힐 때에 내외부를 통한 화염이나 가스, 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가스켓(30)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은 실외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외부 패널(110)과 실내에 배치되는 내부 패널(12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어 화재 발생시 내외부로의 화염의 전달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추운 날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거나 그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단열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고안은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 중 어느 한쪽의 패널에 가해지는 열을 다른 쪽의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특별한 형태로 제작된 보강재(200)를 구비하여 내화와 단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 방화문은 두 가지의 형태를 갖는데, 문틀에 방화문이 삽입되는 문 삽입 영역만큼만 리세스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로서, 외부 패널이
Figure utm00004
형태를 가져 양측 연장부가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문틀의 외면에 밀착되는 형태가 있고, 다른 형태로서 외부 패널이
Figure utm00005
형태를 가져 양측 연장부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는 볼록한 형태로 구성되고 문틀에도 문 삽입영역 이외에 이 볼록한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리세스 형성되는 형태가 있는데, 전자의 형태는 본 고안의 대상이 아니고, 후자의 형태의 방화문 구조에 본 고안이 적용된다. 즉, 본 고안의 대상인 방화문의 외부 패널(110)은 실외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외부 노출부(112)와 상기 외부 노출부(112)의 4개의 변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외측 연장부(114)와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끝단에서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바디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 패널(120)은 상기 양자의 형태에 공통되게 실내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내부 노출부(122)와 상기 내부 노출부(122)의 4개의 변으로부터 실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 바디부(116)를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 외삽부(124)를 포함하여, 외부 패널과 조립시
Figure utm00006
형태, 또는
Figure utm00007
형태를 갖는데, 후자의 형태는 본 고안의 대상이 아니므로 이하에서는 전자의 형태만을 대상으로 고안을 설명한다.
종래의 보강재 구조는 도 2(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패널에 가해지는 찬 공기의 영향을 받고 냉각된 보강재를 통하여 열이 직접 내부 패널로 전달되어 보강재와 접하거나 인접하는 내부 패널 부위에 결로가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외부 패널의 열이 내부 패널로 전달되는 경로를 2중(도 2(a)에서 공간(A)의 양측 경로로서, 외부 패널을 따르는 A의 좌측 절곡된 경로와 보강재를 따르는 A의 우측 직선 경로)으로 구성함으로써 냉기가 잘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강재를 통한 열전달 경로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절곡 형성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패널의 양측면의 외측 연장부(114)를 따라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일한 경로인 절곡된 경로만에 의하여 냉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또한, 후술하는 열차단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패널과 내부 패널 사이를 절연하여 열 또한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보강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연장부(114)의 수직 방향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수직부(210), 제1 수직부(210)의 끝단에서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수평 방향의 내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220), 및 수평부(220)의 끝단에서 상기 내측 바디부(116)의 내면을 따라 다시 수직으로 상기 내부 노출부(122)까지 연장 형성된 제2 수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열의 전달 경로가 수평부(220)의 길이만큼 증가하게 되어 보강재의 열전달특성에 불구하고 외부 패널에 미치는 냉기가 내부 패널에 도달하는 비율을 현저하게 낮아진다.
또한, 도 3의 내측 바디부(116)에는, 상기 보강재(200)의 상기 내측 노출부(122)에 접하는 끝단에 상기 보강재를 통한 열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열차단 부재(300)가 씌워질 수 있다. 열차단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리브(310, 320)가 마디부(330)로부터 연장된 형태로서, 도 7에 실제 제품의 예가 나타나 있다. 열차단 부재(300)는 화이버글라스섬유로 직조하고 불연소재의 실리콘 등으로 코팅하여 제조된 화이버 글라스원단을 직사각형으로 절개한 후에 세로 방향으로 접은 후에 접힌 부위를 실로 봉제하여 마디부(330)와 리브(310,320)를 형성하여 제조된다. 열차단 부재(300)의 외측 리브(310)는 내측 바디부(116)의 길이에 준하여 연장되도록 하여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을 완전히 절연함으로써 열 차단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 사이에 형성된 주된 공간(S1) 및 상기 외측 연장부(114)에 의하여 상기 주된 공간(S1)의 가장자리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공간(S2) 모두에 단열재(108)가 충진되는데, 도 2의 대비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재 구조에서와 달리 단열재가 충진되지 못하는 공간(A)이 제거되고, 또는 보강재의 설치 전과 설치 후로 단열재 충진 작업이 중복으로 이루어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도 2(b)에서와 같이 보강재의 내측에 도출 공간(S2)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단열재 충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보강재에 보조 수평부(240)가 더 형성된 보강재의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에 적용되는 보강재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제1 수직부(210)의 상기 외부 노출부(112)에 접하는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 수평부(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수평부(240)를 형성함에 의하여 보강재는 기울어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외부 패널(120)의 외측 연장부(114)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 수평부(240)의 길이는 수평부(220)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하여 보강재의 위치 안정성을 최대화하여 종래의 보강재 구조에 의한 것보다 뒤틀림과 휨을 방지하는데 더욱 유리하게 작용하여 보강재로서의 기본적 기능을 더욱 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5(b)의 실시예에서는 보강재의 보조 수평부(240)의 끝단에 하향 돌기부(250)가 더 형성되어 보조 수평부(240)가 하향 돌기부(250)와의 접합부에서는 외부 패널에 대하여 들어올려진(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외부 패널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외부 대기의 냉기가 유입되는 단계에서부터 최소의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의 열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에 적용된 보조 보강부재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보강재(200)가 결합된 내측 바디부(116)의 변과 변이 접하는 4개의 가장자리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보강부재(400)는 ㄱ-자 형의 절곡부(410)와 절곡부(410)의 각 상단에서 각 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체결부(420)로 구성되어, 절곡부(410)와 체결부(420) 사이의 간극에 보강재(200)의 제2 수직부(230)로 보강된 내측 바디부(116)의 변과 변이 접하는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4)

  1. 실외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외부 패널(110)과 실내에 배치되는 내부 패널(12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어 화재 발생시 내외부로의 화염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에 있어서,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 중 어느 한쪽의 패널에 가해지는 열을 다른 쪽의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강재(200)를 구비한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로서,
    상기 외부 패널(110)은 실외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외부 노출부(112)와 상기 외부 노출부(112)의 4개의 변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외측 연장부(114)와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끝단에서 실내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바디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패널(120)은 실내에 노출되는 사각 형상의 내부 노출부(122)와 상기 내부 노출부(122)의 4개의 변으로부터 실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 바디부(116)를 감싸도록 형성된 바디 외삽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수직 방향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제1 수직부(210), 제1 수직부(210)의 끝단에서 상기 외측 연장부(114)의 수평 방향의 내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220), 및 수평부(220)의 끝단에서 상기 내측 바디부(116)의 내면을 따라 다시 수직으로 상기 내부 노출부(122)까지 연장 형성된 제2 수직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부 패널(110)과 내부 패널(120) 사이에 형성된 주된 공간(S1) 및 상기 외측 연장부(114)에 의하여 상기 주된 공간(S1)의 가장자리 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공간(S2) 모두에 단열재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0)는 상기 제1 수직부(210)의 상기 외부 노출부(112)에 접하는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보조 수평부(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0)가 결합된 내측 바디부(116)의 변과 변이 접하는 4개의 가장자리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 보강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0)의 상기 내측 노출부(122)에 접하는 끝단에 상기 보강재를 통한 열의 전달을 약화시키기 위한 열차단 부재(300)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KR2020170005498U 2017-10-25 2017-10-25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KR200490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98U KR200490533Y1 (ko) 2017-10-25 2017-10-25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98U KR200490533Y1 (ko) 2017-10-25 2017-10-25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56U true KR20190001056U (ko) 2019-05-07
KR200490533Y1 KR200490533Y1 (ko) 2019-11-28

Family

ID=6653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98U KR200490533Y1 (ko) 2017-10-25 2017-10-25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34B1 (ko) * 2019-05-20 2020-02-14 (주)에이스지앤월드 건축용 패널
KR102077138B1 (ko) * 2019-05-20 2020-02-14 (주)에이스지앤월드 샌드위치패널 제조 방법
KR102450858B1 (ko) * 2021-04-06 2022-10-04 남효명 결로방지 및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184Y1 (ko) * 2003-04-02 2003-07-18 김형건 방화문의 외곽둘레구조
KR20050017944A (ko) * 2003-08-11 2005-02-23 최복순 방화문 내부골조
KR101559666B1 (ko) * 2014-04-30 2015-10-13 임재경 방화문용 불연 패드 개스킷
KR20150142514A (ko) * 2014-06-12 2015-12-22 강대신 조립식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184Y1 (ko) * 2003-04-02 2003-07-18 김형건 방화문의 외곽둘레구조
KR20050017944A (ko) * 2003-08-11 2005-02-23 최복순 방화문 내부골조
KR101559666B1 (ko) * 2014-04-30 2015-10-13 임재경 방화문용 불연 패드 개스킷
KR20150142514A (ko) * 2014-06-12 2015-12-22 강대신 조립식 방화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34B1 (ko) * 2019-05-20 2020-02-14 (주)에이스지앤월드 건축용 패널
KR102077138B1 (ko) * 2019-05-20 2020-02-14 (주)에이스지앤월드 샌드위치패널 제조 방법
KR102450858B1 (ko) * 2021-04-06 2022-10-04 남효명 결로방지 및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33Y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657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KR2004487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20190001056U (ko) 내화와 단열 기능이 강화된 방화문의 보강구조
KR101840760B1 (ko) 방화문과 그 제작방법
KR101792971B1 (ko) 방열기능이 강화된 방화문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20180027912A (ko) 비노출 타입 커튼월 유닛
JP2020112026A (ja) シャッター建具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101828148B1 (ko) 방화차열 및 단열 결로방지형 방화문
KR101616990B1 (ko) 열관류율이 향상된 단열 샤시구조체
KR20150004055A (ko) 도어
KR101654567B1 (ko)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창호 프레임
KR101877759B1 (ko)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2347889B1 (ko) 복합성능 방화문
JP6158545B2 (ja) 窓シャッターの縦枠の防火構造
KR102039140B1 (ko) 고층 건물용 슈퍼 단열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90729B1 (ko) 자동문용 단열프레임
KR101277683B1 (ko) 고기밀성능과 고단열성능을 가진 창문구조
KR101925486B1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JP6031408B2 (ja) 上げ下げ窓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102120544B1 (ko) 방화문
KR102381470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102347365B1 (ko) 2중 단열 커튼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