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322A -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322A
KR20190054322A KR1020170150456A KR20170150456A KR20190054322A KR 20190054322 A KR20190054322 A KR 20190054322A KR 1020170150456 A KR1020170150456 A KR 1020170150456A KR 20170150456 A KR20170150456 A KR 20170150456A KR 20190054322 A KR20190054322 A KR 2019005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re door
door
heat insulat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영
Original Assignee
조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영 filed Critical 조준영
Priority to KR102017015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322A/ko
Publication of KR2019005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과 문틀후레임의 모든 접촉부위에 열전달 차단수단을 형성하여 실내, 실외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 방지는 물론 소음 전달과 이물질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고, 방화문은 물론 문틀 후레임의 변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속이 빈 상태의 문짝형상으로 내측부재(110)와 외측부재(120) 및 측면부재(130)가 각각 절곡 성형되는 방화문 본체(100)와; 이 방화문 본체(100)를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외곽을 감싸며 건축물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후레임(200)과; 상기 문틀후레임(200)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220)에 수용되어 방화문 본체(100) 사이를 단열시키게 되는 후레임 패킹(3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 본체(100)에는 측면부재(130)를 테두리 따라 간격(D)을 유지한 상태로 절취부(131)를 형성하고, 이 측면부재(130)와 외측부재(120)의 내측으로 수평부재(410)로부터 수직부재(420)가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 단열편(400)을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고정시키되, 상기 수직부재(420)에는 절취부(131)를 향해 돌출부(421)가 돌출되며, 상기 수평부재(410)의 단부에는 돌출테(132)의 내측 측면을 보강하는 지지부(411)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수직부재(420)의 돌출부(421) 위치로는 가스켓 수용홈(422)이 파여져 가스켓(600)을 끼워 설치하며, 상기 문틀후레임(200)에는 내측 테두리부재(210) 사이로 후레임 단열부재(500)가 끼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Device of Preventing Dew Condensation of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과 문틀후레임의 모든 접촉부위에 열전달 차단수단을 형성하여 실내, 실외의 온도차로 인한 결로 방지는 물론 소음 전달과 이물질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고, 방화문은 물론 문틀 후레임의 변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현관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의 전달을 방지할 목적으로 철판으로 구성된 방화문을 설치하고 있다.
방화문은 벽멱에 설치되는 반화문용 문틀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문틀후레임도 금속철판으로 제조된다.
종래,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방화문을 설치하는 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방화문 본체(100)가 개폐 가능하게 하면서 그 외부를 감싸는 크기의 문틀후레임(200)을 건축물에 고정시키고, 문틀후레임(200)과 방화문 본체(100)의 사이에는 힌지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소음방지와 단열 및 개폐시 완충을 위해 문틀후레임(200)과 방화문 본체(100) 사이의 접촉부에는 후레임 패킹(300) 또는 가스켓(600)을 설치하기도 한다.
즉, 문틀후레임(200)에는 설치홈(220)을 오목하게 성형하여 후레임 패킹(300)을 끼워 방화문(100)이 출구를 밀폐시키는 위치에서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방화문(100)에는 문틀후레임(200)을 향해 날개(610)가 연장된 가스켓(600)이 설치되어 외부 이물질이나 소음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방화문 본체(100)는 일정두께의 금속판재로 성형되는데 측면 테두리부 내측에는 보강부재(150)가 더 설치되어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보강부재(150)는 외측부재(120)에 접촉된 상태로 측면부재(130)의 내측면을 따라 거리를 두고 절곡된 후 다시 내측부재(110)에 거리를 두고 절곡된 상태로 나사(1)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방화문 본체(100)를 닫으면 후레임 패킹(300)과 가스켓(600)에 의해 방화문 본체(100)와 문틀후레임(200)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가 밀폐되어 화재발생 시 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방화문 본체(100)가 닫히면서 문틀후레임(200)과 부딪쳐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공기와 내부공기를 차단시켜 실내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결로가 심하게 되면, 주로 방화문 본체(100)와 문틀후레임(200)의 실내측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그 물방울이 흘러내리면서 페인트로 도색된 벽면이나 벽지 등을 오염시키거나, 곰팡이 등이 생겨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 10-0766199호(등록일자 2007년10월04일)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78822호(공개일자 2015년07월08일)
종래, 방화문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내측부재(110)와 보강부재(150) 사이 간격으로 비금속재로 된 단열부재(500)를 주로 접착의 방법으로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금속 철판으로 제작되는 방화문 본체(100)는 이 단열부재(500)에 의해 서로 금속재 끼리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특히 겨울철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심한 경우 심한 온도차에 의한 결로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특히 방화문 본체(100)의 내부와 외부가 철금속으로 연결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한 결과로 결로현상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없어 장기간에 걸친 하자 보수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후레임과 방화문에 각각 실내 및 실외측으로 서로 온도가 철금속을 따라 전달되는 것을 보다 완전하게 차단하여 결로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 강도를 더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소음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 유입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속이 빈 상태의 문짝형상으로 내측부재(110)와 외측부재(120) 및 측면부재(130)가 각각 절곡 성형되는 방화문 본체(100)와;
이 방화문 본체(100)를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외곽을 감싸며 건축물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후레임(200)과;
상기 문틀후레임(200)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220)에 수용되어 방화문 본체(100) 사이를 단열시키게 되는 후레임 패킹(3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 본체(100)에는 측면부재(130)를 테두리 따라 간격(D)을 유지한 상태로 절취부(131)를 형성하고,
이 측면부재(130)와 외측부재(120)의 내측으로 수평부재(410)로부터 수직부재(420)가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 단열편(400)을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고정시키되,
상기 수직부재(420)에는 절취부(131)를 향해 돌출부(421)가 돌출되며,
상기 수평부재(410)의 단부에는 돌출테(132)의 내측 측면을 보강하는 지지부(411)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수직부재(420)의 돌출부(421) 위치로는 가스켓 수용홈(422)이 파여져 가스켓(600)을 끼워 설치하며,
상기 문틀후레임(200)에는 내측 테두리부재(210) 사이로 후레임 단열부재(500)가 끼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단열편(400)의 수직부재(420)에는 나사홀(423)이 뚫어져 나사(S)에 의해 측면부재(130) 내측으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후레임 단열부재(500)는 "ㄴ"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고, 그 양쪽면에 각각 접촉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210)에 일체로 꺽임지지편(2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강 단열편(400) 및 후레임 단열부재(500)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ment plastic)재로 선택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화문은 보강기능을 갖는 보강 단열편(400)이 설치되고, 문틀후레임에는 후레임 단열부재(500)가 각각 설치되어 실내, 실외측이 열전도를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금속재로 된 방화문의 측면부재와 문틀 후레임의 테두리부재를 서로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열전달 측면에서 실외측과 실내측을 서로 완전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추운 동절기에 온도차에 의한 열전도에 의해 결로가 방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차음효과와 열손실도 크게 줄일 수 있고, 외부의 습기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을 포함한 문틀후레임의 강도를 대폭 향상시켜 상품성과 신뢰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방화문의 결로방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방화문의 결로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문틀후레임을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방화문을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보강 단열편의 형상을 일부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화문 본체(100)는 내부로 속이 빈 공간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문짝 형상을 갖도록 내측부재(110)와 외측부재(120), 그리고 측면부재(130)가 용접으로 접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상기 문틀후레임(200)은 방화문 본체(100)의 외곽을 감싸며 건축물에 고정 설치되는데, 방화문 본체(100)의 내측부재(110)의 접촉부 위치로는 오목하게 설치홈(220)을 파내게 된다.
그리고, 이 설치홈(220)는 문틀후레임(200)과 방화문 본체(100) 사이를 단열시키게 되는 고무재의 후레임 패킹(300)이 끼워 설치되며, 설치홈(220)에는 결로타공홀(221)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복수로 각각 성형된다.
방화문 본체(100)는 힌지에 의해 문틀후레임(200)으로부터 개폐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방화문 본체(100)와 문틀후레임(200)의 내부 공간으로는 허니컴이나 그라스울 등을 포함한 단열재를 채우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화문 본체(100)는 측면부재(130)를 테두리 따라 간격(D)을 유지한 상태로 절취부(131)를 형성하여 실내측과 실외측이 금속철판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당시키기 위한 공간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130)와 외측부재(120)의 내측으로 수평부재(410)로부터 수직부재(420)가 직각되게 대략 "T" 형상으로 성형되는 보강 단열편(400)을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 수직부재(420)에는 절취부(131)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된 돌출부(421)가 돌출 성형되어 절취부(131)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채우게 된다.
또, 상기 수평부재(410)의 단부에는 문틀후레임(200)을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 성형된 돌출테(132)의 내측 측면을 보강하기 위해 지지부(411)가 일체로 절곡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420)에 형성된 돌출부(421) 위치로는 가스켓 수용홈(422)이 오목하게 내부를 향해 파여져 가스켓(600)을 끼워 설치하게 된다.
가스켓(600)은 주로 고무재로 유연성을 갖는 날개가 문틀후레임(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소음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문틀후레임(200)에는 내측을 따라 방화문 본체(100)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재(210)에는 거리를 두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꺽임지지편(211) 사이를 절취하여 그 사이로 후레임 단열부재(500)가 더 끼워 설치된다.
상기 보강 단열편(400)은 수직부재(420)에는 나사홀(423)들이 일정간격 다수개 뚫어져 나사(S)에 의해 방화문 본체(100)의 측면부재(130) 내측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문틀후레임(200)에 설치되는 후레임 단열부재(500)는 "ㄴ"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고, 그 양쪽면에 각각 접촉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210)에는 일체로 꺽임지지편(211)이 절곡 성형되어 있다.(도 3)
따라서, 후레임 단열부재(500)를 직사각형의 "-" 형상으로 성형하는 경우에 비하여 열차단 효과는 물론, 문틀후레임(200)의 변형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꺽임지지편(211)들 사이로 설치되는 후레임 단열부재(500) 주로 접착제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 단열편(400) 및 후레임 단열부재(500)는 가볍고, 내구성과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하며, 부식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열전도율이 낮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ment plastic)재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보강 단열편(400) 및 후레임 단열부재(500)와, 가스켓(600)은 모두 문짝형태의 방화문 둘레를 따라 모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문틀후레임(200) 및 방화문 본체(100)이 모두 보강 단열편(400) 및 후레임 단열부재(500)에 의해 실내, 실외측이 열전도를 차단시키게 된다.
또, 절취부(131)와 꺽임지지편(211)들 사이 간격에 의해 열전달을 각각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방화문의 실외와 실내가 열전도율이 높은 철금속재로 연결되는 것을 각각 차단시켜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현상을 미연에 완전하게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차음효과와 열손실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실외의 습기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틈새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도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강도가 우수하고 열전달 차단효과를 갖는 보강 단열편(400) 및 후레임 단열부재(500)가 각각 내부에 구비되는 것에 의해 방화문 본체(100) 및 문틀후레임(200) 모두 변형강도가 우수해지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방화문 본체 110 - 내측부재
120 - 외측부재 130 - 측면부재
131 - 절취부 200 - 문틀 후레임
210 - 내측 테두리부재 211 - 꺽임지지편
220 - 설치홈 300 - 후레임 패킹
400 - 보강 단열편 410 - 수평부재
411 - 지지부 420 - 수직부재
421 - 돌출부 422 - 가스켓 수용홈
500 - 후레임 단열부재 600 - 가스켓

Claims (4)

  1. 속이 빈 상태의 문짝형상으로 내측부재(110)와 외측부재(120) 및 측면부재(130)가 각각 절곡 성형되는 방화문 본체(100)와;
    이 방화문 본체(100)를 힌지로 개폐 가능하게 외곽을 감싸며 건축물에 고정 설치되는 문틀후레임(200)과;
    상기 문틀후레임(200)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220)에 수용되어 방화문 본체(100) 사이를 단열시키게 되는 후레임 패킹(3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 본체(100)에는 측면부재(130)를 테두리 따라 간격(D)을 유지한 상태로 절취부(131)를 형성하고,
    이 측면부재(130)와 외측부재(120)의 내측으로 수평부재(410)로부터 수직부재(420)가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 단열편(400)을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고정시키되,
    상기 수직부재(420)에는 절취부(131)를 향해 돌출부(421)가 돌출되며,
    상기 수평부재(410)의 단부에는 돌출테(132)의 내측 측면을 보강하는 지지부(411)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수직부재(420)의 돌출부(421) 위치로는 가스켓 수용홈(422)이 파여져 가스켓(600)을 끼워 설치하며,
    상기 문틀후레임(200)에는 내측 테두리부재(210) 사이로 후레임 단열부재(500)가 끼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단열편(400)의 수직부재(420)에는 나사홀(423)들이 뚫어져 나사(S)에 의해 측면부재(130) 내측으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 단열부재(500)는 "ㄴ"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고, 그 양쪽면에 각각 접촉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테두리부재(210)에 일체로 꺽임지지편(2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 단열편(400) 및 후레임 단열부재(500)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ment plastic)재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KR1020170150456A 2017-11-13 2017-11-13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KR20190054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56A KR20190054322A (ko) 2017-11-13 2017-11-13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56A KR20190054322A (ko) 2017-11-13 2017-11-13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22A true KR20190054322A (ko) 2019-05-22

Family

ID=6667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456A KR20190054322A (ko) 2017-11-13 2017-11-13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32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48B1 (ko) 2019-07-08 2020-02-11 정성수 방화성이 우수한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2171627B1 (ko) 2020-01-17 2020-10-29 정성수 설치가 용이한 방화 창호 및 그 제조방법
WO2020226330A1 (ko) 2019-05-09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분리막,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041695A (ko) * 2019-10-07 2021-04-16 (주)대덕알앤씨 단열, 내화, 결로 및 방음이 개선된 방화문 구조체
KR102280808B1 (ko) * 2020-07-30 2021-07-22 김형도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199B1 (ko) 2006-04-07 2007-10-10 조현식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KR20150078822A (ko) 2013-12-31 2015-07-08 (주)삼선씨에스에이 결로 방지용 방화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199B1 (ko) 2006-04-07 2007-10-10 조현식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KR20150078822A (ko) 2013-12-31 2015-07-08 (주)삼선씨에스에이 결로 방지용 방화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330A1 (ko) 2019-05-09 2020-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분리막,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76448B1 (ko) 2019-07-08 2020-02-11 정성수 방화성이 우수한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1695A (ko) * 2019-10-07 2021-04-16 (주)대덕알앤씨 단열, 내화, 결로 및 방음이 개선된 방화문 구조체
KR102171627B1 (ko) 2020-01-17 2020-10-29 정성수 설치가 용이한 방화 창호 및 그 제조방법
KR102280808B1 (ko) * 2020-07-30 2021-07-22 김형도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322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0766199B1 (ko)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KR101465396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638116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1609246B1 (ko) 다중 단열 개폐창호 시스템
KR101998675B1 (ko) 방화문
JP6140041B2 (ja) 玄関ドア
KR101618281B1 (ko) 복합창호
KR101103951B1 (ko) 문틀용 후레임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04416U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863614B1 (ko) 방화문의 단열구조
KR20200054597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JP6580393B2 (ja) ドア
KR20100025043A (ko) 도어 시스템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JP3111380B2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
KR101989578B1 (ko) 방화 및 단열 문틀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20100025039A (ko) 도어 시스템
KR102525793B1 (ko) 세이프 도어용 커버 조립식 프레임 구조
JP6445823B2 (ja) 複合窓枠及び建物開口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