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808B1 -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808B1
KR102280808B1 KR1020210026171A KR20210026171A KR102280808B1 KR 102280808 B1 KR102280808 B1 KR 102280808B1 KR 1020210026171 A KR1020210026171 A KR 1020210026171A KR 20210026171 A KR20210026171 A KR 20210026171A KR 102280808 B1 KR102280808 B1 KR 10228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re door
fixed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도
Original Assignee
김형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도 filed Critical 김형도
Priority to KR102021002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닫힘시, 문틀프레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방화문을 문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로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절첩부를 고정하는 나사나 볼트 등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FIRE DOOR SYSTEM WITH AIRTIGHTNESS}
본 발명은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닫힘시, 문틀프레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방화문을 문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로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절첩부를 고정하는 나사나 볼트 등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는 화재의 확대, 연소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방화문이 현관문으로 사용된다.
방화문은 벽면에 형성된 출입구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문틀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출입구에 대하여 여닫히는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문은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방화문과 문틀프레임 사이에 틈새 및 유격된 공간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화재 발생시 외부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틈새 및 유격된 공간에 의하여 완전한 기밀 및 밀폐가 어렵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냉,난방시 많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과 함께 외부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면서 방음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방화문과 문틀프레임 사이의 틈새 및 유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방화문의 상, 하부면 또는 측면에 별도의 기밀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8675호(2019.07.10.) '방화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의 닫힘시, 문틀프레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방화문을 문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로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절첩부를 고정하는 나사나 볼트 등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둘레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는 문틀프레임(110); 문틀프레임(110)을 개폐하는 방화문(120); 상부가 개방되는 암체결바(132)와 일단부가 암체결바(1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문틀프레임(11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는 제1절첩판(133)으로 이루어지는 제1절첩수단(131)과, 암체결바(132)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수체결바(135)와 일단부가 수체결바(13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방화문(12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는 제2절첩판(136)을 포함하는 제2절첩수단(134)으로 이루어지면서 방화문(120)을 문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130); 및 수용공간(111)의 후면부에 구비되면서 방화문(120)의 닫힘시, 방화문(120)과 접하는 기밀부재(140)를 포함하고, 방화문(120)은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되며 전단부가 개방되는 후방프레임(123)과, 문틀프레임(110)의 전면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개방되는 전방프레임(124) 및 전단부가 전방프레임(123)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123)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후방프레임(123)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구(126)에 의해 후방프레임(123)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25)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121)을 포함하고, 문틀프레임(110)은, 수용공간(111)을 이루는 후면부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기밀부재(140)가 결합되는 수용홈(115)이 형성되며, 전면 일측에 제1절첩판(133)이 내부로 인입되면서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홀(112)이 형성되고, 방화문(120)은, 일측에 제2절첩판(136)이 내부로 인입되면서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홀(12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부재(140)는 방화문(120)에 접하며 내측으로 빈공간(141a)이 형성되는 기밀링(141); 및 기밀링(141)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외측 둘레에 경사를 이루면서 수용홈(115)으로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밀착돌기(142a)가 형성되는 결합링(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틀프레임(110)은 일측 내부에 결합홀(112)을 통해 인입되는 제1절첩판(133)이 고정되는 고정부재(113)가 구비되고, 방화문(120)은 일측 내부에 체결홀(120a)을 통해 인입되는 제2절첩판(136)이 고정되는 지지부재(127)가 구비되며, 고정부재(113)는 양단부가 문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중앙부로 제1절첩판(133)이 고정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고, 지지부재(127)는 전방프레임(124)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되는 가로판(127a); 및 가로판(127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25)에 고정되는 세로판(127b)으로 이루어지면서 'T'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의 닫힘시, 문틀프레임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면서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화문을 문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로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음으로써 절첩부를 고정하는 나사나 볼트 등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서 절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서 절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서 방화문과 문틀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서 방화문과 문틀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서 문틀프레임으로의 제1절첩수단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에서 방화문으로의 제2절첩수단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2에서 기밀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100)은 문틀프레임(110), 문틀프레임(110)을 개폐하는 방화문(120) 및 방화문(120)을 문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130)를 포함한다.
문틀프레임(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링 형태를 이루며, 아파트 등의 건축물 내부 벽체 등에 형성된 출입구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문틀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둘레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며, 내측 둘레에 방화문(120)의 후단부가 인입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방화문(120)은 개방된 상태로부터 닫힘시, 후단부가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수용공간(111)은 문틀프레임(11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단부 내측 둘레가 후단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11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방화문(120)이 닫히는 경우, 방화문(120)의 후단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방화문(120)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후단부가 수용공간(111)을 이루는 후면과 접하거나 인접하고, 전단부가 문틀프레임(110)의 전단부와 접하거나 인접하면서 방화문(120)과 문틀프레임(110) 간 다시 말하면, 수용공간(111)을 차단할 수 있다.
방화문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20)과 문틀프레임(110) 간의 기밀성 향상을 위해 수용공간(111)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기밀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문틀프레임(110)은 수용공간(111)을 이루는 후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기밀부재(140)가 결합되는 수용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기밀부재(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화문(120)에 접하며 내측으로 빈공간(141a)이 형성되는 기밀링(141) 및 기밀링(141)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외측 둘레에 경사를 이루면서 수용홈(115)으로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밀착돌기(142a)가 형성되는 결합링(142)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100)은 방화문(120)이 닫힌 상태에서 방화문(120)과 문틀프레임(110) 간의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방화문(12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부(130)에 의해 문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에 따라 문틀프레임(110)의 내부를 개폐한다.
방화문(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20)의 외관을 이루는 도어프레임(121) 및 도어프레임(121)의 내부로 수용되는 단열재(122)를 포함한다.
단열재(120)는 도어프레임(121)의 내부로 수용되는 공지된 일방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어프레임(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20)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되는 후방프레임(123), 문틀프레임(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방프레임(124) 및 전,후방프레임(123,124)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5)을 포함한다.
후방프레임(123)은 전단부가 개방되면서 횡단면이 전방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전방프레임(124)은 후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며, 후방프레임(12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문틀프레임(110)의 전면부로 안착된다.
연결프레임(125)은 전단부가 전방프레임(123)의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후단부가 후방프레임(123)의 전단부 내측으로 수용된다.
연결프레임(125)은 후방프레임(123)과 나사나 볼트 등을 포함하는 고정구(126)에 의해 고정되면서 전,후방프레임(124,123) 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프레임(125)은 후방프레임(123)과 이격되도록 연결되면서 방화문(120)에 대한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후방프레임(123)은 고정구(126)가 통과하는 통공(123a)이 천공되는 과정에서의 형압에 의해 연결프레임(125)으로 돌출되면서 연결프레임(125)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화문시스템(100)은 방화문(120)을 이루는 둘레가 두겹을 이루는 것은 물론, 연결프레임(125)과 후방프레임(123) 간이 이격되면서 외부로부터 내부로 또는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이 차단되면서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절첩부(1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암체결바(132)와, 문틀프레임(11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면서 암체결바(132)를 지지하는 제1절첩판(133)을 포함하는 제1절첩수단(131) 및 방화문(1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암체결바(13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체결바(135)와, 방화문(12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면서 수체결바(135)를 지지하는 제2절첩판(136)을 포함하는 제2절첩수단(134)을 포함한다.
암체결바(132)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상부 내측으로 수체결바(13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제1절첩판(133)은 일단부가 암체결바(1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문틀프레임(11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면서 문틀프레임(110)으로부터 암체결바(132)를 지지한다.
문틀프레임(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일측에 제1절첩판(133)이 인입되는 결합홀(112)이 형성된다.
문틀프레임(110)은 일측 내부에 결합홀(112)을 통해 인입되는 제1절첩판(133)이 고정되는 고정부재(113)가 구비된다.
고정부재(113)는 용접 등에 의해 문틀프레임(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결합홀(112)을 통해 문틀프레임(110)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1절첩판(133)이 볼트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114)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화문시스템(100)은 제1절첩판(133)이 문틀프레임(110)의 내부로 매립 고정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인해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방화문(120)의 하중이 체결구(114)로 집중되지 않으므로 인해 체결구(114)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113)는 양단부가 문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중앙부로 제1절첩판(133)이 고정되는 'ㄷ'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고정부재(113)는 'ㄷ'자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절첩판(133)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절첩수단(131)은 제1절첩판(133)이 문틀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매립 고정되면서 결합홀(112)을 이루는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수체결바(134)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절첩판(136)보다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암체결바(132)의 상부로 결합된다.
제2절첩판(136)은 일단부가 수체결바(13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방화문(12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면서 방화문(120)으로부터 수체결바(134)를 지지한다.
방화문(1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제2절첩판(136)이 인입되는 체결홀(120a)이 형성된다.
체결홀(120a)은 전방프레임(124)의 일측에 형성되면서 방화문(120)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결합홀(112)과 교차된다.
방화문(120)은 전방프레임(124)의 일측 내부에 체결홀(120a)을 통해 인입되는 제2절첩판(136)이 고정되는 지지부재(127)가 구비된다.
지지부재(127)는 나사 등을 포함하는 결속구(128)에 의해 도어프레임(121)의 내측에 고정되면서 체결홀(120a)을 통해 전방프레임(124)의 내부로 인입되는 제2절첩판(136)이 볼트 등을 포함하는 연결구(129)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화문시스템(100)은 제2절첩판(136)이 방화문(120)의 내부로 매립 고정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인해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방화문(120)의 하중이 연결구(129)로 집중되지 않으므로 인해 연결구(129)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27)는 전방프레임(124)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되는 가로판(127a) 및 가로판(127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25)에 고정되는 세로판(127b)으로 이루어지면서 'T'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지지부재(127)는 세로판(127b)이 연결프레임(125)으로 고정되면서 가로판(127a)만이 전방프레임(124)으로 고정될 때에 비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세로판(127b)은 나사 등에 의해 연결프레임(125)으로 고정되되, 나사의 머리부는 후방프레임(123)과 연결프레임(125) 간에 배치되면서 연결프레임(125)이 후방프레임(123)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지재부재(127)는 'T'자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절첩판(136)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절첩수단(134)은 제2절첩판(136)이 방화문(120)의 내측으로 매립 고정되면서 체결홀(120a)을 이루는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절첩부(130)는 제1절첩수단(131)이 문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제2절첩수단(120)이 방화문(120)에 고정되면서 방화문(120)을 문틀프레임(1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나, 상황에 따라 제1절첩수단(131)이 방화문(120)에 고정되고, 제2절첩수단(120)이 문틀프레임(110)에 고정되면서 방화문(120)을 문틀프레임(110)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의, 제1절첩수단(131)은 개방된 암체결바(132)의 상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문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제2절첩수단(134)은 수체결바(135)가 제2절첩판(136)보다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방화문(1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방화문시스템 110 : 문트프레임
111 : 수용공간 112 : 결합홀
120 : 방화문 121 : 도어프레임
122 : 단열재 123 : 후방프레임
124 : 전방프레임 125 : 연결프레임
126 : 체결홀 127 : 지지부재
130 : 절첩부 131 : 제1절첩수단
132 : 암체결바 133 : 제1절첩판
134 : 제2절첩수단 135 : 수체결바
136 : 제2절첩판 140 : 기밀부재

Claims (3)

  1. 사각링 형태를 이루며, 내측 둘레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는 문틀프레임(110); 문틀프레임(110)을 개폐하는 방화문(120); 상부가 개방되는 암체결바(132)와 일단부가 암체결바(1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문틀프레임(11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는 제1절첩판(133)으로 이루어지는 제1절첩수단(131)과, 암체결바(132)의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수체결바(135)와 일단부가 수체결바(13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방화문(120)의 일측으로 매립 고정되는 제2절첩판(136)을 포함하는 제2절첩수단(134)으로 이루어지면서 방화문(120)을 문틀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130); 및 수용공간(111)의 후면부에 구비되면서 방화문(120)의 닫힘시, 방화문(120)과 접하는 기밀부재(140)를 포함하고,
    방화문(120)은
    수용공간(111)으로 인입되며 전단부가 개방되는 후방프레임(123)과, 문틀프레임(110)의 전면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개방되는 전방프레임(124) 및 전단부가 전방프레임(123)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후방프레임(123)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후방프레임(123)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구(126)에 의해 후방프레임(123)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25)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프레임(121)을 포함하고,
    문틀프레임(110)은
    수용공간(111)을 이루는 후면부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기밀부재(140)가 결합되는 수용홈(115)이 형성되며, 전면 일측에 제1절첩판(133)이 내부로 인입되면서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홀(112)이 형성되고, 일측 내부에 결합홀(112)을 통해 인입되는 제1절첩판(133)이 고정되는 고정부재(113)가 구비되며,
    방화문(120)은
    일측에 제2절첩판(136)이 내부로 인입되면서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홀(120a)이 형성되고, 일측 내부에 체결홀(120a)을 통해 인입되는 제2절첩판(136)이 고정되는 지지부재(127)가 구비되며,
    고정부재(113)는 양단부가 문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중앙부로 제1절첩판(133)이 고정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고,
    지지부재(127)는
    전방프레임(124)의 일측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되는 가로판(127a); 및 가로판(127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프레임(125)에 고정되는 세로판(127b)으로 이루어지면서 'T'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기밀부재(140)는
    방화문(120)에 접하며 내측으로 빈공간(141a)이 형성되는 기밀링(141); 및
    기밀링(141)의 후면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내,외측 둘레에 경사를 이루면서 수용홈(115)으로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밀착돌기(142a)가 형성되는 결합링(1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3. 삭제
KR1020210026171A 2020-07-30 2021-02-26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KR10228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71A KR102280808B1 (ko) 2020-07-30 2021-02-26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115 2020-07-30
KR1020210026171A KR102280808B1 (ko) 2020-07-30 2021-02-26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115 Division 2020-07-30 2020-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808B1 true KR102280808B1 (ko) 2021-07-22

Family

ID=7715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71A KR102280808B1 (ko) 2020-07-30 2021-02-26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8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333Y1 (ko) * 2003-03-24 2003-06-25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방화문용 힌지 결합장치
KR20190054322A (ko) * 2017-11-13 2019-05-22 조준영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KR101998675B1 (ko)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KR20200007453A (ko) * 2018-07-13 2020-01-22 변무원 단열 및 방열 기능을 갖는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333Y1 (ko) * 2003-03-24 2003-06-25 동방노보펌 주식회사 방화문용 힌지 결합장치
KR20190054322A (ko) * 2017-11-13 2019-05-22 조준영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KR101998675B1 (ko)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KR20200007453A (ko) * 2018-07-13 2020-01-22 변무원 단열 및 방열 기능을 갖는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885A (en) Security window cover
US6974383B2 (en) Cabinet for air handling equipment
CN104508227A (zh) 隔热窗组件
KR101585378B1 (ko)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HU224110B1 (hu) Biztonsági szekrény
US4300528A (en) Fireplace door seal
KR102280808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방화문시스템
KR200492197Y1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20100011143U (ko) 열전달 차단부재가 마련된 방화문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0629275B1 (ko) 건축용 방범창틀 설치구조
KR100907602B1 (ko) 침입 및 결로 방지용 현관문 및 문틀
KR102318949B1 (ko) 밀폐형 바람막이를 구비한 양여닫이 방화문
KR100656854B1 (ko)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KR102371156B1 (ko)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KR100695809B1 (ko) 건축물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방범창
US20200238795A1 (en) Window assembly having flush frame to sash
KR20100025043A (ko) 도어 시스템
KR102232521B1 (ko) 힌지도어
KR100800172B1 (ko) 방화문
KR20170106742A (ko) 커튼 월 프레임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KR1007171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