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137B1 -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137B1
KR100717137B1 KR1020060066820A KR20060066820A KR100717137B1 KR 100717137 B1 KR100717137 B1 KR 100717137B1 KR 1020060066820 A KR1020060066820 A KR 1020060066820A KR 20060066820 A KR20060066820 A KR 20060066820A KR 100717137 B1 KR100717137 B1 KR 100717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door
door
fir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훈
Original Assignee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함으로서 화재가 번지는 것과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셔터에 장착되는 비상도어의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비상도어는 방화셔터가 닫혔을 때 사람이 신속하게 비상탈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비상도어와 방화셔터의 비상출입구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고 비상도어의 개폐면 쪽이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며 비상도어를 장착하는 경첩에 용접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An emergency door structure of prevention of fire shutter}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어 화재시에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곳으로 번지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방화셔터에 있어서 방화셔터에 장착되는 비상도어의 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방화셔터에 장착되는 비상도어는 화재시에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한 방화셔터가 자동으로 하강되어 통로를 차단하였을 때 미처 피하지 못하고 남아있는 사람이 방화셔터가 닫힌 상태에서도 신속하게 피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 비상도어이다.
또한 방화셔터의 구조는 철판을 소재로 일정한 폭과 넓이로 구성되는 다수의 셔터부재 회전연결부가 구성되도록 연속적으로 연결하며 모터가 구동되면 각 셔터부재의 회전연결부가 접히면서 구동샤프트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방화셔터의 소정부위를 절단하여 출입구를 구성하고 출입구에는 사람이 간단하게 열고 탈출할 수 있는 비상도어를 장착하는 것이며 비상도어는 방화셔텨가 열리면서 구동샤프트에 감길때 방화셔터와 함께 감기도록 하기 위하여 셔터부재와 동일 구조의 부재를 이용하여 비상도어를 구성시키는 것이다.
종래에도 건물내의 화재시에 자동으로 하강되어 닫히도록 하는 방화셔터와 방화셔터에 장착되는 비상도어의 구조가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5482호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가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알려지고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방화셔터의 셔터부재와 동일구조의 비상도어부재를 연결하여 비상도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방화셔터에 구성된 출입구 일측에 비상도어를 장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비상도어 장착구조를 보면, 출입구 일측의 비상도어 장착부에 비상도어의 장착부를 경첩으로 연결하고 양쪽 경첩의 하부에는 탄발스프링을 내장하여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비상도어가 자동으로 닫혀 있다가 사람이 탈출하기 위하여 비상도어를 밀면 비상도어가 열렸다가 다시 닫히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경첩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아니라 중요한 것은 비상도어의 장착부와 방화셔터의 출입구 일측의 비상도어 장착부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비상도어의 개폐면 쪽 회전절곡부를 구성하는 홀더부와 끼움부 사이의 공간으로 인하여 비상도어의 개편면 쪽이 아래로 처지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선행기술로 알려지고 있는 방화셔터(1)의 비상출입구(1')에 설치되는 비상도어 구조를 보인 것으로, 다수의 방화셔터부재(10)에 구성된 홀더부(11)와 끼움부(12)를 결합시켜 셔터회전절곡부(13)가 구성되는 것이다.
방화셔터부재(10)와 동일 구조의 부재를 비상도어부재(10')로 이용하는 것으로 소정두께의 철판으로 구성되는 비상도어부재(10')의 상부에는 둥글게 말아서 구성하는 홀더부(20')와 하부에는 상기 홀더부(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둥글게 말아서 구성하는 끼움부(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30')를 상기 홀더부(20')에 끼워 넣으면 상하부 비상도어부재(10')가 연결 결합되면서 회전절곡부(40')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로 다수의 비상도어부재(10')를 연결하여 비상도어(50')를 구성시킨 다음 방화셔터(1)에 구성된 비상출입구(1')의 경첩고정부(2')에 경첩(51')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상출입구(1')의 경첩고정부(2')와 비상도어(50')의 경첩고정부(52')의 바깥쪽 상하부에는 둥글게 말아서 구성된 셔터부재(10)의 홀더부(11)와 비상도어부재(10')의 홀더부(20')가 가로 방향으로 대항된 상태를 하고 있어서, 상기 경첩고정부(2') 및 경첩고정부(52')가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서 설치하였을때는 상기 셔터부재(10)에 구성된 홀더부(11)와 비상도어부재(10')에 구성된 홀더부(20')가 맞닿아서 비상도어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비상출입구(1')의 경첩고정부(2')와 비상도어(50')의 경첩고정부(52')에 간격을 두고 경첩(51')으로 고정시키므로서 틈새가 생기게 되어 화염이나 연기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게 되고, 이와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틈새부분을 철판조각을 용접하여 막아주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외관이 흉하며 중량이 무거워지는 문제와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상도어부재(10')의 상하부에 구성되는 홀더부(20')와 끼움부(30')를 결합시켰을 때 도2의 상태와 같이 홀더부(20')의 내면과 끼움부(30')의 외면사이에 공간(h)이 생기게 되어 비상도어(50')의 개폐면쪽이 하중때문에 아래로 처져서 틈새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비상도어를 경첩을 이용하여 설치할때 방화셔터부재(10)와 비상도어부재(10') 뒷면이 매우 협소하여 경첩을 견고하게 용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출입구의 경첩고정부와 비상도어의 경첩고정부가 밀착된 상태에서도 비상도어가 원활하게 개폐되고 틈새가 생기지 않아서 화염이나 연기의 누출을 방지하며, 비상도어의 개폐면쪽 회전절곡부의 홀더부와 끼움부가 공간이 없이 밀착되게 함으로서 비상도어가 아래로 처지면서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경첩의 용접부에는 절취홈을 구성하여 용접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다수의 방화셔텨부재(10)가 상하로 연속 연결 구성되는 방화셔터(1)와 상기 방화셔터(1)에 구성되며 경첩고정부(2')를 갖는 비상출입구(1')와 다수의 비상도어부재(10')의 상하부에 둥글게 말아서 구성되는 홀더부(20') 및 끼움부(30')와 상기 홀더부(20') 및 끼움부(30')를 열결 결합하여 회전절곡부(40')가 구성되도록 하는 비상도어(50')와 상기 비상도어(50')를 상기 비상출입구(1')에 경첩(51')으로 장착시키는 공지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부재(10)에 구성된 비상출입구(1')의 경첩고정부(2')쪽에 회전절곡부(13)를 구성하고 있는 홀더부(11)와 끼움부(12)를 절삭한 절삭면(100')으로 구성된 비상출입구 절삭부(100)와 비상도어(50')의 경첩고정부 쪽의 회전절곡부(40')의 홀더부(20')와 끼움부(30')를 절삭한 절삭면(200')으로 구성된 비상도어 절삭부(200)와 비상도어(50')를 구성하는 비상도어부재(10')의 홀더부(20')에 끼워진 끼움부(30')를 확대시켜 끼움부(30')의 바깥면이 홀더부(20')의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확대부(300)와 상기 경첩(51')의 장착판(51") 상하부 및 내측부에 구성되는 용접부(400)가 구비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비상출입구의 절삭부(100) 및 비상도어 절삭부(200)를 구성하는 절삭면(100')(200')의 다른 구성예를 보인것으로, 상기 절삭면(100')(200')이 직각으로 절삭된 상태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0)은 상기 확대부(300)를 성형하는 성형공구를 보인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워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 방화셔터(1)의 비상출입구(1')에 구성된 경첩고정부(2') 쪽의 방화셔터부재(10)에 구성된 홀더부(11)와 끼움부(12)를 경사진 절삭면(100')이 되도록 절삭부(100)를 구성하고 비상도어(51)의 경첩고정부 쪽의 비상도어부재(10)에 구성된 홀더부(20')와 끼움부(30')를 경사진 절삭면(200')이 되도록 절삭부(200)로 구성시키므로서 경첩(51')을 이용하여 비상도어(50')를 장착시켰을 때 비상출입구와 비상도어 사이에 틈새를 두지않고도 비상도어가 원활하게 개폐되며 틈새가 없어서 화염이나 연기가 누출되지 않으며 외관상 보기가 흉하지 않다.
또한 상기 절삭면(100')(200')은 경사지게 절삭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9와 같이 직각으로 절삭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 비상도어(50')의 개폐면 쪽에 구성되는 비상도어부재(10)의 홀더부(20')와 끼움부(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총알 모양의 공구(500)를 끼움부(30')에 끼우고 적당한 힘으로 타격하면 공구(500)에 의하여 끼움부(30')가 확대되면서 확대부(300)가 구성되어 홀더부(20')와 확대부(30') 사이에 공간이 없어지면서 비상도어(50')의 개폐면 쪽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비상출입구(1')의 경첩고정부(2')에 다수의 경첩(51')으로 비상도어(50')를 장착하게 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경첩을 사용할 경우 방화셔터부재(10)와 비상도어부재(10')의 상하부에 형성된 홀더부(20')와 끼움부(30') 및 경첩의 힌지홀더 때문에 용접하는데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 경첩(51')의 장착판(51") 상하부와 내측에는 절취된 용접부(400)가 구성되어 있어서 용접작업이 쉽고 견고하게 용접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게 되는 본 발명은 방화셔터에 구성된 비상출입구의 경첩고정부와 비상도어의 경첩고정부 쪽 회전절곡부에 절취부를 구성시키므로서 비상출입구와 비상도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고 비상도어의 개폐면 쪽 회전절곡부의 끼움부를 확대시켜 확대부를 구성함으로서 비상도어의 개폐부 쪽이 아래로 처지지 않으며 경첩의 장착판에는 용접부를 절취구성함으로서 용접부위가 확대되고 용접이 쉬우며 견고하게 용접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 방화셔터에 장착된 비상도어를 보인 것으로 (A)는 비상도어가 닫히는 쪽이며, (B)는 비상도어가 열리는 쪽의 확대도이다.
도2는 종래 비상도어부재가 상하로 결합된 회전절곡부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 비상도어가 방화셔터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것으로 (A)는 비상도어가 닫히는 쪽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 비상도어가 방화셔터의 출입구에 경첩으로 장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 비상도어가 열리고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 비상도어의 회전절곡부를 확대시키는 공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7(A)는 본 발명 비상도어의 회전절곡부가 확대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며, (B)는 회전절곡부가 확대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8(A)는 본 발명 비상도어가 경첩으로 장착된 상태도이며, (B)는 경첩이 장착된 뒷면을 보인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비상도어의 절삭부의 다른 구성예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절삭부 100',200': 절삭면
300: 확대부 400: 용접부

Claims (6)

  1. 다수의 방화셔텨부재(10)가 상하로 연속 연결 구성되는 방화셔터(1)와 상기 방화셔터(1)에 구성되며 경첩고정부(2')를 갖는 비상출입구(1')와 다수의 비상도어부재(10')의 상하부에 둥글게 말아서 구성되는 홀더부(20') 및 끼움부(30')와 상기 홀더부(20') 및 끼움부(30')를 열결 결합하여 회전절곡부(40')가 구성되도록 하는 비상도어(50')와 상기 비상도어(50')를 상기 비상출입구(1')에 경첩(51')으로 장착시키는 공지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부재(10)에 구성된 비상출입구(1')의 경첩고정부(2')쪽에 회전절곡부(13)를 구성하고 있는 홀더부(11)와 끼움부(12)를 절삭한 절삭면(100')으로 구성된 비상출입구 절삭부(100)와 비상도어(50')의 경첩고정부 쪽의 회전절곡부(40')의 홀더부(20')와 끼움부(30')를 절삭한 절삭면(200')으로 구성된 비상도어 절삭부(200)와 비상도어(50')를 구성하는 비상도어부재(10')의 홀더부(20')에 끼워진 끼움부(30')를 확대시켜 끼움부(30')의 바깥면이 홀더부(20')의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확대부(300)와 상기 경첩(51')의 장착판(51") 상하부 및 내측부에 구성되는 용접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100)(200)의 절삭면(100')(200')을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100)(200)의 절삭면(100')(200')이 직각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도어(50')의 개폐면 쪽 회전절곡부(40')의 끼움부(30')를 확대하여 확대부(300)가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51')의 장착판(51") 상하부 및 내측부에 용접부(4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6.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400)는 상기 장착판(51")을 절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KR1020060066820A 2006-07-18 2006-07-18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KR100717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820A KR100717137B1 (ko) 2006-07-18 2006-07-18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820A KR100717137B1 (ko) 2006-07-18 2006-07-18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271U Division KR200427471Y1 (ko) 2006-07-18 2006-07-18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137B1 true KR100717137B1 (ko) 2007-05-11

Family

ID=3827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820A KR100717137B1 (ko) 2006-07-18 2006-07-18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390B1 (ko) 2007-07-25 2008-08-14 (주) 피앤에이건설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CN112542021A (zh) * 2020-12-18 2021-03-23 三门核电有限公司 一种常闭式防火门智能监控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712U (ko) * 1994-04-16 1995-11-20 최성열 방화 및 방범용 셔터
KR19980058145U (ko) * 1997-02-19 1998-10-26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KR200242468Y1 (ko) * 2001-05-23 2001-10-29 심상민 방화용 셔터의 경첩구조
KR200315864Y1 (ko) * 2003-03-26 2003-06-12 장종복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20050065470A (ko) * 2005-05-19 2005-06-29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712U (ko) * 1994-04-16 1995-11-20 최성열 방화 및 방범용 셔터
KR19980058145U (ko) * 1997-02-19 1998-10-26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KR200242468Y1 (ko) * 2001-05-23 2001-10-29 심상민 방화용 셔터의 경첩구조
KR200315864Y1 (ko) * 2003-03-26 2003-06-12 장종복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20050065470A (ko) * 2005-05-19 2005-06-29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390B1 (ko) 2007-07-25 2008-08-14 (주) 피앤에이건설 방화 및 방연용 스크린 장치
CN112542021A (zh) * 2020-12-18 2021-03-23 三门核电有限公司 一种常闭式防火门智能监控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223067A (ja) 引戸装置
JP6715728B2 (ja) 防火サッシ
JP2018066244A (ja) 防火サッシ
JP6154697B2 (ja) 窓の防火構造
KR1007171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JP6258634B2 (ja) 窓の防火構造
US8656683B2 (en) Shutter
KR20180129172A (ko) 유압식 힌지가 상부에 설치되는 문 구조
KR200427471Y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JP3524364B2 (ja) 開閉体および開閉体装置
KR20060054723A (ko) 도어의 방음장치
CN203296635U (zh) 一种双向开启的防火门
KR20100025043A (ko) 도어 시스템
JP2021113463A (ja) 建具
CN211081591U (zh) 一种电动防火上悬窗
KR200391475Y1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JP6440538B2 (ja) 戸体、及び、建具
JP2012102480A (ja) 建具
KR20230000295U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JP3824946B2 (ja) 換気装置
KR200366078Y1 (ko) 방화문
KR200196848Y1 (ko) 환기창이 설치된 현관문
KR200372117Y1 (ko)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차단장치
RU182562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е рулонные ворота
CN210508910U (zh) 一种防火窗外框及防火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