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802B1 -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802B1
KR101624802B1 KR1020140144105A KR20140144105A KR101624802B1 KR 101624802 B1 KR101624802 B1 KR 101624802B1 KR 1020140144105 A KR1020140144105 A KR 1020140144105A KR 20140144105 A KR20140144105 A KR 20140144105A KR 101624802 B1 KR101624802 B1 KR 10162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inge
rotation shaft
guid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772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14014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8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05D2005/108Pin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상부에 결합블록(131)을 형성하여 결합블록(131)에 차단지지대(132)를 형성하고 차단지지대(132)의 내측으로 연결돌출부(133)를 형성한 상부회전축(130)과, 하부에 결합블록(141)을 형성하고 결합블록(141)에 차단지지대(142)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대향하도록 하고 차단지지대(142)의 내측으로 연결홈부(143)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형성한 연결돌출부(133)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회전축(140)으로 구성하므로, 상하로 연접하는 경첩의 회전축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비상탈출문 등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방화셔터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Shaft connection structure of hinge for fireproof shutter}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등에 상하로 연접하여 설치하는 경첩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화셔터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화염을 차단하고, 화재공간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되, 일정이상의 풍압과 고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방화셔터를 절개하여 비상구를 형성하므로 화재공간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로 인하여 화재에 의한 풍압, 고열 및 화염의 차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화염이 근접하게 되면 고열로 인하여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고, 비틀림이 비상탈출구에 집중되어 화염의 차단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우려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화재 현장에서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가 고열 등에서도 쉽게 뒤틀리지 않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특히 비상탈출구용 경첩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하되 화재공간 내의 사람들이 밀면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열린 후에 다시 스프링의 탄성으로 닫힐 수 있도록 형성하고 화재에 의한 풍압, 고열 및 화염의 차단이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비상탈출구용 경첩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선등록 한 특허등록 제10-1420002호(명칭: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도 있으나 이는 방화셔터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지만 비상탈출문의 사용시 상하의 경첩이 상호 연동할 수 없어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하로 연접하는 경첩의 회전축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비상탈출문 등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방화셔터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는 상부에 결합블록을 형성하여 결합블록에 차단지지대를 형성하고 차단지지대의 내측으로 연결돌출부를 형성한 상부회전축과, 하부에 결합블록을 형성하고 결합블록에 차단지지대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의 차단지지대에 대향하도록 하고 차단지지대의 내측으로 연결홈부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의 차단지지대에 형성한 연결돌출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회전축으로 구성하므로, 상하로 연접하는 경첩의 회전축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비상탈출문 등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방화셔터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는 하부회전축의 결합블록에 차단지지대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의 차단지지대에 대향하도록 하고 차단지지대의 내측으로 연결홈부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의 차단지지대에 형성한 연결돌출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므로 화재발생으로 인한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지연 차단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측 경첩을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원활하게 펼쳐져 결합하거나 절곡하여 감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로 연접하는 경첩의 회전축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비상탈출문 등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방화셔터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원활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회전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하부회전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경첩을 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하측 경첩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하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하절곡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하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100)은 판재를 밴딩하여 상하부축가이드(111)를 형성하되 상하부축가이드(111) 사이에 중앙메인차단편(113)을 일체로 형성한 좌측플레이트(110)와,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상하부축가이드(111) 사이에 끼워 상호 연결하되 판재를 밴딩하여 중앙축가이드(121)를 형성하여 상하부축가이드(111) 사이에 끼워 연결하고 중앙축가이드(121)의 상측과 하측으로 상하부메인차단편(123)을 일체로 형성한 우측플레이트(120)와,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상부축가이드(111)와 우측플레이트(120)의 중앙축가이드(121)를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상부축가이드(111)에 결합하는 상부회전축(130)과,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하부축가이드(111)와 우측플레이트(120)의 중앙축가이드(121)을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하부축가이드(111)에 결합하는 하부회전축(140), 및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상부축가이드(111)에 결합시킨 상부회전축(130)과 우측플레이트(120)의 중앙축가이드(121)를 연결하여 좌우플레이트(110,120)을 상호 탄력설치하는 스프링(150)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회전축(130)은 상부에 결합블록(131)을 형성하여 결합블록(131)에 차단지지대(132)를 형성하고 차단지지대(132)의 내측으로 연결돌출부(133)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회전축(140)은 하부에 결합블록(141)을 형성하되 결합블록(141)에 차단지지대(142)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대향하도록 하고 차단지지대(142)의 내측으로 연결홈부(143)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형성한 연결돌출부(133)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측플레이트(110)는 판재를 밴딩하여 슬레이트(10)에 부착하는 지지플레이트(116)를 형성함과 동시에 축공인 상하부축가이드(111)를 상하로 분리형성하여 상하부축가이드(111) 사이에 중앙연결공간(115)을 형성하도록 하되 중앙연결공간(115)에 중앙메인차단편(113)과 중앙보조차단편(114)을 판재의 밴딩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하여 화염 등의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축가이드(111)에는 수평으로 핀공(112)을 천공하고, 지지플레이트(116)에는 슬레이트(10)의 단부를 밀착시켜 세팅하도록 가이드턱(117)을 수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플레이트(120)는 판재를 밴딩하여 슬레이트(10)에 부착하는 지지플레이트(126)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하부축가이드(111)를 사이에 끼워 결합하는 축공인 중앙축가이드(121)를 형성하고 중앙축가이드(121)의 상하로 상하부연결공간(125)을 형성하여 상하부연결공간(125) 각각에 상하부메인차단편(123)과 상하부보조차단편(124)을 판재의 밴딩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하여 화염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중앙축가이드(121)에는 수평으로 핀공(122)을 천공하고, 지지플레이트(126)에는 슬레이트(10)의 단부를 밀착시켜 세팅하도록 가이드턱(127)을 수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회전축(130)은 상부에 결합블록(131)을 형성하되 결합블록(131)에 차단지지대(132)를 형성하여 화염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되, 차단지지대(132)의 내측으로 연결돌출부(133)를 형성한다.
더불어, 상부회전축(130)에는 좌측플레이트(110)의 상부축가이드(111)에 천공한 핀공(112)과 대응하는 핀홈(134)을 형성하고 핀공(112)을 통해 핀홈(134)에 결합하는 체결핀(135)을 구비하며 하향으로 연결봉(136)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회전축(140)은 하부에 결합블록(141)을 형성하되 결합블록(141)에 차단지지대(142)를 형성하여 화염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되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대향하도록 하고, 차단지지대(142)의 내측으로 연결홈부(143)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형성한 연결돌출부(133)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하부회전축(140)에는 좌측플레이트(110)의 하부축가이드(111)에 천공한 핀공(112)과 대응하는 핀홈(144)을 형성하고 핀공(112)을 통해 핀홈(144)에 결합하는 체결핀(145)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50)은 좌측플레이트(110)의 상부축가이드(111)에 결합시킨 상부회전축(130)과 우측플레이트(120)의 중앙축가이드(121)를 연결하여 좌우플레이트(110,120)을 상호 탄력설치한다.
아울러, 중앙축가이드(121)의 내부 하측에 결합하는 탄성연결구(151)를 구비하여 스프링(150)의 하단을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연결구(151)는 중앙에 관통공을 천공하고 외주연에 중앙축가이드(121)의 핀공(122)에 대응하는 핀홈(152)을 형성하되 이를 결합시키는 체결핀(153)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회전축(140)의 결합블록(141)에 차단지지대(142)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대향하도록 하고 차단지지대(142)의 내측으로 연결홈부(143)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형성한 연결돌출부(133)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므로 화재발생으로 인한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지연 차단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하측 경첩(100)을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원활하게 펼쳐져 결합하거나 절곡하여 감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첩(100)은 중앙연결공간(115)에 중앙메인차단편(113)과 중앙보조차단편(114)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하부연결공간(125) 각각에 상하부메인차단편(123)과 상하부보조차단편(124)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화재발생으로 인한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효과적으로 지연 차단하도록 한다.
1: 방화셔터 10: 슬레이트
100: 경첩 110: 좌측플레이트
111: 상하부축가이드 112: 핀공
113: 중앙메인차단편 114: 중앙보조차단편
115: 중앙연결공간 116: 지지플레이트
117: 가이드턱 120: 우측플레이트
121: 중앙축가이드 122: 핀공
123: 상하부메인차단편 124: 상하부보조차단편
125: 상하부연결공간 126: 지지플레이트
127: 가이드턱 130: 상부회전축
131: 결합블록 132: 차단지지대
133: 연결돌출부 134: 핀홈
135: 체결핀 136: 연결봉
140: 하부회전축 141: 결합블록
142: 차단지지대 143: 연결홈부
144: 핀홈 145: 체결핀
150: 스프링 151: 탄성연결구
152: 핀홈 153: 체결핀

Claims (3)

  1. 좌측플레이트(110)의 상부축가이드(111)와 우측플레이트(120)의 중앙축가이드(121)를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상부축가이드(111)에 결합하는 상부회전축(130)과,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하부축가이드(111)와 우측플레이트(120)의 중앙축가이드(121)을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하부축가이드(111)에 결합하는 하부회전축(140), 및
    상기 좌측플레이트(110)의 상부축가이드(111)에 결합시킨 상부회전축(130)과 우측플레이트(120)의 중앙축가이드(121)를 연결하여 좌우플레이트(110,120)을 상호 탄력설치하는 스프링(150)으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회전축(130)은 상부에 결합블록(131)을 형성하여 결합블록(131)에 차단지지대(132)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회전축(140)은 하부에 결합블록(141)을 형성하되, 하부회전축(140)의 결합블록(141)에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대향하는 차단지지대(142)를 형성하여 상호 겹쳐 중첩하도록 하므로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축(130)과 하부회전축(140)의 차단지지대(132,142)에는 내측으로 상호 대응하는 연결돌출부(133)와 연결홈부(143)를 형성하여 상부회전축(130)의 차단지지대(132)에 형성한 연결돌출부(133)가 하부회전축(140)의 연결홈부(142)에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염이나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50)은 중앙축가이드(121)의 내부 하측에 결합하는 탄성연결구(151)를 구비하여 스프링(150)의 하단을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20140144105A 2014-10-23 2014-10-23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162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05A KR101624802B1 (ko) 2014-10-23 2014-10-23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05A KR101624802B1 (ko) 2014-10-23 2014-10-23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72A KR20160047772A (ko) 2016-05-03
KR101624802B1 true KR101624802B1 (ko) 2016-05-26

Family

ID=5602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105A KR101624802B1 (ko) 2014-10-23 2014-10-23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3258A1 (zh) * 2017-08-15 2019-02-21 谢育廷 铁卷门逃生装置与应用于铁卷门逃生装置的制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89B1 (ko) 2005-05-19 2007-05-28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KR100748276B1 (ko) 2005-08-11 2007-08-10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용 경첩
KR101420002B1 (ko) 2012-06-26 2014-07-17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89B1 (ko) 2005-05-19 2007-05-28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KR100748276B1 (ko) 2005-08-11 2007-08-10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용 경첩
KR101420002B1 (ko) 2012-06-26 2014-07-17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72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324B1 (ko) 방화문 측면 고정장치
KR101624802B1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1420002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
KR101977044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KR102074524B1 (ko) 매립형 도어 힌지를 가지는 안전 방화문 문틀 구조
KR20120049559A (ko)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JP6723096B2 (ja) 建具
KR101658707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구용 경첩
KR20150107030A (ko) 창호시스템
KR101223394B1 (ko)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101186378B1 (ko)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차열 방화벽 겸용 다용도 차열 방화셔터
KR1007171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KR200423391Y1 (ko) 방화 셔터
KR100837170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체결장치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20160000197U (ko) 방화문 결합 구조물
KR1007029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KR101985630B1 (ko) 방화문의 열변형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