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085B1 -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085B1
KR101701085B1 KR1020160038456A KR20160038456A KR101701085B1 KR 101701085 B1 KR101701085 B1 KR 101701085B1 KR 1020160038456 A KR1020160038456 A KR 1020160038456A KR 20160038456 A KR20160038456 A KR 20160038456A KR 101701085 B1 KR101701085 B1 KR 10170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scape
escape door
door
opened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16003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2Fireproof doors having windows or other openings, e.g. for permitting ventilation or esc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32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 E05Y2800/36Movable frames
    • E05Y2800/362Movable frames horizontal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관한 것으로, 비상탈출문(100)은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으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하부비상탈출문(110)을 열때에는 하부비상탈출문(110)만 열리도록 하고, 상부비상탈출문(120)을 열때에는 상하부비상탈출문(110,120) 모두가 동시에 열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의 경첩(111, 121)은 스프링 경첩을 이용하여 자유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스프링의 탄성이 상부비상탈출문(120)보다 하부비상탈출문(110)를 약하게 형성하여 상부측 비상탈출문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측 비상탈출문이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하도록 하고 하부측 비상탈출문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측 비상탈출문만 단독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가 하부측 비상탈출문을 통해 손쉽게 안전지대로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Emergency escape door of fireproof shutter}
본 발명은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측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비상탈출문을 어린이들도 손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방화셔터를 절개하여 비상탈출문을 형성하므로 화재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본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 제702937호, 제702964호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방화셔터를 절개하여 비상탈출문을 형성하므로 화재공간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일정이상의 풍압과 고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견고한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어린아이 등 노약자의 힘으로는 잘 열리지 않아 신속한 탈출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방화셔터의 특성상 다수개의 슬랫(slat)을 절곡하도록 연접하여 구성하므로 울렁거림 등으로 인한 노약자가 쉽게 비상탈출문을 열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방화셔터에 비상탈출문 상하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부측 비상탈출문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측 비상탈출문이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하도록 하고 하부측 비상탈출문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측 비상탈출문만 단독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가 하부측 비상탈출문을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셔터에 비상탈출문 상하로 분리하여 형성하더라도 일정이상의 풍압과 고열에서도 안정적으로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방화지역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다수개의 슬랫을 절곡가능하게 연결한 본체를 형성하여 상부셔터박스에 감아서 보관하되 화재발생시 내려와 통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비상탈출문을 형성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비상탈출문을 하부비상탈출문과 상부비상탈출문으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하부비상탈출문을 열때에는 하부비상탈출문만 열리도록 하고, 상부비상탈출문을 열때에는 상하부비상탈출문 모두가 동시에 열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첩의 스프링의 탄성을 상부비상탈출문보다 하부비상탈출문이 약하게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화재가 발생하면 낮은자세로 이동하면서 하부비상탈출문(110)만을 열고 노약자도 쉽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서 대피하는 경우에는 상부비상탈출문을 열면 연동하여 하부비상탈출문도 동시에 열리게 되므로 신속하게 화재지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방화셔터에 비상탈출문 상하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부측 비상탈출문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측 비상탈출문이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하도록 하고 하부측 비상탈출문을 사용할 때에는 하부측 비상탈출문만 단독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은 물론 노약자가 하부측 비상탈출문을 통해 손쉽게 안전지대로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전체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하부비상탈출문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비상탈출문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상하부비상탈출문이 순차로 열린 상태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하부비상탈출문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하부비상탈출문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상하부비상탈출문 중첩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100)은 다수개의 슬랫(slat)을 절곡가능하게 연결한 본체(10)를 형성하여 상부셔터박스(1)에 감아서 보관하되 화재발생시 내려와 통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방화셔터(1)에 있어서, 차단상태 방화셔터(1)에 형성한 비상탈출문(100)을 통해 낮은자세에서 노약자도 손쉽게 화재지역에서 신속하게 안전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100)은 상하를 분리하여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으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하부비상탈출문(110)을 열때에는 하부비상탈출문(110)만 열리도록 하고, 상부비상탈출문(120)을 열때에는 상하부비상탈출문(110,120) 모두가 동시에 열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노약자등이 낮은자세에서 자유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비상탈출문(110)을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열어 신속하게 안전지역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비상탈출문(110)은 일측단에 다수개의 경첩(111)를 각각의 슬랫에 결합하고 타측단에 차단날개(112)를 부착하되 최상단에 상부차단부재(114)를 부착하고 최하단에 하부차단부재(113)을 부착한다.
나아가, 하부비상탈출문(110)의 상하측 슬랫에는 수평부재나 보강부재(115)를 각각 부착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비상탈출문(120)은 일측단에 다수개의 경첩(121)를 각각의 슬랫에 결합하고 타측단에 차단날개(122)를 부착하되 최상단에 상부차단부재(124)를 부착하고 최하단에 하부차단부재(123)을 부착한다.
아울러, 상부차단부재(124)에 대응하는 차단부재(11)를 본체(10)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부비상탈출문(120)의 상하측 슬랫에는 수평부재나 보강부재(125)를 각각 부착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의 경첩(111, 121)은 스프링 경첩을 이용하여 자유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스프링의 탄성이 상부비상탈출문(120)보다 하부비상탈출문(110)를 약하게 형성하여 노약자가나 낮은자세에서도 손쉽게 하부비상탈출문(110)만을 열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 각각에 탄성조절구(130)를 결합하여 상하부비상탈출문(110,120)의 탄성 각각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구(130)는 하부비상탈출문(110)나 상부비상탈출문(120)에 각각 설치하되 나사공(132)을 다수개 형성한 지지구(131)을 하부비상탈출문(110)나 상부비상탈출문(120)의 슬랫에 각각 부착하고 본체(10)에 슬랫에 조절나사(134)를 횡으로 나사결합시킨 조절구(133)을 수평선상으로 대응하도록 부착하며 지지구(131)와 조절나사(134)를 스프링(135)로 결합하여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10)을 탄력설치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가 발생하면 방화셔터(1)가 통로를 차단하여 화재가 확산하는 거을 억제하되 화재 발생 공간의 사람들을 비상탈출문(100)을 통해 안전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독가스 등을 피해 낮은자세로 이동하면서 화재지역에서 탈출하게 되는데 경첩(111)의 스프링 탄성이 약한 하부비상탈출문(110)만을 열고 탈출하므로 노약자도 쉽게 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랫으로 이루어진 방화셔터(1)의 특성상 울렁임이 발생하더라도 누구나 하부비상탈출문(110)을 손쉽게 열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화재초기단계에서 서서 대피하는 경우에는 상부비상탈출문(120)을 열면 연동하여 하부비상탈출문(110)도 동시에 열리게 되므로 신속하게 화재지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화재발생에 따른 상황에 따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약자도 손쉽게 안전지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더욱이, 일정이상의 풍압과 고열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있어 화재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1 : 방화셔터 10 : 본체
100 : 비상탈출문 110 : 하부비상탈출문
111 : 경첩 112 : 차단날개
113 : 하부차단부재 114 : 상부차단부재
115 : 수평부재 또는 보강부재 120 : 상부비상탈출문
121 : 스프링경첩 122 : 차단날개
123 : 하부차단부재 124 : 상부차단부재
125 : 수평부재 또는 보강부재 130 : 탄성조절구
131 : 지지구 132 : 나사공
133 : 조절구 134 : 조절나사
135 : 스프링

Claims (4)

  1.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으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하부비상탈출문(110)을 열때에는 하부비상탈출문(110)만 열리도록 하고, 상부비상탈출문(120)을 열때에는 상하부비상탈출문(110,120) 모두가 동시에 열리도록 하며, 상하부비상탈출문(110,120)의 일측단을 다수개의 경첩(111,121)으로 슬랫에 결합하고, 타측단에 차단날개(112,122)를 부착하며, 최상단에 상부차단부재(114,124)를 부착하고 최하단에 하부차단부재(113,123)을 부착하되, 상하부비상탈출문(110,120)의 상하측 슬랫에는 수평부재나 보강부재(115,125)를 각각 부착하고, 경첩(111, 121)에 스프링 결합하여 자유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스프링의 탄성이 상부비상탈출문(120)보다 하부비상탈출문(110)를 약하게 형성하고,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 각각에는 탄성조절구(130)를 결합하되 나사공(132)을 다수개 형성한 지지구(131)을 하부비상탈출문(110)과 상부비상탈출문(120)의 슬랫에 각각 부착하고 본체(10)에 슬랫에 조절나사(134)를 횡으로 나사결합시킨 조절구(133)을 수평선상으로 대응하도록 부착하며 지지구(131)와 조절나사(134)를 스프링(135)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38456A 2016-03-30 2016-03-3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1701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56A KR101701085B1 (ko) 2016-03-30 2016-03-3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56A KR101701085B1 (ko) 2016-03-30 2016-03-3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085B1 true KR101701085B1 (ko) 2017-01-31

Family

ID=5799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456A KR101701085B1 (ko) 2016-03-30 2016-03-30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0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7816A (zh) * 2020-12-21 2021-04-13 江苏省金鑫安防设备有限公司 一种具备调节功能的防盗门
US11525299B2 (en) * 2018-02-15 2022-12-13 Renee Vanderbilt-Kay Portable pet do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776A (ja) * 1992-09-14 1994-04-05 Takenaka Komuten Co Ltd 区画の室出入口開閉装置
KR100567213B1 (ko) * 2004-03-26 2006-04-03 장종복 방화셔터
KR20110115267A (ko) * 2010-04-15 2011-10-21 장종복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776A (ja) * 1992-09-14 1994-04-05 Takenaka Komuten Co Ltd 区画の室出入口開閉装置
KR100567213B1 (ko) * 2004-03-26 2006-04-03 장종복 방화셔터
KR20110115267A (ko) * 2010-04-15 2011-10-21 장종복 차열 기능이 구비된 방화벽 겸용 다용도 방화셔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5299B2 (en) * 2018-02-15 2022-12-13 Renee Vanderbilt-Kay Portable pet door
CN112647816A (zh) * 2020-12-21 2021-04-13 江苏省金鑫安防设备有限公司 一种具备调节功能的防盗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EP2849855B1 (en) Smoke or fire barrier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JP6240546B2 (ja) サッシ窓用の換気装置及びサッシ窓
KR101435382B1 (ko) 창문 자동 개방장치
GB1384862A (en) Fire door structure and fire safety installation including said door structure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580874B1 (ko) 창호시스템
KR101543341B1 (ko)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KR10070451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20220006346A (ko) 방화댐퍼
KR100765303B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0746216B1 (ko)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1735907B1 (ko) 방화문용 도어폐쇄기
KR20170021608A (ko)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KR200424828Y1 (ko) 피난문 고정기능이 포함된 스크린방화방연셔터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7029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2601754B1 (ko) 건물 외벽 및 루버창을 이용한 건물 대피 시설
KR20160047772A (ko) 방화셔터용 경첩의 회전축 연결구조
KR101572488B1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KR10197205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방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