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216B1 -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216B1
KR100746216B1 KR1020060070809A KR20060070809A KR100746216B1 KR 100746216 B1 KR100746216 B1 KR 100746216B1 KR 1020060070809 A KR1020060070809 A KR 1020060070809A KR 20060070809 A KR20060070809 A KR 20060070809A KR 100746216 B1 KR100746216 B1 KR 100746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hutter
door
flow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6007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화재구역에서 열 변형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비정상적인 열림 일시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연속 결속되는 슬라트들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대피용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에 화재로 인한 높은 열이 가해지는 경우 슬라트가 열 변형에 의해 비틀리거나 휘어지게 되면서 비상문이 화재구역에서 비정상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비상문을 이루는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비상문의 변형에 따르는 비정상적인 열림을 저지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구성하여 줌으로서, 화재발생시 방화셔터가 이상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의 이격을 일시적으로 억제시켜 화염 및 유독가스가 화재구역을 벗어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비상문에 일정한 힘이 추가로 가해질 경우에는 열림 일시억제부재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화재구역에서 사람들이 방화셔터의 비상문을 열고 통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방화셔터, 비상문, 겹침편, 열림 일시억제부재, 구속돌기, 유동제한볼

Description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Temporary opening control device of emergency door for fireproof shut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방화셔터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방화셔터의 비상문에 비정상적인 열림 억제를 위한 열림 일시억제부재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도 2에 대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도 2에 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열림 일시억제부재의 구속 해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유동제어부에 대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도 7은 유동제어부에 대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도 8은 유동제어부에 대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도 9는 구속돌기와 겹침편의 걸림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로 도어슬라트에만 차폐판이 구성된 상태에서 비상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적용시킨 상태의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로 도어슬라트에 차폐판이 구성되고, 셔터슬 라트에 걸림프레임이 마련된 상태에서 비상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적용시킨 상태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셔터슬라트 1a; 걸림프레임
2 ; 경첩부재 3 ; 도어슬라트
4,4'; 겹침편 4a; 절곡부
10; 열림 일시억제부재 11; 케이스
12; 구속돌기 12a; 끼움홈부
13; 유동제어부 21,31,41,51; 제 1 홈부
22,32,42,52; 유동제한볼 23.33,43,53; 제 1 스프링
24,35,54; 조절구 25; 제 2 스프링
34; 유동프레임
본 발명은 방화셔터의 비상문이 화재구역에서 열 변형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비정상적인 열림 일시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결속되어진 슬라트들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대피용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에 화재로 인한 높은 열이 가해지는 경우 슬라트가 열 변형에 의해 비틀리거나 휘어지게 되면서 비상문이 화재구역에서 비정상적으로 열리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건축물에는 화재 발생시 발화지점을 신속히 봉쇄함으로써 화재가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방법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방화셔터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상기 방화셔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하로 연결되는 길쭉한 판상의 슬라트와, 상기 슬라트를 상하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건물의 측벽에 매설하는 가이드레일, 그리고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며 슬라트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셔터박스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방화셔터는 슬라트에 의하여 봉쇄되는 특정공간 내부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과 더불어, 화재 발생시 외부공기가 발화지역으로 유입되어 피해지역을 확산시키게 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기 진화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화염 및 유독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의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더욱이 화재등 비상사태 발생으로 인해 특정공간을 봉쇄하는 경우에는 봉쇄된 공간에 남아있는 사람들의 신속한 탈출을 위한 비상 탈출구가 필요한 것이며, 이러한 비상 탈출구는 상기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저해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제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서 방화셔터의 하부 일측 모서리를 절개한 후 이에 별도 보관되는 독립된 비상문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비상문은 방화셔터 사용시 슬라트를 내리기 전, 슬라 트의 모서리 절개부와 대응하는 지점에 비상문을 미리 거치시켜 하강하는 슬라트에 의해 비상문이 고정되도록 하고, 슬라트를 감아 올릴때에는 비상문을 슬라트에서 분리시켜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비상문의 설치 및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고 있어 화재등 긴급한 상황에서 이를 신속히 설치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감안하여 슬라트로 이루어진 방화셔터에 슬라트로 이루어진 비상문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방화셔터를 이루는 슬라트의 하강시 비상문이 마련되도록 하였으며, 이는 비상문을 경첩부재를 통해 개폐시킨 것이다.
즉, 상기 경첩부재는 상당한 탄력을 지닌 스프링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슬라트로 이루어진 비상문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종래에는 비상문의 선단 가장자리와 슬라트의 출입측 선단 사이에 중첩이 이루어지는 별도의 다양한 겹침편을 설치하여 화염이나 유독가스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화셔터와 비상문을 이루는 슬라트는 금속 재질로서 여기에 높은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재의 비틀림 현상이나 열에 의한 휨 변형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상기 비상문의 선단 가장자리와 슬라트의 출입측 선단 사이에 중첩되는 겹침편은 이격된 틈새를 생성하게 되어 화재구역에서 발생하는 화염 및 유독가스의 방출을 제대로 억제하지 못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는 열에 의해 슬라트가 심하게 꺾이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는 것인데, 이 경우 상기 비상문은 슬라트의 출입측 선단과 완전히 이격되어 비상문 본연의 차폐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문을 이루는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비상문의 변형에 따르는 비정상적인 열림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구성하여 줌으로서, 화재발생시 방화셔터가 이상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의 이격을 일시적으로 억제시켜 화염 및 유독가스가 화재구역을 벗어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비상문에 일정한 힘이 추가로 가해질 경우에는 열림 일시억제부재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화재구역에서 사람들이 방화셔터의 비상문을 열고 통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하로 결속되어진 슬라트들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대피용 비상문이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에 화재로 인한 높은 열이 가해지는 경우 슬라트가 열 변형에 의해 비틀리거나 휘어지게 되면서 비상문이 화재구역에서 비정상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방화셔터의 전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방화셔터의 비상문에 비정상적인 열림 억제를 위한 열림 일시 억제부재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도 2에 대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도 2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열림 일시억제부재의 구속 해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가 내설된 셔터박스와, 길쭉한 판상으로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셔터슬라트(1)와, 상기 셔터슬라트(1)를 안내할 수 있도록 건물의 측벽에 매설하는 가이드레일 및, 일측면부에 셔터슬라트(1)의 일부로서 경첩부재(2)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셔터슬라트(1)의 감김시 동시에 감기도록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도어슬라트(3)를 포함하는 비상문 일체형의 방화 셔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슬라트(3)의 일단에는 셔터슬라트(1)의 선단부로 걸쳐지면서 화재구역에서 비상문이 열에 의한 비틀림으로 비정상적인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1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10)는 상기 도어슬라트(3)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에 구성되어 화재로 인한 비틀림에 의해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의 선단부에서 이격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 동작을 유지하고,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만 구속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동작하는 구속돌기(12), 설정된 하중에 이르기까지 상기 구속돌기(12)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제어부(13)는, 구속돌기(12)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1 홈부(21), 상기 케이스(11)의 양측면에서 돌출하되, 상기 제 1 홈부(21)에 삽 입되어 구속돌기(12)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동제한볼(22), 상기 유동제한볼(22)의 유동 제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 1 스프링(23), 상기 제 1 스프링(23)의 탄성력 조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조절구(24) 및, 상기 구속돌기(12)를 외부로 향해 탄력적으로 돌출되게 하는 제 2 스프링(25)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슬라트(1)와 도어슬라트(3)의 선단에는 방화셔터와 비상문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겹침편(4)(4')을 각각 연장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10)는 상부로 포개어져 설치되는 일측 겹침편(4)의 선단을 구속함으로서, 비상문의 열림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제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의 출입구 상부 또는 화재가 예상되는 지역의 통로 상부에 구동장치가 내설된 셔터박스를 설치하고, 상기 셔터박스에는 길쭉한 판상으로 상하 결속이 이루어지는 셔터슬라트(1)를 구성하여 둔다.
이때, 건물의 측벽에는 셔터슬라트(1)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매설하고, 상기 셔터슬라트(1)의 일부에는 경첩부재(2)에 의해 개폐됨은 물론, 셔터슬라트(1)의 감김시 동시에 감기도록 상하 결속이 이루어지는 도어슬라트(3)로 이루어진 비상문을 설치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도어슬라트(3)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겹침편(4')을 연장 구성하고, 상기 셔터슬라트(1)의 출입구측 선단에는 또 다른 겹침편(4)을 연장 구성하게 되는데, 그러면 상기 도어슬라트(3)로 이루어진 비상문이 방화셔터를 이루는 셔터슬라트(1)에서 닫힘시, 상기 겹침편(4')(4)들의 중첩으로부터, 상기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 사이의 틈새는 차폐된다.
한편, 상기 도어슬라트(3)의 일면에는 케이스(11)와 구속돌기(12) 및 유동제어부(13)를 포함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10)를 설치한다.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10)의 구속돌기(12)는 유동제어부(13)에 의해 셔터슬라트(1)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셔터슬라트(1)에 연장 구성되는 겹침편(4) 위에 중첩됨으로써, 상기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가 열에 의해 비틀림 또는 휨 변형에 따른 꺾임 현상이 생기더라도 상기 겹침편(4')(4)의 중첩상태는 상기 구속돌기(12)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의 비틀림에 의한 비상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이 억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10)는 케이스(11) 및 구속돌기(12), 그리고 제 1 홈부(21), 유동제한볼(22), 제 1 스프링(23), 조절구(24), 제 2 스프링(25)을 포함하는 유동제어부(13)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속돌기(12)는 제 2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1)내에서 셔터슬라트(1)의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홈부(21)에 제 1 스프링(23)의 탄성력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유동제한볼(22)에 의해 그 유동이 제한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가 열에 의해 휨 변형되어, 상기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에서 연장 구성되는 겹침편(4')(4)들이 서로 비틀어지는 현상이 초래하더라도, 상기 겹침편(4')(4)들의 비틀어짐 현상은 상기 구 속돌기(12)에 의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겹침편(4')(4)들의 벌어짐이 방지되어 이격 틈새로 화재구역에서 발생하는 화염이나 유독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12)는 그 끝단부가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므로, 열의 의해 슬라트에 1차로 가해진 비틀림에 더하여 비상문에 일정이상의 외력을 더하는 경우, 상기 구속돌기(12)는 선단의 라운딩 면을 따라 셔터슬라트(1)에 연장 구성된 겹침편(4)이 접촉 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구속돌기(12)는 제 1 스프링(23)은 물론, 제 2 스프링(2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케이스(11)의 내부로 밀려들어 수납되는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외부에서 비상문에 상당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제 1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구속돌기(12)의 제 1 홈부(21)에 삽입되는 유동제한볼(22)은 상기 제 1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케이스(11)의 방향으로 눌리어지고, 더불어 상기 제 2 스프링(25)의 탄성력을 상회하는 눌림 힘에 의해 구속돌기(12)는 케이스(11)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방화셔터 비상문의 열림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이 화재구역에서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홈부(21)로 삽입되는 유동제한볼(22)의 눌림 압력은 제 1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되지만, 상기 제 1 스프링(23)의 탄성력은 케이스(11)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조절구(24)를 별도의 도구(예; 드라이버)를 통해 조여줌으로써 현장 실정에 맞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열림 일시억제부재(10)에 포함되는 유동제어부(13)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유동제어부(13)의 제 2 실시예는, 케이스(1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상기 구속돌기(12)와 이를 측면에서 압박하는 유동제한볼(32)이 케이스(11)의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하나의 조절구(24)를 통해 눌림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는 케이스(11)의 내측 벽면에 마련되는 제 2 홈부(31)와, 상기 구속돌기(12)의 양측으로 돌출하되, 상기 제 2 홈부(31)에 삽입되어 구속돌기(12)의 전후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볼(32)와, 상기 유동제한볼(32)의 걸림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스프링(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 제 1 스프링(33)의 탄성력 조절을 위한 분할된 한쌍의 유동프레임(34) 및, 케이스(11)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유동프레임(34)을 이격시켜 제 1 스프링(3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구(3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구속돌기(12)의 상면에서 도구(예;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분할된 한쌍의 유동프레임(34)의 간격을 넓힐 때, 상기 유동프레임(34)과 유동제한볼(32)의 사이에 마련된 제 1 스프링(33)의 탄성이 조절되면서, 상기 유동제한볼(32)의 삽입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유동제한볼(32)은 케이스(11)에 마련되는 제 1 홈부(31)에 그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구속돌기(12)의 전후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그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열림 일시억제부재(10)에 포함되는 유동제어부(13)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는 케이스(11)에 마련되는 제 2 홈부(41), 상기 구속돌기(12)의 양측단부로 돌출하되, 상기 제 2 홈부(41)에 삽입되어 구속돌기(12)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볼(42) 및, 상기 유동제한볼(42)을 연결하여 상기 유동제한볼(42)의 유동제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스프링(43)을 포함한 것이다.
이같은 상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구속돌기(12)의 양측면에서 유동제한볼(42)이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1)에 마련된 복수의 제 2 홈부(41)에 삽입하는 것으로, 그 돌출압력은 복수로 이루어진 유동제한볼(42)을 연결하는 제 1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이하 그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은 열림 일시억제부재(10)에 포함되는 유동제어부(13)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케이스(11)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 2 홈부(51), 상기 구속돌기(12)의 일측단부로 돌출하되, 상기 제 2 홈부(51)에 삽입되어 구속돌기(12)의 전후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볼(52), 상기 유동제한볼(52)의 유동제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스프링(53) 및, 상기 구속돌기(12)내에 구성되어 상기 제 1 스프링(53)을 통해 유동제한볼(52)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프링(5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구(54)를 포함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케이스(11)의 일측에 마련된 제 2 홈부(51)에서 도구(예; 드라이버)를 통해 제 1 스프링(53)의 탄성력을 조절하고, 그 조절로부 터 구속돌기(12)의 일측방향으로만 노출되는 유동제한볼(52)이 케이스(11)의 타측방향에 마련된 제 2 홈부(51)에 삽입하면서, 상기 구속돌기(12)의 삽입 압력을 조절하도록 한 것으로, 이하 그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구속돌기(12)의 일면에 끼움홈부(12a)를 구성하고, 셔터슬라트(1)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겹침편(4)의 단부에 상향 절곡부(4a)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에서 연장 구성되는 겹침편(4')(4)이 서로 중첩되고, 그 중첩상태를 구속돌기(12)에 의해 유지시킬 때, 상기 구속돌기(12)의 일면에 형성된 끼움홈부(12a)에 셔터슬라트(1)의 겹침편(4)에 마련된 절곡부(4a)가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겹침편(4')(4)들의 중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한 것이며, 이하 그 작용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어슬라트(3)와 셔터슬라트(1)에 각각 겹침편(4')(4)이 연장 구성된 상태에서 열림 일시억제부재(10)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 및 그 설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지만, 도 10의 제 6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슬라트(3)에만 겹침편(4')이 구성되고 그 겹침편(4')이 셔터슬라트(1)에 중첩되는 상태의 구조물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도 11의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슬라트(3)에는 겹침편(4')이 연장 구성되고, 셔터슬라트(1)에는 구속돌기(12)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공을 가지고 있는 슬라트 밀림방지용 프레임(1a)을 형성한 상태 의 구조물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비상문을 이루는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비상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의 휨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의 비틀림에 의한 이격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화염 및 유독가스가 화재구역을 벗어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비상문에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열림 일시억제부재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화재구역에서 사람들이 방화셔터의 비상문을 열고 통해 신속하게 대피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삭제
  2. 구동장치가 내설된 셔터박스와, 길쭉한 판상으로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셔터슬라트와, 상기 셔터슬라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건물의 측벽에 매설하는 가이드레일 및, 일측면부에 셔터슬라트의 일부로서 경첩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셔터슬라트의 감김시 동시에 감기도록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도어슬라트를 포함하는 비상문 일체형의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단에는 셔터슬라트의 선단부로 걸쳐지면서 화재구역에서 비상문이 열에 의한 비틀림으로 비정상적인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구성하되,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는,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구성되어 화재로 인한 비틀림에 의해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 선단부의 이격틈새 발생시에도 구속동작을 유지하고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만 구속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동작하는 구속돌기와; 설정된 하중에 이르기까지 상기 구속돌기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제어부는, 구속돌기 외면에 마련되는 한쌍의 제 1 홈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서 돌출하되, 상기 제 1 홈부에 삽입되어 구속돌기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한쌍의 유동제한볼; 상기 유동제한볼의 유동제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한 한쌍의 조절구; 및, 상기 구속돌기를 외부로 향해 탄력 돌출되게 하는 제 2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3. 구동장치가 내설된 셔터박스와, 길쭉한 판상으로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셔터슬라트와, 상기 셔터슬라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건물의 측벽에 매설하는 가이드레일 및, 일측면부에 셔터슬라트의 일부로서 경첩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셔터슬라트의 감김시 동시에 감기도록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도어슬라트를 포함하는 비상문 일체형의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단에는 셔터슬라트의 선단부로 걸쳐지면서 화재구역에서 비상문이 열에 의한 비틀림으로 비정상적인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구성하되,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는,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구성되어 화재로 인한 비틀림에 의해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 선단부의 이격틈새 발생시에도 구속동작을 유지하고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만 구속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동작하는 구속돌기와; 설정된 하중에 이르기까지 상기 구속돌기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제어부는, 케이스 내측 벽면에 마련되는 한쌍의 제 2 홈부; 상기 구속돌기의 양측단부로 돌출하되, 상기 제 2 홈부에 삽입되어 구속돌기의 전후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한쌍의 유동제한볼; 상기 유동제한볼의 유동제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제 1 스프링; 상기 제 1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한 분할된 한쌍의 유동프레임; 및, 케이스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유동프레임을 이격시켜 제 1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4. 구동장치가 내설된 셔터박스와, 길쭉한 판상으로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셔터슬라트와, 상기 셔터슬라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건물의 측벽에 매설하는 가이드레일 및, 일측면부에 셔터슬라트의 일부로서 경첩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셔터슬라트의 감김시 동시에 감기도록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도어슬라트를 포함하는 비상문 일체형의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단에는 셔터슬라트의 선단부로 걸쳐지면서 화재구역에서 비상문이 열에 의한 비틀림으로 비정상적인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구성하되,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는,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구성되어 화재로 인한 비틀림에 의해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 선단부의 이격틈새 발생시에도 구속동작을 유지하고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만 구속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동작하는 구속돌기와; 설정된 하중에 이르기까지 상기 구속돌기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제어부는, 케이스 내측 벽면에 마련되는 제 2 홈부; 상기 구속돌기의 양측단부로 돌출하되, 상기 제 2 홈부에 삽입되어 구속돌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볼; 및, 상기 유동제한볼을 탄지하여 상기 유동제한볼의 유동제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5. 구동장치가 내설된 셔터박스와, 길쭉한 판상으로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셔터슬라트와, 상기 셔터슬라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건물의 측벽에 매설하는 가이드레일 및, 일측면부에 셔터슬라트의 일부로서 경첩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셔터슬라트의 감김시 동시에 감기도록 상하로 결속 구성되는 도어슬라트를 포함하는 비상문 일체형의 방화 셔터에 있어서,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단에는 셔터슬라트의 선단부로 걸쳐지면서 화재구역에서 비상문이 열에 의한 비틀림으로 비정상적인 열림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열림 일시억제부재를 구성하되, 상기 열림 일시억제부재는, 상기 도어슬라트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구성되어 화재로 인한 비틀림에 의해 도어슬라트와 셔터슬라트 선단부의 이격틈새 발생시에도 구속동작을 유지하고 외부의 강제적인 힘에 의해서만 구속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동작하는 구속돌기와; 설정된 하중에 이르기까지 상기 구속돌기의 전,후방향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제어부는, 케이스 일측 벽면에 마련되는 제 2 홈부; 상기 구속돌기의 일측 단부로 돌출하되, 상기 제 2 홈부에 삽입되어 구속돌기의 전후 슬라이드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볼; 상기 유동제한볼의 유동제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스프링; 및, 상기 구속돌기 내에 구성되어 상기 제 1 스프링을 통해 유동제한볼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슬라트와 도어슬라트의 마주보는 양측 선단에는 열림 일시억제부재에 의해 비틀림이 억제되는 겹침편을 각각 연장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슬라트의 선단에는 열림 일시억제부재에 의해 비틀림이 억제되면서 셔터슬라트의 선단으로 중첩되는 겹침편을 연장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슬라트에는 겹침편이 연장 구성되고, 셔터슬라트에는 구속돌기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공을 가지고 있는 슬라트 밀림방지용 프레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의 저면에 끼움홈부를 구성하고, 셔터슬라트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겹침편의 끝단부에는 상기 끼움홈부에 걸리도록 상향 절곡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KR1020060070809A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KR100746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09A KR100746216B1 (ko)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809A KR100746216B1 (ko)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216B1 true KR100746216B1 (ko) 2007-08-03

Family

ID=3860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809A KR100746216B1 (ko) 2006-07-27 2006-07-27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053B1 (ko) * 2008-05-19 2010-11-04 김기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록킹 장치
KR20220015213A (ko) 2020-07-30 2022-02-08 김재현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개폐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820Y1 (ko) 1995-11-23 1999-08-16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200315864Y1 (ko) 2003-03-26 2003-06-12 장종복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820Y1 (ko) 1995-11-23 1999-08-16 조정현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200315864Y1 (ko) 2003-03-26 2003-06-12 장종복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20050088941A (ko) * 2005-07-15 2005-09-07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60059223A (ko) * 2006-03-13 2006-06-01 장종복 방화셔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053B1 (ko) * 2008-05-19 2010-11-04 김기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록킹 장치
KR20220015213A (ko) 2020-07-30 2022-02-08 김재현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개폐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216B1 (ko) 방화셔터용 비상문의 열림 일시억제장치
JP2013053420A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KR100765303B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100104101A (ko) 이탈방지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방화 도어
KR200410728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WO2012013138A1 (zh) 换气扇用的防火闸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JP5770660B2 (ja) 窓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KR100837173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101738295B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200315864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KR100913789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KR0124250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20070038195A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체결장치
KR200176972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JP6401851B2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JP6355704B2 (ja) 窓シャッター装置
KR200401046Y1 (ko) 비상문을 갖는 방화셔터
JP2000080866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0232795Y1 (ko) 별도의 비상문을 구비한 방화용 셔터
KR200432363Y1 (ko) 방화 셔터판의 변형 방지용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