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333B1 - 방화댐퍼 - Google Patents

방화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333B1
KR101533333B1 KR1020140069319A KR20140069319A KR101533333B1 KR 101533333 B1 KR101533333 B1 KR 101533333B1 KR 1020140069319 A KR1020140069319 A KR 1020140069319A KR 20140069319 A KR20140069319 A KR 20140069319A KR 101533333 B1 KR101533333 B1 KR 101533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lade
fire
connecting membe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장웅
김건회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와이에스에프에스㈜
(주)동양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에스에프에스㈜, (주)동양공조 filed Critical 와이에스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14006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장치로서 소화가스분사장치가 적용된 건물의 방화벽에 적용하기에 특허 적합한 방화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화댐퍼(1)는, 외곽 골격을 형성하는 외곽틀(10); 상기 외곽틀(10)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관통된 개구(21)로 분할 구획하는 구획틀(20); 각각의 상기 개구(21)의 상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측을 중심으로 하측이 회동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21)를 실외쪽에서 덮어 밀폐하는 쪽으로 회동되는, 개폐식 블레이드(30); 전체의 상기 블레이드(30)의 개폐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40);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면 분리되는 퓨즈(50); 및 상기 퓨즈(50)에 연결된 연결부재(61), 상기 연결부재(61)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61)를 하강시키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2), 및 상기 연결부재(61)에 형성되되 상기 퓨즈(50)가 분리되지 아니하여 상기 연결부재(61)가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블레이드(3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지만 상기 퓨즈(50)가 분리되어 상기 탄성부재(6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6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블레이드(30)를 폐쇄상태로 강제 유지하는 위치로 변위하는 차단부재(63)를 포함하는 차단기구(6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댐퍼{FIRE DAMPER}
본 발명은 방화댐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장치로서 소화가스분사장치가 적용된 건물의 방화벽에 적용하기 적합한 방화댐퍼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에는 공조시스템의 일환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덕트가 널리 설치되고 있고, 이런 덕트 중에는 실내외를 흐르는 공기량을 필요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댐퍼를 설치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건물의 환기용 덕트는 실내외의 환기의 측면에서는 매우 유용한 시설이지만,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통로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덕트에 설치되는 댐퍼 중에는, 평상시에는 개방 상태(또는 공기량의 조절을 위해 그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여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지만, 화재가 발생하면 폐쇄상태로 전환하여 화염과 연기가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하는 방화덕트들이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화덕트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217705호의 '댐퍼의 풍량제어방법과 그 댐퍼', 대한민국 특허 제10-0855716호의 '방화 댐퍼', 대한민국 특허 제10-1033313호의 화재확산방지 및 풍량조절댐퍼, 대한민국 특허 제10-1057010호의 백 드래프트 댐퍼를 갖는 방화댐퍼, 대한민국 특허 제10-1264862호의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대한민구 공개특허 제10-2013-0018026호의 방화 댐퍼, 대한민국 특허 제10-1283204호의 방화용 댐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4993호의 건물 환기 덕트의 자동 방화 댐퍼 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방화댐퍼들은, 화재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여 퓨즈가 분리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블레이드(차폐판)가 닫히는 구조들로서, 화재발생시의 댐퍼의 폐쇄작동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스프링이 변성된 경우에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화재진압을 위한 고압소화가스 분사 등에 따른 실내의 압력변화에 대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서고나 전산실과 같이, 보관물건이 환경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특징이 있는 건물의 경우, 자연적인 환기를 기본으로 하는 창이나 덕트와 같은 공조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보관공간의 온도, 습도, 유해 기체 농도, 분진 농도 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밀한 공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서고 등에 적용되는 소방시설은, 스프링클러의 소화수를 적용할 경우에 보관물건에 회복할 수 없는 손상을 입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관물건에 대산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는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소방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소화가스분사장치가 설치된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하나는, 고압의 소화가스의 분사로 인하여 상승한 실내압력이, 장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연감압을 통해서만 해소될 뿐, 보다 신속하게 실내의 상승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며, 이런 이유로 실내의 고압환경에 의하여 보관물건과 건물이 손상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소방장치로 소화가스분사장치가 적용된 건물의 방화벽에 설치하기 적합한 방화댐퍼로서, 방화벽을 중심으로 한 양측 공간의 상태에 따라, 자연폐쇄상태, 개방상태 및 강제폐쇄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으로써, 건물에 보관된 물건들의 화재와 압력상승에 의한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화댐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방화댐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는, 외곽 골격을 형성하는 외곽틀; 상기 외곽틀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관통된 개구로 분할 구획하는 구획틀; 각각의 상기 개구의 상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측을 중심으로 하측이 회동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를 실외쪽에서 덮어 밀폐하는 쪽으로 회동되는, 개폐식 블레이드; 전체의 상기 블레이드의 개폐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면 분리되는 퓨즈; 및 상기 퓨즈에 연결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하강시키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되 상기 퓨즈가 분리되지 아니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지만 상기 퓨즈가 분리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블레이드를 폐쇄상태로 강제 유지하는 위치로 변위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의 방화댐퍼에서, 상기 링크기구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개폐에 따라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레버들, 상기 회동레버들에 걸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체의 상기 블레이드들이 연동하여 개폐되게 하는 연동로드, 및 상기 연동로드로부터 상기 차단부재의 하측으로 신장되어 그 말단이 상기 차단부재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작용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퓨즈가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블레이드를 폐쇄하는 쪽으로 상기 작용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퓨즈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퓨즈에서 수평으로 뻗은 후에 수직으로 방향전환하고, 상기 연결로드는 수직으로 뻗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감기는 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띠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는, 상기 외곽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부와 상기 연결로드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차단부재가 수용되는, 상하로 신장된 장착실; 상기 연결로드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차단부재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결로드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작용돌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강제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밀어내는 도구를 접근시키기 위해 상기 장착실에 형성된 리셋홀;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방화댐퍼는, 상기 퓨즈가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하강한 상태에서의 상기 차단부재는, 폐쇄된 상기 블레이드의 개방경로를 막아서, 상기 블레이드의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블레이드가 폐쇄상태를 유지함으로, 본 발명의 방화댐퍼를 통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실질적으로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본 발명의 방화댐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평상시의 실내(예, 서고)의 정교한 보관환경을 훼손시키지 아니한다.
둘째, 화재의 발생으로 실내에 소화가스가 분사되어 실내의 입력이 일정압력이상으로 상승하면, 상승된 실내압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개방되어 상승된 실내압력을 해소시키고, 실내의 압력이 내려가면 다시 상기 블레이드가 폐쇄됨으로, 실내의 보관물품이나 건물이 상승된 실내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실외(예, 서고의 외부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그 화염이 실내로 번질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경우, 상기 퓨즈가 분리되면서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블레이드를 강제폐쇄상태로 유지하므로, 블레이드의 개방으로 인하여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외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부분 사시도로서, 도2의 A는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2의 B는 폐쇄상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요부 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요부 종단면도로서, 도4의 A는 폐쇄상태의 종단면도, 도4의 B는 개방상태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블레이드 개폐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개방상태 요부 개략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강제폐쇄상태 요부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리셋 및 퓨즈교환 순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방화댐퍼의 부분 사시도로서, 도9의 A는 퓨즈가 정상인 상태의 사시도, 도9의 B는 퓨즈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화댐퍼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의 방화댐퍼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1)는, 예를 들어 서고나 전산실과 같이, 보관되는 물건의 보관환경을 정밀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건물의 소방장치로서 소화가스분사장치가 설치된 건물에, 예를 들어 방화벽에,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방화댐퍼이다.
본 발명의 방화댐퍼(1)는,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틀(10), 구획틀(20), 다수의 블레이드(30), 링크기구(40), 퓨즈(50), 및 차단기구(6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1)의 바람직한 설치 구조물인 방화벽을 기준으로, '실내'는 예를 들어 서적 등이 보관되는 핵심공간인 내부쪽을 의미하고, '실외'는 이런 핵심공간 주변의 다른 공간 쪽을 의미한다.
상기 외곽틀(10)은 본 발명의 방화댐퍼(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외곽 골격을 형성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방화댐퍼(1)를 방화벽 등에 설치함에 있어서 방화벽 등에 형성한 벤트 등에 고정시키는 프레임 부재이다.
도시된 구체예는, 방화벽에 형성된 벤트 사이즈에 맞게 상하의 가로틀과 좌우의 세로틀을 내부가 관통된 사각 형상으로 조립하여 외곽틀(10)을 형성한 예이다.
외곽틀(10)은 적정한 두께의 강판을 프레싱, 용접 및/또는 볼트 체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외곽틀(10)은 블레이드(30)가 개폐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내외 방향으로 적당한 폭을 가진다. 도면부호 '11'은 본 발명의 방화댐퍼(1)를 방화벽 등에 형성된 벤트에 용이하고 미관 좋게 설치할 수 있도록 외곽틀(10)의 실내쪽 테두리에 형성한 테두리판이다.
상기 구획틀(20)은 외곽틀(10)의 내부공간을 블레이드(3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개구(21)로 분할 구획하는 프레임 부재이다.
도1 등에 도시된 구체예의 구획틀(20)은, 외곽틀(10)에 4개의 블레이드(30)를 상하 1열로 장착할 수 있도록 상하로 4개의 개구(21)가 형성되게 외곽틀(10)을 분할 구획한 예이다. 구획틀(20)에 의한 외곽틀(10)의 분할 구획은, 본 발명의 방화댐퍼(1)를 설치하는 벤트 등의 사이즈에 맞게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30)는 각각의 개구(21)의 상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측을 중심으로 하측이 회동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개구(21)를 실외쪽에서 덮어 밀폐하는 쪽으로 회동되어 있는, 개폐 가능한 개폐식 차폐 부재이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각각의 블레이드(30)에는, 그 상부 양측에 회동축(31)이 형성되어 있는바, 양쪽의 회동축(31)을 대응하는 위치의 외곽틀(10)에 형성된 축받이(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면, 각각의 블레이드(30)는 상측의 회동축(31)을 중심으로 하측을 내외로 회동할 수 있게 되며, 블레이드(30)의 하측을 실내쪽으로 회동시키면 대응하는 개구(21)를 실외쪽에서 덮어 폐쇄하고, 실외쪽으로 회동시키면 개구(21)를 개방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레이드(30)는, 기본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블레이드이지만, 본 발명의 방화댐퍼(1)의 바람직한 사용환경은, 실내의 온도와 습도 등을 특정조건으로 정밀하게 유지하는 환경이므로, 평상시에는 개구(21)를 폐쇄하고 있어야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회동축(31)과 축받이(12)의 위치와 블레이드(30)의 무게 중심은,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블레이드(30)가 개구(21)를 폐쇄하는 쪽으로 편중되어 힘을 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블레이드(30)에 의한 개구(21)의 폐쇄는, 도2와 도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21)의 크기보다 블레이드(30)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 개구(21)를 실외쪽에서 덮어 밀폐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쪽에서 고압이 발생하여 블레이드(30)가 개방될 때에는, 실내의 상대적으로 낮은 고압에서도 블레이드(30)가 잘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화댐퍼(1)에는 개구(21)를 통해 실내쪽에서 실외쪽으로 흐르는 기류의 압력이 개구(21)를 중심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의 내면에 더 가해지도록 하면서, 해당 개구(21)의 하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의 외면에는 덜 가해지도록 유도하는 기류안내편(3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실외로 개구(21)를 통해 실내압력에 의한 기류가 흘러 나갈 때, 기류안내편(32)은 해당 기류가 해당 개구(21)의 상측으로 더 집중하여 흐르고 하측으로는 감소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개구(21)를 통과하는 기류는 그 상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의 내면에 더 집중해서 가해지고 하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의 외면에는 덜 가해지게 되며, 결국 기류안내편(32)의 작용에 의하면, 동일한 압력의 기류에서 블레이드(30)들의 개방 각도가 더 커짐으로써, 블레이드(30)의 개방에 따른 개구(21)를 통한 실내압력의 해소는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구체예의 기류안내편(32)은, 구획틀(20)로부터 실외쪽으로 대략 수평으로 돌출 형성하되 그 상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30) 쪽으로 약간 만곡하여 기류를 상측 블레이드(30)의 내면으로 유도하고 있다.
상기 링크기구(40)는, 도2와 도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로 상하 배열된 다수(예, 4개)의 블레이드(30)들이 개별적으로 개폐되지 않고 일체로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는 기구이다. 링크기구(40)는, 상하의 블레이드(30)의 개폐를 연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의 링크기구(40)는, 블레이드(30)의 회동축(31)에 일단이 연결되어 블레이드(30)의 개폐에 따라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레버(41)들과, 회동레버(41)들에 걸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전체의 블레이드(30)들이 연동하여 개폐되게 하는 연동로드(4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링크기구(40)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방화댐퍼(1)에 포함된 전체의 블레이드(30)들이 동일한 각도로 일체로 개폐된다.
상기 링크기구(40)에는 연동로드(42)로부터 후술하는 차단부재(63)의 하측으로 신장되어 그 말단이 차단부재(63)의 이동경로 내에 위치하는 작용돌기(43)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퓨즈(50)는, 도2 및 도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실외쪽의 외곽틀(10) 또는 구획틀(20)에 고정 설치되어, 정해진 온도(예, 70도 내외)로 가열되면 분리되는 통상의 퓨즈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퓨즈(50)는, 실외쪽의 일측 외곽틀(10)에 블레이드(30)의 개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신장된 예를 들어 디귿자 형상의 브래킷(51)을 장착하고, 브래킷(51)의 내부공간에 퓨즈(50)를 장착하되, 일단인 퓨즈(50)의 고정단(50a)에는 고정와이어(53)를 결속하여 브래킷(51)에 고정하고, 타단인 퓨즈(50)의 분리단(50b)에는 후술하는 차단기구(60)의 연결부재(61)의 일단을 연결한 것이다.
퓨즈(50)는 화재의 발생 등으로 정격 온도로 가열되면 분리되고, 분리되지 않은 퓨즈(50)에 구속되어 있던 연결부재(61)는 퓨즈(50)가 분리됨으로써 그 구속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상기 차단기구(60)는, 도2, 도4,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50)가 분리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블레이드(30)들의 개폐를 허용하지만, 화재 등의 이유로 퓨즈(5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블레이드(30)가 개구(2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강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단기구(60)는, 연결부재(61), 탄성부재(62) 및 차단부재(6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61)는 퓨즈(50)의 타단인 분리단(50b)에 일단이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예, 강철소재)로 형성된다. 연결부재(61)는 퓨즈(50)가 분리되지 않은 보통상태의 경우 퓨즈(50)에 구속되어 있음으로써 후술하는 탄성부재(62)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후술하는 차단부재(63)가 블레이드(30)의 개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예, 상부위치)에 있도록 작용하고, 퓨즈(5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퓨즈(5)에 의한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차단부재(63)가 블레이드(30)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예, 하부위치)에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2 등에 도시된 구체예의 연결부재(61)는, 단일의 부재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유연성 있는 와이어(61a)와 강성의 연결로드(61b)를 상하로 연결한 예이다. 즉, 도시된 연결부재(61)는, 와이어(61a)의 하단과 연결로드(61b)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편, 와이어(61a)의 상단은 퓨즈(50)에 연결하고, 연결로드(61b)의 하단은 탄성부재(62)에 연결한 것이다.
도2 등에 예시된 구체예에서, 와이어(61a)는 퓨즈(50)에서 수평으로 뻗은 후에 안내봉(52)을 돌아 수직으로 방향전환하게 배치되어 있고, 연결로드(61b)는 와이어(61a)에 연이여 아래로 수직으로 뻗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62)는, 연결부재(61)를 하강시키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의 부재로서, 탄성부재(62)로서는 위와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시된 구체예의 경우, 탄성부재(62)의 일단(예, 상단)은 연결부재(61)의 타단(예, 하단)에 연결되고 탄성부재(62)의 타단(하단)은 외곽틀(10)나 후술하는 장착실(64) 등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연결부재(61)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한다.
도2 등에 도시된 구체예는, 탄성부재(62)로서 감기는 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띠스프링을 적용한 것이다. 띠스프링의 상단은 연결부재(61)에 결합되고, 그 하단은 외곽틀(10) 등에 고정 설치된 권취봉(62a)에 권취되게 설치되며, 따라서 띠스프링(62)은 권취봉(62a)에 감기는 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함으로써 연결부재(61)를 하강시키는 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게 된다.
상기 차단부재(63)는 그 위치에 따라서 블레이드(30)를 '개폐가능상태'(도4 및 도6 참조)와 '강제폐쇄유지상태'(도7 참조)로 전환하는 부재로서, 연결부재(61)에 형성된다.
차단부재(63)는, 퓨즈(50)가 분리되지 아니한 상태, 즉 연결부재(61)가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상부위치에 위치하지만, 화재 등으로 퓨즈(50)가 분리된 상태, 즉 탄성부재(62)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부재(61)가 하강한 때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30)를 폐쇄상태로 강제 유지하는 하부위치로 변위하며, 이런 강제폐쇄상태는 예를 들어 탄성부재(62)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퓨즈(50)의 상태에 의존하는 차단기구(60)에 의한 블레이드(30)의 '개폐가능상태'와 '강제폐쇄유지상태' 사이의 전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다.
도2 내지 도4 및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구체예는, 링크기구(40)의 연동로드(42)로부터 차단부재(63)의 하측으로 신장하여 그 말단이 차단부재(63)의 이동경로 내에 위치하는 작용돌기(43)를 더 형성하고, 작용돌기(43)를 이용하여 '개폐가능상태'와 '강제폐쇄유지상태' 사이의 전환을 실현하는 예이다.
블레이드(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로드(42)가 위로 이동해 있으므로 작용돌기(43)도 상측에 위치하고, 블레이드(3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로드(42)가 아래로 이동해 있음으로 작용돌기(43)도 하측에 위치해 있다. 이때 차단부재(63)는 연결로드(61b)의 상단에 설치하여 작용돌기(43)의 상부에 위치한다.
퓨즈(5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단부재(63)가 상기 상부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블레이드(30)의 개폐에 따른 연동로드(42)와 작용돌기(43)의 상하이동은,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63)에 의해 방해받지 않지만, 퓨즈(50)의 분리에 의해 차단부재(63)가 상기 하부위치로 이동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2)의 탄성력으로 차단부재(63)가 그 이동경로 내에 있는 작용돌기(43)를 아래로 가압하거나 이미 아래에 위치하는 작용돌기(43)를 아래로 가압하여 위로 이동하지 못하게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퓨즈(50)의 상태에 의존하는 차단기구(60)에 의한 블레이드(30)의 개폐가능상태와 강제폐쇄유지상태 사이의 전환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1)는, 퓨즈(50)의 상태에 따라, 연결부재(61, 와이어와 연결로드), 탄성부재(62) 및 차단부재(63) 등이 상하방향의 이동을 수반하는 바, 이와 같은 이동 부재들을 설치 및 보호하고 그 작동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화댐퍼(1)에는, 도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실(64)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장착실(64)은, 예를 들어 외곽틀(10)의 실외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와이어(61a)의 일부, 연결로드(61b), 탄성부재(62) 및 차단부재(63) 등이 수용된다. 장착실(64)에는 작용돌기(43) 쪽으로 상하의 슬롯(64a)을 형성하여, 작용돌기(43)가 차단부재(63)의 이동경로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2의 구체예에서 장착실(64)의 내부공간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차단부재(63)를 상측으로 개방된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차단부재(63)의 상하방향 이동을 장착실(64)이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화댐퍼(1)에 있어서 블레이드(30)를 강제폐쇄상태로 유지하는 힘은 기본적으로는 탄성부재(62) 이다. 그러나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실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블레이드(30)에 가해지는 개방압력이 탄성부재(62)의 탄성력을 초과함으로써 퓨즈(50)가 분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블레이드(30)가 개방되는 상황을 상정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블레이드(30)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도2와 도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댐퍼(1)에는 차단부재(63)가 블레이드(30)를 강제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완전하게 록킹하는 걸림돌기(65)와 걸림턱(6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65)는 연결로드(61b)의 상단에 형성된 차단부재(63)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연결로드(61b)의 하단에 예를 들어 판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걸림턱(66)은, 예를 들어 상측은 좁고 하측이 넓은 경사면을 가지는 상협하광(上峽下廣)의 턱으로, 장착실(64)에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66)의 설치 위치는, 차단부재(63)가 하부위치로 이동하여 차단부재(63)가 작용돌기(4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블레이드(30)가 강제 폐쇄된 상태에서 걸림돌기(65)가 걸리는 위치이다.
걸림돌기(65)와 걸림턱(66)에 의하면, 차단부재(63)가 하강하여 하부위치에 이른 시점에서 걸림돌기(65)는 걸림턱(66)을 타고 넘어 걸리게 됨으로, 실내압력의 과도한 상승에서도 차단부재(63)가 상승할 수 없게 되므로, 블레이드(30)의 강제폐쇄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다.
걸림돌기(65)가 걸림턱(66)에 원활하게 걸릴 수 있도록, 연결로드(61b)와 걸림돌기(65)의 무게중심 및 탄성부재(62)와 연결로드(61b)의 연결은, 걸림돌기(65)가 걸림턱(66) 쪽으로 근접하는 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1)는, 화재나 다른 이유로 퓨즈(50)가 분리되었을 때, 퓨즈(50)를 교환하고 리세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장착실(64)에는 도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홀(67)을 형성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홀(67)을 통해 송곳과 같은 도구(2)로 걸림돌기(65)를 밀어 걸림턱(66)으로부터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퓨즈(50)의 교환 및 차단기구(60)의 리셋팅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구체예는 차단부재(63)가 링크기구(40)의 작용돌기(43)에 작용함으로써 블레이드(30)의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63)가 직접 블레이드(30)에 작용하여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9의 구체예에서, 퓨즈(50)가 분리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연결부재(61)가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도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61)의 연결로드(61b)의 하단에 설치된 상부위치의 판상의 차단부재(63)가 블레이드(30)의 개폐경로에 위치하지 아니하므로, 블레이드(30)는 '개폐가능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퓨즈(50)의 분리로 연결부재(61)가 탄성부재(6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에서는, 도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드(61b)의 하단에 설치된 하부위치의 차단부재(63)가 폐쇄된 블레이드(30)의 개방경로를 가로질러 막고 있음으로써, 블레이드(30)가 개방되는 쪽으로 회동하지 못하고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9의 구체예에서 연결로드(61b)의 상단에 설치된 상측으로 개방된 디귿자 형상의 가이드편(68)은, 차단부재(63)의 상하방향 이동을 장착실(64)이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방화댐퍼(1)를 설명함에 있어서, 일부의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구체예에 따른 방향일 뿐 절대적인 방향이 아님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1)에 의하면, 퓨즈(50)가 분리되지 않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보통의 상황에서, 블레이드(30)는 그 자중에 의해 개구(21)를 폐쇄하고 있음으로, 실외의 공기가 의도하지 않게 실내로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방화벽 등에 본 발명의 방화댐퍼(1)가 설치되어 있어도, 평상시의 실내(서고)의 온도와 습도 등의 보관환경을 훼손시키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서고(실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에는 블레이드(30)의 자연폐쇄상태가 계속 유지되지만, 화재 진압을 위해 건물에 설치된 소방장치에서 고압의 소화가스가 분사되어 실내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실내압력에 의해 하측이 실외쪽으로 회동하면서 블레이드(30)가 개방되고 상승된 실내압력이 개구(21)를 통해 방출되어 높아진 실내 압력이 해소되며, 이로써 실내의 보관물품이나 건물이 상승된 실내압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실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블레이드(30)는 다시 자연폐쇄상태로 된다.
실외 쪽(예, 서고의 외부 공간)에 화재가 있거나 실내의 화재가 소화가스에 의해 제압이 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방화댐퍼(1)가 설치된 방화벽은 실내와 실외의 공간을 서로 분리하여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이때에는 블레이드(30)가 개방될 수 없는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본 발명의 방화댐퍼(1)에 의하면, 화재의 열기에 의한 퓨즈(50)의 분리에 따른 차단부재(63)의 작용으로, 블레이드(30)가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블레이드의 개방으로 인한 화재의 번짐을 차단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방화댐퍼 10: 외곽틀
20: 구획틀 21: 개구
30: 블레이드 31: 회동축
32: 기류안내편 40: 링크기구
41: 회동레버 42: 연동로드
43: 작용돌기 50: 퓨즈
51: 브래킷 53: 고정와이어
60: 차단기구 61: 연결부재
61a: 와이어 61b: 연결로드
62: 탄성부재(예, 띠스프링) 63: 차단부재
64: 장착실 65: 걸림돌기
66: 걸림턱 67: 리셋홀

Claims (5)

  1. 외곽 골격을 형성하는 외곽틀(10);
    상기 외곽틀(10)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관통된 개구(21)로 분할 구획하는 구획틀(20);
    각각의 상기 개구(21)의 상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측을 중심으로 하측이 회동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21)를 실외쪽에서 덮어 밀폐하는 쪽으로 회동되는, 개폐식 블레이드(30);
    전체의 상기 블레이드(30)의 개폐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40);
    정해진 온도로 가열되면 분리되는 퓨즈(50); 및
    상기 퓨즈(50)에 연결된 연결부재(61), 상기 연결부재(61)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61)를 하강시키는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2), 및 상기 연결부재(61)에 형성되되 상기 퓨즈(50)가 분리되지 아니하여 상기 연결부재(61)가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블레이드(3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지만 상기 퓨즈(50)가 분리되어 상기 탄성부재(6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6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블레이드(30)를 폐쇄상태로 강제 유지하는 위치로 변위하는 차단부재(63)를 포함하는 차단기구(60);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링크기구(40)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30)의 회동축(31)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30)의 개폐에 따라 일체로 회동하는 회동레버(41)들, 상기 회동레버(41)들에 걸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체의 상기 블레이드(30)들이 연동하여 개폐되게 하는 연동로드(42), 및 상기 연동로드(42)로부터 상기 차단부재(63)의 하측으로 신장되어 그 말단이 상기 차단부재(63)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작용돌기(43)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50)가 분리되어 상기 연결부재(61)가 하강한 상태에서의 상기 차단부재(63)는, 상기 블레이드(30)를 폐쇄하는 쪽으로 상기 작용돌기(43)를 가압하여, 상기 블레이드(30)의 강제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댐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1)는, 상기 퓨즈(50)에 연결되는 와이어(61a)와 상기 탄성부재(62)에 연결되는 연결로드(61b)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61a)는 상기 퓨즈(50)에서 수평으로 뻗은 후에 수직으로 방향전환하고, 상기 연결로드(61b)는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62)는 감기는 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띠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틀(10)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61a)의 일부와 상기 연결로드(61b)와 상기 탄성부재(62)와 상기 차단부재(63)가 수용되는, 상하로 신장된 장착실(64);
    상기 연결로드(61b)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차단부재(63)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연결로드(61b)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65);
    상기 차단부재(63)가 상기 작용돌기(4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블레이드(30)가 강제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65)가 걸리는 걸림턱(66); 및
    상기 걸림턱(66)에 걸린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걸림돌기(65)를 밀어내는 도구(2)를 접근시키기 위해 상기 장착실(64)에 형성된 리셋홀(6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댐퍼.
  5. 삭제
KR1020140069319A 2014-06-09 2014-06-09 방화댐퍼 KR101533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19A KR101533333B1 (ko) 2014-06-09 2014-06-09 방화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19A KR101533333B1 (ko) 2014-06-09 2014-06-09 방화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333B1 true KR101533333B1 (ko) 2015-07-03

Family

ID=5378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319A KR101533333B1 (ko) 2014-06-09 2014-06-09 방화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333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6062A (zh) * 2016-12-02 2017-05-31 无锡斐冠工业设备有限公司 模块式双侧抗冲击密闭龙卷风阀
KR101917930B1 (ko) * 2016-11-21 2018-11-12 하이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스모크댐퍼 작동방법
CN109340418A (zh) * 2018-10-29 2019-02-15 镇江市鑫浩塑胶有限公司 一种组合式防火止回阀
CN109751424A (zh) * 2019-03-19 2019-05-14 郑荣俊 阀门联动装置及防烟防火阀
JP2020010976A (ja) * 2018-07-20 2020-01-2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防火ダンパー
KR20200052771A (ko) * 2018-11-07 2020-05-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 댐퍼
KR20200095116A (ko) 2019-01-31 2020-08-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방화 댐퍼(a) 낙하 시험 장치
KR20210136548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피앤아이 방화 댐퍼
KR20210155503A (ko) 2020-06-16 2021-12-23 신승용 단열차단판을 구비한 방화댐퍼
KR102343624B1 (ko) * 2021-04-22 2021-12-27 (주)유팬코리아 화재 시 자동으로 셧다운되는 송풍기용 셔터 장치
KR20220027310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KR20220027311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블레이드
KR20220103377A (ko) 2021-01-15 2022-07-22 최혁수 방화댐퍼
KR20240119476A (ko) 2023-01-30 2024-08-06 최혁수 방화 기능을 갖는 차폐부와 이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
KR20240120801A (ko) 2023-01-31 2024-08-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28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JP2005249244A (ja) * 2004-03-02 2005-09-15 Kazuhiro Ishikawa 延焼防止用ヒューズダンパー付ル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28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JP2005249244A (ja) * 2004-03-02 2005-09-15 Kazuhiro Ishikawa 延焼防止用ヒューズダンパー付ルーバ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930B1 (ko) * 2016-11-21 2018-11-12 하이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스모크댐퍼 작동방법
CN106766062A (zh) * 2016-12-02 2017-05-31 无锡斐冠工业设备有限公司 模块式双侧抗冲击密闭龙卷风阀
JP7143132B2 (ja) 2018-07-20 2022-09-28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防火ダンパー
JP2020010976A (ja) * 2018-07-20 2020-01-2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防火ダンパー
CN109340418A (zh) * 2018-10-29 2019-02-15 镇江市鑫浩塑胶有限公司 一种组合式防火止回阀
CN109340418B (zh) * 2018-10-29 2020-11-10 镇江市鑫浩塑胶有限公司 一种组合式防火止回阀
KR20200052771A (ko) * 2018-11-07 2020-05-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 댐퍼
KR102516740B1 (ko) * 2018-11-07 2023-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 댐퍼
KR20200095116A (ko) 2019-01-31 2020-08-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방화 댐퍼(a) 낙하 시험 장치
CN109751424A (zh) * 2019-03-19 2019-05-14 郑荣俊 阀门联动装置及防烟防火阀
CN109751424B (zh) * 2019-03-19 2024-03-01 郑荣俊 阀门联动装置及防烟防火阀
KR20210136548A (ko)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피앤아이 방화 댐퍼
KR20210155503A (ko) 2020-06-16 2021-12-23 신승용 단열차단판을 구비한 방화댐퍼
KR20220027311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블레이드
KR20220027310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KR20220103377A (ko) 2021-01-15 2022-07-22 최혁수 방화댐퍼
KR102343624B1 (ko) * 2021-04-22 2021-12-27 (주)유팬코리아 화재 시 자동으로 셧다운되는 송풍기용 셔터 장치
KR20240119476A (ko) 2023-01-30 2024-08-06 최혁수 방화 기능을 갖는 차폐부와 이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
KR20240120801A (ko) 2023-01-31 2024-08-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US6019679A (en) Fire and smoke damper
KR20130026226A (ko) 방화용 댐퍼
KR20170120313A (ko) 방화댐퍼기능을 구비한 과압배출구
KR200423332Y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20100122989A (ko)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JP2023155348A (ja) 防火面格子
KR101647829B1 (ko) 과압 배출 댐퍼
KR102193624B1 (ko) 안전스톱퍼가 구비된 파이어댐퍼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1839604B1 (ko) 복합 방화 에어타이트 일체형 댐퍼
KR101754960B1 (ko)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EP2239014B1 (en) Fire damper
KR101701085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1477964B1 (ko) 후드방화용뎀퍼모듈
KR20090002728U (ko) 접이식 수평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524199B1 (ko) 방화블라인드장치
KR101544347B1 (ko)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101572488B1 (ko)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KR102557838B1 (ko) 내화충전재 설치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시공방법
KR100917264B1 (ko) 환기장치
KR101911132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N205559904U (zh) 一种可调节开合力量的防火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