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332Y1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 Google Patents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332Y1
KR200423332Y1 KR2020060013881U KR20060013881U KR200423332Y1 KR 200423332 Y1 KR200423332 Y1 KR 200423332Y1 KR 2020060013881 U KR2020060013881 U KR 2020060013881U KR 20060013881 U KR20060013881 U KR 20060013881U KR 200423332 Y1 KR200423332 Y1 KR 200423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andle
duct
clos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부순
Original Assignee
최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부순 filed Critical 최부순
Priority to KR2020060013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댐퍼에 설치된 손잡이를 어느방향으로 회전시켜야 개폐판이 열리거나 닫히는지 개폐판을 보지 않고서는 알수가 없어 화재등으로 인한 비상시 덕트의 통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개폐판을 닫아주고자 할때 신속한 대처를 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물환기용 덕트(100)와 덕트(100)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회전형 개폐판(210a)(210b)이 함께 연동형으로 동작되게 설치된 댐퍼몸체(200)와 일측 개폐판(210a)의 회전축(211)이 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몸체(20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그 돌출된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공이 형성된 브라켓(220)과 상기 돌출된 회전축(211)에 결합되어 개폐판(210a)을 동작시키고, 상기 걸림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핀출입공(231)이 구비된 손잡이(230)와 선단의 핀(241)이 상기 핀출입공(231)을 통해 다수의 걸림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스프링(242)의 장력을 받아 핀(241)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손잡이(230) 표면에 설치된 누름부(240)로 이루어진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판(210a)(210b)은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위치일 때 최대로 열리게 설정하여 설치하고,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위치일때 완전히 닫히도록 설정하여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하는 다단의 걸림공은 상기 손잡이(230)가 수평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최대열림용 걸림 공(221)과 손잡이(230)가 수직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닫힘용 걸림공(222) 범위 내에서 다단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개폐판(210a)(210b)을 최대한 열고 싶을 때에는 손잡이(230)를 덕트(100)와 수평을 이룰수 있는 위치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고, 개폐판(210a)(210b)을 완전히 닫히도록 할려면 손잡이(230)를 덕트(100)와 직각을 이루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보다 쉽게 개폐판(210a)(210b)의 각도를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환기덕트, 방화,풍량조절,댐퍼,개폐판,브라켓,손잡이,누름부.걸림공

Description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Damper for fire and air control of building ventilation duct}
도 1 은 종래 댐퍼가 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2 는 종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요부 측단면도
도 4 는 종래 댐퍼가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의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가 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를 예시한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요부 측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가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회전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
도 9a,9b는 본 고안에서 개폐판이 회전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로서 도9a는 개폐판이 열린상태이고, 9b는 개폐판이 닫힌상태이다.
도 10은 본 고안 댐퍼의 다른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덕트 200 : 댐퍼몸체
210a,210b : 개폐판 211 : 회전축
220 : 브라켓 221,222 : 걸림공
230 : 손잡이 231 : 핀출입공
232 : 선단 240 : 누름부
241 : 핀 242 : 스프링
250 : 스톱퍼 260 : 각도
270 : 링크고리 280 : 레버
본 고안은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댐퍼에 설치된 손잡이를 회전시켜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덕트와 수평을 이루게 할때에는 개폐판이 최대한 열리도록 하고, 손잡이가 덕트와 직각을 이룰때에는 개폐판이 완전히 닫히도록 설정하므로서 누구나 손잡이의 위치만 보고서도 현재 개폐판의 위치를 알수있어 보다 쉽게 개폐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는 방의 용도에 적합한 실내공기의 온도,습도,청정도,평균유속을 유지하고, 먼지, 유해가스 등을 배제하는 것으로서 공기조절 또는 에어컨 디셔닝이라고도 하며, 여름에는 냉방, 겨울철에는 난방을 하여 사계절을 통해서 항상 실내를 적당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냉방과 난방을 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는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쾌감공기조화와 실내에서 취급하는 물품과 그것을 가공하는 작업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산업공기조화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방의 용도가 다르면 적합한 실내상태도 달라지므로 덥거나 추운방에는 온도가 낮은 또는 높은 공기를 보내서 실온을 목표값으로 유지할 수 있고, 습도가 높을 때는 건조한 공기를 먼지나 가스의 농도가 허용값을 넘어섰을때에는 청정한 공기를 보내게 된다.
이에따라 이러한 공기조화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공기를 여러가지 상태로 바꿀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기계실에 설치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덕트를 통해 각 방에 필요한 공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덕트(10)와 덕트(10)사이에는 댐퍼가 설치되는데, 상기 댐퍼는 공기의 유량을 변화시키거나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를 도 2 내지 도4 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다수의 회전형 개폐판(21a)(21b)이 함께 연동형으로 설치되는 댐퍼몸체(20)의 일측면에는 일측 개폐판(21a)의 회전축(22)이 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그 돌출된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공(24)이 형성된 브라켓(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3)이면으로는 돌출된 회전축(22)에 결합되어 개폐 판(21a)을 동작시키고, 상기 걸림공(24)과 상응하는 위치에 핀출입공(26)이 구비된 손잡이(25)를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25)의 표면에는 선단의 핀(28)이 상기 핀출입공(26)을 통해 다수의 걸림공(24)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고, 스프링(30)의 장력을 받아 핀(28)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누름부(27)가 설치된다.
따라서 개폐판(21a)(21b)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손잡이(25)표면에 설치된 누름부(27)를 눌러 브라켓(23)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24)중 하나에 걸려있는 핀(28)을 걸림공(24)에서 이탈시키는데 이때 누름부(27)에 장력을 전달하는 스프링(30)은 수축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손잡이(25)의 고정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손잡이(25)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판(21a)(21b)도 함께 회전되어 원하는 각도로 놓여진다.
이처럼 개폐판(21a)(21b)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이후에 눌렀던 누름부(27)에서 손을 떼게 되면 수축되었던 스프링(30)이 탄발되면서 누름부(27)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고, 이때 누름부(27)에 형성된 핀(28)역시 하향으로 내려가 브라켓(23)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24)중 일직선상에 위치 되어있는 걸림공(24)으로 들어감에 따라 개폐판(21a)(21b)이 유동되지 않고 소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댐퍼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위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댐퍼몸체(20)에 설치된 개폐판(21a)(21b)은 손잡이(25)의 회전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게 되고, 그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브라 켓(23)의 표면에 설치된 누름부(27)에 핀(28)이 형성되고, 그 핀(28)은 브라켓(23)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24)중 하나에 끼워지는 것이다.
그런데 덕트(10)에 댐퍼를 처음 설치하는 작업자는 댐퍼를 설치하기전에 다수의 걸림공(24)중 핀(28)이 어느 걸림공(24)에 끼워지면 개폐판(21a)(21b)이 어느정도의 각도에서 고정되는지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지만 일단 댐퍼가 덕트(10)에 설치되고 나면 개폐판(21a)(21b)은 덕트(10)에 가려져 외부에서는 개폐판 (21a)(21b)이 현재 어느각도로 회전되어 있는지 즉, 개폐판(21a)(21b)이 열려있는지 또는 닫혀있는지 전혀 알수가 없는 것이다.
이에따라 댐퍼가 설치된 상태에서 장기간이 지난후 풍량조절을 하기 위해 또는 건물에 화재 등 긴급상황으로 인하여 개폐판(21a)(21b)의 각도를 조절해줄 필요가 있을때에는 손잡이(25)를 어느방향으로 회전시켜야 개폐판(21a)(21b)이 최대로 열리고, 어느방향으로 회전시켜야 개폐판(21a)(21b)이 완전히 닫혀지는 것인지 알수없어 손잡이(25)를 무조건 임의대로 회전시키게 된다.
특히, 화재가 일어나게 되면 연기나 불길이 덕트(10)를 타고 다른장소로 번지기 때문에 이때에는 댐퍼의 개폐판(21a)(21b)을 조절하여 덕트(10)의 통로를 신속하게 차단하여야 하는데 사용자는 개폐판(21a)(21b)이 열리거나 닫히는 방향을 모른채 다급한 마음에 손잡이(25)를 임의 방향으로 회전시킨후 개폐판(21a)(21b)이 완전히 닫아진 것으로 판단하여 그자리를 떠나는 것인데 실제로는 개폐판(21a)(21b)이 닫어진 것이 아니라 더 열어지도록 할수도 있음에 따라 보다 큰 피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개폐판이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화재 등으로 인한 위험상황에서 덕트의 통로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음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한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댐퍼몸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판은 손잡이가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위치일 때 최대로 열리게 설정하여 설치하고, 손잡이가 덕트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위치일때 완전히 닫히도록 설정하여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에 형성하는 다단의 걸림공은 상기 손잡이가 수평위치일 때 핀이 끼워지는 최대열림용 걸림공과, 손잡이가 수직위치일 때 핀이 끼워지는 닫힘용 걸림공 범위 내에서 다단으로 형성되게 하므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가 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7 은 도 6 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가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회전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며, 도 9a,9b는 본 고안에서 개폐판이 회전되는 상태 를 예시한 평면도로서 도9a는 개폐판이 열린상태이고, 9b는 개폐판이 닫힌상태이며, 도 10은 본 고안 댐퍼의 다른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건물환기용 덕트(100)와 덕트(100)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회전형 개폐판(210a)(210b)이 함께 연동형으로 동작되게 설치된 댐퍼몸체(200)와; 일측 개폐판(210a)의 회전축(211)이 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몸체(20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그 돌출된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공이 형성된 브라켓(220)과; 상기 돌출된 회전축(211)에 결합되어 개폐판(210a)을 동작시키고, 상기 걸림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핀출입공(231)이 구비된 손잡이(230)와; 선단의 핀(241)이 상기 핀출입공(231)을 통해 다수의 걸림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스프링(242)의 장력을 받아 핀(241)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손잡이(230) 표면에 설치된 누름부(240)로 이루어진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판 (210a)(210b)은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위치일 때 최대로 열리게 설정하여 설치하고,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위치일때 완전히 닫히도록 설정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하는 다단의 걸림공은 상기 손잡이(230)가 수평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최대열림용 걸림공(221)과, 손잡이(230)가 수직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닫힘용 걸림공(222) 범위 내에서 다단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70)은 개폐판(210a)과 연동형으로 동작되는 다른 개폐판(210b)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링크고리이고, (280)은 링크고리를 손잡이(230)의 회전축(211)에 연결시키는 레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댐퍼는 풍량조절을 하기 위하여 또는 화재나 비상시 덕트(100)의 통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댐퍼몸체(200)에 설치된 손잡이(230)를 회동시키면 개폐판(210a)(210b)이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즉, 손잡이(230)의 회전에 따라 개폐판(210a)(210b)이 최대한 열리거나 또는 완전히 닫히도록 하는등 개폐판(210a)(210b)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한후 그 각도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즉, 댐퍼의 개폐판(210a)(210b)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230)이 표면에 설치되어 스프링(242)의 장력에 의해 탄발되는 누름부(240)를 눌러 상기 누름부(240)의 선단에 형성되어 손잡이(230)의 핀출입공(231)으로 출입되는 핀(241)을 브라켓(22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되었던 상태에서 해제시킨다.
이처럼 핀(241)을 걸림공에서 이탈시키면 손잡이(230)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손잡이(23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데, 상기 손잡이(230)에는 회전축(21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11)은 개폐판(210a)에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다른 개폐판(210b)의 회전축에는 링크고리(270)가 설치되고, 상기 링크고리(270)는 레버(280)에 의해 손잡이(230)의 회전축(211)에 연결되어 손잡이(230)를 회동시킴에 따라 개폐판(210a)(210b)이 동시에 모두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의 특징은 손잡이(230)를 어느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 판(210a)(210b)이 점차 열리고, 어느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폐판(210a)(210b)이 점차 닫혀지는 것인지를 덕트(100)에 가려 노출되지 않는 개폐판(210a)(210b)을 직접 보지 않고서도 누구나 쉽게 알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에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댐퍼는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위치에 놓여져 있을 때에는 개폐판(210a)(210b)이 최대로 열리게 설정하고,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놓이는 수직위치에 놓여질 때에는 완전히 닫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220)에 형성되는 다단의 걸림공은 손잡이(230)가 수평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최대열림용 걸림공(221)과 수직위치일때 핀(241)이 끼워지는 닫힘용 걸림공(222)사이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나 비상시 덕트(100)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고자 할때에는 손잡이(230)에 설치된 누름부(240)를 누른후 손잡이(230)를 도 9b에서와 같이 덕트(1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룰수 있는 수직위치에 놓여지도록 회전시키면 개폐판(210a)(210b)이 완전히 닫혀지는 것이고, 이후 누름부(240)에서 손을 떼게되면 수축되었던 스프링(242)이 탄발되면서 핀(241)이 하향으로 내려가 닫힘용 걸림공(222)속으로 들어감에 따라 개폐판(210a)(210b)이 완전히 닫힌상태를 유지하여 덕트(100)의 통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닫힌 개폐판(210a)(210b)을 열어주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230)의 누름부(240)를 눌러 핀(241)을 상기 닫힘용 걸림공(222)에서 이탈시킨 후 손잡이(230)를 도 9a에서와 같이 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위치에 놓여지도록 회전시키면 개폐판(210a)(210b)은 최대한 열린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후 누름부(240)에서 손을 떼게 되면 핀(241)이 최대열림용 걸림공(221)속으로 끼워지면서 개폐판 (210a)(210b)은 최대로 열린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최대열림용 걸림공(221)과 닫힘용 걸림공(222)사이에는 다수의 걸림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폐판(210a)(210b)이 최대로 열리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닫지 않는 각도로 조절할 경우에는 최대 열림용 걸림공(221)과 닫힘용 걸림공(222)사이의 걸림공중 원하는 걸림공을 선택하면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은 손잡이(230)가 덕트(100)와 수평위치에 놓여질 때에는 개폐판(210a)(210b)이 최대로 열리게 되고, 손잡이(230)가 덕트(100)와 수직위치에 놓여질 때에는 완전히 닫혀지는 것이므로 누구나 개폐판(210a)(210b)을 보지 않고서도 개폐판(210a)(210b)의 각도를 쉽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브라켓(220)의 최대열림용 걸림공(221) 외측으로 손잡이(230)의 과다 회전을 방지하는 스톱퍼(250)를 형성하여 즉, 개폐판 (210a)(210b)을 최대한 열리게 하기 위해서 손잡이(230)를 덕트(100)와 수평위치에 놓여지도록 회전시키면 손잡이(230)는 스톱퍼(250)에 의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여 개폐판(210a)(210b)이 최대한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실시예로서 도 10 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220)의 표면에는 손잡이(230)의 선단(232)이 가리키는 범위 내에 개폐판(210a)(210b)의 열림과 닫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 또는 각도(260)를 표시하여 된 것으로서 즉, 브라켓(220)의 표면에는 0도에서 15도 각도 간격으로 90도까지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개폐판(210a)(210b)의 각도를 조절시 손잡이(230)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230)의 선단(232)이 30도에 위치되도록 하면 개폐판(210a)(210b)이 30도 각도로 열려져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고, 선단(232)이 90도를 가리키고 있으면 개폐판(210a)(210b)이 최대한 열려져 있다는 것이고, 반대로 선단(232)이 0도를 가리키면 개폐판(210a)(210b)이 완전히 닫혀져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쉽게 개폐판(210a)(210b)의 각도를 알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댐퍼에서 손잡이가 덕트와 수평위치에 놓여질 때에는 개폐판이 최대한 열리는 것이고, 손잡이가 덕트와 직각상태로 놓여질 때에는 개폐판이 완전히 닫히는 것이므로 이는 사용자가 개폐판을 보지 않고서도 보다 쉽게 개폐판의 각도를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건물환기용 덕트(100)와 덕트(100)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회전형 개폐판(210a)(210b)이 함께 연동형으로 동작되게 설치된 댐퍼몸체(200)와;
    일측 개폐판(210a)의 회전축(211)이 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몸체(20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그 돌출된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공이 형성된 브라켓(220)과;
    상기 돌출된 회전축(211)에 결합되어 개폐판(210a)을 동작시키고, 상기 걸림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핀출입공(231)이 구비된 손잡이(230)와;
    선단의 핀(241)이 상기 핀출입공(231)을 통해 다수의 걸림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스프링(242)의 장력을 받아 핀(241)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손잡이(230) 표면에 설치된 누름부(240);
    로 이루어진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판(210a)(210b)은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위치일 때 최대로 열리게 설정하여 설치하고, 손잡이(230)가 덕트(1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위치일때 완전히 닫히도록 설정하여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하는 다단의 걸림공은 상기 손잡이(230)가 수평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최대열림용 걸림공(221)과, 손잡이(230)가 수직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닫힘용 걸림공(222) 범위 내에서 다단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의 최대 열림용 걸림공(221) 외측에는 손잡이(230)의 과다 회전을 방지하는 스톱퍼(25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의 표면에는 손잡이(230)의 선단(232)이 가리키는 범위 내에 개폐판(210a)(210b)의 열림과 닫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 또는 각도(260)를 표시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2020060013881U 2006-05-24 2006-05-24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200423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81U KR200423332Y1 (ko) 2006-05-24 2006-05-24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81U KR200423332Y1 (ko) 2006-05-24 2006-05-24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021A Division KR20070113074A (ko) 2006-09-05 2006-09-05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332Y1 true KR200423332Y1 (ko) 2006-08-07

Family

ID=4177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881U KR200423332Y1 (ko) 2006-05-24 2006-05-24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33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52B1 (ko) 2008-07-21 2009-03-20 이명식 공기조화용 댐퍼장치
KR101058180B1 (ko) 2008-07-17 2011-08-2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댐퍼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KR101263904B1 (ko) 2013-03-12 2013-05-13 신기산업 주식회사 기밀 유지 공조기용 댐퍼
KR101290696B1 (ko) * 2012-05-07 2013-07-29 최부순 시건장치가 구비된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용 댐퍼
KR200474019Y1 (ko) 2013-03-07 2014-08-18 (주)미도이앤씨 복합댐퍼 수동개폐기
KR101563849B1 (ko) * 2015-06-03 2015-10-27 허련 배기덕트용 댐퍼
KR20190002747U (ko) 2018-04-25 2019-11-04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US10670291B2 (en) 2015-06-18 2020-06-02 Midoenc Co., Ltd. Damper switch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180B1 (ko) 2008-07-17 2011-08-2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텐터기의 댐퍼 위치결정방법 및 장치
KR100889852B1 (ko) 2008-07-21 2009-03-20 이명식 공기조화용 댐퍼장치
KR101290696B1 (ko) * 2012-05-07 2013-07-29 최부순 시건장치가 구비된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용 댐퍼
KR200474019Y1 (ko) 2013-03-07 2014-08-18 (주)미도이앤씨 복합댐퍼 수동개폐기
KR101263904B1 (ko) 2013-03-12 2013-05-13 신기산업 주식회사 기밀 유지 공조기용 댐퍼
KR101563849B1 (ko) * 2015-06-03 2015-10-27 허련 배기덕트용 댐퍼
US10670291B2 (en) 2015-06-18 2020-06-02 Midoenc Co., Ltd. Damper switch
KR20190002747U (ko) 2018-04-25 2019-11-04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200491310Y1 (ko) 2018-04-25 2020-03-18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3332Y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JP2009063226A (ja) コンピュータ室構造
KR101455212B1 (ko) 결로방지형 환기 시스템
KR101756588B1 (ko) 방화용 환풍기
KR20150146294A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20100074363A (ko) 방화 댐퍼가 구비된 환기구
KR20100122989A (ko)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US6019679A (en) Fire and smoke damper
KR200485947Y1 (ko) 방화 댐퍼
US20240110702A1 (en) Combustion air proving apparatus with burner cut-off capability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KR20070113074A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101642261B1 (ko) 환기시스템의 전동댐퍼
KR100622021B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JP5271681B2 (ja) 換気設備
KR101544525B1 (ko)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KR102031002B1 (ko) 댐퍼 어셈블리
KR20090020253A (ko) 댐퍼
KR20110075816A (ko) 건물 실내 바닥의 냉,난방 공조용 에어배출장치
KR200458718Y1 (ko)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KR200322851Y1 (ko) 제연댐퍼
KR200369005Y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KR20210030698A (ko) 에어닥트용 방화 및 풍량조절댐퍼
KR101194721B1 (ko) 급기디퓨저의 역류방지장치
KR102370602B1 (ko) 공기조화기용 댐퍼의 회동각도 제한장치
CN215258005U (zh) 可调节的止逆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203

Effective date: 2008070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