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525B1 -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525B1
KR101544525B1 KR1020140007901A KR20140007901A KR101544525B1 KR 101544525 B1 KR101544525 B1 KR 101544525B1 KR 1020140007901 A KR1020140007901 A KR 1020140007901A KR 20140007901 A KR20140007901 A KR 20140007901A KR 101544525 B1 KR101544525 B1 KR 10154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damper
opening
fir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679A (ko
Inventor
원준호
Original Assignee
원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호 filed Critical 원준호
Priority to KR102014000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5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공조라인의 덕트에 설치되는 덕트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 댐퍼에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에 결합공을 갖는 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댐퍼의 개폐날개축과 연결되는 스핀들과; 상기 케이스 상면에 위히하여 스핀들 상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걸림턱과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과 걸림턱 사이에는 다수의 간격 유지공이 형성된 고정패널과; 상기 스핀들 상단부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중간부에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고정패널의 간격 유지공에 인 입출되도록 형성된 조절 손잡이와; 상기 스핀들 일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단부가 고정패널의 고정홈에 끼워져 스핀들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도록 설치하되 화재시 열에 용해되어 분리되도록 설치한 자동폐쇄장치와: 상기 케이스 하부로 돌출된 스핀과 결합된 회전링의 걸림돌기 일측 접촉되도록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폐쇄장치가 분리시 스핀들의 풀림신호를 PC 또는 LED 표시부로 보내 방화 댐퍼가 폐쇄됨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은 평상시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된 댐퍼의 개폐 유무를 직접가서 확인하지 않고 관리실, 통제실 등의 외부에서 PC 또는 LED 표시부를 통하여 간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 방화 댐퍼의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Present opening of function having a Switchgear device fire dampers}
본 발명은 건물 공조라인의 덕트에 설치되는 덕트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덕트에 방화구역 별로 설치되는 방화댐퍼의 개폐(開閉)상태를 직접확인하지 않고 외부의 통제실에서 댐퍼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공공기관, 저층, 중층, 고층 등의 건축물에는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도록 급·배기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덕트는 송풍기에서 흡입 또는 송풍되는 공기를 급·배기 덕트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각각의 룸 천장에 분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급·배기 덕트에는 각각의 분기 구간(방화구획이라 함)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화구획마다 댐퍼를 각각 설치하는 것은 화재 등의 비상시에 일측의 방화구획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염이 덕트를 통하여 다른 이웃한 방화구획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댐퍼가 자동으로 차단되어 연기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성가스가 발생하며, 이들은 발생장소로부터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된 급·배기덕트 내로 침입ㆍ전파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되어 재해를 크게 하는 원인이 되므로, 건축법시행령 46조(방화구획)에는 "환기ㆍ난방 또는 냉방시설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적합한 댐퍼를 설치하여야 한다" 라고 하여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부분에 덕트계통을 긴급차단하는 장치, 즉 방화댐퍼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배기 덕트의 방화구획 마다 설치되는 방화댐퍼는 화재등의 비상시 대단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게 됨으로 관심을 갖지 않게 되고 특히 천장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급·배기 덕트에 설치된 방화댐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화댐퍼의 각 연결부분의 부식이나 덕트에 쌓인 이물질로 인하여 원래의 기능을 유지하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정기적인 점검 및 작동시험을 통하여 유사시에 확실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방화 댐퍼의 방화댐퍼의 유지 보수 및 점검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방화댐퍼가 높고 어두운 덕트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화댐퍼의 현장 점검시, 댐퍼의 열림 및 닫힘 상태 및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기가 힘든 문제점, 협소한 공간에서 2인 1조가 되어, 1인은 사다리를 잡아주고, 다른 1인은 랜턴을 들고 들어가 위험을 감수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인력 낭비와 작업의 안사고발생위험의 문제점, 소방점검시 화재수신반에서 신호를 보내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있으므로, 화재수신반에 오작동이 발생했을 때 방화댐퍼 자체를 해체하여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방화댐퍼의 유지 보수 및 점검작업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인력 등이 투입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5008호(공개일자 2009. 9. 9)의 "풍량조절용 댐퍼"(선행기술 1)는 원하는 풍량의 크기를 미소하게 조정이 가능한 동시에 손잡이가 이탈되더라도 외부에서 임의의 조작이 어려우며, 구동부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고장개소를 줄이는 동시에 부품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개폐판의 폐쇠시 하우징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 되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1029호의 "공압 구동식 댐퍼 개폐장치"(성행기술 2)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압 인가시에 댐퍼의 개방 방향으로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제1 공압 액추에이터; 상기 스핀들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부; 상기 래칫부와 상호작용하며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단턱부를 구비하는 걸림부재; 및 공압 인가시에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공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댐퍼 개폐장치가 공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수동으로 조작하는 댐퍼 개폐장치의 구성이고, 상기 선행기술 2는 공압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댐퍼 개폐장치의 구성이다. 상기 선행기술 1 및 2 이외로 전자적인 제어로 구동되는 댐퍼 개폐장치, 전기적인 제어로 구동되는 방화댐퍼 등이 현장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종류가 방화 구획의 덕트 내에 방화 담파가 설치되고 있으나, 종래의 방화 댐퍼는 평상시 외부에서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유지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500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110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급·배기덕트에 설치된 방화 댐퍼의 개폐상태를 방화 댐퍼가 설치된 곳까지 가서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통제실, 관리실 등의 외부에서 개폐상태를 LED등의 표시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방화 댐퍼를 제공하는 목적과,
또 다른 목적으로는 화재시 해당구역의 방화 댐퍼가 외부의 제어지시 없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한 방화 댐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화 댐퍼에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에 결합공을 갖는 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댐퍼의 개폐날개축과 연결되는 스핀들과;
상기 케이스 상면에 위치하여 스핀들 상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걸림턱과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과 걸림턱 사이에는 다수의 간격 유지공이 형성된 고정패널과;
상기 스핀들 상단부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중간부에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고정패널의 간격 유지공에 인 입출되도록 형성된 조절 손잡이와;
상기 스핀들 일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단부가 고정패널의 고정홈에 끼워져 스핀들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도록 설치하되 화재시 열에 용해되어 분리되도록 설치한 자동폐쇄장치와:
상기 케이스 하부로 돌출된 스핀과 결합된 회전링의 걸림돌기 일측 접촉되도록 케이스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폐쇄장치가 분리시 스핀들의 풀림신호를 PC 또는 LED 표시부로 보내 방화 댐퍼가 폐쇄됨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들은,
케이스에 수직선상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는 고정패널과 조절손잡이 일측단이 고정링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부는 댐퍼의 개폐 날개 축과 결되되 스핀들 하단 외주면에는 회전링과 조임링이 결합되어 스핀들이 풀림시 같이 회전되도록 하며 케이스 내의 스핀들 외주면에는 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자동폐쇄장치가 분리시 스핀들이 풀림 회전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동 폐쇄장치는,
제1 관부재와 제2 관부재를 휴즈로 연결한 축봉을 형성하고,
상기 축봉은 관 형태의 몸체 내부에 위치하되 제1 관부재가 스프링에 끼워져 하향 탄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2 관부재는 스냅링이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발에 의해 제1 관부재가 하강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들에 고정된 회전링 일측에 걸림돌기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댐퍼의 개폐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검출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터치 스위치, 접촉스위치, 접촉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는 다수의 방화구획 중 어느 한 곳에서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방화 댐퍼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 화염과 연기가 급·배기 덕트를 통하여 건물 전체로 번지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또한 평상시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된 댐퍼의 개폐 유무를 직접가서 확인하지 않고 관리실, 통제실 등의 외부에서 PC 또는 LED 표시부를 통하여 간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 방화 댐퍼의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의 스핀들 하부 회전링 일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검출 스위치를 나타낸 케이스 저면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방화 댐퍼에 개폐장치에 설치되는 자동 폐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스핀들에 결합된 회전링과 검출 스위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일부 발췌 저면 사시도 이며,
도6은 본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의 검출 스위치에서 검출된 폐쇄신호를 LED 또는 PC에 표시하기 위한 간략 블럭도 이며,
도7은 본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의 검출 스위치에서 검출된 폐쇄신호를 보드측과 pc측의 상호 통신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1은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의 스핀들 하부 회전링 일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검출 스위치를 나타낸 케이스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 보면 방화 댐퍼 개폐장치(1)와 일치되는 위치에 본 발명의 케이스(2)를 설치하되 케이스(2)는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3)을 이용하여 볼트로 체결한다.
상기 개폐장치를 갖는 케이스(2)를 방화 댐퍼에 설치하는 기술은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기술이다.
상기 케이스(2)를 방화 댐퍼에 설치하기 전에 스핀들(4)의 하단부가 방화 댐퍼를 개폐하는 개폐날개를 작동시 킬 수 있도록 된 축과 연결되도록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방화댐퍼와 개폐날개, 급·배기 덕트는 통상적인 것으로 도명의 도시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날개의 축과 스핀들(4)을 연결한 후에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1)의 케이스(2) 상단에 설치된 조절손잡이(15)를 이용하여 방화댐퍼의 개폐날개(도시없음)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스핀들(4) 일측에 위치하여 케이스(2)에 수직선상으로 설치된 자동 폐쇄장치(16)의 축봉(19) 상단부가 고정패널(9)의 일측 고정 홈에(10)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축봉(19) 상단부가 고정패널(9)의 고정홈(10)에 끼워지도록 하면 고정패널(9) 고정하도록 조절 손잡이(15)에 설치된 고정돌기(14)가 고정패널(9)의 간격 유지공(13)에 끼워져 걸려 있는 상태이므로 댐퍼 개폐날개가 열린 상태에서 자동폐쇄장치(16)의 축봉(19)이 고정패널(9)의 고정홈(10)에 끼워져 있으므로 고정패널은 스핀들(4)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패널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자동 폐쇄장치는 하단부가 케이스 저면 보다 더 연장되도록 돌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화염과 연기가 방화 댐퍼 내로 유입되어 이웃한 타구역의 방화구획의 급·배기 덕트를 통하여 화염이 이동하여 화재가 급격하게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화재시 화염과 연기가 방화댐퍼 내로 유입되면 케이스(2) 일측에 수직설치되어 고정패널(9)을 지지하고 있는 자동 폐쇄장치(16)가 열에 의해 용융되어 분리된다.
즉, 자동 폐쇄장치(16)의 축봉(19)을 이루고 있는 제1 관부재(20)와 제2 관부재(21)를 연결한 휴즈(22)가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휴즈를 이루고 있는 납이 녹아 제1 관부재(20)와 제2 관부재(21)가 분리됨으로 몸체(17)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8)의 탄발에 의해 축봉(19)이 고정패널(9)의 고정홈(10)으로부터 이탈됨으로 스핀들(4) 외면에 설치되어 케이스(2) 내부에 위치한 풀림 스프링(8)에 의해 스핀들(4)의 풀림 회전이 진행되어 스핀들(4)과 연결된 방화 댐퍼 개폐날개가 닫히게 됨으로 방화 댐퍼는 폐쇄되어 화염과 연기가 다른 방화구획으로 이동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화염에 의해 자동폐쇄장치(16)가 분리되면서 고정패널(9)을 지지하고 있던 축봉(19)이 이탈되는 동시에 고정패널(9)이 스핀들(4)의 풀림 회전력을 억제하지 못함으로 스핀들(4)은 풀림 스프링(8)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면서 케이스(2) 저면에서 스핀들(4)에 결합된 회전링(5)이 스핀들과 함께 회전됨으로 회전링의 일측 걸림돌기(6)가 접촉 된 검출 스위치(23)로 부터 이격는 동시에 검출 스위치(23)의 신호가 중앙처리장치인 CPU로 전달되고 CPU는 수신된 신호를 LED 발광 출력신호로 변환하여 LED표시부로 신호를 보내 외부에서 방화댐퍼가 폐쇄되었음을 통제실, 관리실 등에서 인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상면에 위히하여 스핀들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설치된 고정패널(9)에는 스핀들(4)을 중신으로 다수의 간격 유지공(13)이 설치되며, 고정패널(9)의 고정홈(10)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걸림편(1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11)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 유지공(13)은 조절손잡이(15)를 이용하여 스핀들(4)을 임의로 회전시켜 방화 댐퍼 개폐 날개를 원하는 각도로 개구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개구된 각도는 조절 손잡이(15)의 중간부에 설치된 고정돌기(14)가 조절 손잡이(15)의 회전된 각도에 일치하는 간격 유지공(13)에 끼워져 스핀들(4)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고정패널에 형성된 걸림편(12)과 걸림턱(11)은 스핀들(4)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조절 손잡이(15)의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 스핀들(4)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는 고정패널(9)의 걸림편(12)과 걸림턱(11) 사이에 위치하여 조절 손잡이가 일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조절 손잡이(15) 중간부에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서 간격 유지공(13)이 인 입출 되도록 된 고정돌기는 집게 형상의 조절 손잡이를 움켜죄면 간격 유지공(13)에서 이탈되어 조절 손잡이를 회전시켜 스핀들을 수동으로 조절하고 조절 손잡이를 놓으면 손잡이가 상하로 벌어지면서 고정돌기(14)는 수직선상 하부에 위치한 간격유지공(13)에 인입되어 조절손잡이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지지함으로 스핀들 역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방화 댐퍼에 개폐장치에 설치되는 자동 폐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자동폐쇄장치(16)는, 관형태의 몸체(17) 내부에 축봉(19)이 상하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축봉(19)은 제1 관부재(20)와 제2 관부재(21)를 휴즈(22)로 연결한다.
상기 휴즈(22)는 열에 의해 용융되는 납 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휴즈 재를 사용한다.
상기 자동폐쇄장치(16)의 몸체(17)는 관 형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축봉(19)이 스프링(18)에 개재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축봉(19)을 구성하는 제1 관부재(20) 하단에는 스프링(18)을 지지하는 스냅링(24)이 고정되고, 스프링(18)은 제1 관부재(20)의 스냅링(24 )과 몸체(17)의 상부 천장 내면 개재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스프링(18)은 항상 탄발되려는 상태로 제1 관부재(20) 외면에 설치된다.
또한 제2 관부재(21) 하단 외주면에는 스냅링(24')이 고정되어 제2 관부재(21)가 몸체(17)의 하단내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8)이 끼워진 제1 관부재와 제2 관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되 이의 간격은 휴즈(22)로 연결하여 일체형의 축봉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축봉은 상단부가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스핀들과 고정된 고정패널의 고정홈에 끼워져 스핀들 외면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풀림 스프링의 회전 탄발력을 지지하여 스핀들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토록 지지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폐쇄장치가 화재에 의해 축봉의 제1 관부재와 재2 관부재를 연결한 휴즈가 열에 의해 녹으면 제1 관부재(20)는 스프링(18)의 단발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 축봉(19)이 하강하여 지지하고 있던 고정패널(9)로부터 이탈되어 스핀들이 회전하여 방화 댐퍼의 개폐날개를 닫아 방화 댐퍼를 폐쇄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스핀들에 결합된 회전링과 검출 스위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일부 발췌 저면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는 스핀들(4)의 회전에 의해 방화댐퍼 개폐날개를 작동하는 축과 연결되어 스핀들이 스프링의 탄발에 의해 회전하면 연결된 개폐날개의 축이 회전되면서 방화개폐날개가 닫히게 되는데, 이때 케이스(2) 저면에 위치하여 스핀들(4)에 고정된 회전링 일측에 걸림돌기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댐퍼의 개폐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검출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 검출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터치 스위치, 접촉스위치, 접촉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도6은 본 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의 검출 스위치에서 검출된 폐쇄신호를 LED 또는 PC에 표시하기 위한 간략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7은 본발명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의 검출 스위치에서 검출된 폐쇄신호를 보드측과 pc측의 상호 통신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검출 스위치는 방화 댐퍼의 개폐날개가 닫혀있는지 또는 열려있는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핀들(4) 하단부에 끼워진 회전링(5)의 걸림돌기(6) 일측과 접촉되도록 설치하여 스핀들이 화재가 아니더라도 오작동에 의해 회전하면 스핀들과 연결되어 동작되는 개폐날개가 닫히게 된다.
이때 회전링(5)의 걸림돌기(6) 일측과 접촉되도록 설치된 검출 스위치(23)와 걸림돌기가 이격되는 동시에 이의 신호를 CPU에 출력하고 검출 스위치로부터 이격 신호를 받은 CPU는 이의 신호를 변환하여 PC에 신호를 보내거나 또 는 LED표시부(24)에 신호를 보내 방화문이 폐쇄되었음을 외부에서 간단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링(5)은 스핀들에 끼워져 조임 링에 의해 스핀들에 유동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핀들에 검출 스위치를 설치하여 방화 댐퍼의 닫힘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덕트에 방화구획 별로 설치되는 방화 댐퍼의 개폐(開閉)상태를 직접확인하지 않고 외부의 통제실, 관리실, 사령실 등에서 방화 댐퍼의 개폐상태를 간단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화 댐퍼의 개폐 유무 표시기능은 도7의 블럭도와 같이 PC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방화댐퍼 개폐장치 2:케이스
3:결합공 4:스핀들
5:회전링 6:걸림돌기
7:조임링 8:풀림 스프링
9:고정패널 10:고정홈
11:걸림턱 12:걸림편
13:간격유지공 14:고정돌기
15:조절 손잡이 16:자동폐쇄장치
17:몸체 18:스프링
19:축봉 20:제 관부재
21:제2 관부재 22:휴즈
23:검출스위치 24,24':스냅링

Claims (4)

  1. 방화 댐퍼에 결합할 수 있도록 양측에 결합공을 갖는 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댐퍼의 개폐날개축과 연결되는 스핀들과; 상기 케이스 상면에 위치하여 스핀들 상단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걸림턱과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과 걸림턱 사이에는 다수의 간격 유지공이 형성된 고정패널과; 상기 스핀들 상단부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중간부에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고정패널의 간격 유지공에 인 입출되도록 형성된 조절 손잡이와; 상기 스핀들 일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단부가 고정패널의 고정홈에 끼워져 스핀들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도록 설치하되 화재시 열에 용해되어 분리되도록 설치한 자동폐쇄장치가 분리시 스핀들의 풀림신호를 LED 표시부로 보내 방화 댐퍼가 폐쇄됨을 알 수 있도록 된 방화 댐퍼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케이스에 수직선상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상단부는 고정패널과 조절손잡이 일측단이 고정링에 의해 결합되고, 하단부는 댐퍼의 개폐 날개 축과 결합하되 스핀들 하단 외주면에는 회전링과 조임링이 결합되어 스핀들이 풀림시 같이 회전되도록 하며, 케이스 내의 스핀들 외주면에는 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자동폐쇄장치가 분리시 스핀들이 풀림 회전을 가지는 동시에 회전링 일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검출 스위치에 의해 방화 댐퍼의 닫힘 신호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07901A 2014-01-22 2014-01-22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KR10154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901A KR101544525B1 (ko) 2014-01-22 2014-01-22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901A KR101544525B1 (ko) 2014-01-22 2014-01-22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79A KR20150087679A (ko) 2015-07-30
KR101544525B1 true KR101544525B1 (ko) 2015-08-13

Family

ID=5387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901A KR101544525B1 (ko) 2014-01-22 2014-01-22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5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88Y1 (ko) * 2016-07-11 2018-01-18 한진식 덕트 방화 댐퍼용 핸들구조체
KR200485947Y1 (ko) 2017-07-27 2018-03-16 주식회사성일티이씨 방화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554B1 (ko) * 2017-02-27 2018-06-01 이병학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6765B2 (ja) 2004-03-08 2010-04-07 シンポ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の着脱装置
KR100998951B1 (ko) 2008-08-20 2010-12-09 한국철도공사 덕트의 방화댐퍼 개폐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6765B2 (ja) 2004-03-08 2010-04-07 シンポ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の着脱装置
KR100998951B1 (ko) 2008-08-20 2010-12-09 한국철도공사 덕트의 방화댐퍼 개폐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88Y1 (ko) * 2016-07-11 2018-01-18 한진식 덕트 방화 댐퍼용 핸들구조체
KR200485947Y1 (ko) 2017-07-27 2018-03-16 주식회사성일티이씨 방화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79A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181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1544525B1 (ko)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KR101638406B1 (ko)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KR101943368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1638152B1 (ko) 스마트 화재예방 및 대응 시스템
KR101756588B1 (ko) 방화용 환풍기
KR20150146294A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0823958B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23332Y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200485947Y1 (ko) 방화 댐퍼
KR100814745B1 (ko)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US20240110702A1 (en) Combustion air proving apparatus with burner cut-off capability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KR102047329B1 (ko) 소방용 급배기구 개폐장치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987787B1 (ko) 흄후드용 제어기
US10670291B2 (en) Damper switch
KR200433050Y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JPH07185025A (ja) 排煙ダクトシステム
KR100998951B1 (ko) 덕트의 방화댐퍼 개폐 표시장치
KR200419727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CN207961666U (zh) 一种感烟防火阀以及感烟防火系统
KR102045147B1 (ko) 자동 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