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54B1 -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Google Patents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3554B1 KR101863554B1 KR1020170025793A KR20170025793A KR101863554B1 KR 101863554 B1 KR101863554 B1 KR 101863554B1 KR 1020170025793 A KR1020170025793 A KR 1020170025793A KR 20170025793 A KR20170025793 A KR 20170025793A KR 101863554 B1 KR101863554 B1 KR 101863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pin
- elastic body
- housing
- stopper rod
-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62C2/242—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with fusible lin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5—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closing air pass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에 화재시 방화구역을 통과하는 덕트에 설치되어 유독가스 또는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에 관한 것으로, 공조용 덕트 내에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송풍량을 조절하게 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부(120)와, 화재 시에 상기 핸들부(120)를 조작하여 송풍 차단을 위한 퓨즈 조립체(140)를 포함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에 있어서, 상기 퓨즈 조립체(14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하우징(142)과; 상기 하우징(142) 내에 삽입 위치하여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핸들부(120)의 회전각을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로드(141)와; 상기 스톱퍼 로드(141)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체(143)와; 상기 제1탄성체(143)가 안착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142) 내에 수납 고정되는 고정핀(144)과; 상기 고정핀(144)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145)와; 상기 하우징(142) 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핀(144)이 내삽 가능한 튜브(146)와; 상기 고정핀(144)과 상기 튜브(146)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144)을 지지하며,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이 가능한 열용융성의 고정부재(14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내에 화재시 방화구역을 통과하는 덕트에 설치되어 유독가스 또는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고층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화재가 건축물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 구조의 바닥 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 셔터 등으로 일정 구간을 구획하여 형성된 방화 구획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방화 구획에 설치되는 덕트는 통상적으로 방화용 댐퍼가 장착되며, 이와 같은 방화용 댐퍼는 덕트를 통하여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풍량조절이 가능한 방화용 댐퍼를 방화볼륨댐퍼(FIRE VOLUME DAMPER)라고도 하며, 이하에서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로 지칭한다.
종래기술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는, 평상시에 덕트 등의 공조시스템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화재 발생 시에는 내장된 퓨즈의 작동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는, 덕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블레이드(20)와, 블레이드(20)를 회전 조작하게 되는 핸들부(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관로(11)가 형성되어 덕트에 조립되거나 덕트 자체일 수 있으며, 프레임(1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20)의 개폐 정도에 따라서 관로를 따라서 흐르는 공기량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블레이드(2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블레이드는 서로 링크로 연결되어 핸들부의 조작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개폐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부(30)는 블레이드(20)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레버(31)를 포함하며, 화재 발생 시에 레버(31)를 작동하여 블레이드(20)에 의해 프레임(10)의 관로를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퓨즈 조립체(40)를 포함한다.
핸들부(30)는 레버(31)와 고정되어 레버(31)와 함께 회전이 가능한 회전가이드판(32)을 포함하며, 회전가이드판(32)은 복수의 고정홀(33)이 형성된다. 퓨즈 조립체(40)는 탄성 지지되는 스톱퍼 로드(41)가 마련되며, 이 스톱퍼 로드(41)는 고정홀(33) 내에 탄성 삽입되어 회전가이드판(32)의 회전 조작이 제한된다. 따라서 레버(31)를 일정 크기 이상의 조작력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특정 고정홀(33)에 삽입된 스톱퍼 로드(41)는 탄성적으로 압입되어 회전가이드판(32)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다음 위치의 고정홀(33)에 삽입 되어 레버(31)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프레임(10) 내측에 블레이드(20)가 회전축(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21)은 스프링(22)이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회전가이드판(32)과 조립된다. 스프링(22)은 화재 발생 시에 관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회전축(21)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레버(31)를 조작하여 블레이드(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스프링(22)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퓨즈 조립체(40)는 상단에 탄성 지지되는 스톱퍼 로드(41)에 의해 회전가이드판(4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며, 화재 발생 시에 스톱퍼 로드(41)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스톱퍼 로드(41)에 의해 지지되었던 회전가이드판(40)은 압축 상태의 제1스프링(22)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21)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송풍을 차단한다.
도 3은 종래기술의 퓨즈 조립체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의 퓨즈 조립체(40)는 스톱퍼 로드(41)가 삽입 위치하게 되는 원통형상의 베럴(42)과, 스톱퍼 로드(41)를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43)과, 베럴(42) 하단 개구부에 고정 조립되어 제2스프링(34) 하단이 안착 위치하게 되는 하단 마개(44)를 포함한다.
스톱퍼 로드(41)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돌출 형성된 돌기부(41a)가 마련되며, 돌기부(41a)는 압축 상태의 제2스프링(4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베럴(42)과 하단 마개(44)는 납땜(45)에 의해 고정되며,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고온에 의해 납땜(45)이 녹으면서 제2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배럴(42)과 하단 마개(44)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퓨즈 조립체(40)는 화재 시에 발생되는 고온에 의해 납땜(45)이 녹으면서 자동으로 댐퍼의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의 퓨즈 조립체(40)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상황에서 납땜(45)의 불량으로 인해 오동작하여 송풍이 차단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는 적절한 환기가 요구되는 반도체 생산용 클린룸 등에서는 제품의 품질과 생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퓨즈 조립체(40)는 제2스프링(43)이 압입되어 베럴(42)과 하단 마개(44)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베럴(42)과 하단 마개(44) 사이를 납땜(45)으로 조립하는 공정이 요구되어 퓨즈 조립체(40)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베럴(42)과 하단 마개(44) 사이의 좁은 틈새에 납땜(45)이 이루어져 납땜 불량으로 인한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에 퓨즈 조립체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작동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는, 공조용 덕트 내에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송풍량을 조절하게 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부와, 화재 시에 상기 핸들부를 조작하여 송풍 차단을 위한 퓨즈 조립체를 포함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에 있어서, 상기 퓨즈 조립체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위치하여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핸들부의 회전각을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로드와; 상기 스톱퍼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가 안착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핀이 내삽 가능한 튜브와; 상기 고정핀과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며,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이 가능한 열용융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톱퍼 로드는 하단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체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몸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핀의 일부가 삽입되어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고리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탄성체가 삽입되어 제2탄성체의 신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튜브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축이 수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각 제한수단은, 상기 회동축이 수납되어 반경 방향으로 일정 원호각을 갖고 개구되어 회동축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회동축 하우징이다.
본 발명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는 화재 시에 핸들부를 조작하여 송풍 차단을 위한 퓨즈 조립체를 포함하며, 퓨즈 조립체는, 탄성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핸들부의 회전각을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로드와, 스톱퍼 로드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핀과, 고정핀이 내삽 가능한 튜브와, 고정핀과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핀을 지지하게 되는 낮은 융점을 갖는 열용융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화재 시에 고정부재의 용융에 의해 고정핀의 하강이 발생되어 퓨즈 조립체에 의한 핸들부의 회전각 규제가 해제됨으로서 오동작을 방지하여 작동 신뢰성을 개선하며,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회동축이 수납되어 회동축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 제한수단을 포함하여 블레이드의 회전각 제어를 위한 별도의 기구적인 장치를 부가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안정적인 회전각(open/close) 범위 내에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의 퓨즈 조립체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평면 구성도,
도 6의 (a)는 도 4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며, (b)(c)(d)는 회동축의 작동 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의 퓨즈 조립체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평면 구성도,
도 6의 (a)는 도 4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며, (b)(c)(d)는 회동축의 작동 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는, 공조용 덕트에 설치되는 브라켓(1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브라켓(101)은 블레이드(미도시)의 회전 조작을 위한 회동축(110)이 설치되고 회동축(110)의 일단에는 회동축(110)의 회전 조작을 위한 핸들부(120)가 설치된다.
핸들부(120)는 회동축(110)에 고정되는 레버(121)와, 레버(121)와 일체로 고정되는 회전가이드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110)은 회전 시에 탄성력을 갖는 토션스프링(130)이 구비된다.
회전가이드판(122)의 작동 반경 내에는 핸들부(120)의 회전각을 규제하기 위한 퓨즈 조립체(140)가 마련된다.
퓨즈 조립체(140)는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스톱퍼 로드(141)가 마련된다. 스톱퍼 로드(141)는 회전가이드판(122)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 위치에 따라서 회전가이드판(122)의 회전각을 규제하며, 화재 시에는 스톱퍼 로드(141)는 수직 하강하고 스톱퍼 로드(141)에 의해 지지되었던 회전가이드판(122)은 자유 회전이 가능하여 토션스프링(130)에 탄성 지지되는 회동축(110)이 회전하여 공조용 덕트의 송풍 차단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가이드판(122)은 소정의 반경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갖고 복수의 고정홀(122a)이 형성되며,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가이드판(122)의 회전이 이루어져 스톱퍼 로드(141)가 삽입되는 고정홀(122a)의 위치에 따라서 블레이드의 회전각은 특정 회전각에서 고정된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회동축(110)의 회전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 제한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회전각 제한수단은 회동축(110)이 수납되어 반경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일정 원호각을 갖고 개구되어 회동축(110)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회동축 하우징(15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a)는 도 4의 A-A 선의 단면 구성도이며, (b)(c)(d)는 회동축의 작동 상태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회동축 하우징(150)은 회동축(110)이 수납되는 원통 형상을 갖고, 특정 방향으로 걸림단(151)이 형성되어 반경 방향으로 일정 원호각을 갖고 개구된 가이드공(152)이 형성된다.
한편 회동축(110)은 회동축 하우징(150) 내에 수납되어 회전이 가능하며, 특히 회동축 하우징(150)의 가이드공(152)을 따라서 회전이 가능한 가이드돌기(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의 (b)(c)(d)에 예시된 것과 같이, 회동축(110)은 가이드돌기(111)가 걸림단(151)과 접하게 되는 범위(0°~ 90°) 내에서 회전각이 블레이드의 개폐 조작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퓨즈 조립체(14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스톱퍼 로드(141)가 삽입 위치하게 되는 하우징(142)과, 스톱퍼 로드(141)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체(143)와, 제1탄성체(143)가 안착 위치하여 하우징(142) 내에 수납 고정되는 고정핀(144)과, 고정핀(144)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145)와, 하우징(142) 내에 고정되어 고정핀(144)이 내삽 가능한 튜브(146)와, 고정핀(144)과 튜브(146)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핀(144)을 지지하고 일정 온도 이상에서 융용이 이루어지는 열용융성의 고정부재(14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퓨즈 조립체(140)는, 화재 발생 시에 고정핀(144)을 지지하고 있던 고정부재(147)가 열에 의해 녹으면서 압축 상태인 제1탄성체(14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144)이 하강하게 되며, 이때 스톱퍼 로드(141)도 같이 아래로 이동하여 스톱퍼 로드(141)에 의해 지지되었던 회전가이드판(122)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토션스프링(130)에 의해 회동축(11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송풍 차단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하우징(142) 상부에는 나사 조립되는 세팅 볼트(142a)가 구비되어 하우징(142)은 세팅 볼트(142a)와 함께 브라켓에 고정된다.
스톱퍼 로드(14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몸체(141a)가 마련되며, 제1탄성체(143)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세팅 볼트(142a)와 걸림몸체(141a)에 지지되어 스톱퍼 로드(14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핀(144)은 튜브(146) 보다는 작은 사이즈를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에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고정부재(147)와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는 조립돌기(144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제2탄성체(145)가 안착 위치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헤드부(144b)가 마련될 수 있다.
제2탄성체(145)는 고정핀(144)에 의해 지지되어 스톱퍼 로드(141)를 상방으로 가압 지지하며, 따라서 스톱퍼 로드(141)는 제2탄성체(145)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하우징(142) 바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가이드판(122)의 회전각을 규제한다.
헤드부(144b) 상단에는 제2탄성체(145)가 삽입되어 신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튜브(149)가 부가될 수 있다.
고정부재(147)는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이 가능한 소재가 사용되며, 화재 발생 시에 쉽게 용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융점이 낮은 땜납 등의 합금소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147)는 고정핀(144)과 튜브(146)에 용융되어 사전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정형된 형태(예를 들어, 고리 형상)로서 제작되어 고정핀(144) 및 튜브(146)와 조립이 이루어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납땜방식과 비교하여 조립성이 우수하며 작동 신뢰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47)는 튜브(146)의 내경보다는 큰 지름을 갖고 고정핀(144)이 안착 위치하게 되며, 화재 발생 시에는 용융되어 고정부재(147)에 안착되었던 고정핀(144)은 튜브(146)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하강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47)는 고정핀(144)의 조립돌기(144a)와 끼움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고리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융점 이하의 조건에서 고정핀(144)이 튜브(146) 상부에 위치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면부호 148은 하우징(142)의 하단 개구부에 조립되어 하우징(142)을 봉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회동축 111 : 가이드돌기
120 : 핸들부 130 : 토션스프링
140 : 퓨즈 조립체 141 : 스톱퍼 로드
142 : 하우징 143 : 제1탄성체
144 : 고정핀 145 : 제2탄성체
146 : 튜브 147 : 고정부재
148 : 하부캡 149 : 가이드튜브
150 : 회동축 하우징 151 : 걸림단
152 : 가이드공
120 : 핸들부 130 : 토션스프링
140 : 퓨즈 조립체 141 : 스톱퍼 로드
142 : 하우징 143 : 제1탄성체
144 : 고정핀 145 : 제2탄성체
146 : 튜브 147 : 고정부재
148 : 하부캡 149 : 가이드튜브
150 : 회동축 하우징 151 : 걸림단
152 : 가이드공
Claims (6)
- 공조용 덕트 내에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송풍량을 조절하게 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부와, 화재 시에 상기 핸들부를 조작하여 송풍 차단을 위한 퓨즈 조립체를 포함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에 있어서,
상기 퓨즈 조립체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위치하여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핸들부의 회전각을 규제하기 위한 스톱퍼 로드와;
상기 스톱퍼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제1탄성체가 안착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핀이 내삽 가능한 튜브와;
상기 고정핀과 상기 튜브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을 지지하며,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이 가능한 열용융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고리 형상으로서, 상기 고정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튜브의 상단 개구부에 안착되어 솔더링(soldering)이 아닌 끼움 조립에 의해 상기 고정핀 및 상기 튜브와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로드는 하단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체 하단을 지지하는 걸림몸체를 더 포함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가 삽입되어 제2탄성체의 신축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튜브를 더 포함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축이 수납되어 상기 회동축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제한수단은, 상기 회동축이 수납되어 반경 방향으로 일정 원호각을 갖고 개구되어 회동축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공이 형성된 회동축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793A KR101863554B1 (ko) | 2017-02-27 | 2017-02-27 |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793A KR101863554B1 (ko) | 2017-02-27 | 2017-02-27 |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3554B1 true KR101863554B1 (ko) | 2018-06-01 |
Family
ID=6263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5793A KR101863554B1 (ko) | 2017-02-27 | 2017-02-27 |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3554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46761Y2 (ko) * | 1982-05-18 | 1988-12-05 | ||
JPH0446761Y2 (ko) * | 1984-06-29 | 1992-11-04 | ||
JP2001317801A (ja) * | 2000-04-28 | 2001-11-16 | Ichimon Kiko Kk | 二重管用防火ダンパー |
KR200369005Y1 (ko) | 2004-09-16 | 2004-12-03 | 표용옥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
KR20100122312A (ko) | 2009-05-12 | 2010-11-22 | 임원선 | 화재확산방지 및 풍량조절댐퍼 |
KR20150087679A (ko) * | 2014-01-22 | 2015-07-30 | 원준호 |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
KR101669592B1 (ko) * | 2010-08-31 | 2016-10-26 |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 카메라 모듈 |
-
2017
- 2017-02-27 KR KR1020170025793A patent/KR1018635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46761Y2 (ko) * | 1982-05-18 | 1988-12-05 | ||
JPH0446761Y2 (ko) * | 1984-06-29 | 1992-11-04 | ||
JP2001317801A (ja) * | 2000-04-28 | 2001-11-16 | Ichimon Kiko Kk | 二重管用防火ダンパー |
KR200369005Y1 (ko) | 2004-09-16 | 2004-12-03 | 표용옥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
KR20100122312A (ko) | 2009-05-12 | 2010-11-22 | 임원선 | 화재확산방지 및 풍량조절댐퍼 |
KR101669592B1 (ko) * | 2010-08-31 | 2016-10-26 |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 카메라 모듈 |
KR20150087679A (ko) * | 2014-01-22 | 2015-07-30 | 원준호 |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3333B1 (ko) | 방화댐퍼 | |
KR101878494B1 (ko) | 방화 댐퍼 | |
US6644337B2 (en) | Damper assembly having improved strength characteristics | |
KR102082237B1 (ko) | 방화용 스틸 댐퍼 | |
KR101756588B1 (ko) | 방화용 환풍기 | |
KR20100074363A (ko) | 방화 댐퍼가 구비된 환기구 | |
KR200423332Y1 (ko)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 |
KR101863554B1 (ko) | 방화용 풍량조절 댐퍼 | |
EP1779901B1 (en) | Fire damper | |
US6237630B1 (en) | HVAC damper | |
KR101522299B1 (ko) | 방화용 댐퍼 | |
KR101033313B1 (ko) | 화재확산방지 및 풍량조절댐퍼 | |
CA2629032A1 (en) | Fire damper | |
KR102193624B1 (ko) | 안전스톱퍼가 구비된 파이어댐퍼 | |
KR200477663Y1 (ko) | 방화용 댐퍼 | |
JP2009250552A (ja) | 換気グリル | |
US6250326B1 (en) | Dual temperature fire damper releasing system | |
KR20060025509A (ko)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 |
KR20090090592A (ko) | 방화용 및 방연용 댐퍼 | |
KR102722586B1 (ko) | 방재용 릴리프 댐퍼 | |
KR200369005Y1 (ko)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 |
JP6143323B2 (ja) | 通気装置 | |
EP2398563B1 (en) | Ventilation-duct fire damper and method | |
KR102491719B1 (ko) | 방화용 댐퍼 블레이드 | |
KR102194117B1 (ko) |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