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47Y1 - 방화 댐퍼 - Google Patents

방화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47Y1
KR200485947Y1 KR2020170003914U KR20170003914U KR200485947Y1 KR 200485947 Y1 KR200485947 Y1 KR 200485947Y1 KR 2020170003914 U KR2020170003914 U KR 2020170003914U KR 20170003914 U KR20170003914 U KR 20170003914U KR 200485947 Y1 KR200485947 Y1 KR 200485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ed
shaft
fix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일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일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일티이씨
Priority to KR2020170003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 댐퍼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몸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회전개폐부;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부에 구성되는 제어조작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조작부는, 제1, 2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에 결합되는 결합하우징; 상기 제1, 2관통홀에 대응되는 제1, 2결합홀을 형성하여 결합하우징에 결합되는 설치하우징; 상기 제1관통홀과 제1결합홀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가 회전축에 결합되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코일스프링에 결합되어 몸체의 통로를 폐쇄하려는 작용을 하며, 상부에는 다각돌기를 형성하는 회전작동축; 상기 설치하우징의 제2결합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제2관통홀을 통과하여 몸체의 통로에 배치되는 퓨즈; 회전작동축의 다각돌기가 끼워지는 삽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되, 삽입홀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홀을 구성하며, 제1고정홀을 형성하는 조절플레이트;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퓨즈의 상부에 걸리는 걸이를 구성한 작동걸이;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작동걸이를 탄성조절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회전작동축의 다각돌기에 대응되는 다각홀과, 조절플레이트의 각도홀에 대응되는 체결홀과, 조절플레이트의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을 형성하는 손잡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각도홀을 통해 손잡이의 체결홀에 끼워지는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에 결합되어 손잡이를 고정하는 고정손잡이를 구성한 조절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 결합되어 제1, 2고정홀에 끼워지는 잠금핀을 구성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 댐퍼{A fire damper}
본 고안은 방화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와 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개폐부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로의 개폐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및 조립이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퓨즈의 단락에 의해 통로가 자동 폐쇄되어 화재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절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고정홀과 손잡이에 형성된 제2고정홀에 잠금핀을 끼워넣음으로써, 통로의 완전 개방시 진동에 의한 조절부의 풀림을 방지토록 하여, 제어조작부의 장시간 미조정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화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공공기관, 저층, 중층, 고층 등의 건축물에는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도록 급·배기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덕트는 송풍기에서 흡입 또는 송풍되는 공기를 급·배기 덕트를 통하여 이동되도록 각각의 룸 천장에 분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설치된 급·배기 덕트에는 각각의 분기 구간(방화구획이라 함)에는 댐퍼가 설치되어 공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방화구획마다 댐퍼를 각각 설치하는 것은, 화재 등의 비상시에 일측의 방화구획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염이 덕트를 통하여 다른 이웃한 방화구획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댐퍼가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연기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성가스가 발생하며, 이들은 발생장소로부터 천장 또는 벽에 설치된 급·배기덕트 내로 침입ㆍ전파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되어 재해를 크게 하는 원인이 되므로, 건축법시행령 46조(방화구획)에는 "환기ㆍ난방 또는 냉방시설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적합한 댐퍼를 설치하여야 한다" 라고 하여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부분에 덕트계통을 긴급차단하는 장치, 즉 방화댐퍼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배기 덕트의 방화구획마다 설치되는 방화댐퍼는 화재등의 비상시 대단히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평소에는 사용되지 않게 됨으로 관심을 갖지 않게 되고 특히 천장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관리에 소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급·배기 덕트에 설치된 방화댐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화댐퍼의 각 연결부분의 부식이나 덕트에 쌓인 이물질로 인하여 원래의 기능을 유지하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정기적인 점검 및 작동시험을 통하여 유사시에 확실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방화 댐퍼의 방화댐퍼의 유지 보수 및 점검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방화댐퍼가 높고 어두운 덕트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화댐퍼의 현장 점검시, 댐퍼의 열림 및 닫힘 상태 및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기가 힘든 문제점, 협소한 공간에서 2인 1조가 되어, 1인은 사다리를 잡아주고, 다른 1인은 랜턴을 들고 들어가 위험을 감수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인력 낭비와 작업의 안사고발생위험의 문제점, 소방점검시 화재수신반에서 신호를 보내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있으므로, 화재수신반에 오작동이 발생했을 때 방화댐퍼 자체를 해체하여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방화댐퍼의 유지 보수 및 점검작업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인력 등이 투입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4525호와 같은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KR 제10-1544525호 (2015.08.07.) B1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 원준호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방화 댐퍼 개폐장치는 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산업용에 사용하는 방화 댐퍼로서,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공조용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간격유지공에 고정돌기를 끼워 넣는 것으로 방화 댐퍼 개폐장치의 고정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고정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통로의 개폐를 원하는 만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와 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개폐부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로의 개폐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및 조립이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퓨즈의 단락에 의해 통로가 자동 폐쇄되어 화재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절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고정홀과 손잡이에 형성된 제2고정홀에 잠금핀을 끼워넣음으로써, 통로의 완전 개방시 진동에 의한 조절부의 풀림을 방지토록 하여, 제어조작부의 장시간 미조정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화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몸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회전개폐부;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외부에 구성되는 제어조작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조작부는, 제1, 2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에 결합되는 결합하우징; 상기 제1, 2관통홀에 대응되는 제1, 2결합홀을 형성하여 결합하우징에 결합되는 설치하우징; 상기 제1관통홀과 제1결합홀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가 회전축에 결합되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코일스프링에 결합되어 몸체의 통로를 폐쇄하려는 작용을 하며, 상부에는 다각돌기를 형성하는 회전작동축; 상기 설치하우징의 제2결합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제2관통홀을 통과하여 몸체의 통로에 배치되는 퓨즈; 회전작동축의 다각돌기가 끼워지는 삽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되, 삽입홀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홀을 구성하며, 제1고정홀을 형성하는 조절플레이트;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 힌지결합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퓨즈의 상부에 걸리는 걸이를 구성한 작동걸이; 상기 조절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작동걸이를 탄성조절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회전작동축의 다각돌기에 대응되는 다각홀과, 조절플레이트의 각도홀에 대응되는 체결홀과, 조절플레이트의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을 형성하는 손잡이; 상기 조절플레이트의 각도홀을 통해 손잡이의 체결홀에 끼워지는 볼트축과, 상기 볼트축에 결합되어 손잡이를 고정하는 고정손잡이를 구성한 조절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 결합되어 제1, 2고정홀에 끼워지는 잠금핀을 구성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방화 댐퍼를 이용하면, 손잡이와 조절부를 이용하여 회전개폐부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조절할 수 있으므로 통로의 개폐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 및 조립이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퓨즈의 단락에 의해 통로가 자동 폐쇄되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절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고정홀과 손잡이에 형성된 제2고정홀에 잠금핀을 끼워넣음으로써, 통로의 완전 개방시 진동에 의한 조절부의 풀림을 방지토록 할 수 있으므로, 제어조작부의 장시간 미조정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방화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어조작부의 조작을 통로가 완전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휴즈가 작동하여 통로가 완전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어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어조작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미도시)에 설치되어 공기의 통과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토록 하는 방화 댐퍼(500)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통로(110)를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각각 결합되어 몸체(100)의 통로(110)를 개폐하는 블레이드(220)로 이루어진 회전개폐부(200); 하나의 회전축(210)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구성되는 제어조작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조작부(300)는, 제1, 2관통홀(311, 312)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결합하우징(310); 상기 제1, 2관통홀(311, 312)에 대응되는 제1, 2결합홀(321, 322)을 형성하여 결합하우징(310)에 결합되는 설치하우징(320); 상기 제1관통홀(311)과 제1결합홀(321)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가 회전축(210)에 결합되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코일스프링(331)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통로(110)를 폐쇄하려는 작용을 하며, 상부에는 다각돌기(333)를 형성하는 회전작동축(330);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제2결합홀(32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제2관통홀(312)을 통과하여 몸체(100)의 통로(110)에 배치되는 퓨즈(340); 회전작동축(330)의 다각돌기(333)가 끼워지는 삽입홀(353)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상부에 안착되되, 삽입홀(353)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홀(355)을 구성하며, 제1고정홀(357)을 형성하는 조절플레이트(350);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 힌지(361)결합되는 힌지결합부(363)와, 상기 힌지결합부(363)에 일체로 구성되어 퓨즈(340)의 상부에 걸리는 걸이(365)를 구성한 작동걸이(360);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 결합합되어 작동걸이(360)를 탄성조절하는 탄성스프링(370); 상기 회전작동축(330)의 다각돌기(333)에 대응되는 다각홀(383)과, 조절플레이트(350)의 각도홀(355)에 대응되는 체결홀(385)과, 조절플레이트(350)의 제1고정홀(357)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387)을 형성하는 손잡이(380);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의 각도홀(355)을 통해 손잡이(380)의 체결홀(385)에 끼워지는 볼트축(391)과, 상기 볼트축(391)에 결합되어 손잡이(380)를 고정하는 고정손잡이(393)를 구성한 조절부(390); 상기 손잡이(380)에 연결되는 연결줄(410)과, 상기 연결줄(410)에 결합되어 제1, 2고정홀(357, 387)에 끼워지는 잠금핀(420)을 구성한 잠금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몸체(100)는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통상의 하우징으로, 상판과 하판 및 좌, 우판의 결합을 통해 조립되어 구성된다.
또한, 회전개폐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통로(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등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회동조절되는 구성으로, 복수 개의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110)에 각각 결합되어 몸체(100)의 통로(110)를 개폐하는 통상의 블레이드(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20)는 통상의 연결대를 통해 각각 힌지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회전축(210) 조작시 동시 구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에 공지된 구성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조작부(300)는 본 고안의 특징이 되는 구성으로, 하나의 회전축(210)에 연결되도록 몸체(100)의 외부 즉, 상판에 구성되며, 결합하우징(310)과, 설치하우징(320)과, 회전작동축(330)과, 퓨즈(340)와, 조절플레이트(350)와, 작동걸이(360)와, 탄성스프링(370)과, 손잡이(380)와, 조절부(390)와, 잠금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결합하우징(310)은 제어조작부(300)를 몸체(100)의 상판에 연결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의 볼트결합을 통해 설치되며, 회전축(210)의 결합을 위한 제1관통홀(311)과 퓨즈(340)의 삽입을 위한 제2관통홀(312)을 형성하여 몸체(100)에 구성된 상판의 외부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둘째, 설치하우징(320)는 제어조작부(300)의 구성품들의 설치를 위하여 결합하우징(310)에 볼트 결합되는 구성으로, 회전축(210)과 결합되는 회전작동축(3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1관통홀(311)에 대응되는 제1결합홀(321)을 형성함과 더불어, 하부가 몸체(100)의 통로(110)상에 배치되는 휴즈(3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제2관통홀(312)에 대응되는 제2결합홀(3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331)의 탄성력에 의한 회전작동축(330)의 회전력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턱(32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하우징(32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331)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고정돌부(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회전작동축(3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홀(311)과 제1결합홀(321)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가 회전축(210)에 결합되어 손잡이(380)의 조작을 통해 회전축(210)을 회동조절하는 구성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코일스프링(331)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통로(110)를 폐쇄하려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회전작동축(330)은 코일스프링(331)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하부에는 코일스프링(331)의 하단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스프링(331)의 상단은 설치하우징(320)의 고정돌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회전작동축(330)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작용을 이루게 하는 작용을 하며, 이는 화재 발생에 따른 퓨즈(340)의 단락시 통로(110)의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작동축(330)의 상부에는 손잡이(380)와의 결합을 위한 다각돌기(333)가 구성되는데, 상기 다각돌기(333)의 내부에는 볼트결합을 위한 통상의 암나사가 형성된다.
넷째, 퓨즈(3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제2결합홀(32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제2관통홀(312)을 통과하여 하부가 몸체(100)의 통로(110)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부에는 작동걸이(360)의 걸이가 걸리는 돌출봉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봉은 화재발생시 퓨즈(340)의 단락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 이동되며, 이는 종래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섯째, 조절플레이트(350)는 손잡이를 이용한 통로의 개폐량을 정확히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작동축(330)의 다각돌기(333)가 끼워지는 삽입홀(353)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는 삽입홀(353)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각도홀(35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각도홀(355)은 회전개폐부(200)를 90˚의 각으로 조작하여 통로(110)의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도홀(355)의 외측방향으로는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자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는 손잡이(380)의 완전한 고정을 위한 제1고정홀(357)과, 탄성스프링(370)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1걸림턱(359)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섯째, 작동걸이(360)는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와 퓨즈(340)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조절플레이트(350)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 힌지(361)결합되어 힌지(36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힌지결합부(363)와, 상기 힌지결합부(363)에 일체로 구성되어 퓨즈(340)의 상부에 구성된 돌출봉에 걸리는 걸이(365)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재 발생에 따른 퓨즈(340)에 단락에 따라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걸이(360)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370)의 끝단이 걸리는 제2걸림턱(369)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곱째, 탄성스프링(370)은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 결합되어 작동걸이(360)를 탄성조절하는 구성으로, 조절플레이트(350)에 결합되는 볼트(371)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로 너트(372)에 의해 고정되는 스프링본체(373)와, 상기 스프링본체(373)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2탄성돌기(374, 37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탄성돌기(374, 375)는 상기 작동걸이(360)에 회전력을 탄성적으로 가하기 위한 구성으로,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제1탄성돌기(374)가 조절플레이트(350)에 구성된 제1걸림턱(359)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제2탄성돌기(375)는 작동걸이(360)에 구성된 제2걸림턱(369)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여덟째, 손잡이(380)는 회전작동축(330)의 조절을 위하여 상기 회전작동축(330)의 다각돌기(333)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다각돌기(333)에 대응되는 다각홀(383)을 형성하여 상기 다각돌기(333)에 끼워지며, 상기 다각홀(373)을 통한 다각돌기(333)와의 볼트결합을 통해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와 손잡이(38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380)에는 조절플레이트(350)의 각도홀(355)에 대응되는 체결홀(385)이 형성되어 조절부(390)를 이용한 손잡이(380)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380)를 이용한 조정을 통해 통로(110)의 개방이 완전이 이루어진 지점에는 조절플레이트(350)의 제1고정홀(357)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387)이 손잡이(380)에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잠금수단(400)을 이용한 손잡이(380)의 잠금을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380)의 일단에는 정확한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80)에는 제한볼트(389)가 더 포함되어 결합됨으로써 설치하우징(320)에 형성된 제한턱(325)에 걸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손잡이(380)가 회전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홉째, 조절부(3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110)의 개폐를 조절하는 손잡이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의 각도홀(355)을 통해 손잡이(380)의 체결홀(385)에 끼워지는 볼트축(391)과, 상기 볼트축(391)에 결합되어 손잡이(380)를 고정하는 고정손잡이(39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손잡이(393)의 풀림 방지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380)와 고정손잡이(393)의 사이에는 볼트축(391)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와셔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볼트축(391)의 하부에는 헤드와 연결되는 사각돌부를 구성하여, 상기 사각돌부가 조절플레이트(350)의 각도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고정손잡이(393)의 조임시 상기 볼트축(391)이 회동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여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째, 잠금수단(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플레이트(350)에 형성된 제1고정홀(357)과 손잡이(380)에 형성된 제2고정홀(387)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로 체결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조절부(390)의 풀림에도 손잡이(38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분실방지를 위해 손잡이(380)에 연결되는 연결줄(410)과, 상기 연결줄(410)에 결합되어 제1, 2고정홀(357, 387)에 끼워지는 잠금핀(3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절부(390)에 구성된 고정손잡이(393)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33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작동축(3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손잡이(380)에 구성된 제한볼트(389)가 설치하우징(320)의 제한턱(325)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며, 이때, 몸체(100)의 통로(110)는 회전개폐부(20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작업자는 손잡이(3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통로(110)를 원하는 만큼 정확히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38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에는 조절부(390)에 구성된 고정손잡이(393)를 조이는 것만으로 상기 손잡이(38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통로(110)의 조절된 개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로(110)의 개폐는 공기조화를 위하여 회전개폐부(200)를 정확한 각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최대 풍량의 유입을 위하여 완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때가 많은데, 이와 같이 통로(110)가 완전개방되면 진동에 의한 떨림이 많이 발생하여 장시간 운전시 고정손잡이(393)가 스스로 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통로(110)가 폐쇄되어 공기조화가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조절플레이트(350)의 제1고정홀(357)과 손잡이(380)의 제2고정홀(387)에 끼워지는 잠금수단(400)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잠금수단(400)을 이용한 조절플레이트(350)와 손잡이(380)의 체결시에는 진동에 의해 고정손잡이(393)가 풀린다 하더라도 손잡이(380)가 움직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원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통로(110)의 폐쇄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퓨즈(340)가 단락되어 작동걸이(360)를 지지하고 있던 힘이 사라진다.
따라서 퓨즈(340)에 걸린 작동걸이(360)를 통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회전작동축(330)이 코일스프링(331)의 힘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와 손잡이(38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통로(110)의 자동 폐쇄가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손잡이(380)의 움직임은 제한볼트(389)가 제한턱(325)에 걸리는 것에 의해 정지되어 통로(110)의 폐쇄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110 : 통로
200 : 회전개폐부 210 : 회전축 220 : 블레이드
300 : 제어조작부
310 : 결합하우징 311, 312 : 제1, 2관통홀
320 : 설치하우징 321, 322 : 제1, 2결합홀 325 : 제한턱
330 : 회전작동축 331 : 코일스프링 333 : 다각돌기
340 : 퓨즈
350 : 조절플레이트 353 : 삽입홀 355 : 각도홀 357 : 제1고정홀 359 : 제1걸림턱
360 : 작동걸이 361 : 힌지 363 : 힌지결합부 365 : 걸이 369 : 제2걸림턱
370 : 탄성스프링 371 : 볼트 372 : 너트 373 : 스프링본체 374, 375 : 제1, 2탄성돌기
380 : 손잡이 383 : 다각홀 385 : 체결홀 387 : 제2고정홀 389 : 제한볼트
390 : 조절부 391 : 볼트축 393 : 고정손잡이
400 : 잠금수단 410 : 연결줄 420 : 잠금핀
500 : 방화 댐퍼

Claims (3)

  1. 내부에 통로(110)를 형성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각각 결합되어 몸체(100)의 통로(110)를 개폐하는 블레이드(220)로 이루어진 회전개폐부(200);
    하나의 회전축(210)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구성되는 제어조작부(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조작부(300)는,
    제1, 2관통홀(311, 312)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결합하우징(310);
    상기 제1, 2관통홀(311, 312)에 대응되는 제1, 2결합홀(321, 322)을 형성하여 결합하우징(310)에 결합되는 설치하우징(320);
    상기 제1관통홀(311)과 제1결합홀(321)에 끼워진 상태로 하부가 회전축(210)에 결합되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코일스프링(331)에 결합되어 몸체(100)의 통로(110)를 폐쇄하려는 작용을 하며, 상부에는 다각돌기(333)를 형성하는 회전작동축(330);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제2결합홀(322)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제2관통홀(312)을 통과하여 몸체(100)의 통로(110)에 배치되는 퓨즈(340);
    회전작동축(330)의 다각돌기(333)가 끼워지는 삽입홀(353)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상부에 안착되되, 삽입홀(353)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홀(355)을 구성하며, 제1고정홀(357)을 형성하는 조절플레이트(350);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 힌지(361)결합되는 힌지결합부(363)와, 상기 힌지결합부(363)에 일체로 구성되어 퓨즈(340)의 상부에 걸리는 걸이(365)를 구성한 작동걸이(360);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에 결합되는 볼트(371)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로 너트(372)에 의해 고정되는 스프링본체(373)와, 상기 스프링본체(373)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2탄성돌기(374, 375)로 구성되되, 상기 제1탄성돌기(374)는 조절플레이트(350)에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제1걸림턱(359)에 걸리고, 상기 제2탄성돌기(375)는 작동걸이(360)에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제2걸림턱(369)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작동걸이(360)를 탄성조절하는 탄성스프링(370);
    상기 회전작동축(330)의 다각돌기(333)에 대응되는 다각홀(383)과, 조절플레이트(350)의 각도홀(355)에 대응되는 체결홀(385)과, 조절플레이트(350)의 제1고정홀(357)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387)을 형성하는 손잡이(380);
    상기 조절플레이트(350)의 각도홀(355)을 통해 손잡이(380)의 체결홀(385)에 끼워지는 볼트축(391)과, 상기 볼트축(391)에 결합되어 손잡이(380)를 고정하는 고정손잡이(393)를 구성한 조절부(390);
    상기 손잡이(380)에 연결되는 연결줄(410)과, 상기 연결줄(410)에 결합되어 제1, 2고정홀(357, 387)에 끼워지는 잠금핀(420)을 구성한 잠금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하우징(320)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한턱(32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380)에는 제한턱(325)에 걸리는 제한볼트(38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코일스프링(33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전작동축(33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댐퍼.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3914U 2017-07-27 2017-07-27 방화 댐퍼 KR200485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14U KR200485947Y1 (ko) 2017-07-27 2017-07-27 방화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14U KR200485947Y1 (ko) 2017-07-27 2017-07-27 방화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47Y1 true KR200485947Y1 (ko) 2018-03-16

Family

ID=6180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14U KR200485947Y1 (ko) 2017-07-27 2017-07-27 방화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47U (ko) * 2018-04-25 2019-11-04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20210000188U (ko) 2019-07-15 2021-01-25 성호경 댐퍼용 개폐핸들
KR20210030698A (ko) * 2019-09-10 2021-03-18 이성한 에어닥트용 방화 및 풍량조절댐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021B1 (ko) * 2004-12-17 2006-09-19 표용옥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KR20130026226A (ko) * 2011-09-05 2013-03-13 (주)다리온 방화용 댐퍼
KR101533964B1 (ko) * 2014-11-19 2015-07-07 주식회사성일 티이씨 방화용 댐퍼
KR101544525B1 (ko) 2014-01-22 2015-08-13 원준호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021B1 (ko) * 2004-12-17 2006-09-19 표용옥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KR20130026226A (ko) * 2011-09-05 2013-03-13 (주)다리온 방화용 댐퍼
KR101544525B1 (ko) 2014-01-22 2015-08-13 원준호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KR101533964B1 (ko) * 2014-11-19 2015-07-07 주식회사성일 티이씨 방화용 댐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47U (ko) * 2018-04-25 2019-11-04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200491310Y1 (ko) 2018-04-25 2020-03-18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20210000188U (ko) 2019-07-15 2021-01-25 성호경 댐퍼용 개폐핸들
KR200493894Y1 (ko) * 2019-07-15 2021-06-23 성호경 댐퍼용 개폐핸들
KR20210030698A (ko) * 2019-09-10 2021-03-18 이성한 에어닥트용 방화 및 풍량조절댐퍼
KR102313724B1 (ko) * 2019-09-10 2021-10-15 이성한 에어덕트용 방화 및 풍량조절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947Y1 (ko) 방화 댐퍼
US8062108B2 (en) Magnetically actuated auto-closing air vent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KR200423332Y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101283204B1 (ko) 방화용 댐퍼
KR102241171B1 (ko) 더블 솔레노이드 작동기를 갖는 방화댐퍼
US5810662A (en) Compact smoke and fire damper with over center latch
KR102058079B1 (ko) 환기 및 소방 겸용 댐퍼를 갖는 제연설비
KR20150146294A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1638406B1 (ko)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US11879640B2 (en) Combustion air proving apparatus with burner cut-off capability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US6019679A (en) Fire and smoke damper
KR101290696B1 (ko) 시건장치가 구비된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용 댐퍼
KR101544525B1 (ko) 개폐 유무 표시기능을 갖는 방화 댐퍼 개폐장치
KR101522296B1 (ko) 댐퍼용 개폐핸들
KR102330156B1 (ko) 열감응과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오토 셀프 방화댐퍼
KR100622021B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KR20070113074A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101496614B1 (ko) 창문과 자동 창문 개폐 장치의 결합 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 창문 개폐 장치
KR102580522B1 (ko) 화장실 부착 배연문을 통한 배연장치, 배연방법 및 배연시스템
RU2329078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клапан для воздуховодов
KR100491383B1 (ko) 방화문 자동해정장치
KR101542087B1 (ko) 방화문용 도어릴리즈의 잠금해제장치
GB2098475A (en) Damper blade actu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