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204B1 - 방화용 댐퍼 - Google Patents

방화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204B1
KR101283204B1 KR1020110089718A KR20110089718A KR101283204B1 KR 101283204 B1 KR101283204 B1 KR 101283204B1 KR 1020110089718 A KR1020110089718 A KR 1020110089718A KR 20110089718 A KR20110089718 A KR 20110089718A KR 101283204 B1 KR101283204 B1 KR 10128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re
lever
blade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226A (ko
Inventor
유진철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다리온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2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발생시 방화구획을 통과하는 덕트에 장착되어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덕트에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프레임을 가로 질러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샤프트 상에 각각 고정되어 프레임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된 연결 링크; 상기 다수의 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핸들부; 및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중 최하단의 블레이드를 프레임 하부 모서리에 연결시키고, 103℃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스프링의 작용력으로 탈락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의 회전을 허용하여 댐퍼를 닫아주도록 된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을 포함하여 화재시에만 고융점의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이 용융탈락하고, 블레이드의 닫침 상태를 외부에 설치된 연결 링크를 통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긴급 비상시에는 핸들부의 레버 조작을 통하여 닫침 상태의 블레이드를 쉽게 회전시켜 댐퍼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방화용 댐퍼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고, 기대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방화용 댐퍼{FIRE VOLUME DAMPER}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발생시 방화구획을 통과하는 덕트에 장착되어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된 조작 핸들과 링크를 통하여 작업자가 블레이드 각도를 일시에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용융점이 높은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의 설치 개수를 증가시켜서 오조작이 없이 화재시에만 안정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프레임, 블레이드 및 샤프트의 두께와 직경을 확대시켜 구조적으로 보강시킴으로써 오랜 시간 사용시에도 프레임으로부터 블레이드가 탈락되어 댐퍼가 오작동되고, 댐퍼를 폐쇄시키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된 방화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고층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화재가 건축물 전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 구조의 바닥 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 셔터 등으로 일정 구간을 구획하여 형성하는 방화 구획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방화 구획에 위치한 덕트에는 통상적으로 방화용 댐퍼(FIRE VOLUME DAMPER)가 장착되며, 이와 같은 방화용 댐퍼는 덕트를 통하여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용 덕트(1)의 일례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방화용 댐퍼(1)는 덕트(10)의 중간에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20)을 갖추고,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는 다수의 블레이드(30)들이 나란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블레이드(30)들은 프레임(2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된 연결 링크(40)들이 블레이드(30)의 중간을 상하방향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최상부측 블레이드(40)에는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50)가 프레임(20)과의 사이를 연결하고, 최하부측 블레이드(30)에는 스프링(60)이 프레임(20)과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용 댐퍼(1)는 프레임(20)의 내측 블레이드(30)들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건물에 화재 발생시에는 덕트(10) 내부를 통과하는 화염과 유독 가스에 의해서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50)가 용융되며, 이때에는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블레이드(30)들을 일시에 닫음으로써 덕트(10)를 통한 화염과 유동가스가 방화 구획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용 댐퍼(1)에서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50)의 동작온도는 통상적으로 72℃의 온도에서 용융되도록 제작되어 있고, 최상부측 블레이드(30)에는 단지 하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50)가 프레임(20) 과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72℃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하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50)는 종래의 방화용 댐퍼(1)를 종종 오동작시키게 되는데, 그다지 높은 온도로 과열되지 않은 비상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종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50)는 쉽게 용융되어 탈락하고 블레이드(30)들을 닫는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50)는 그 사용시간이 오래되면, 자연적인 부식에 의해서 그 탈락 강도가 저하되어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력에 의해서 블레이드(30)들을 닫는다.
이와 같이 방화용 댐퍼(1)에서 블레이드(30)들이 닫치면, 건축물 내의 환기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를 교환하여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4시간 이상의 교체시간과 관련 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특히 산업시설인 경우에는 공장 가동이 중단되어 그 비용적인 손실은 막대하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화용 댐퍼(1)는 블레이드(30)의 동작시 이들을 일시에 작동시키는 연결 링크(40)가 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링크(40)의 배치 구조는 방화용 댐퍼(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도조절용 수분으로 인하여 집중적으로 부식을 받게 되어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부식이 초래된다.
따라서 블레이드(30)의 회동 작동시, 블레이드(30)들이 일시에 동작하지 못하고, 연결 링크(40)로부터 탈락되어 블레이드(30)가 정확하게 닫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켜서 방화용 댐퍼(1)의 오조작을 발생시키고, 그로 인한 건물 및 인명 피해를 심각하게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링크(40)는 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되는 한, 시간 경과에 따라서 부식이 심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링크(50)의 부식은 블레이드(30)를 고정시키는 구조적인 강도를 저하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블레이드(30)가 닫치도록 하여 방화용 댐퍼(1)를 오동작시킨다.
또한 종래의 방화용 댐퍼(1)는 화재 발생시, 또는 오동작으로 인하여 블레이드(30)들이 닫치는 경우, 이를 긴급으로 열어서 비상조치를 하고, 공장시설 또는 인명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용 댐퍼(1)를 긴급으로 열기 위한 개방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종래의 방화용 댐퍼(1)는 연결 링크(40)가 프레임(20)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방화용 댐퍼(1)가 닫친 것인지, 또는 열린 상태인지를 외부에서 작업자가 쉽게 인식할 수가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일방적으로 종래의 방화용 댐퍼(1)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은 비상조치 시간을 크게 지연시켜서 최소 4시간 이상 댐퍼 개방을 지연시키게 되고, 화재로 인한 2차 피해를 크게 확대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화용 댐퍼(1)의 경우, 담퍼(1)가 닫치게 되어 긴급으로 이를 개방시킬 필요가 있게 되면, 작업자가 1차적으로 방화용 댐퍼(1)의 닫침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2차적으로는 닫친 댐퍼(1)를 쉽게 열어서 비상조치가 가능하여야 화재시 큰 피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화재시 긴급 조치를 위한 비상 수단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화용 댐퍼(1)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는데, 이는 방화용 댐퍼(1)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수분이 연결 링크(40)는 물론, 블레이드(30)와, 블레이드(30)를 프레임(20)에 연결시키는 샤프트의(32) 강도를 약화시킨다.
따라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블레이드(30)와, 샤프트(32)의 부식으로 인하여 블레이드(30)와 샤프트(32)가 프레임(20)으로부터 탈락되거나, 또는 블레이드(30)와 샤프트(32) 간의 탈락이 발생되어 오동작으로 방화용 댐퍼(1)가 닫치는 문제점이 빈번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화용 댐퍼(1)는 프레임(20)의 내부 부재, 즉 다수의 블레이드(30)들과, 이들 블레이드(30)를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샤프트(32)의 구조적인 강화를 통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가 확실한 화재시에만 동작하도록 그 용융점 온도를 높이고, 최하단의 블레이드에 다수 연결되어 화재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로 인한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방화용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 연결 링크를 프레임 외측에 배치하여 댐퍼를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으로 인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블레이드와의 탈락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블레이드를 동작시킬 수 있음으로써 블레이드의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방화용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댐퍼의 닫침 작동시, 그 닫침 상태를 외부에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비상작업으로 블레이드를 긴급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어서, 화재시 2차적으로 발생하는 재산 피해 또는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방화용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간이 장시간 경과하여도 프레임, 블레이드를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샤프트의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음으로써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의 작동없이 댐퍼가 돌발적으로 닫치는 오동작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방화용 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덕트에 장착되어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덕트에 있어서,
덕트에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프레임을 가로 질러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샤프트 상에 각각 고정되어 프레임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샤프트들의 일측 끝단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다수의 수평 링크 부재들과, 상기 수평 링크 부재들을 모두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수평 링크 부재들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단일 수직 링크를 포함한 연결 링크;
상기 다수의 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회전축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작동으로 회전축을 통해서 이에 연결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및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중 최하단의 블레이드를 프레임 하부 모서리에 연결시키고, 103℃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스프링의 작용력으로 탈락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의 회전을 허용하여 댐퍼를 닫아주도록 된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을 포함하여 화재시에만 고융점의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이 용융탈락하고, 블레이드의 닫침상태를 외부에 설치된 연결 링크를 통하여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긴급 비상시에는 핸들부의 레버 조작을 통하여 닫침 상태의 블레이드를 쉽게 회전시켜 댐퍼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방화용 댐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4mm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들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샤프트는 적어도 ø30mm 직경의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은 프레임에 대해서 각각 베어링 부재들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들의 일측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링크의 수평 링크 부재들과 하나의 수직 링크 부재는 적어도 4mm 두께의 스테인레스 바(bar)로 이루어져서 상기 프레임, 샤프트 및 연결 링크들은 구조적으로 견고히 보강되며, 상기 다수의 샤프트 중 중앙에 위치된 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핸들부의 레버 작동이 이루어지면, 연결 링크를 통하여 다수의 샤프트들과, 이에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들이 동시에 모두 동일한 각도로 회전작동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레버 회동을 정지시키는 잠금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레버 중간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궤적 상에 오목하게 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고정 볼트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이 중앙을 관통하는 "⊃"형 단면의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고정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너트에 나사결합되어 조여지면 레버 회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 볼트와 너트의 나사 결합 조임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레버의 회동을 허용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레버의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각도 표시부는 레버의 끝단에서 뾰쪽하게 돌출된 지시 침과, 상기 지시 침에 의해서 레버 회전 각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레버의 회전축 둘레에서 상기 브라켓 상에 표시된 원호형의 각도 눈금을 포함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핸들부의 반대측 프레임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핸들부와 동일한 프레임의 측방 및 핸들부의 반대측 측방 모두에 설치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은 4개가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각각은 103℃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탈락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은 4개가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서 배치되고, 그 각각은 103℃ 내지 28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탈락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에 의하면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를 기존의 하나에서 4개로 증가시키고, 용융점도 73℃로부터 103℃ 내지 280℃의 온도범위로 높아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는 확실한 화재시에만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로 인한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에 의하면, 기존의 연결 링크가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된 것과는 다르게, 블레이드 연결 링크를 프레임 외측에 배치하여 댐퍼를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으로 인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 링크는 블레이드와의 탈락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블레이드를 동작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블레이드의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에 의하면, 연결 링크가 프레임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댐퍼의 닫침 작동시 그 닫침 상태를 작업자가 외부에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핸들부에 마련된 레버조작을 통해서 비상작업으로 블레이드를 긴급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시, 댐퍼가 닫침 상태로 유지되어 발생할 수 있는 2차적인 재산 피해 또는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에 의하면, 프레임, 연결 링크등이 모두 4mm 두께 이상의 스테인레스 재료로 이루어지고, 샤프트도 ø30mm 직경의 크기로 확대된 상태이므로, 시간이 장시간 경과하여도 프레임, 블레이드와, 블레이드를 프레임에 연결시키는 샤프트의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음으로써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의 작동없이 댐퍼가 돌발적으로 닫치는 오동작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방화용 댐퍼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고, 기대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화용 댐퍼가 덕트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화용 댐퍼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가 덕트에 장착되는 상태를 우측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가 덕트에 장착되는 상태를 좌측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에 구비된 연결 링크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에 구비된 핸들부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가 닫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는 건축물의 덕트(110)에 장착되어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는 도 2 및 도 3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10)에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1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20)은 적어도 4mm 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으로 이루어져서 기존의 2mm 두께보다 크게 구조적으로 보강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덕트(110) 단면에 일치하는 사각 박스형 또는 원통형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는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에서 프레임(120)을 가로 질러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샤프트(132) 상에 각각 고정되어 프레임(120)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1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블레이드(130)들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샤프트(132)는 적어도 ø30mm 직경의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기존의 ø20mm 직경보다 구조적으로 강화된 것이며, 그 양단은 프레임(120)에 대해서 각각 베어링(136)들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는 상기 프레임(120)의 외측에 위치된 연결 링크(1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연결 링크(140)는 기존과는 다르게 프레임(120)의 외측에 배치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32)들의 일측 끝단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다수의 수평 링크 부재(142)들과, 상기 수평 링크 부재(142)들을 모두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수평 링크 부재(142)들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단일 수직 링크 부재(144)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샤프트(132)들의 일측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링크(140)의 수평 링크 부재(142)들과 하나의 수직 링크 부재(144)들도 모두 적어도 4mm 두께의 스테인레스 바(bar)로 이루어져서 기존의 2mm 두께보다 크게 구조적으로 보강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결 링크(140)는 이후에 설명되는 핸들부(160)의 반대측 프레임(120)에 배치되거나, 또는 핸들부(160)와 동일한 프레임(120)의 측방 및 핸들부(160)의 반대측 측방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링크(140)는 통상적으로는 핸들부(160)의 반대쪽에 설치되지만, 댐퍼(100)의 가로 길이가 길 경우, 회전력 전달에 문제가 생길 것을 고려하여 핸들 쪽과 반대쪽 모두에 연결 링크(1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는 도 2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0)의 외측에서 다수의 샤프트(132) 중 어느 하나에 회전축(162)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162)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레버(164)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164)의 회전작동으로 회전축(162)을 통해서 이에 연결된 샤프트(132)를 회전시키는 핸들부(16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핸들부(160)는 상기 다수의 샤프트(132) 중, 그 중앙에 위치된 샤프트(132)의 일측 끝단에, 상기 핸들부(160)의 회전축(162)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핸들부(160)의 레버(164) 작동이 이루어지면, 연결 링크(140)를 통하여 다수의 샤프트(132)들과, 이에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130)들이 동시에 모두 동일한 각도로 회전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레버(164)의 회전작동으로 샤프트(132)들과 이에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130)들을 일시에 회전작동시킬 수 있는 핸들부(160)는 화재시,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댐퍼(100)가 닫친 경우, 이를 긴급하게 열 수 있어서 비상조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사용하기 편리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핸들부(160)는 상기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한 레버(164)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잠금부(170)를 추가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잠금부(170)는 레버(164) 중간을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는 고정 볼트(172)와, 상기 고정 볼트(172)가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궤적 상에 오목하게 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174) 및 상기 가이드 홈(174)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 볼트(172)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17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정 볼트(172)는 레버(164)의 중간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고, 가이드 홈(174)의 내측에서 너트(176)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홈(174)은 핸들부(160)의 회전축(162)이 중앙을 관통하는 "⊃"형 단면의 브라켓(178)을 관통하도록 일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잠금부(170)는 작업자가 상기 고정 볼트(172)와 너트(176)의 나사 결합 조임 작동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 홈(174)에 고정 볼트(172)가 결합하는데, 이와 같이 고정 볼트(172)의 끝단이 가이드 홈(17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너트(176)에 결합하면 레버(164)의 회동을 고정시켜서 회전축(162)을 고정시키고, 결과적으로 샤프트(132)를 통하여 블레이드(130)를 그 상태로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 볼트(172)와 너트(176)의 나사 결합 조임 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고정 볼트(172)가 가이드 홈(174)으로부터 빠져서, 상기 레버(164)는 그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이고, 샤프트(132)들을 통하여 블레이드(130)들의 회동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핸들부(160)는 레버(164)의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180)를 추가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각도 표시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64)의 끝단에서 뾰쪽하게 돌출된 지시 침(182)과, 상기 지시 침(182)에 의해서 레버(164) 회전 각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레버(164)의 회전축(162) 둘레에서 상기 브라켓(178) 상에 표시된 원호형의 각도 눈금(18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각도 표시부(180)는 레버(164)의 회전으로 블레이드(130)가 회전하면, 레버(164)에 마련된 지시 침(182)이 각도 눈금(184) 상에서 그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프레임(120)의 외부에서 블레이드(130)의 회전각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는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30) 중 최하단의 블레이드(130)를 프레임(120) 하부 모서리에 연결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을 구비한다.
즉, 이와 같은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4개가 프레임(120)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등간격이 아닌 불규칙한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은 각각 103℃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스프링(196)의 작용력으로 탈락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30)들의 회전을 허용하여 댐퍼(100)를 닫아주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103℃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탈락될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이와 같은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은 그 각각이 103℃ 내지 28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탈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은 기존의 73℃의 용융점 온도보다 크게 높아져서 적어도 103℃ 이상으로 높아진 것이다.
이와 같이 높아진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의 용융점은 화재가 아닌 일반적인 고온에 의해서는 용융되거나 구조적인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확실한 화재 발생시에만 용융되어 탈락된다.
또한 이와 같이 4개가 마련된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은 기존의 하나의 구조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도 크게 증가된 것이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여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이 구조적으로 열화되는 경우에도, 기존에 비하여 적어도 4배 이상의 구조적인 강도 향상을 보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는 덕트(110)에 장착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30)들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최상단의 블레이드(130)는 스프링(196)에 의해서 프레임(120)의 상부 모서리에 대해 당겨진다. 그리고, 최하단의 블레이드(130)는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을 통하여 프레임(120)의 하부 모서리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130)의 개방상태에서는 스프링(196)에 의한 최상단 블레이드(130)의 당김 작동이 최하단 블레이드(130)에 연결된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에 의해서 차단되어 다수의 블레이드(130)들이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댐퍼(100)의 내부에서는 환기가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유독 가스와 화염등이 프레임(12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면, 프레임(120) 내의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03℃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이 용융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락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이 탈락하면, 스프링(196)의 당김력을 통해서 블레이드(130)들이 회전하여 프레임(120) 내를 완전 닫침 상태로 유지하고, 본 발명의 방화용 댐퍼(100)를 폐쇄시킨다.
이와 같이 동작하면 방화 구획으로는 유독 가스와 화염의 전파가 차단되어 건축물과 인명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들이 탈락하여 블레이드(130)들이 회전하면, 그 중심에 마련된 샤프트(132)들도 베어링(136)을 통해서 회전하며, 핸들부(160)의 레버(164)와 연결 링크(140)들도 그 위치가 변경되어 작업자는 프레임(120) 내의 블레이드(130)가 닫친 상태를 외부에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댐퍼(100)의 블레이드(130)가 닫친 상태에서 블레이드(130)를 임시로 열어서 2차적인 화재 피해를 방지할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방화용 댐퍼(100)를 교체시킬 필요없이 즉시 블레이드(13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핸들부(160)의 레버(164)를 작업자가 돌려서 블레이드(130)의 회전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핸들부(160)의 레버(164)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축(162)에 연결된 샤프트(132)가 회전하면서, 연결 링크(140)의 다수의 수평 링크 부재(142)와 수직 링크 부재(144)를 통하여 동시에 샤프트(132)와 블레이드(130)들 모두를 동일 각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부(160)의 레버(164) 회전을 통하여 모든 블레이드(130)를 일시에 개방시키며, 핸들부(160)에 마련된 잠금부(170)의 고정 볼트(172)와 너트(176)를 이용하여 그 상태로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 블레이드(130)들은 그와 같이 회전된 각도로 고정되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레버(164)의 회전 각도, 즉 블레이드(130)들의 회전각도는 각도 표시부(180)의 지시 침(182)이 각도 눈금(184)을 지시하는 수치를 파악하여 이해하면 되므로, 프레임(120) 외부에서 블레이드(130)들의 정확한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에 의하면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를 기존의 하나에서 4개로 증가시키고, 용융점도 73℃로부터 103℃ 내지 280℃의 온도범위로 높아진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는 확실한 화재시에만 동작하게 됨으로써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열화나, 실제 화재가 아닌 고온 분위기에서 용융 탈락되는 오동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에 의하면, 기존의 연결 링크(140)가 프레임(120)의 내측에 위치된 것과는 다르게, 블레이드(130)의 연결 링크(140)를 프레임(120) 외측에 배치하여 댐퍼(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으로 인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 링크(140)는 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부식되지 않음으로써 블레이드(130)와의 탈락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블레이드(130)를 동작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블레이드(130)의 개폐 회전에 관련된 오동작을 사전에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에 의하면, 연결 링크(140)와 핸들부(160)가 프레임(120)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댐퍼(100)의 닫침 작동시 그 닫침 상태를 작업자가 외부에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핸들부(160)에 마련된 레버(164) 조작을 통해서 비상작업으로 블레이드(130)를 긴급으로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시, 댐퍼(100)가 닫쳐진 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적어도 15분 이내에 개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기존의 최소 4시간 이상이 걸리는 조치 시간보다 현저히 단축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댐퍼(100)의 개방조작이 신속하여 화재 발생 후,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산 피해 또는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100)에 의하면, 프레임(120), 연결 링크(140)등이 모두 4mm 두께 이상의 스테인레스 재료로 이루어지고, 샤프트(132)도 ø30mm 직경의 크기로 확대된 상태이므로, 시간이 장시간 경과하여도 프레임(120), 블레이드(130)와, 블레이드(130)를 프레임(120)에 연결시키는 샤프트(132)의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프레임(120) 내부 부품들의 부식으로 인한 구조적 약화 원인으로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의 작동없이 댐퍼(100)가 돌발적으로 닫치는 오동작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방화용 댐퍼(100)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고, 기대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190)의 장착 갯수의 변경이나, 프레임(120), 샤프트(132), 연결 링크(140) 등의 재료 두께 및 직경을 개별적인 장착 위치에 따라서 다소 다르게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1: 종래의 방화용 댐퍼 10: 덕트
20: 프레임 30: 블레이드
32: 샤프트 40: 연결 링크
50: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 100: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
110: 덕트 120: 프레임
130: 블레이드 132: 샤프트
136: 베어링 140: 연결 링크
142: 수평 링크 부재 144: 수직 링크 부재
160: 핸들부 162: 회전축
164: 레버 170: 잠금부
172: 고정 볼트 174: 가이드 홈
176: 너트 178: 브라켓
180: 각도 표시부 182: 지시 침
184: 각도 눈금 190: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
196: 스프링

Claims (7)

  1. 건축물의 덕트에 장착되어 유독가스와 화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화용 덕트에 있어서,
    덕트에 일체로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프레임을 가로 질러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샤프트 상에 각각 고정되어 프레임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서 상기 샤프트들의 일측 끝단에 각각 일체로 고정된 다수의 수평 링크 부재들과, 상기 수평 링크 부재들을 모두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수평 링크 부재들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단일 수직 링크를 포함한 연결 링크;
    상기 다수의 샤프트 중 어느 하나에 회전축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작동으로 회전축을 통해서 이에 연결된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및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중 최하단의 블레이드를 프레임 하부 모서리에 연결시키고, 103℃ 이상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스프링의 작용력으로 탈락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의 회전을 허용하여 댐퍼를 닫아주도록 된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을 포함하여 화재시에만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이 용융탈락하고, 블레이드의 닫침상태를 외부에 설치된 연결 링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긴급 비상시에는 핸들부의 레버 조작을 통하여 닫침 상태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댐퍼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4mm두께의 스테인레스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들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샤프트는 적어도 ø30mm 직경의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은 프레임에 대해서 각각 베어링 부재들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들의 일측 끝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링크의 수평 링크 부재들과 하나의 수직 링크 부재는 적어도 4mm 두께의 스테인레스 바(bar)로 이루어져서 상기 프레임, 샤프트 및 연결 링크들은 구조적으로 보강되며, 상기 다수의 샤프트 중 중앙에 위치된 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핸들부의 레버 작동이 이루어지면, 연결 링크를 통하여 다수의 샤프트들과, 이에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들이 동시에 모두 동일한 각도로 회전작동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레버 회동을 정지시키는 잠금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레버 중간을 관통하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궤적 상에 오목하게 호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고정 볼트에 나사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핸들부의 회전축이 중앙을 관통하는 "⊃"형 단면의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고정 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너트에 나사결합되어 조여지면 레버 회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 볼트와 너트의 나사 결합 조임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레버의 회동을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레버의 회동 각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각도 표시부는 레버의 끝단에서 뾰쪽하게 돌출된 지시 침과, 상기 지시 침에 의해서 레버 회전 각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레버의 회전축 둘레에서 상기 브라켓 상에 표시된 원호형의 각도 눈금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핸들부의 반대측 프레임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핸들부와 동일한 프레임의 측방 및 핸들부의 반대측 측방 모두에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은 4개가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각각은 103℃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탈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용 퓨즈들은 4개가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서 배치되고, 그 각각은 103℃ 내지 280℃의 온도범위에서 용융되어 탈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
KR1020110089718A 2011-09-05 2011-09-05 방화용 댐퍼 KR10128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718A KR101283204B1 (ko) 2011-09-05 2011-09-05 방화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718A KR101283204B1 (ko) 2011-09-05 2011-09-05 방화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226A KR20130026226A (ko) 2013-03-13
KR101283204B1 true KR101283204B1 (ko) 2013-07-05

Family

ID=4817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718A KR101283204B1 (ko) 2011-09-05 2011-09-05 방화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2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35Y1 (ko) 2013-10-10 2014-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연댐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457846B1 (ko) * 2014-04-19 2014-11-05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화염확산 방지용 댐퍼의 시험장치
KR101544347B1 (ko) * 2014-03-24 2015-08-17 (주)윤성지앤티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200479157Y1 (ko) * 2015-06-09 2015-12-29 주식회사성일 티이씨 과압 배출 댐퍼
KR20220000163A (ko) 2020-06-25 2022-01-03 (주)이지원 차열 성능이 향상된 덕트용 방화댐퍼
KR20220098879A (ko) 2021-01-05 2022-07-12 고의환 배기덕트용 방화 댐퍼
KR20220001850U (ko) 2021-01-19 2022-07-27 박성례 비연속 내화충전재 일체형 방화덕트 시스템
KR20220125646A (ko) 2021-03-05 2022-09-14 고의환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262789A (zh) * 2022-09-05 2022-11-01 宝润达新型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型聚氨酯双层防火复合板材
KR20220163669A (ko) 2021-06-03 2022-12-12 고의환 내화충전재 설치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01B1 (ko) * 2014-07-09 2015-07-15 하이에어코리아 주식회사 블레이드 댐퍼
KR200485947Y1 (ko) * 2017-07-27 2018-03-16 주식회사성일티이씨 방화 댐퍼
CN109185470B (zh) * 2018-10-12 2024-05-24 江苏埃摩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变电站消防安全装置
CN109668500B (zh) * 2018-11-28 2024-02-13 惠阳航空螺旋桨有限责任公司 一种桨叶扭角测具
KR102026869B1 (ko) * 2018-12-07 2019-09-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 배기구용 화재 연동형 풍량 조절 댐퍼
KR102213295B1 (ko) * 2020-07-07 2021-02-04 김도균 미분기의 미분탄분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440A (ko) * 1998-03-18 1998-06-05 신강석 방화용 댐퍼(Damper for preven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440A (ko) * 1998-03-18 1998-06-05 신강석 방화용 댐퍼(Damper for preventio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35Y1 (ko) 2013-10-10 2014-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연댐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544347B1 (ko) * 2014-03-24 2015-08-17 (주)윤성지앤티 과압 배출 및 차단 장치
KR101457846B1 (ko) * 2014-04-19 2014-11-05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화염확산 방지용 댐퍼의 시험장치
KR200479157Y1 (ko) * 2015-06-09 2015-12-29 주식회사성일 티이씨 과압 배출 댐퍼
KR20220000163A (ko) 2020-06-25 2022-01-03 (주)이지원 차열 성능이 향상된 덕트용 방화댐퍼
KR20220098879A (ko) 2021-01-05 2022-07-12 고의환 배기덕트용 방화 댐퍼
KR20220001850U (ko) 2021-01-19 2022-07-27 박성례 비연속 내화충전재 일체형 방화덕트 시스템
KR20220125646A (ko) 2021-03-05 2022-09-14 고의환 층간 배기덕트 연결용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3669A (ko) 2021-06-03 2022-12-12 고의환 내화충전재 설치구조가 개선된 방화 댐퍼 및 그 시공방법
CN115262789A (zh) * 2022-09-05 2022-11-01 宝润达新型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型聚氨酯双层防火复合板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226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204B1 (ko) 방화용 댐퍼
EP3630302B1 (de) Sicherheitsschrank für aktive elektrische und/oder elektronische komponenten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KR101065400B1 (ko) 방화문 자동 화재 안전핀
EP2403608A1 (de) Antrieb für brandschutzklappe
KR101878494B1 (ko) 방화 댐퍼
US20060260698A1 (en) Damper accessory mounting system
US5020423A (en) Rotating blade damper with blade lock and stop mechanism
US6019679A (en) Fire and smoke damper
JP5712277B1 (ja) 空調ダクト用防火ダンパ
US11957942B2 (en) Vented safety cabinet with thermally-actuated damper
EP1779901B1 (en) Fire damper
KR200485947Y1 (ko) 방화 댐퍼
EP2366435B1 (en) Fire damper
BRPI0715916A2 (pt) estrutura de respiradouro para alta sobrepressço tendo painel de religador de aÇo de mola
KR101033313B1 (ko) 화재확산방지 및 풍량조절댐퍼
JP2017095978A (ja) 防火扉
DE19643854A1 (de) Brandschutzeinrichtung für Rohrleitungen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EP0396785A1 (de) Vorrichtung zum Absperren von Lüftungseinrichtungen
KR101524199B1 (ko) 방화블라인드장치
DE2335393A1 (de) Feuerschutzanordnung fuer lufttechnische anlagen
KR20060005311A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100913789B1 (ko)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DE102005017675B4 (de) Sicherheitsgehäuse zum Schutz wärmeabgebender Geräte vor Brand, Diebstahl und ander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