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199B1 - 방화블라인드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블라인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199B1
KR101524199B1 KR1020140026078A KR20140026078A KR101524199B1 KR 101524199 B1 KR101524199 B1 KR 101524199B1 KR 1020140026078 A KR1020140026078 A KR 1020140026078A KR 20140026078 A KR20140026078 A KR 20140026078A KR 101524199 B1 KR101524199 B1 KR 10152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ocking
driving
fire
driv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성
김승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vertical lamellae ; Supporting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화블라인드장치가 제공된다. 방화블라인드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개구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슬래트, 일단부가 차단슬래트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차단슬래트가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구동와이어, 프레임 및 차단슬래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구동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차단슬래트가 회전하여 차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프레임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압력판이 형성되고 압력판으로부터 구동와이어를 향하여 연장된 칼날부를 포함하여 압력판에 압력이 인가되면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칼날부가 구동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팅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블라인드장치{Blind apparatus for fireproof}
본 발명은 방화용 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시 이를 감지하여, 빠르고 효과적으로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방화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이나 공장, 대형 구조물 등의 내부에는 필수적으로 방화설비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방화설비에는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분말 소화장치나, 급수관과 연결된 소화전과 같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설비로부터, 건물 내부에서 사람들의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유도설비나, 2차 또는 3차로 화재의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확산방지설비까지 다양한 설비가 포함된다.
이 중, 확산방지설비는 예를 들어, 건물이나 구조물 등의 내부를 방화벽을 이용하여 일정 공간으로 구획하고, 이를 통해 화재를 발화점 주변으로 한정시키거나 화재시 발생하는 유독가스 등의 전파를 막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7917호에는 이러한 방화벽을 이용한 방화설비의 일 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방화벽으로 사용되는 스크린이나, 셔터 형태의 차단부재는 단순히 내열, 또는 방열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화재 감지시에 통로나 설치장소의 상부로부터 천천히 하강함으로써 화재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다수의 인화성/가연성 물질들이 보유된 화학공장이나, 가스처리 시설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인화성/가연성 물질들의 폭발과 함께 화재가 급격히 확산될 수 있는 바, 종래의 방화설비로는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7917호, (2008.01.2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시 이를 감지하여 빠르고 효과적으로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방화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슬래트; 일단부가 상기 차단슬래트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슬래트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구동와이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차단슬래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차단슬래트가 회전하여 차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압력판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판으로부터 상기 구동와이어를 향하여 연장된 칼날부를 포함하여, 상기 압력판에 압력이 인가되면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칼날부가 상기 구동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팅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압력판은 상기 프레임 일 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압력판의 힌지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판으로부터 상기 구동와이어를 향해 복수개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블록은 상기 구동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압력판이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놓여 압력 전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팅블록은 상기 구동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압력변화 및 온도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팅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커팅블록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팅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방화블라인드장치는, 상기 차단슬래트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구동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일 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와이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는 화재시 급격하게 변화하는 주변상황에 민감하게, 다각적으로 반응하여, 화재확산 경로를 빠르게 차단/폐쇄하고 화재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인화성/가연성 물질의 폭발 등에 의한 압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여 이로 인한 급격한 화재확산이나 피해의 증가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는 평상시에는 간편하게 개방되어 건물이나 구조물 내부로 외기를 자유로이 유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화블라인드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며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화블라인드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1)는 개구부(100a)가 형성된 프레임(100),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100a)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슬래트(200), 일단부는 상기 차단슬래트(20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00) 일 측에 연결되어 차단슬래트(200)가 개구부(100a)를 개방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구동와이어(300), 프레임(100) 및 차단슬래트(2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구동와이어(300)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차단슬래트(200)가 회전하여 차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20), 및 압력판(420)과 압력판(420)으로부터 구동와이어(300)를 향해 연장된 칼날부(410)를 포함하여 압력판(420)에 압력이 인가되면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칼날부(410)가 구동와이어(300)를 절단하는 커팅블록(4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1)는 장력을 유지하는 구동와이어(300)를 외부 압력에 의해 커팅블록(400)이 커팅한다. 따라서, 구동와이어(300)의 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20)에 의해 차단슬래트(200)가 회전하여 신속히 차단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압력 변화가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각종 화재의 확산을 매우 빠르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화블라인드장치(1)는 화재시에는 신속히 차단상태로 전환되나, 평상시에는 구동와이어(300)의 장력을 유지함으로써 간편하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공간이 밀폐되는 것을 피하고, 외기를 지속적으로 유입하여 원활하게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방화블라인드장치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프레임(100)은 차단슬래트(200)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 개구부(100a)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건물이나 구조물 또는 벽체 사이의 통로와 같은 화재 확산경로에 설치되어, 차단슬래트(200)가 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개구부(100a)가 형성된 것인 한 그 형상이 제한될 필요는 없다. 즉, 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형의 틀 형태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바가 연결되어 그 사이가 개방된 형태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설치장소가 곡면 등을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100) 역시 그에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차단슬래트(200)는 일정한 폭을 갖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100)에 형성된 개구부(100a)를 손쉽게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차단슬래트(20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일 측에 형성된 회전축(240)을 통해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차단슬래트(200)의 회전축(240)에는 구동와이어(300)와 연결된 랙기어(23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21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구동기어(210)와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220)가 개재되어 탄성력으로 차단슬래트(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차단슬래트(200)는 판상의 표면에 충격파를 흡수하는 다공성흡수체가 적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차단슬래트(200)는 화재시 차단상태로 전환되어 화재확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가연성 물질 등의 폭발 등에 의해 발화점 주위로 급격히 전파되는 충격파를 흡수/차단하여, 이로 인한 2차, 3차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다공성흡수체는 예를 들어, 발포 가공되어 형성된 메탈 폼과 같은 충격 저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와이어(300)는 일단부가 차단슬래트(200)의 회전축(24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00)의 일 측에 연결되어 차단슬래트(200)를 개방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구동와이어(300)의 일단부에는 전술한 랙기어(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부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견인부(310)와 연결되어 견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구동와이어(300)는 예를 들어, 랙기어(230) 등의 동력 전달장치를 이용하여 견인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단슬래트(20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와이어(300)는 길이방향으로는 적절한 인장력을 가지는 반면,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내화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와이어(300)는 예를 들어, 나일론 계열의 합성섬유가 복층으로 교차 배열된 로프 등에, 내화성 물질이 코팅 처리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구동와이어(300)가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다양한 종류의 섬유나 금속사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인장력과 내화성을 갖는 구동와이어(300)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와이어(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내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풀리(320) 등을 이용하여 그 연장방향을 수 회 이상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동와이어(300)의 경로나 배치상태 등을 프레임(100)의 형상에 알맞게, 최적의 상태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블록(400)의 배치상태 역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프레임(100) 또는 차단슬래트(2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차단슬래트(200)에 탄성력을 가하여, 구동와이어(300)가 차단슬래트(200)를 회전시키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차단슬래트(200)가 차단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구동와이어(300)에는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며, 구동와이어(300)가 절단되어 장력이 해제되면, 차단슬래트(200)는 즉시 차단상태로 전환된다.
탄성부재(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차단슬래트(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차단슬래트(200)의 회전축(240) 둘레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의 일단부는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반면, 타단부는 차단슬래트(200)에 연결되어 비틀림 탄성으로 차단슬래트(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220)의 형성방식이 이로써 제한될 필요는 없다. 탄성부재(220)는 예를 들어, 일단부가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차단슬래트(200)에 연결되는 토션 바(Torsion bar)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100) 및 차단슬래트(2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220)의 형상이나 연결방식 등은 차단슬래트(200)와 프레임(100)의 사이의 상호관계에 따라 그에 적절하게 변화될 수 있다.
커팅블록(400)은 프레임(100)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측에는 압력판(420)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압력판(420)으로부터 구동와이어(300)를 향해 연장된 칼날부(4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팅블록(400)은 압력판(420)에 압력이 가해지는 순간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구동와이어(300)를 절단한다. 이 때, 압력판에 가해지는 압력은 화재시 인화성/가연성물질 등의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파에 의한 것이거나, 발화점 주변의 급격한 연소나 온도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체/액체를 포함하는 각종 물질의 팽창이나 확산 등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즉, 커팅블록(400)은 필연적으로 압력 변화가 동반되는 각종의 화재상황에 대응하여 즉각적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압력 변화에 의해 용이하게 구동와이어(300)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팅블록(400)은 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러한 경우, 칼날부(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430)을 사이에 두고 복수개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구동와이어(300)의 서로 다른 부위를 손쉽게 절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팅블록(400)은 구동와이어(3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복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압력판(4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놓여, 화재시 전파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이를 테면, 압력 전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압력 전달면은 프레임(100)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압력판(420)의 길이, 커팅블록(400)의 배치상태 등에 따라 프레임(100)의 둘레나, 프레임(100)의 전방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압력판(420)은 칼날부(410)의 길이나, 칼날부(410)와의 연결상태, 커팅블록(400)이 결합된 위치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화재시 압력 변화를 더욱 적극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풀리(320)를 이용하여 구동와이어(300)의 배치상태를 전환하면, 커팅블록(400)의 위치를 바꿔 압력 전달면을 이에 대응하여 더욱 유기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커팅블록(400)은 압력을 받아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형태인 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커팅블록(4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압력판(420)과 칼날부(410)의 연결방식이나, 커팅블록(400)의 설치위치, 프레임(100)과 커팅블록(400)의 연결방식 등은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커팅블록(400)이 화재시 압력 변화에 더욱 신속히 반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와이어(300)는 차단슬래트(200)의 회전축(240)에 연결되어 차단슬래트(2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탄성부재(220)는 프레임(100) 및 차단슬래트(20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반대로 차단슬래트(20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차단슬래트(200)와 구동와이어(300)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동력전달구조는 회전축(240)에 결합되는 구동기어(210), 구동기어(210)와 치합되고, 회전축(240)과 수직한 방향으로 프레임(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랙기어(230), 및 비틀림 탄성으로 차단슬래트(200)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와이어(300)는 일단부가 상기 랙기어(23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프레임(100) 일 측에 고정되는 견인부(도 2의 310 참조)와 연결되어 랙기어(230)를 견인하는 견인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220)의 탄성력과 구동와이어(300)의 견인력이 평형을 이루어 구동와이어(300)에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최초에 차단슬래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구동와이어(300)에 제공되는 견인력은 해제된 상태일 수 있으며, 탄성부재(220)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차단슬래트(200)는 서로 인접하게 동일한 평면상에 나란히 정렬될 수 있다. 견인부(310)는 예를 들어, 모터구동부와 웜기어 및 이와 치합된 랙기어의 조합이나, 모터구동부에 연결된 볼스크류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터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구동와이어(300)를 손쉽게 견인하거나, 견인력을 해제할 수 있다.
구동와이어(300)에 견인력이 제공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와이어(300)가 견인되어 랙기어(230)가 견인방향(구동와이어와 평행한 직선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하며, 랙기어(230)와 치합된 구동기어(210)가 회전하여 차단슬래트(200)가 개방된다. 이 때, 탄성부재(220)는 차단슬래트(200)의 회전방향(차단슬래트 주위의 곡선화살표 참조)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구동와이어(300)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방화블라인드장치(1)가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팅블록(400)의 압력판(420)에 압력(A)이 가해지면, 도 5에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블록(400) 전체가 신속히 반응하여 칼날부(410)가 구동와이어(300)에 접촉하고, 구동와이어(300)가 절단되는 것이다. 구동와이어(300)가 절단됨과 동시에 구동와이어(300)의 장력은 해제되고,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슬래트(200)는 즉시 회전하여 차단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화재시 압력 변화 등을 용이하게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화재확산 경로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방화블라인드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이나 구조물 또는 벽체 사이의 통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통로는 인화성/가연성물질 등이 존재하는 화재 위험지역과 연결된 연결통로일 수 있으며, 인화성/가연성 화학물질 등이 대량으로 보유된 화학플랜트나 정유 처리시설 등과 연결된 연결통로일 수도 있다. 방화블라인드장치(1)는 평상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슬래트(200)가 열려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화재 위험지역을 불필요하게 밀폐하거나, 폐쇄하지 않고 지속적인 외기(B)의 순환을 통해 가연성 가스 등 화재 인자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화점 주위로 전파되는 각종의 압력(A) 변화에 의해, 커팅블록(400)이 신속히 작동하고 차단슬래트(200)가 즉시 차단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화블라인드장치(1)는 특히, 인화성/가연성물질 등이 대량으로 보유되어 화재시 급격한 폭발이 동반되는 화재 위험지역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1-1)는 감지센서(510)와, 제어부(500), 및 구동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설명이 명확하고 간결한 것이 되도록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만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나머지 사항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방화블라인드장치(1-1)는 커팅블록(400)이 구동와이어(3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되, 감지센서(510)와, 감지센서(51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500), 및 복수의 커팅블록(4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제어신호에 의해 커팅블록(400)을 구동하는 구동부(440)를 포함하여, 커팅블록(400)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와이어(300)를 절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화블라인드장치(1-1)는 화재시 감지센서(510)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압력변화나 온도변화에도 반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510)의 감지신호와 화재시 공간을 통해서 직접 전파되는 압력 변화 등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더욱 유기적으로, 신속하게 화재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센서(510)는 복수개가 프레임(100) 외측으로 연장되어, 커팅블록(400)의 압력판(420) 보다 인화성/가연성물질 주위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510)는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510)는 화재시 주변 압력 변화나, 온도변화 등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지센서(510)는 인화성/가연성물질 주변에 설치 개수를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일 측으로 감지센서(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측으로 구동부(440)와 역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센서(51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구동부(44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제어부(500)는 예를 들어,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의 제어장비 등을 내부에 구비하고, 외측에 제어함을 마련하여 이를 내화코팅 등의 방법으로 보호한 것일 수 있다.
구동부(440)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 모터 등의 구동모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축이 직접, 또는 별도의 동력전달장치 등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커팅블록(400)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커팅블록(400)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440)는 예를 들어, 커팅블록(400)의 힌지축(430)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방화블라인드장치(1-1)는 화재시 전파되는 압력 변화나 온도 변화 등을 복합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여 역시 구동와이어(300)를 절단함으로써, 차단슬래트(200)를 차단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화재 확산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2차, 3차의 화재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방화블라인드장치 100: 프레임
100a: 개구부 110: 가이드홈
200: 차단슬래트 210: 구동기어
220: 탄성부재 230: 랙기어
240: 회전축 300: 구동와이어
310: 견인부 320: 풀리
400: 커팅블록 410: 칼날부
420: 압력판 430: 힌지축
440: 구동부 500: 제어부
510: 감지센서
A: 압력 B: 외기

Claims (5)

  1.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슬래트;
    일단부가 상기 차단슬래트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슬래트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구동와이어;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차단슬래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차단슬래트가 회전하여 차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압력판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판으로부터 상기 구동와이어를 향하여 연장된 칼날부를 포함하여, 상기 압력판에 압력이 인가되면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칼날부가 상기 구동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팅블록을 포함하는 방화블라인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은 상기 프레임 일 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압력판의 힌지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력판으로부터 상기 구동와이어를 향해 복수개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 방화블라인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록은 상기 구동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압력판이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놓여 압력 전달면을 형성하는 방화블라인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블록은 상기 구동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압력변화 및 온도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팅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커팅블록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팅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를 절단하는 방화블라인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슬래트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구동와이어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일 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와이어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더 포함하는 방화블라인드장치.
KR1020140026078A 2014-03-05 2014-03-05 방화블라인드장치 KR10152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78A KR101524199B1 (ko) 2014-03-05 2014-03-05 방화블라인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78A KR101524199B1 (ko) 2014-03-05 2014-03-05 방화블라인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199B1 true KR101524199B1 (ko) 2015-05-29

Family

ID=5339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078A KR101524199B1 (ko) 2014-03-05 2014-03-05 방화블라인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179A (ko) 2017-01-26 2018-08-03 (주)에스알테크날러지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KR20200118280A (ko) * 2019-04-04 2020-10-15 주식회사 케이엔 Ess 소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01Y1 (ko) * 2003-09-01 2003-11-22 김진학 방화 셔터
KR200341310Y1 (ko) * 2003-10-27 2004-02-11 김진학 방화문용 투시창의 셔터 구조
KR100623969B1 (ko) * 2005-12-30 2006-09-1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회전식 방화판
KR100676916B1 (ko) * 2005-12-30 2007-02-01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01Y1 (ko) * 2003-09-01 2003-11-22 김진학 방화 셔터
KR200341310Y1 (ko) * 2003-10-27 2004-02-11 김진학 방화문용 투시창의 셔터 구조
KR100623969B1 (ko) * 2005-12-30 2006-09-13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회전식 방화판
KR100676916B1 (ko) * 2005-12-30 2007-02-01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179A (ko) 2017-01-26 2018-08-03 (주)에스알테크날러지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KR20200118280A (ko) * 2019-04-04 2020-10-15 주식회사 케이엔 Ess 소화 시스템
KR102185759B1 (ko) * 2019-04-04 2020-12-03 주식회사 케이엔 Ess 소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521617T3 (en) Fire blocking device
KR101533333B1 (ko) 방화댐퍼
KR101524199B1 (ko) 방화블라인드장치
CN106246085A (zh) 一种多功能防护窗
US9610464B2 (en) Deployable, foldable smoke/fire curtain assembly
BR112012008725B1 (pt) dispositivo, sistema e método de atenuação de chama para sistema de material combustível
RU161142U1 (ru) Защитный экран с многослойным огнестойким материалом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WO2007078022A1 (en) Slide type flame spread protecting fireproof plate
KR20180088179A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JP4571530B2 (ja) ドラフトチャンバ消火装置
KR102644263B1 (ko) 약제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KR102198287B1 (ko) 외벽 방화용 창호
CN204343941U (zh) 一种自动隐形防火隔热窗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CN210770484U (zh) 一种熔断式防火阀
CN110732102A (zh) 挡烟闭火防蔓延智能窒息控火系统
RU28115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тушения очага пожара
RU2681677C1 (ru) Способ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открытых проем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397065B1 (ko) 커튼 작동줄의 안전장치
RU2351378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занавес
JP6567898B2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