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179A -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179A
KR20180088179A KR1020170012932A KR20170012932A KR20180088179A KR 20180088179 A KR20180088179 A KR 20180088179A KR 1020170012932 A KR1020170012932 A KR 1020170012932A KR 20170012932 A KR20170012932 A KR 20170012932A KR 20180088179 A KR20180088179 A KR 2018008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creen
fire
shielding door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260B1 (ko
Inventor
김오섭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테크날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테크날러지 filed Critical (주)에스알테크날러지
Priority to KR102017001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2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4Fir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스크린을 신속하게 말아 올려 불이 스크린에 옮겨 붙지 않도록 하면서 스크린에 불이 옮겨 붙었다 하더라도 본체 내로 스크린이 삽입됨과 동시에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소화되도록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된 본체; 본체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어져 펼쳐지는 스크린; 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을 늘어뜨리는 가로 바; 본체의 하부 선후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차폐 도어; 및 차폐 도어의 양측에 구비하되, 일단은 선단의 차폐 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단의 차폐 도어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로 바의 양단에 각각 얹혀져 같이 승강함에 따라 차폐 도어가 회동하여 본체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와이어;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는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감김으로써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불이 붙었다 하더라도 밀폐되는 본체에 스크린이 삽입됨으로써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윗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blind of prevention fire}
본 발명은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스크린을 신속하게 말아 올려 불이 스크린에 옮겨 붙지 않도록 하면서 스크린에 불이 옮겨 붙었다 하더라도 본체 내로 스크린이 삽입됨과 동시에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소화되도록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창호가 설치되며 창호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설치된다. 블라인드는 커튼보다 저렴하고 설치가 쉬우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의 구조를 살펴보면,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양단이 회전하도록 축설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감기거나 펼쳐지는 스크린과, 회전축의 일단에 감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높이 조절 끈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블라인드는 스크린이 수지로 제조됨에 따라 화재에 취약하다. 특히 블라인드의 구조상 스크린이 펼쳐졌을 때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불이 쉽게 옮겨 붙는다. 블라인드의 스크린에 불이 한번 옮겨 붙으면 쉽게 꺼지지 않으며 스크린이 수직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부로 타오르는 불꽃에 의해 급속도로 확산된다.
특히 블라인드는 대부분 화재의 통로가 되는 창가에 설치됨에 따라 불이 쉽게 옮겨 붙고 충분한 공기 공급으로 인해 더욱 급속도로 확산되며 위층으로까지 번지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24199호(2015.05.22)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모든 블라인드가 감기도록 하여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고, 이미 불이 스크린에 옮겨 붙었더라도 스크린이 말아 올려져 본체에 삽입되면 본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소화되도록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는,
하부가 개방된 본체;
본체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어져 펼쳐지는 스크린;
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을 늘어뜨리는 가로 바;
본체의 하부 선후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차폐 도어; 및
차폐 도어의 양측에 구비하되, 일단은 선단의 차폐 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단의 차폐 도어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로 바의 양단에 각각 얹혀져 같이 승강함에 따라 차폐 도어가 회동하여 본체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와이어;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가 개방된 본체;
본체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
회전축에 감기거나 풀어져 펼쳐지는 스크린;
스크린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을 늘어뜨리는 가로 바;
본체의 하부 일단에 힌지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차폐 도어; 및
차폐 도어 및 본체의 양측에 구비하되, 일단은 차폐 도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로 바의 양단에 각각 얹혀져 같이 승강함에 따라 차폐 도어가 회동하여 본체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와이어;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바는 양단에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상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금속 와이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소화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와, 화재 감지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송/수신 구동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는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감김으로써 불이 옮겨 붙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불이 붙었다 하더라도 밀폐되는 본체에 스크린이 삽입됨으로써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윗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이 감기는 과정에서 제일 하단의 가로 바가 본체에 삽입되면서 차폐 도어를 폐쇄함으로써 차폐 도어 개폐를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의 중간 부분이 화재에 의해 훼손되어 분리되더라도 스크린에 구비된 다수의 금속 와이어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차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 바가 와이어를 당기는 순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바가 와이어를 들어올려 차폐 도어를 구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차폐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차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 바가 와이어를 당기는 순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바가 와이어를 들어올려 차폐 도어를 구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차폐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학산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100)는 하부가 개방된 본체(10)와,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20)과, 회전축(20)에 감기거나 풀어져 펼쳐지는 스크린(30)과, 스크린(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30)을 늘어뜨리는 가로 바(40)와, 본체(10)의 하부 선후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차폐 도어(50)와, 양 차폐 도어(50)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로 바(40)에 의해 차폐 도어(50)를 폐쇄하는 와이어(6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기다란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0)는 상면과 배면에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기존의 사용하던 블라인드 지지대(11)를 본체(10)의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대 내측에서부터 벽이나 천장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는 지지대(11)와 본체(10)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박히게 된다.
상기 회전축(20)은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본체(10)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본체(10) 내에 구비되는 지지대(11)에 양단이 공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20)의 일단에는 높낮이 조절 끈(21)이 감겨 하부로 늘어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 끈(21)의 어느 일단을 잡고 당기면 회전축(20)이 정/역회전 한다.
상기 스크린(30)은 회전축(20)에 감겨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20)의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축(20)에 감기거나 회전축(20)으로부터 풀어져 펼쳐진다. 이러한 스크린(30)은 천이나 다수의 날개 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 바(40)는 스크린(3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로 바(40)는 자중을 이용하여 스크린(30)을 하부로 잡아당겨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로 바(40)의 길이는 스크린(30)의 너비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되, 본체(1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폐 도어(50)는 본체(10)의 개구된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이 본체(10)의 하부 면적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개구된 하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 도어(50)는 본체(10)의 선단에 하나 설치되고, 본체(10)의 후단에 또 다른 하나가 설치된다. 차폐 도어(50)와 본체(10)는 힌지(51) 결합되어 차폐 도어(50)의 회전에 의해 개방된 본체(10)를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상기 와이어(60)는 차폐 도어(5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선단의 차폐 도어(5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단의 차폐 도어(50)에 연결된다. 설치된 와이어(60)의 길이는 양 차폐 도어(50)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형성함으로써, 차폐 도어(50)가 개방되면 차폐 도어(50) 사이에 와이어(60)가 수평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와이어(60)는 차폐 도어(50)의 양측에 각각 구비하되, 스크린(30)의 동작에는 간섭되지 않고 승강하는 가로 바(40)에는 간섭되도록 한다. 즉, 가로 바(40)가 승강하여 본체(10) 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와이어(60)를 들어올리게 되고, 들어 올려지는 와이어(60)에 의해 양 차폐 도어(50)는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 내에는 회전축(20)과 연결되는 송/수신 구동부(12)가 설치되고, 본체(10) 외부에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13)가 구비된다. 이러한 화재 감지 센서(13)는 송/수신 구동부(12)와 연결되어 송/수신 구동부(12)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화재 감지 센서(13)가 화재를 감지하여 송/수신 구동부(12)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 구동부(12)는 리모컨 또는 스마트폰에 의한 제어신호를 감지하여 구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송/수신 구동부(1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0) 내에는 송/수신 구동부(12)와 연동되는 소화기(14)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기(14)는 송/수신 구동부(12)의 동작 후 정지 시 자동으로 작동된다. 즉, 차폐 도어(50)가 폐쇄되어 본체(10)가 밀폐되면 소화기(14)가 작동되어 소화분말 또는 소화액을 분사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블라인드와 같이 높이 조절용 끈(21)을 당기는 방법에 의해 스크린(30)을 감거나 펼쳐 사용한다.
이와 같이 사용하다가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염이 블라인드(100) 근처에 접근하면 본체(10)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13)가 화재를 감지하여 송/수신 구동부(12)에 신호를 보내 송/수신 구동부(12)를 구동시킨다. 송/수신 구동부(12)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20)은 회전하고, 회전축(20)에 설치된 스크린(30)은 회전축(20)에 감기면서 그 말단이 승강한다. 이와 함께 스크린(30)의 말단에 구비된 가로 바(40)는 스크린(30)과 같이 승강하는데, 본체(10)에 삽입되기 직전 양단이 와이어(60)와 접촉하고, 계속해서 승강함과 동시에 와이어(60)를 들어올리게 된다. 들어 올려지는 와이어(60)의 양단에 연결된 양 차폐 도어(5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양 차폐 도어(50)의 말단이 서로 밀착되거나 포개어 지면서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한다. 차폐 도어(50)에 의해 폐쇄된 본체(10)는 외부로부터 화염이 유입되지 않아 스크린(30)에 불이 붙지 않으며, 위층으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및 지연한다.
만약, 스크린(3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스크린(30)에 불이 옮겨 붙은 경우 스크린(30)이 본체(10)에 삽입되어 감기는 과정에서 스크린(30)과 스크린(30) 사이에 공기층이 협소해짐으로써 자동으로 소화된다. 그리고 스크린(30)이 본체(10)에 모두 삽입되어 차폐 도어(50)가 본체(10)를 폐쇄시키면 본체(10)는 밀폐된 상태이므로 금방 소화되며, 차폐 도어(50)가 폐쇄되어 송/수신 구동부(12)의 동작이 정지됨과 동시에 소화기(14)가 작동하여 소화분말 또는 소화액을 분사함에 따라 본체(10) 내의 화재를 완벽하게 진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송/수신 구동부(12)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와 연결하여 스프링 쿨러 동작과 함께 같이 동작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도어(50)를 하나만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차폐 도어(50)는 하나로 구성하되, 일단이 본체(10)의 하부 선단이나 후단에 힌지(51)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개폐한다. 이러한 차폐 도어(50)는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모두 차단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60)는 그 일단이 차폐 도어(50)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와이어(60)는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승강하는 가로 바(40)에 얹혀져 당겨짐으로써, 차폐 도어(50)를 구동시켜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30)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금속 와이어(31)가 설치된다. 이러한 금속 와이어(31)의 말단은 가로 바(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스크린(30)에 불이 붙어 스크린(30)이 상하 완전 분리된다 하더라도 금속 와이어(31)는 불이 붙지 않아 끊어지지 않으므로 가로 바(40)를 본체(10) 내로 삽입하여 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로 바(40)는 양단에 와이어(6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41)이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41)은 가로 바(40)에 얹혀져 당겨지는 와이어(60)가 가로 바(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걸림턱(41)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가로 바(40)가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그 하부의 개방부를 좁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요홈(19)을 형성한다. 이러한 요홈(19)은 가로 바(40)의 지름보다 약간 좁게 형성하여 가로 바(40)는 요홈(19)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가로 바(40)가 승강하여 본체(10)에 삽입되려는 순간 요홈(19)에 걸림되어 삽입되지 못하고, 개방된 요홈(19)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별도의 차폐 도어(50) 및 와이어(60)가 필요 없어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10 : 본체 11 : 지지대
12 : 송/수신 구동부 13 : 화재 감지 센서
14 : 소화기 20 : 회전축
21 : 높낮이 조절 끈 30 : 스크린
31 : 금속 와이어 40 : 가로 바
41 : 걸림턱 50 : 차폐 도어
51 : 힌지 60 : 와이어

Claims (6)

  1. 하부가 개방된 본체(10);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20);
    회전축(20)에 감기거나 풀어져 펼쳐지는 스크린(30);
    스크린(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30)을 늘어뜨리는 가로 바(40);
    본체(10)의 하부 선후단에 각각 힌지(51) 결합되어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차폐 도어(50); 및
    차폐 도어(50)의 양측에 구비하되, 일단은 선단의 차폐 도어(5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단의 차폐 도어(50)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로 바(40)의 양단에 각각 얹혀져 같이 승강함에 따라 차폐 도어(50)가 회동하여 본체(10)의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와이어(6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2. 하부가 개방된 본체(10);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20);
    회전축(20)에 감기거나 풀어져 펼쳐지는 스크린(30);
    스크린(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30)을 늘어뜨리는 가로 바(40);
    본체(10)의 하부 일단에 힌지(51) 결합되어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차폐 도어(50); 및
    차폐 도어(50) 및 본체(10)의 양측에 구비하되, 일단은 차폐 도어(50)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0)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가로 바(40)의 양단에 각각 얹혀져 같이 승강함에 따라 차폐 도어(50)가 회동하여 본체(10)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와이어(6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3. 하부에 스크린이 통과하는 요홈(19)이 형성된 본체(10);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회전축(20);
    회전축(20)에 감기거나 풀어져 펼쳐지는 스크린(30); 및
    스크린(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스크린(30)을 늘어뜨리며 승강시 요홈(19)에 걸림되어 요홈(19)을 차단하는 가로 바(4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4.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13)와, 화재 감지 센서(13) 또는 스마트폰의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축(20)을 회전시키는 송/수신 구동부(1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5.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30)은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금속 와이어(31)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에는 송/수신 구동부(12)와 연동되는 소화기(14)를 설치하여 본체(10)의 개방된 하부가 폐쇄됨에 따라 송/수신 구동부(12)의 작동이 정지되면 소화기(14)가 작동하여 소화분말이 분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KR1020170012932A 2017-01-26 2017-01-26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KR10189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932A KR101896260B1 (ko) 2017-01-26 2017-01-26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932A KR101896260B1 (ko) 2017-01-26 2017-01-26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179A true KR20180088179A (ko) 2018-08-03
KR101896260B1 KR101896260B1 (ko) 2018-09-07

Family

ID=6325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932A KR101896260B1 (ko) 2017-01-26 2017-01-26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73B1 (ko) * 2020-07-10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 층간 화재 확산 차단구조
KR102496747B1 (ko) * 2022-05-25 2023-02-07 대한민국 방화용 액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27B1 (ko) 2019-01-18 2020-03-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진압용 블라인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123A (en) * 1976-01-09 1977-08-30 Knox Manufacturing Co. Control device to position projection screen for viewing
US5353152A (en) * 1993-09-20 1994-10-04 Vutec Corporation Screen projection apparatus
KR200201870Y1 (ko) * 2000-05-24 2000-11-01 김기영 스크리인
KR20120008274U (ko) * 2011-05-24 2012-12-04 구송모 입체 블라인드
KR101524199B1 (ko) 2014-03-05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블라인드장치
KR101568349B1 (ko) * 2015-03-31 2015-11-12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터널 화재 시 자동차 진입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123A (en) * 1976-01-09 1977-08-30 Knox Manufacturing Co. Control device to position projection screen for viewing
US5353152A (en) * 1993-09-20 1994-10-04 Vutec Corporation Screen projection apparatus
KR200201870Y1 (ko) * 2000-05-24 2000-11-01 김기영 스크리인
KR20120008274U (ko) * 2011-05-24 2012-12-04 구송모 입체 블라인드
KR101524199B1 (ko) 2014-03-05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방화블라인드장치
KR101568349B1 (ko) * 2015-03-31 2015-11-12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터널 화재 시 자동차 진입 차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873B1 (ko) * 2020-07-10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물 층간 화재 확산 차단구조
KR102496747B1 (ko) * 2022-05-25 2023-02-07 대한민국 방화용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260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260B1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US20110061823A1 (en) Counterbalanced blind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102008096B1 (ko) 건물외벽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1589158B1 (ko)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JP7040751B2 (ja) 開閉装置
KR101034384B1 (ko) 비상용 방화 셔터
KR102078668B1 (ko) 건물외벽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JP7066500B2 (ja) 防水扉
CN110732102A (zh) 挡烟闭火防蔓延智能窒息控火系统
JP6541468B2 (ja) シャッターの開閉制御システム
KR20070073301A (ko)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20050115840A (ko) 주택 외벽 창호용 방화 스크린 장치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0613433B1 (ko) 수직수납된 낙하식 방화판
KR102481047B1 (ko) 다기능 커튼 박스
KR101343047B1 (ko) 방화 커튼 장치
JP6766304B2 (ja) 手動式シェード構造体用の後付電動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