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527B1 -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 Google Patents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527B1
KR100859527B1 KR1020070094259A KR20070094259A KR100859527B1 KR 100859527 B1 KR100859527 B1 KR 100859527B1 KR 1020070094259 A KR1020070094259 A KR 1020070094259A KR 20070094259 A KR20070094259 A KR 20070094259A KR 100859527 B1 KR100859527 B1 KR 100859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lat
along
curtain
vertical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기호
민병렬
여인환
조남욱
안재홍
최태진
전기수
전준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4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 내부로 매립되는 셔터박스; 개구부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홈대; 상기 상부홈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홈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샤프트와 슬랫을 연결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수직 방향 슬랫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전개 또는 접이가 가능하되, 상기 셔터박스 내부에 삽입 가능한 셔터커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셔터커텐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곡선으로 구획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어 건축계획상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슬랫, 셔터, 연기제어, 블라인드

Description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Vertical blind type shutter}
본 발명은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 내부로 매립되는 셔터박스; 개구부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홈대; 상기 상부홈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홈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샤프트와 슬랫을 연결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수직 방향 슬랫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전개 또는 접이가 가능하되, 상기 셔터박스 내부에 삽입 가능한 셔터커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에 관한 것이다.
셔터는 좁고 긴 복수 개의 수평 슬랫을 상하로 맞물려 제작되는 셔터커텐을 문틀 상부에 위치한 축에 감아 올려 상하로 개폐시키는 철제문으로, 방화·방연·방풍·차음·방범 등 다양한 목적으로 개구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상하로 개폐되는 셔터는 셔터박스가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므로 셔터의 유지관리가 불편하였다. 그리고 셔터가 오작동되어 셔터커텐이 하강하는 경우 중량의 셔터 무게로 인하여 사람이 깔리게 되는 등 인명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개폐시 철재 접이식 셔터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개폐로 인한 소음이 상당한 수준이었다.
또한 기존의 셔터는 직선으로 구획되는 인접 공간을 구분하도록 직선형으로 제작되었으나, 원형을 비롯한 곡선으로 구획되는 공간을 차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건축물의 구조적인 변경 및 셔터 설치 수량의 증가로 이어져 공기 및 공사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특히 방화구획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화셔터의 경우에는 일반셔터에 비하여 중량이 상대적으로 더 클 뿐만 아니라, 일단 작동이 완료되면 방화셔터에 의하여 구분된 공간이 완전히 폐쇄되기 때문에 비상구를 찾지 못하여 많은 피해가 유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셔터커텐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제어됨과 동시에, 개폐시 소음으로부터 자유롭고 개폐가 경쾌한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을 이용하여 구획되는 공간에도 설치 가능한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화재시 셔터커텐의 수평 이동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셔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비상대피가 가능하고, 손쉽게 열고 피난할 수 있어 별도의 비상문이 불필요한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셔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셔터박스를 벽체 속에 매립한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부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 내부로 매립되는 셔터박스; 개구부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홈대; 상기 상부홈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홈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샤프트와 슬랫을 연결하기 위하여 샤프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수직 방향 슬랫으로,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전개 또는 접이가 가능하되, 상기 셔터박스 내부에 삽입 가능한 셔터커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는 수평 방향으로 제어되므로 셔터커텐의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적은 중량으로 인하여 개폐시 소음이 적고 개폐가 자유롭다.
둘째,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는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을 이용하여 구획되는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어 건축계획상 유리하다.
셋째,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는 화재시 셔터커텐의 수평 이동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셔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비상대피가 가능하고, 손쉽게 열고 피난할 수 있어 별도의 비상문이 불필요하다.
넷째,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는 셔터박스를 벽체 속에 매립하므로 셔터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셔터커텐(60)이 셔터박스(30)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는 셔터박스(30)와 상부홈대(40) 및 이웃하는 복수 개의 수직 방향 슬랫(50)으로 이루어진 셔터커텐(6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셔터박스(30)는 셔터커텐(60)을 접어서 수납하는 공간으로 개구부(10)의 일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벽체(20)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홈대(40)는 개구부(10)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셔터커텐(6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을 안내해 준다.
특히 상기 상부홈대(40)의 내측에는 상부홈대(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샤프트(42)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42)에는 샤프트(42)와 슬랫(50)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부재(44)가 연결되어 샤프트(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연결부재(44)의 실시예로 통상의 버티컬 블라인드와 마찬가지로 버티컬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슬랫(50)을 상부에 달기 위한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44)는 샤프트(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부재(44)의 이동을 제어하는 인입출입용 줄에 의하여 견인되면서 제어된다.
이러한 각각의 연결부재(44)에는 수직 방향의 슬랫(50)이 결합되는데, 셔터커텐(60)의 슬랫(50)은 이러한 연결부재(44)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전개 또는 접이되어 개구부(10)를 차단하며, 셔터커텐(60)이 완전히 접힌 경우에는 셔터박스(30) 내부로 삽입된다. 특히 본 발명을 방화셔터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철재 또는 불연 재료로 이루어진 슬랫(50)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슬랫(50)의 하단부에 바닥을 향하도록 경사 방향의 하부차단부(52)를 설치하여, 이웃하는 공간을 상호 밀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하부차단부(52)는 슬랫(50)의 너비를 따라 슬랫(50)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슬랫(5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하부차단부(52)가 결합된 상태를 셔터커텐(60)의 오른편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3과 같이 하부차단부(52)가 바닥과 닿는 부분을 수평으로 꺾어두는 경우에는 차단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방화셔터의 경우에는 하부차단부(52)를 준불연 재료나 불연 재료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랫(50)은 셔터커텐(60)이 전개되는 경우에, 이웃하는 슬랫(50) 상호가 서로 맞물려 분리되지 않도록 슬랫(50)의 좌우 양단에 각각 슬랫(5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구부러진 걸림편(54)이 포함될 수 있다. 도1의 확대도에서는 셔터박스(30) 내부에 슬랫(50)이 접혀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슬랫(50)의 양단을 연결하는 선과 걸림편(54)이 형성하는 맞물림각은 70° 이내로 구성하여 이웃하는 공간을 밀실하게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랫(50)은 슬랫(5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슬랫(5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 형태의 제1만곡부(56)와 제2만곡부(58)가 연결될 수 있다. 제1만곡부(56)와 제2만곡부(58) 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슬랫(50)의 너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벽체(20)가 얇은 경우에도 벽체(20) 내부로 셔터박스(30)의 매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개구부(10)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측면홈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홈대(80)는 셔터커텐(60)의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셔터커텐(60)의 측면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측면홈대(80)의 실시예로 ㄷ자형 단면을 가진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도2에서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를 구성하는 셔터커텐(60)이 슬라이드 되어 전개되는 상태를 볼 수 있으며, 도3에서는 셔터커텐(60)의 작동이 완료된 후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입면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구부(10) 상부를 따라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연기제어커텐(70)과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및, 연기센서의 연기감지정보에 따라 연기제어커텐(7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연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도2 및 도3에서는 연기제어커텐(70)이 작동되어 있는 상태가 확인 가능하다.
즉,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연기센서에 연기감지정보가 감지되고, 연기감지정보가 연기제어부에 전달되면 연기제어커텐(70)이 작동하여 600mm 정도 수직 하강하게 된다. 연기제어커텐(70)은 천정을 타고 확산되는 연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개구부(10) 상부를 따라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연기제어부와 연동되어 작동된다. 이러한 연기제어커텐(70)은 본 발명이 방화셔터로 기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연기제어커텐(70)은 상부에 감아 넣어 슬라이드 시키는 방식인 상부 감아넣기 셔터나, 상부로 슬라이드 시켜 개폐하는 오버 슬라이드 셔터 등의 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연기제어커텐(70)은 불연 재료나 무기질 재료로 구성한다.
특히 도3의 왼편에 있는 확대도에서는 슬랫(50)이 걸림편(54)에 의하여 상호 지지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슬랫(50)은 180°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센서 및 열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화재에 의한 열이 열센서에 감지되고 이러한 열감지정보가 열제어부에 전달되면, 셔터커텐(6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0)의 차단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4는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작동이 완료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4와 같이 본 발명은 곡선으로 구획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1은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셔터커텐이 셔터박스 내부에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2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셔터커텐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3은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셔터커텐이 작동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4는 곡선으로 구획된 공간에 본 발명의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개구부 20: 벽체
30: 셔터박스 40: 상부홈대
42: 샤프트 44: 연결부재
50: 슬랫 52: 하부차단부
54: 걸림편 56: 제1만곡부
58: 제2만곡부 60: 셔터커텐
70: 연기제어커텐 80: 측면홈대

Claims (7)

  1. 개구부(10)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20) 내부로 매립되는 셔터박스(30);
    개구부(10)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홈대(40);
    상기 상부홈대(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홈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샤프트(42);
    상기 샤프트(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샤프트(42)와 슬랫(50)을 연결하기 위하여 샤프트(42)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44);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44)에 결합되는 수직 방향 슬랫(50)으로, 상기 연결부재(44)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전개 또는 접이가 가능하되, 상기 셔터박스(30) 내부에 삽입 가능한 셔터커텐(60); 및,
    개구부(10)의 타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측면홈대(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로서,
    개구부(10) 상부를 따라 상기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한 연기제어커텐(70);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및, 상기 연기센서의 연기감지정보에 따라 연기제어커텐(7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연기제어부; 그리고,
    화재에 의한 열을 감지하는 열센서; 및, 상기 열센서의 열 감지정보에 따라 셔터커텐(60)의 수평 이동을 제어하는 열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2. 제1항에서,
    상기 슬랫(50)의 하단부는 바닥을 향하는 경사 방향의 하부차단부(52)가 슬랫(50)의 너비를 따라 슬랫(50)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셔터커텐(60)이 전개되는 경우 이웃하는 슬랫(50)과 맞물려 분리되지 않도록 슬랫(50)의 좌우 양단은 각각 슬랫(5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구부러진 걸림편(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4. 제3항에서,
    상기 슬랫(50)은 슬랫(5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슬랫(5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 형태의 제1만곡부(56)와 제2만곡부(58)가 연결되고, 상기 슬랫(50)의 양단을 연결하는 선과 걸림편(54)이 형성하는 맞물림각은 70° 이내이며, 상기 슬랫(50)은 180°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94259A 2007-09-17 2007-09-17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100859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59A KR100859527B1 (ko) 2007-09-17 2007-09-17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59A KR100859527B1 (ko) 2007-09-17 2007-09-17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527B1 true KR100859527B1 (ko) 2008-09-22

Family

ID=4002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259A KR100859527B1 (ko) 2007-09-17 2007-09-17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5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9B1 (ko) * 2011-08-11 2013-08-19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CN106592863A (zh) * 2017-01-24 2017-04-26 哈尔滨工业大学建筑设计研究院 一种适用于集装箱建筑改造的墙面设备集成模块
KR101782471B1 (ko) * 2017-07-06 2017-10-23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커튼식 방화 스크린 시스템 및 점검 방법
CN107740882A (zh) * 2017-12-01 2018-02-27 泰兴市中远船舶机械有限公司 一种船用手气电动远程遥控防火风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795A (en) * 1985-12-24 1988-07-05 Bolton Brady Limited Shutter
JPH03205068A (ja) * 1990-01-05 1991-09-06 Fujita Corp 可動式防火間仕切壁
KR200197903Y1 (ko) * 2000-02-07 2000-10-02 최병관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US20060027346A1 (en) 2004-07-13 2006-02-09 Hsieh Chung H Horizontal fireproof rolling shutter without a lower ra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795A (en) * 1985-12-24 1988-07-05 Bolton Brady Limited Shutter
JPH03205068A (ja) * 1990-01-05 1991-09-06 Fujita Corp 可動式防火間仕切壁
KR200197903Y1 (ko) * 2000-02-07 2000-10-02 최병관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US20060027346A1 (en) 2004-07-13 2006-02-09 Hsieh Chung H Horizontal fireproof rolling shutter without a lower rai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9B1 (ko) * 2011-08-11 2013-08-19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CN106592863A (zh) * 2017-01-24 2017-04-26 哈尔滨工业大学建筑设计研究院 一种适用于集装箱建筑改造的墙面设备集成模块
KR101782471B1 (ko) * 2017-07-06 2017-10-23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커튼식 방화 스크린 시스템 및 점검 방법
CN107740882A (zh) * 2017-12-01 2018-02-27 泰兴市中远船舶机械有限公司 一种船用手气电动远程遥控防火风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1891B2 (ja) 巻上げシャッター
US8443909B2 (en) Insulated fire shutter
US20130306252A1 (en) Coiling door assembly having guide members with narrow wall gap opening and internal smoke or weather seal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102149326B1 (ko) 방화 및 단열 창호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JP6128889B2 (ja) 窓シャッターの下枠の防火構造
JP2016223067A (ja) 引戸装置
KR102265370B1 (ko)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JP5654966B2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JP6158545B2 (ja) 窓シャッターの縦枠の防火構造
JP5785039B2 (ja) 窓シャッターの下枠の防火構造
KR101300927B1 (ko) 건물 창문의 상하 이동 개폐 장치 및 개폐 방법
JP3215871U (ja) 袖扉付き火災用シャッター
KR100849131B1 (ko) 가변형 셔터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KR200423391Y1 (ko) 방화 셔터
JP5937849B2 (ja) 窓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JP5937848B2 (ja) 窓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CN212803007U (zh) 复合型防火卷帘门
FI124783B (fi) Ylösrullautuva ovi ja menetelmä oviverhon reunan kiinnittämiseksi sivujohteeseen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JP7463245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の防火構造およびパネ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