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4811A -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 Google Patents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811A
KR20110064811A KR1020090121553A KR20090121553A KR20110064811A KR 20110064811 A KR20110064811 A KR 20110064811A KR 1020090121553 A KR1020090121553 A KR 1020090121553A KR 20090121553 A KR20090121553 A KR 20090121553A KR 20110064811 A KR20110064811 A KR 2011006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creen
horizontal bar
shutt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순
권병용
김해식
Original Assignee
(주)리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디아 filed Critical (주)리디아
Priority to KR102009012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4811A/ko
Publication of KR2011006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4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방화스크린셔터에 있어, 하단바의 구조를 개선하여 풍압에 의해서 스크린셔터가 들리거나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풍압에 의한 안전성과 차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스크린을 하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셔터구동부(10)와, 상기 셔터구동부(10)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하향 설치되고 대향 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셔터구동부의 구동으로 전개되는 스크린(30)과,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내입된 스크린프레임(52)과, 상기 스크린프레임(52)의 하부에 고정된 횡바(51) 및 상기 횡바의 하부에서 횡바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 승강부재로 이루어진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SUB BAR STRUCTURE OF FIRE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지하 상가나 지하철 역사의 보도, 또는 학교나 백화점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 설치되어 화재시 복도 혹은 보도를 차폐하여 화염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면서도 탈출자가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에서 스크린 하단에 부착되어 풍압에 의해서 셔터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단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스크린셔터는 지하 상가나 지하철 역사의 보도, 또는 학교나 백화점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롤러 구동으로 스크린 셔터가 하강하여 복도나 도로를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지역의 화염이나 유독 가스가 셔터 반대편으로 확산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방화스크린셔터는 평상시에는 천정에 롤 형태로 감겨져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는 감아져 있던 스크린이 바닥까지 펼쳐지면서 복도나 보도 등의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은 방화스크린셔터는, 기능성이나 제조 측면을 고려하여 불연성, 방염성 혹은 난연성의 재질이면서도 천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다.
보다 발전된 방화스크린셔터는 단순히 방화(防火) 및 방연 기능 뿐 아니라, 탈출자 혹은 구조자가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셔터에 비상구가 함께 설치되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제 100-0842219호(특허문헌 1)에는 "스크린 셔터의 폭 방향으로 피난문의 상,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 조의 지지레일을 횡설하고 피난문의 상, 하변부에는 상기 지지레일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로울러를 구비토록 하되 피난문에 상시 닫힘방향으로의 탄성 당김력을 부여하기 위한 인장 코일스프링을 구비토록 함으로써 대피자의 탈출 시 손잡이를 옆으로 밀면 피난문이 흡사 레일 커튼과 같이 슬라이드 되면서 주름진 형태로 접어져 피난통로를 형성하고 당김력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펼쳐져 닫혀지도록 하며, 또한 피난문의 우측변에 인장용 와이어를 긴장되게 고정 설치하여 피난문의 개방 시 당김력이 우측변의 상, 하단에 고르게 부여되고 우측변을 상시 평평한 직선으로 유지시키며, 포켓 타입의 상부 및 측면커버를 두되 피난문의 우측변과 측면 커버의 내부에 상호 자력을 통해 접착될 수 있는 밀접수단을 두어 피난문의 닫힘 시 측면 커버가 우측변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방화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 2008-0007917호(특허문헌 2)에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동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는 내화 스크린과, 상기 내화 스크린이 권취되는 회전롤러를 수용하는 회전롤러 수용케이스와, 상기 회전롤러로부터 내화 스크린이 풀려 내려오거나 권취될 때 그 내화 스크린의 양 측단을 가이드 및 고정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특히, 내화 스크린은 방염커튼과, 상기 방염커튼의 끝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3개의 웨이트바와, 상기 방염커튼의 상단 중앙부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3개의 중간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의 웨이트바 및 중간바의 일측은 힌지를 각각 개재하여 인접하는 웨이트바 및 중간바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힌지로 고정된 중간바의 타측은 신축부재에 의하여 인접하는 중간바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로 고정된 중간바) 및 웨이트바가 힌지의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기 힌지로 고정된 중간바 및 웨이트바 영역의 방염커튼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절개되어 구성된 방화스크린장치가 제안되었다.
방화스크린셔터의 경우 재질의 특성상 중량이 가볍고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에 쉽게 날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크린의 하단에 금속 바를 설치하여 스크린 셔터가 흩날리지 않게 고정하는데, 만약 풍압에 의해 스크린셔터의 아래 부분이 조금만 들리어도 틈으로 고온의 화염을 비롯하여 유독가스가 새기 때문에 스크린셔터가 풍압에 의해서 개방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의 방화스크린셔터는 화재에 따른 온도차 혹은 화염 폭발 등으로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셔터가 쉽게 들리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차폐성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42219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8-0007917호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스크린셔터에 있어, 하단바의 구조를 개선하여 풍압에 의해서 스크린셔터가 들리거나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풍압에 의한 안전성과 차폐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린을 하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셔터구동부와, 상기 셔터구동부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하향 설치되고 대향 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셔터구동부의 구동으로 전개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내입된 스크린프레임과, 상기 스크린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된 횡바 및 상기 횡바의 하부에서 횡바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 승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승강부재는 횡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고 상면에 상기 스크린프레임이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바 케이스이고, 상기 바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높이는 상기 횡바의 두께보다 커서 횡바가 바 케이스 내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승강부재는 횡바에서 상하로 천공된 복수 개의 홀과, 상기 횡바의 하부에 설치된 제2횡바와, 상기 홀을 수직 관통하여 하단이 제2 횡바와 나사결합된 복수 개의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핀의 길이는 횡바의 두께보다 길고 상단에 상기 홀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머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크린 하단에 설치된 하단바의 저부에 횡바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 승강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 전개시 승강부재의 하단이 지면과 접하게 되며, 이때 스크린에 풍압이 걸리면 승강부재는 그대로 지면과 접한 상태에서 하단바만 상승하게 되어 스크린 하단으로의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하단바가 상승할 때 승강부재에 대해 하단바가 풍압이 걸리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며 이때 가이드레일의 홈에 삽입된 스크린프레임과 홈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스크린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므로, 결국 스크린의 안정성과 차폐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예시된 도면의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인 일 실시 형태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스크린셔터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스크린셔터의 승강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스크린셔터는, 셔터구동부(10), 가이드레일(20), 스크린(30), 및 하단바(50)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셔터구동부(10)는 스크린(30)을 하부로 전개시키기 위해 벽 상부 혹은 천정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스크린(30)을 권취한 스크린롤러(12)와, 상기 스크린롤러(12)와 체인벨트(14)로 연결된 구동모터(13) 및 적어도 상기 스크린롤러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셔터구동부(10)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크린 전개시의 승강 구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각 가이드레일(20)의 대향하는 내측에 각각 가이드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30)은 예컨대 실리카와 같이 방염성, 난연성, 불연성 등을 가진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제조된 것이다.
상기 하단바(50)는 스크린(30) 하단에 설치되어 스크린(30) 전개시 자중에 의해서 스크린이 펼쳐지게 한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그 구조는 스크린(30)의 하단에 스크린프레임(52)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프레임(52)은 스크린고정바(53)를 매개로 횡바(51)에 고정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합관계는 도 4 내지 도 6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될 것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스크린프레임(52)은 스크린(30) 하단에 직접 고정되는 동시에 양측 단부가 횡바(51)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기이드홈(21) 내에 삽입됨으로써 하단바(50)가 가이드레일(20)에서 이탈하지 않고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방화스크린셔터는, 평상시에 스크린(30)이 스크린롤러(12)에 감아진 상태로 케이스(11) 내에 보관되고, 화재 발생시 구동모터(13)가 회전하면 스크린롤러(12)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스크린(30)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하부로 전개되어 스크린(30)이 복도 등을 차단함으로써 화염 혹은 유동가스가 스크린 건너편으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단바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단바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각 도면에서 (a)는 도 3과 같이 하단바(50)가 지면에 떠 있는 상태를, (b)는 도 1과 같이 하단바(50)가 지면에 착지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단바(50)는 스크린(30)의 하단에 고정된 스크린프레임(52)과, 횡바(51), 그리고 상기 스크린프레임(52)과 횡바(51)를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스크린고정바(53)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횡바(51)는 스크린(30)의 전체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일체형의 금속 바이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0)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고정바(53)는 스크린프레임(52)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접하여 리벳 혹은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R)으로 상호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고정바(53)의 하단은 횡바(51)의 상면에 용접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고정바(53)의 양측 단부는 가이드홈(21) 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바의 승하강시 가이드레일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하단바(50)는, 상기 횡바(51)의 하부에서 횡바(51)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 승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승강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바(51)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고 상면에 상기 스크린프레임(52)이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바 케이스(58)일 수 있다. 상기 바 케이스(58)는 스테인리스 스틸재로 제조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바 케이스(58)의 내부 공간의 높이는 상기 횡바(51)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 횡바(51)가 바 케이스(58)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도 4의 (a)와 같이 하단바가 지면에 닿고 있지 않을 때에는 바 케이스(58)가 자중에 의해서 횡바(51)의 하측으로 걸쳐져, 횡바(51) 하단에 이격공간(S)이 형성되고, 도 4의 (b)와 같이 하단바(50)가 지면에 닿아 있을 때에는 바 케이스(58)가 지면(G)과 접함과 동시에 횡바(51)는 바 케이스(58) 내부에서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스크린(30)에 풍압(P)이 걸리면 스크린프레임(52)을 비롯한 횡바(51)가 위쪽으로 들리는데, 이때 횡바(51)는 바 케이스(58)의 내부 공간에서 들리게 되어 스크린 하부로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횡바(51)가 상승할 때 스크린프레임(52)을 포함한 하단바는 풍압(P)이 걸리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화살표 참조), 이때 가이드홈(21)에 삽입된 스크린프레임(52)도 함께 기울어져서, 결국 스크린프레임(52)이 가이드홈(21) 내에 끼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더 이상 상승하지 않으며, 이러한 제동 현상은 하단바가 바 케이스(58)에 의해 1차적으로 상승이 억제됨에 기인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재는, 횡바(51)에서 상하로 천공된 복수 개의 홀(511)과, 상기 횡바의 하부에 설치된 제2횡바(60)와, 상기 각 홀(511)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하단이 제2횡바(60)와 나사결합된 복수 개의 가이드핀(6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핀(61)의 길이는 횡바(51)의 두께보다 길고 상단에 상기 홀(51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머리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홀(511)의 내면은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가이드핀(61)과 미세하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횡바(51)는, 가이드핀(61)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되며, 상승시 가이드핀(61)의 머리에 저지되어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횡바(51)의 양 측면에 측판(57)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측판(57)은 횡바(51)의 하단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제2횡바(60)가 측판(57) 사이에 내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측판(57)은 횡바(5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예시된 바와 같이 횡바(51)와 별도로 제조되어 고정나사(62)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측판(57)의 각 대향면에는 상기 제2횡바(60)의 상부 모서리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571)이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제2횡바(60)의 양측면에도 상기 측판(57)의 내측 하단의 모서리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6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5의 (a) 상태에서는 제2횡바(60)가 자중에 의해서 횡바(51)의 하측으로 걸쳐지고, 도 5의 (b) 상태에서는 제2횡바(60)가 지면(G)과 접함과 동시에 횡바(51)도 제2횡바(60) 상에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크린(30)에 풍압(P)이 걸리면 횡바(51)가 위쪽으로 들리는데, 이때 제2횡바(60)는 지면(G)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횡바(51)가 가이드핀(61)의 범위 내에서 상승하게 되어 스크린(30)이 완전히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횡바(51)가 상승할 때 하단바는 풍압(P)이 걸리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화살표 참조), 이때 가이드홈(21)에 삽입된 스크린프레임(52)도 함께 기울어져서, 결국 스크린프레임(52)이 가이드홈(21) 내에 끼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측판(57)이 횡바(51)와 제2횡바(60) 사이의 틈을 차단하게 되므로 셔터의 차폐성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5의 (b)와 같이 제2횡바(60)가 지면(G)에 착지되어 있을 때, 풍압(P)이 걸려서 횡바(51)가 가이드핀(61)의 길이 범위 내에서 상승하는 경우에도 측판(57)이 횡바(51)와 제2횡바(60) 사이의 벌어진 틈을 차단하게 되어 차폐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한적으로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동일 및 균등한 구조나 요소는 물론이고,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으로 가해진 변경이나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스크린셔터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스크린셔터의 승강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단바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단바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셔터 구동부 12... 스크린롤러
13... 구동모터 14... 체인벨트
20... 가이드레일 21... 가이드홈
30... 스크린
50... 하단바 51... 횡바
511... 홀
52... 스크린프레임 53... 스크린고정바
57... 측판 571... 경사면
58... 바 케이스
60... 제2횡바 601... 경사면
61... 가이드핀 611... 나사결합부
62... 고정나사

Claims (8)

  1. 스크린을 하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셔터구동부(10);
    상기 셔터구동부(10)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하향 설치되고 대향 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0);
    상기 셔터구동부의 구동으로 전개되는 스크린(30);
    상기 스크린의 하단에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내입된 스크린프레임(52);
    상기 스크린프레임(52)의 하부에 고정된 횡바(51); 및
    상기 횡바의 하부에서 횡바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 승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횡바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되고 상면에 상기 스크린프레임이 돌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바 케이스(58)이고,
    상기 바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높이는 상기 횡바의 두께보다 커서 횡바가 바 케이스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횡바에서 상하로 천공된 복수 개의 홀(511)과,
    상기 횡바의 하부에 설치된 제2횡바(60)와,
    상기 각 홀을 수직 관통하여 하단이 제2횡바와 나사결합된 복수 개의 가이드핀(6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핀의 길이는 횡바의 두께보다 길고 상단에 상기 홀(511)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머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의 양 측면에 횡바의 하단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한 쌍의 측판(57)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횡바는 상기 각 측판 사이에 내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57)의 각 대향면에 상기 제2횡바의 모서리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57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횡바의 양측면에 상기 측판의 모서리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6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프레임은 스크린고정바를 매개로 횡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고정바는 스크린프레임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고정바의 하단이 횡바의 상면에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KR1020090121553A 2009-12-09 2009-12-09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KR20110064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53A KR20110064811A (ko) 2009-12-09 2009-12-09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553A KR20110064811A (ko) 2009-12-09 2009-12-09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811A true KR20110064811A (ko) 2011-06-15

Family

ID=4439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553A KR20110064811A (ko) 2009-12-09 2009-12-09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48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1117A (zh) * 2012-05-30 2012-09-12 河南维思能源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窗户的单电机卷帘窗
KR20220138496A (ko) * 2021-04-02 2022-10-13 (주)대현에스엔티 소화 기능을 가진 이중 스크린 방화셔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61117A (zh) * 2012-05-30 2012-09-12 河南维思能源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窗户的单电机卷帘窗
CN102661117B (zh) * 2012-05-30 2015-07-22 河南维思能源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大型窗户的单电机卷帘窗
KR20220138496A (ko) * 2021-04-02 2022-10-13 (주)대현에스엔티 소화 기능을 가진 이중 스크린 방화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KR101300908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90110534A (ko)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20160110851A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KR102334716B1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JP2010133139A (ja) 開閉体装置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KR102024881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JP3854259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10005389A (ko) 복열 구조의 방화셔터
JPH09313632A (ja) 連装式防火シャッタ−
KR102636525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JPH09187525A (ja) 可動式防火・防煙区画構造
KR20090112820A (ko)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