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908B1 -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 Google Patents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908B1
KR101300908B1 KR1020120032122A KR20120032122A KR101300908B1 KR 101300908 B1 KR101300908 B1 KR 101300908B1 KR 1020120032122 A KR1020120032122 A KR 1020120032122A KR 20120032122 A KR20120032122 A KR 20120032122A KR 101300908 B1 KR101300908 B1 KR 101300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re screen
shutter
support bar
typ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선복
Original Assignee
위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선복 filed Critical 위선복
Priority to KR102012003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바; 이웃하는 상기 지지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방화 스크린; 및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건물의 로비 등과 같이 일정한 영역을 둘러싸서 화재시 연기 또는 불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LOOPED SURFACE TYPE FIREPROOF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로비 등 큰 공간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방화 스크린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없이도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승강할 수 있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연소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가동되어 화재 현장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재지역을 방화 스크린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은 방화 스크린 중앙에 설치된 비상문을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인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 스크린의 양단을 지지하고 방화 스크린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필요하다. 가이드레일은 방화 스크린이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과 천장에 설치되는 기둥과 같은 부재이다.
최근에는 건물의 실내 로비와 같은 큰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기 때문에 이러한 로비와 같은 공간에도 방화 스크린 셔터를 설치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로비와 같은 공간에 방화 스크린의 승강을 위해서 여러 개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게 되면 사람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 로비의 미관을 해칠 수도 있다.
따라서, 사람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며 실내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화재시에 신속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로비 등과 같이 큰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로비 등의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없이도 일정한 공간을 둘러쌀 수 있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된 폐곡면 타입의 방화 스크린을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승강할 수 있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재시 연기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 방화 스크린을 구비한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되는 지지바가 서로 일직선 상에 있지 않더라도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바끼리 서로 연결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는,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바; 이웃하는 상기 지지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방화 스크린; 및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건물의 로비 등과 같이 일정한 영역을 둘러싸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아이들롤러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아이들롤러는 천장에 고정되는 롤러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아이들롤러는 상기 롤러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를 향해 상기 아이들롤러를 밀어 주는 스프링이 상기 롤러 브라켓과 상기 아이들롤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코일스프링은 서로 연결되어 폐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휘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바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에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피동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피동부재에 동력을 전달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 및 상기 코일스프링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휘어진 상태에서 스프링의 권선끼리 서로 접촉하는 힘에 의해서 연결된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양단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화 스크린의 상단은 상기 지지바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방화 스크린의 좌우 방향 양단은 상기 피동부재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방화 스크린의 좌우 방향 양단 사이의 틈새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양면에 형성된 보조 스크린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크린은 상기 방화 스크린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보조 스크린 및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스크린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는 금속성의 티바가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크린의 하단에는 금속성의 평철이 연결되며, 상기 평철은 상기 티바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주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 스크린에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티바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주름에 의해서 상기 보조 스크린이 접히면서 상기 평철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는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보조 스크린 하단 또는 상기 평철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는 로비 등의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는 가이드레일 없이도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는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해서 승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는 방화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되는 지지바가 서로 일직선 상에 있지 않더라도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는 로비 등과 같은 큰 실내 공간 내에서 연기 또는 불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방화 스크린이 고정되는 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지지바의 양단 지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지지바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지지바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양단 전후면에 설치되는 보조 스크린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보조 스크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 (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 (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방화 스크린이 고정되는 지지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지지바의 양단 지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지지바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지지바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양단 전후면에 설치되는 보조 스크린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보조 스크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천장(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바(130), 이웃하는 지지바(1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40), 연결부재(140)에 일단이 고정되고 연결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방화 스크린(110) 및 연결부재(14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건물의 로비 등과 같이 일정한 영역을 둘러싸는 방화 스크린 셔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건물의 실내 공간 천장(10)에 설치되어 로비 등의 비교적 큰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도 1에서 방화 스크린(110)으로 차폐되어 둘러싸이는 공간이 실내 로비 등이 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폐곡면으로 형성된 방화 스크린(110)의 내부에 로비 등이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은 천장(10)에 폐곡면 더 자세하게는 폐곡선 또는 다각형 모양으로 설치되는 지지바(130)에 감기면서 상승하고, 지지바(130)에서 풀리면서 하강할 수 있다.
평상시에 방화 스크린(110)은 지지바(130)에 감긴 상태로 천장(10) 가까이에 있지만, 화재 시에는 지지바(130)에서 풀려서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이 바닥(미도시)에 닿아서 화재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이 설치되는 실내 공간의 천장(10)은 대부분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에는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비상구(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0)에는 방화 스크린(110)으로 차폐하고자 하는 공간을 둘러 쌀 수 있도록 지지바(110)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지지바(130)의 일단과 이웃하는 지지바(130)의 일단은 연결부재(14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다수개의 지지바(1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지지바(130)에는 구동부(150)와 연결되는 피동부재(135)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구동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부(150)는 모터브라켓(156)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150)는 구동축(151)을 포함하며, 구동축(151)의 일단에는 구동기어(152)가 형성될 수 있다. 피동부재(135)는 구동부(150)의 구동기어(152)와 벨트 또는 체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153)로 연결되는 기어 또는 스프로켓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4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지지바(130)는 구동부(150) 및 동력전달부재(153) 그리고 피동부재(135)에 의해서 한꺼번에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회전 구동되는 지지바(130)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아이들롤러(13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바(130) 양단은 각각 2개의 아이들롤러(132)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아이들롤러(132)는 천장(10)에 고정되는 롤러 브라켓(133)에 장착되며, 아이들롤러(132)는 롤러 브라켓(1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롤러 브라켓(133)에는 천장(1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한 체결공(1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 브라켓(133)의 절곡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바(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보강바(13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10)은 지지바(130)에 감기게 되는데, 방화 스크린(110)이 지지바(130)에 감기는 과정에서 롤러 브라켓(133)이 방해되지 않도록 롤러 브라켓(133)의 하단은 하나의 아이들롤러(132)와 동일한 수직선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롤러(132)가 설치되는 롤러 브라켓(133)의 하단은 방화 스크린(110) 보다 튀어나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들롤러(132)는 지지바(130)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지지바(130)와 항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지지바(130)에 방화 스크린(110)이 감기게 되면, 지지바(130)와 아이들롤러(132)는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접촉해야 한다.
지지바(130)에 감긴 방화 스크린(110)과 아이들롤러(132)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지지바(130)에 방화 스크린(110)이 감길수록 아이들롤러(132)와 지지바(130) 사이의 간격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아이들롤러(132)는 방화 스크린(110)이 감긴 지지바(130)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바(130)를 향해 아이들롤러(132)를 밀어 주는 스프링(172)이 롤러 브라켓(133)과 아이들롤러(1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30)에 방화 스크린(110)이 감김에 따라 아이들롤러(132)는 아래 쪽으로 내려가게 되지만, 아이들롤러(132)와 롤러 브라켓(133)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72)의 탄성력에 의해서 아이들롤러(132)가 위쪽으로 밀리기 때문에 지지바(130)에 감긴 방화 스크린(110)과 아이들롤러(132)의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아이들롤러(132)가 스프링(172)에 의해서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아이들롤러(132)의 양단이 고정되는 롤러 브라켓(133)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롯(17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40)는 이웃하는 지지바(130)의 일단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재(140)로는 베벨 기어 등과 같은 기어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코일스프링(140)이 지지바(130)의 일단에 연결되는 방식은 도 5의 좌측 지지바(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38a) 및 너트(138b)에 의해서 지지바(130)에 연결되거나, 우측 지지바(1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40)이 압입될 수도 있다. 여기서, 코일스프링(140)을 지지바(130)의 일단에 삽입하기 위해서 지지바(130)의 일단에 코일스프링(140) 삽입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이웃하는 지지바(130)가 일직선 상에 있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꺾인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바(1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즉, 코일스프링(140)은 휘어진 상태로 지지바(130)를 연결하게 된다.
지지바(1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재 즉 코일스프링(140)이 휘어지면, 안쪽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140)은 권선끼리 서로 접촉하는 압축부(142)를 형성하게 되고, 바깥쪽에 위치하는 코일스프링(140)은 권선끼리 서로 벌어지는 비압축부(14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40)은 휘어진 상태에서 스프링의 권선끼리 서로 접촉하는 힘에 의해서 연결된 지지바(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코일스프링(140)의 양단은 지지바(130)에 볼트(138a) 및 너트(138b)로 연결되거나 압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바(130)가 회전함에 따라 코일스프링(140)의 압축부(142)를 형성하는 서로 접촉하는 권선이 바뀌면서 지지바(130)와 코일스프링(140)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40')은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양단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바(130)에 삽입되는 양단의 직경보다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큰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된 코일스프링(140')을 이용함으로써, 압축부(142)의 권선 사이의 압축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다수개의 지지바(130)와 휘어진 상태로 지지바(130)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140)은 서로 연결되어 폐곡면, 폐곡선 또는 다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피동부재(135)에 동력을 전달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바(130) 및 코일스프링(14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부(150)에 의해서 방화 스크린(110)이 전체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의 상단은 지지바(130) 및 코일스프링(140)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양단(111)은 피동부재(135)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100)가 최상의 밀폐 효과 또는 차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폐곡면 형태의 지지바(130)에 상단이 고정되는 방화 스크린(110)이 이음매 없이 로비 등의 차폐 대상 공간을 완전히 둘러싸야 한다. 하지만, 어느 하나의 지지바(130)에는 피동부재(135)가 형성되기 때문에, 피동부재(135)가 형성된 지지바(130)에는 방화 스크린(110)이 감길 수 없다. 따라서, 피동부재(135)를 사이에 두고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양단(111)이 위치하게 된다. 즉,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양단(111)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며, 이격된 방화 스크린(110)의 양단 사이에 피동부재(135)가 위치하게 된다.
이격된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양단(11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연기가 드나들 수 있으면 안 된다. 따라서,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양단(111) 사이의 틈새는 방화 스크린(110)의 양면에 형성된 보조 스크린(160)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보조 스크린(160)은 방화 스크린(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보조 스크린(160a) 및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보조 스크린(160b)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크린(160)은 지지바(130)에 고정되고 지지바(130)에 감기면서 승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스크린(160)의 상단(162)은 지지바(130)와 나란하게 별도로 설치되는 보조바(161)에 고정된다. 이 때 보조바(161)의 양단은 별도의 구조물(미도시)에 의해서 천장(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스크린(160)은 방화 스크린(110)과 일부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스크린(160)과 방화 스크린(111)이 겹치는 중첩부(166)와 겹치지 않는 비중첩부(16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첩부(166)의 크기가 클수록 방화 스크린(110)의 좌우 방향 양단(111) 사이의 이격된 틈을 잘 차폐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스크린(160)의 하단은 승강 와이어(165)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승강 와이어(165)의 상단은 구동부(150)의 구동축(151)에 연결되고, 승강 와이어(165)의 하단은 보조 스크린(160)의 하단 또는 보조 스크린(165)의 하단에 설치되는 평철(168)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방화 스크린(110)을 올리기 위해서 구동부(150)가 회전하면 구동축(151)에 승강 와이어(165)가 감기면서 보조 스크린(160)의 하단이 끌어 올려질 수 있다. 이 때, 보조바(161)가 회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조 스크린(160)은 방화 스크린(110)과 달리 감기면서 위로 올라갈 수 없다.
보조 스크린(160)이 위로 올라 갈 수 있도록 보조 스크린(160)의 하단에 연결되는 평철(168)은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티바(112) 위에 놓일 수 있다. 보조 스크린(160)의 하단에 연결되는 평철(168)과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에 연결되는 티바(112)는 보조 스크린(160)과 방화 스크린(110)이 내려졌을 때 보조 스크린(160)과 방화 스크린(110)이 아래쪽으로 쭉 펴질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웨이트와 같은 기능을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티바(112)는 단면이 T자 모양을 가지는 금속성 부재이며, 방화 스크린(110)의 하단에 볼트(113)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평철(168)도 금속성 부재로서 보조 스크린(160)의 하단에 볼트(169)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평철(168)이 티바(112)에 놓여지기 때문에 티바(112)가 상승하게 되면 평철(168)도 자연히 위로 올라가면서 보조 스크린(160)이 올려질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과 달리 보조 스크린(160)은 감겨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승강 구조가 필요하다. 보조 스크린(160)이 승강할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스크린(160)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163)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스크린(160)에 형성된 주름(163)이 접히면서 보조 스크린(160)의 하단이 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스크린(160)이 위로 올려진 상태에서도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거나 처지지 않는다.
보조 스크린(160)에 형성된 주름(163)은 박음질이 형성되는 면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스크린(160)의 주름(163) 사이에 위치하도록 보조 스크린(1670)에 자석(164)이 장착될 수 있다. 자석(164)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10)의 티바(112)에 놓은 보조 스크린(160) 하단의 평철(168)이 올려지면 주름(163)에 의해서 보조 스크린(160)이 접히게 되고, 이 때 동일 수직선 상에 형성된 자석(164)끼리 서로 붙으면서 보조 스크린(160)의 주름(163)이 완전히 접힌 상태로 평철(168)이 올라갈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화 스크린(110)의 티바(112)가 상승함에 따라 주름(163)에 의해서 보조 스크린(160)이 접히면서 평철(168)이 상승할 수 있고, 자석(164)끼리 서로 붙기 때문에 보조 스크린(160)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조 스크린(160)에 형성되는 자석(164)은 너무 큰 자력을 가지기 보다는 약한 자력을 가지는 고무자석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지 않은 자력을 가지는 자석을 이용해야 평철(168)이 하강할 때 보조 스크린(160)의 주름이 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100)를 이용함으로써 가이드레일 없이도 로비 등과 같은 실내 공간을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10:방화 스크린 130: 지지바
132: 아이들롤러 133: 롤러 브라켓
140:연결부재 150: 구동부
156: 모터브라켓 160: 보조 스크린
163: 주름 164: 자석
165: 승강 와이어

Claims (19)

  1.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바;
    이웃하는 상기 지지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리는 방화 스크린; 및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아이들롤러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롤러는 천장에 고정되는 롤러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아이들롤러는 상기 롤러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를 향해 상기 아이들롤러를 밀어 주는 스프링이 상기 롤러 브라켓과 상기 아이들롤러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코일스프링은 서로 연결되어 폐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휘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바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에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피동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피동부재에 동력을 전달하여 폐곡면을 형성하는 상기 다수개의 지지바 및 상기 코일스프링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휘어진 상태에서 스프링의 권선끼리 서로 접촉하는 힘에 의해서 연결된 상기 지지바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가운데 부분의 직경이 양단의 직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스크린의 상단은 상기 지지바 및 상기 코일스프링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방화 스크린의 좌우 방향 양단은 상기 피동부재의 하부에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스크린의 좌우 방향 양단 사이의 틈새는 상기 방화 스크린의 양면에 형성된 보조 스크린에 의해서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크린은 상기 방화 스크린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보조 스크린 및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스크린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스크린의 하단에는 금속성의 티바가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크린의 하단에는 금속성의 평철이 연결되며, 상기 평철은 상기 티바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 스크린에 자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티바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주름에 의해서 상기 보조 스크린이 접히면서 상기 평철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는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승강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보조 스크린 하단 또는 상기 평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120032122A 2012-03-29 2012-03-29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30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22A KR101300908B1 (ko) 2012-03-29 2012-03-29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22A KR101300908B1 (ko) 2012-03-29 2012-03-29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908B1 true KR101300908B1 (ko) 2013-08-27

Family

ID=4922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122A KR101300908B1 (ko) 2012-03-29 2012-03-29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90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857B1 (ko) * 2015-05-04 2015-07-07 주식회사 주일기업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547894B1 (ko) 2015-06-18 2015-08-26 주식회사 우리셔터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51626B1 (ko) 2015-02-17 2015-09-0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KR101579560B1 (ko) 2015-10-19 2015-12-22 변인환 굴곡형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84537B1 (ko) * 2019-06-04 2020-03-04 임백종 무기둥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20074540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20074541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CN115070236A (zh) * 2022-07-04 2022-09-20 山东理工大学 一种三维任意曲面轮廓工件的激光加工支撑固定平台
WO2023272770A1 (zh) * 2021-07-02 2023-01-05 梁雄飞 一种防止火灾蔓延的卷帘防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952A (ja) * 1997-09-24 1999-04-06 Bunka Shutter Co Ltd 防火スクリー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952A (ja) * 1997-09-24 1999-04-06 Bunka Shutter Co Ltd 防火スクリーン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626B1 (ko) 2015-02-17 2015-09-0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KR101531857B1 (ko) * 2015-05-04 2015-07-07 주식회사 주일기업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547894B1 (ko) 2015-06-18 2015-08-26 주식회사 우리셔터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79560B1 (ko) 2015-10-19 2015-12-22 변인환 굴곡형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84537B1 (ko) * 2019-06-04 2020-03-04 임백종 무기둥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20074540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20074541A (ko)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636525B1 (ko) * 2020-11-27 2024-02-14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656680B1 (ko) * 2020-11-27 2024-05-02 주식회사 선일기업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WO2023272770A1 (zh) * 2021-07-02 2023-01-05 梁雄飞 一种防止火灾蔓延的卷帘防火装置
CN115070236A (zh) * 2022-07-04 2022-09-20 山东理工大学 一种三维任意曲面轮廓工件的激光加工支撑固定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08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43061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US8365492B2 (en) Blast protection window retention system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US20110083369A1 (en) Garage screen door system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742044B1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101259521B1 (ko)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곡면 개폐라인을 구현하는 장치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KR102064467B1 (ko) 복합열 차단 2중 방화셔터
KR101620059B1 (ko)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셔터구조
JP2011239834A (ja) 機械排煙設備
KR101266399B1 (ko) 출몰식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2334716B1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386714B1 (ko)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KR102636525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KR101548869B1 (ko) 곡선 구간 설치가 가능한 방화 스크린 셔터
CN209799790U (zh) 一种带有锁定机构的防火卷帘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