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044B1 -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044B1
KR101742044B1 KR1020150035179A KR20150035179A KR101742044B1 KR 101742044 B1 KR101742044 B1 KR 101742044B1 KR 1020150035179 A KR1020150035179 A KR 1020150035179A KR 20150035179 A KR20150035179 A KR 20150035179A KR 101742044 B1 KR101742044 B1 KR 10174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ixed
shutter
fi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851A (ko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102015003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0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4Fir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서 하부로 방화셔터가 작동이 이루어지고, 방화구획 전체길이와 관계없이 설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프레임;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에 결합이 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도르레; 상기 상부 고정도르레의 사이 사이에 배열되는 하부 고정도르레; 상기 하부 고정도르레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하부 T형 셔터 바; 상기 하부T형 셔터바와 상부 셔터바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의 하부면에 하부T형 셔터 바와 상부 셔터 바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지도록 형성된 스크린 지 박스; 상기 스크린 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방고정 브라켓을 형성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하부 고정도르레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풀리를 형성한 전동기를 이루어짐으로 서, 종래의 방화셔터보다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특히 기 하자발생이 적고, 보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FIREPROOF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상부에서 하부로 방화셔터가 작동이 이루어지고, 방화구획 전체길이와 관계없이 설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방화셔터는, 방화구획의 용도로 화재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으로서, 공항, 체육관, 넓은 공간 등에 부득이하게 내화구조로 된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치하여 화재가 다른 구역으로 퍼지지 않도록 막기 위한 것이다. 화재는 한번 발생하면 진행속도가 매우 빠르고, 유독가스와 연기로 인한 질식, 백드래프트로 인한 피해 등 다양한 위험요인으로 인해 그 피해가 매우 크기 때문에,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기 위해서는, 아직 화재가 번지지 않은 부분과 이미 화재가 발생한 부분을 벽으로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건축법상 일정 면적 이상의 건축물에는 방화구획을 구획하도록 하였고, 방화구획을 내화구조의 고정 벽으로 구획해야 하지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 통로에 자동방화셔터를 설치하고 있으며, 보다 효율적이고 견고한 방화셔터에 관한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셔터는 불투명한 철재 판으로 구성되어 있어 차폐되고 난 후에는 반대편의 화재 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방화셔터가 가열된 상태에서 사람이 만지거나 접근하여 화상 등의 사상 사고를 일으킬 수 있고, 소방관이 방화셔터 건너편으로 침투하여 화재를 진압하고자 할 때 화재 진행 정도를 확인하지 못해서 화염 확대 및 연기와 유독가스 오염 등으로 인한 재실자의 피난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강화유리로 구성된 투시창을 구비하여 방화셔터 반대편의 화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화 셔터가 개발되었다(특허출원 제10-2006-0011412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1904호, 제20-2006-0005824호 등 참조). 그러나 방화셔터의 반대편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은 강화유리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심한 폭발 등에 있어서 내구성 및 안정성의 확보도 어렵다. 또한, 심한 연기등으로 가려져 반대편 화재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반대편 화재 상황은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바, 본 발명자는, 온도변화를 육안으로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방화셔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허출원 제10-2008-0126370호, 특허출원 제10-2010-0030782호 특허출원 제10-2009-0095867호
본 발명 해결하고자는 과제는 셔터길이와 관계없이 설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의 전동기를 사용하여 최장 길이까지 설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시간이 경제적이고, 종래의 방화셔터보다 설치비용이 저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의 하자발생이 적고, 보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스크린 방화셔터에 있어서,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프레임;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에 결합이 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도르레; 상기 상부 고정도르레의 사이 사이에 배열되는 하부 고정도르레; 상기 하부 고정도르레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하부 T형 셔터 바; 상기 하부T형 셔터 바와 상부 셔터바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의 하부면에 하부T형 셔터 바와 상부 셔터 바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지도록 형성된 스크린 지 박스; 상기 스크린 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전방고정 브라켓을 형성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하부 고정도르레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풀리를 형성한 전동기를 형성하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기계의 하자발생이 적고, 보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는 시공시 설계가 편리하고, 곡면구간의 방화셔터기능이 가능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방화구획 전체길이와 관계없이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시공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도시한 직선형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계의 하자발생이 적고, 보수가 용이한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의 접힌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상구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를 도시한 곡면형 구조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는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0);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프레임(110);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에 결합이 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도르레(120); 상기 상부 고정도르레의 사이 사이에 배열되는 하부 고정도르레(130); 상기 하부 고정도르레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하부 T형 셔터 바(140); 상기 하부T형 셔터 바(140)와 상부 셔터 바(150)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160);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110)의 하부면에 하부T형 셔터 바(140)와 상부 셔터 바(170)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16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지도록 형성된 스크린 지 하우징(180); 상기 스크린 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 브라켓(190)을 형성하여 와이어(200)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하부 고정도르레(120,13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풀리(210)를 형성한 전동기(22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00)는 벽면에 형성하여 스크린 지가 상하로 이동시에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 역활을 하도록 홈을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110)는 천정에 고정되며 다수개의 상부 고정 도르레를 고정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와이어를 당길 경우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므로 견고하게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T형 셔터 바(140)는 다수개의 하부 고정도르레(13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에는 지면과 닿는 부분에는 완충과 밀폐력을 높이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지면과 닿는 면에 밀폐용 패드(270)와 상부에는 무게추(25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T형 셔터 바(140)와 상부 셔터바(150)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160)를 형성하였다. 상기 스크린 지는 강화 방화 천으로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는 특수천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스크린 지 하우징(180)은 상부 고정프레임의 하부면에 하부T형 셔터 바와 상부 셔터 바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16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지도록 형성되며 외부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박스형으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스크린 지(16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 브라켓(190)을 형성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하부 고정도르레(120,13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풀리를 전동기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전동기(220) 한 대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서 제어할 수 있어 제어가 편리하고 고장의 발생률이 작아 설치비와 운영비가 적게드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전동기(220)가 회전하여 와이어 풀리(210)가 회전되면 와이어가 감겨지면 스크린 지가 올라가고, 상기 와이어 풀리가 풀리면 스크린 지가 내려가도록 형성하였다. 이때 스크린 지가 빠르게 내려갈 수 있도록 또한 스크린 지가 펴질 수 있도록 하부T형 셔터 바(140)를 무겁게 하중을 주던가 또는 무게추(25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비상시에 비상구 또는 비상탈출시에 출입구를 스크린 지에 형성하여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스크린지 도어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비상구는 전면에 비상구를 형성하되 상부 수평레일(310)과 하부 수평레일(320)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수평레일에 끼워지는 상부 수평프레임(330)과 하부 수평프레임(340)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손잡이(350)를 포함한 스크린 지 도어(37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 지 도어(370)를 이동시키면 상기 상하부 수평레일(310,320)을 따라 스크린 지 도어가 이동하도록 형성하여 비상시에 스크린 지 도어를 통하여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는 굴곡진 상태를 커버할 수 있도록 스크린 지를 배열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상하부 고정도르레를 곡면에 따라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므로 곡면 또는 긴 거리와 높이에 따라 다르게 스크린 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프레임(110)과 하부 T형 셔터 바(140)를 곡면으로 배열하고, 상기 상하부 고정도르레(120,130)를 곡면에 따라 배열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100: 가이드 레일 110: 상부 고정프레임
120: 상부 고정도르레 130: 하부 고정도르레
140: 하부T형 셔터 바 160: 스크린 지
170: 상부 셔터 바 180: 스크린 지 하우징
190: 고정 브라켓 200: 와이어
370: 스크린 지 도어

Claims (3)

  1. 가이드레일과, 고정도르레와, 스크린지로 구성하여 도르레를 이용하여 스크린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비상 도어가 형성된 스크린 방화셔터에 있어서,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0);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프레임(110);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에 결합이 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도르레(120); 상기 상부 고정도르레의 사이 사이에 배열되는 하부 고정도르레(130); 상기 하부 고정도르레(13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에는 지면과 닿는 부분에는 완충과 밀폐력을 높이도록 밀폐용 패드(270)와 상부에는 무게추(250)를 형성한 하부 T형 셔터 바(140);
    상기 하부T형 셔터 바(140)와 상부 셔터 바(150)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며, 전면에 비상구를 형성하되 상부 수평레일(310)과 하부 수평레일(320)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수평레일에 끼워지는 상부 수평프레임(330)과 하부 수평프레임(340)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손잡이(350)를 포함한 스크린지 도어(370)를 형성한 스크린 지(160);
    상기 상부 고정프레임(110)의 하부면에 하부T형 셔터 바(140)와 상부 셔터 바(170)의 사이에 길게 배열되는 스크린 지(16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어지도록 형성된 스크린 지 하우징(180); 상기 스크린 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고정 브라켓(190)을 형성하여 와이어(200)를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하부 고정도르레(120,130)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풀리(210)를 형성한 전동기(2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2. 삭제
  3. 삭제
KR1020150035179A 2015-03-13 2015-03-13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10174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79A KR101742044B1 (ko) 2015-03-13 2015-03-13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79A KR101742044B1 (ko) 2015-03-13 2015-03-13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51A KR20160110851A (ko) 2016-09-22
KR101742044B1 true KR101742044B1 (ko) 2017-06-01

Family

ID=5710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179A KR101742044B1 (ko) 2015-03-13 2015-03-13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67B1 (ko) * 2017-10-19 2018-07-09 김상근 복합도르레식 굴곡 방범셔터
KR200489407Y1 (ko) * 2017-11-02 2019-06-14 김상근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KR102289390B1 (ko) * 2019-08-21 2021-08-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CN112012606A (zh) * 2020-09-23 2020-12-01 钱芳芳 一种用于快速逃生的合页结构及逃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01Y1 (ko) * 2003-09-01 2003-11-22 김진학 방화 셔터
KR100702964B1 (ko) * 2006-08-25 2007-04-03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842219B1 (ko) * 2008-01-21 2008-06-30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KR101243061B1 (ko) * 2012-10-30 2013-03-13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867A (ko) 2008-03-06 2009-09-10 이주연 깔끔이 담배
KR20100030782A (ko) 2008-09-11 2010-03-19 (주)스타리퍼블릭 연예인 브랜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201Y1 (ko) * 2003-09-01 2003-11-22 김진학 방화 셔터
KR100702964B1 (ko) * 2006-08-25 2007-04-03 장종복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KR100842219B1 (ko) * 2008-01-21 2008-06-30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KR101243061B1 (ko) * 2012-10-30 2013-03-13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51A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044B1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US9956442B2 (en) Fire and/or smoke barrier
KR101620912B1 (ko)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102085438B1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RU161142U1 (ru) Защитный экран с многослойным огнестойким материалом
KR102064467B1 (ko) 복합열 차단 2중 방화셔터
JP4875265B2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JP3740332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160107389A (ko) 커튼식 스크린 방화셔터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KR20090110534A (ko)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KR101386714B1 (ko)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JP5684637B2 (ja) 伸縮梯子セット用落下安全装置
CN212187526U (zh) 一种可伸缩的固定式挡烟垂壁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RU175287U1 (ru) Преграда для защиты от огня и дыма
JP3854259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CN213683799U (zh) 一种防火卷闸门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CN212803007U (zh) 复合型防火卷帘门
RU2351378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занавес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CN112302514A (zh) 一种水平防火卷帘门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