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061B1 -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061B1
KR101243061B1 KR1020120121131A KR20120121131A KR101243061B1 KR 101243061 B1 KR101243061 B1 KR 101243061B1 KR 1020120121131 A KR1020120121131 A KR 1020120121131A KR 20120121131 A KR20120121131 A KR 20120121131A KR 101243061 B1 KR101243061 B1 KR 10124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ing
lifting
rotating drum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일
Original Assignee
이세일
주식회사 세일롤업도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일, 주식회사 세일롤업도어스 filed Critical 이세일
Priority to KR102012012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드럼, 고정링, 승강링, 밀폐형 스크린 천, 승강용 와이어, 폴더용 와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회전드럼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링을 들어올리게 되고 폴더용 와이어도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밀폐형 스크린 천이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게 되며, 회전드럼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링과 밀폐형 스크린 천이 하강하면서 건물의 바닥에 닿아 밀폐형 스크린 천의 내부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밀폐시키는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를 설치하면 화재시 밀폐형 스크린 천이 하강하면서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차단하여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보호구간을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SEALED TYPE SCREEN SHUTTER DEVICE}
본 발명은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 천이 밀폐형으로 제작되고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천장에서 스크린 천이 하강하면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차단하여 밀폐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화재시 대피하는 사람들의 시간을 벌어주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다.
현재 방화 및 방연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는 강철로 형성되어 건물 천장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하강시켜 건물의 입구 또는 통로를 차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화셔터는 다수개의 강철이 연결되어 있어 이에 따른 중량과 부피가 커 천정의 설치 공간이 커지고 셔터의 승,하강을 작동하는 모터가 커지게 되어 설치되는 비용이 높고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내열성이 강하면서 얇고 가벼운 스크린 천을 이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한 방화 스크린셔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화 스크린셔터의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844525호, 등록실용신안 제0425980호, 제04119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34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및 실용신안에 개시된 종래의 대부분의 스크린셔터는 스크린 천이 회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한 구역을 사방으로 밀폐시킬 필요가 있는 장소에는 설치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는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다른 층으로 빠르게 확산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를 사방에서 확실하게 밀폐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때 종래의 통로 차단 타입의 스크린셔터를 이용해서는 에스컬레이터 구간을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어렵고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린 천을 원통 또는 사각박스 등과 같은 밀폐형으로 제작하고, 이 밀폐형 스크린 천이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밀폐형 스크린 천이 하강하면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차단하여 밀폐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되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천장에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부천삽입홈이 형성되며, 와이어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천삽입홈과 대응되는 하부천삽입홈이 형성되며, 와이어삽입고정공이 형성된 승강링; 상단은 상기 상부천삽입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천삽입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다수의 와이어공이 형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군데에 형성된 밀폐형 스크린 천; 하단은 상기 와이어삽입고정공에 삽입되어 승강링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승강용 와이어; 및 하단은 상기 승강링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공을 지그재그로 관통하도록 엮어서 상기 고정링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폴더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링을 들어올리게 되고 폴더용 와이어도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밀폐형 스크린 천이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게 되며, 회전드럼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링과 밀폐형 스크린 천이 하강하면서 건물의 바닥에 닿아 밀폐형 스크린 천의 내부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밀폐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과 천장의 사이에는 롤러설치대가 설치되고, 이 롤러설치대에는 상기 승강용 와이어와 폴더용 와이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와 폴더용 와이어가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될 때 자연스럽게 권취되도록 안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링이 삽입되는 링삽입공간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는 내부마감링과 외부마감링이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승강링이 최고로 상승하였을 때 내부마감링과 외부마감링의 사이에 형성된 링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승강링이 링삽입공간을 메워서 천장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내부마감링과 외부마감링의 주변에는 천장마감재가 설치되어 천장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삽입고정공은 상기 하부천삽입홈을 기준으로 승강링의 내측과 외측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관통공은 와이어삽입고정공과 대응되게 고정링의 내측과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용 와이어는 승강링의 내측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고정공을 관통하여 승강링의 하부를 지나 외측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고정공을 관통하여 승강링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승강용 와이어의 양단은 와이어관통공을 통해 회전드럼에 권취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를 통해 승강링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승강용 와이어가 승강링의 내측과 외측에서 함께 잡아주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은,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회전드럼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에 의해 회전드럼으로 전달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를 설치하면 화재시 밀폐형 스크린 천이 하강하면서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차단하여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보호구간을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오작동이 생기지 않으며 저렴한 설비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에서 스크린 천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에서 스크린 천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건물의 천장(10)에 설치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면 건물의 바닥(20)까지 하강하면서 밀폐형 스크린 천(500)의 내부의 보호공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건물의 천장(10)에는 회전드럼(100)이 고정되되,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구동모터(110)와, 구동모터(110)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120)과, 회전드럼(1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스프로킷(130)과, 구동스프로킷(120)과 피동스프로킷(130)을 연결하는 체인(14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체인 방식 외에도 풀리 방식이나 기어 방식으로 이용하여 구동모터(110)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110)는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천장(10)과 이격되게 고정링(200)이 설치되는 데, 이 고정링(200)은 별도의 지지프레임(30)을 통해 천장(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링(200)의 하부에는 상부천고정구(210)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천고정구(210)에는 상부천삽입홈(220)이 형성되고, 상부천삽입홈(220) 내에는 와이어인출공(240)이 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천고정구(210)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와이어관통공(230)이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링(200)과 천장(10)의 사이에는 롤러설치대(700)가 설치되고, 이 롤러설치대(700)에는 후술하는 승강용 와이어(400)와 폴더용 와이어(6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가이드롤러(7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용 와이어(400)와 폴더용 와이어(600)가 회전드럼(100)에 권취될 때 가이드롤러(710)를 통해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링(200)의 하부에는 승강링(300)이 설치되는데, 이 승강링(300)은 승강용 와이어(400)를 통해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링(300)의 상부에는 하부천고정구(310)가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천고정구(310)에는 상부천삽입홈(220)과 대응되는 하부천삽입홈(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천고정구(310)를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에는 서로 대응되게 와이어삽입고정공(330)이 관통 형성된다.
승강링(300)을 승강시키는 승강용 와이어(400)는 하단은 승강링(300)에 고정되고 상단은 고정링(200)의 와이어관통공(230)을 통해 가이드롤러(710)를 거쳐 회전드럼(100)에 권취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드럼(10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승강용 와이어(400)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링(300)을 상승시키게 되고, 회전드럼(100)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승강용 와이어(400)가 회전드럼(100)에서 풀리면서 승강링(300)을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용 와이어(400)가 승강링(300)에 고정되는 방식은, 일단이 회전드럼(100)에 고정되어 있는 한 가닥의 승강용 와이어(400)의 타단이 고정링(200)의 내측에 형성된 와이어관통공(230)을 통과하여 승강링(300)의 내측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고정공(330)을 관통하고, 다시 승강링(300)의 하부를 지나 외측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고정공(330)을 관통한 후 고정링(200)의 외측에 형성된 와이어관통공(230)을 통과하여 회전드럼(1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링(30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승강용 와이어(400)가 승강링(300)의 내측과 외측에서 함께 잡아주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승강용 와이어(400)는 와이어관통공(230)을 통과하여 회전드럼(100)에 고정될 때 가이드롤러(710)를 통해 안내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링(200)과 승강링(300)의 사이에는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설치된다. 밀폐형 스크린 천(500)의 상단은 고정링(200)의 상부천삽입홈에 끼워져 핀(P)을 통해 고정되고, 하단은 승강링(300)의 하부천삽입홈(320)에 끼워져 핀(P)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승강링(30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밀폐형 스크린 천(500)도 승강링(300)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밀폐형 스크린 천(500)에는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다수의 와이어공(510)이 형성되되, 이 다수의 와이어공(510)은 밀폐형 스크린 천(50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군데에 형성된다. 그리고 폴더용 와이어(600)가 상하로 형성된 다수의 와이어공(510)을 지그재그로 관통하여 엮이게 설치된다. 즉, 폴더용 와이어(600)의 하단은 승강링(300)에 고정되고, 상단은 와이어공(510)을 지그재그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고정링의 와이어인출공(240)을 관통하여 회전드럼(100)에 권취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상승할 때 폴더용 와이어(600)가 밀폐형 스크린 천(500)의 중심을 잡아주기 때문에 밀폐형 스크린 천(500)은 정확하게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도면상에서는 원통형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보호하고자 하는 구간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따라 사각 박스, 타원형, 오각형 등 다른 형상의 밀폐 구조를 갖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링(200)의 하부에는 승강링(300)이 삽입되는 링삽입공간(800)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는 내부마감링(810)과 외부마감링(820)이 천장(10)에 지지프레임(30)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내부마감링(810)과 외부마감링(820)의 사이에 링삽입공간(800)이 형성되는데, 이 링삽입공간(800)은 승강링(300)과 같은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링(300)이 최고로 상승하였을 때 내부마감링(810)과 외부마감링(820)의 사이에 형성된 링삽입공간(800)에 삽입되어 승강링(300)이 링삽입공간(800)을 메워서 천장(10)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마감링(810)과 외부마감링(820)의 주변에는 천장마감재(900)가 설치되어 천장(10)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마감 처리된다. 물론, 천장마감재(900)는 기존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천장마감재(90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천장마감재(900)와 함께 설치된 내부마감링(810)과 외부마감링(820)의 사이에 형성된 링삽입공간(800)에 승강링(300)이 삽입되어 천장마감재(900)와 일체화된 느낌을 제공하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작동하면서 승강링(300) 및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하강하게 된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회전드럼(100)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용 와이어(400)와 폴더용 와이어(600)를 풀게 되고, 승강용 와이어(400)와 폴더용 와이어(600)가 풀리면서 승강링(300)과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하강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링(300)이 건물의 바닥(20)에 닿게 된다. 그러면,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신속하게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완벽하게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를 설치하거나 화재 진압 후 밀폐형 스크린 천(500)과 승강링(300)을 천장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회전드럼(100)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승강용 와이어(400)가 회전드럼(100)에 권취되면서 승강링(300)을 들어올리게 되고 폴더용 와이어(600)도 회전드럼(100)에 권취되면서 밀폐형 스크린 천(500)이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물론, 승강링(300)은 들어올려 지다가 내부마감링(810)과 외부마감링(820)의 사이에 형성된 링삽입공간(800)에 삽입되면 작동이 멈추게 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천장 20: 바닥
100: 회전드럼 110: 구동모터
200: 고정링 220: 상부천삽입홈
230: 와이어관통공 240: 와이어인출공
300: 승강링 320: 하부천삽입홈
330: 와이어삽입고정공 400: 승강용 와이어
500: 밀폐형 스크린 천 510: 와이어공
600: 폴더용 와이어 700: 롤러설치대
710: 가이드롤러 800: 링삽입공간
810: 내부마감링 820: 외부마감링
900: 천장마감재

Claims (5)

  1.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되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상기 천장에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부천삽입홈이 형성되며, 와이어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링;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상부천삽입홈과 대응되는 하부천삽입홈이 형성되며, 와이어삽입고정공이 형성된 승강링;
    상단은 상기 상부천삽입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천삽입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다수의 와이어공이 형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군데에 형성된 밀폐형 스크린 천;
    하단은 상기 와이어삽입고정공에 삽입되어 승강링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승강용 와이어; 및
    하단은 상기 승강링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공을 지그재그로 관통하도록 엮어서 상기 고정링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폴더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링을 들어올리게 되고 폴더용 와이어도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밀폐형 스크린 천이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게 되며, 회전드럼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링과 밀폐형 스크린 천이 하강하면서 건물의 바닥에 닿아 밀폐형 스크린 천의 내부 보호구간을 사방에서 한번에 밀폐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과 천장의 사이에는 롤러설치대가 설치되고, 이 롤러설치대에는 상기 승강용 와이어와 폴더용 와이어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와 폴더용 와이어가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될 때 자연스럽게 권취되도록 안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링이 삽입되는 링삽입공간을 갖도록 서로 이격되는 내부마감링과 외부마감링이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승강링이 최고로 상승하였을 때 내부마감링과 외부마감링의 사이에 형성된 링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승강링이 링삽입공간을 메워서 천장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내부마감링과 외부마감링의 주변에는 천장마감재가 설치되어 천장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삽입고정공은 상기 하부천삽입홈을 기준으로 승강링의 내측과 외측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관통공은 와이어삽입고정공과 대응되게 고정링의 내측과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승강용 와이어는 승강링의 내측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고정공을 관통하여 승강링의 하부를 지나 외측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고정공을 관통하여 승강링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승강용 와이어의 양단은 와이어관통공을 통해 회전드럼에 권취되게 설치되어, 승강용 와이어를 통해 승강링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때 승강용 와이어가 승강링의 내측과 외측에서 함께 잡아주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은,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회전드럼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에 의해 회전드럼으로 전달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20120121131A 2012-10-30 2012-10-30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4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31A KR101243061B1 (ko) 2012-10-30 2012-10-30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31A KR101243061B1 (ko) 2012-10-30 2012-10-30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061B1 true KR101243061B1 (ko) 2013-03-13

Family

ID=4818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131A KR101243061B1 (ko) 2012-10-30 2012-10-30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06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63B1 (ko) 2014-02-04 2014-10-27 이세일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41837B1 (ko) 2014-04-25 2015-08-04 조영일 외부 거푸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101551626B1 (ko) 2015-02-17 2015-09-0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KR101742044B1 (ko) * 2015-03-13 2017-06-01 김상근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20180099301A (ko) * 2017-02-28 2018-09-05 이창환 천막식 출입구 개폐장치
KR20190001137U (ko) * 2017-11-02 2019-05-13 김상근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KR102407892B1 (ko) * 2022-01-03 2022-06-13 주식회사 서진이씨에스 지상변압기
KR102412331B1 (ko) * 2021-11-29 2022-06-24 (주)은암이엔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상변압기
KR102439822B1 (ko) * 2022-06-08 2022-09-02 이승희 살수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102467501B1 (ko) * 2022-06-08 2022-11-16 주식회사 세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102470403B1 (ko) * 2022-01-03 2022-11-25 (주)진원엔지니어링 배전용 지상변압기
KR102585999B1 (ko) * 2023-01-20 2023-10-10 (주)대주기술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877A (ja) 1997-02-26 1998-09-08 Bunka Shutter Co Ltd 防災シャッター装置
JPH1176439A (ja) 1997-08-30 1999-03-23 Toyo Shutter Co Ltd シート扉付きのシャッター装置
JPH11197261A (ja) 1998-01-12 1999-07-27 Bunka Shutter Co Ltd 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0334056A (ja) 1999-05-28 2000-12-05 Ohbayashi Corp 防火防煙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877A (ja) 1997-02-26 1998-09-08 Bunka Shutter Co Ltd 防災シャッター装置
JPH1176439A (ja) 1997-08-30 1999-03-23 Toyo Shutter Co Ltd シート扉付きのシャッター装置
JPH11197261A (ja) 1998-01-12 1999-07-27 Bunka Shutter Co Ltd 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0334056A (ja) 1999-05-28 2000-12-05 Ohbayashi Corp 防火防煙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63B1 (ko) 2014-02-04 2014-10-27 이세일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541837B1 (ko) 2014-04-25 2015-08-04 조영일 외부 거푸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101551626B1 (ko) 2015-02-17 2015-09-08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지하전력구내 화염 확산 방지구조
KR101742044B1 (ko) * 2015-03-13 2017-06-01 김상근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20180099301A (ko) * 2017-02-28 2018-09-05 이창환 천막식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28958B1 (ko) * 2017-02-28 2019-10-07 이창환 천막식 출입구 개폐장치
KR200489407Y1 (ko) * 2017-11-02 2019-06-14 김상근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KR20190001137U (ko) * 2017-11-02 2019-05-13 김상근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KR102412331B1 (ko) * 2021-11-29 2022-06-24 (주)은암이엔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상변압기
KR102407892B1 (ko) * 2022-01-03 2022-06-13 주식회사 서진이씨에스 지상변압기
KR102470403B1 (ko) * 2022-01-03 2022-11-25 (주)진원엔지니어링 배전용 지상변압기
KR102439822B1 (ko) * 2022-06-08 2022-09-02 이승희 살수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102467501B1 (ko) * 2022-06-08 2022-11-16 주식회사 세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102585999B1 (ko) * 2023-01-20 2023-10-10 (주)대주기술 건축물 소방용 화재진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061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43062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300908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497963B1 (ko) 방화 구획 기능을 갖는 창호 시스템
CN106246085A (zh) 一种多功能防护窗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101266399B1 (ko) 출몰식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040125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JP5138562B2 (ja) 開閉体装置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JP2011132806A (ja)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CN203097654U (zh) 防火窗帘
KR101547894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JP5521150B2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210013385A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KR101654343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KR101386714B1 (ko)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KR102636525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