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07Y1 -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07Y1
KR200489407Y1 KR2020170005670U KR20170005670U KR200489407Y1 KR 200489407 Y1 KR200489407 Y1 KR 200489407Y1 KR 2020170005670 U KR2020170005670 U KR 2020170005670U KR 20170005670 U KR20170005670 U KR 20170005670U KR 200489407 Y1 KR200489407 Y1 KR 200489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loth
shutter
folded
pulle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137U (ko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2020170005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0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69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zig-zag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등에 설치하는 방법, 스크린천 셔터로 직선형, 곡면이 형성된 구조 또는 내부 구조가 굴곡구조물에 설치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맞게 시공할 수 있는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스크린 천과, 수직과 수평형 셔터 레일과, 와이어를 연결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다단 풀리가 형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부로 접이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한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는
상부전후방 풀리와, 상기 풀리를 고정하면서 중앙에 스크린 천을 고정하도록 양쪽에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중앙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체결볼트와 너트가 형성된 상부스크린천 고정부; 상기 스크린 천은 일정한 두께로 절첩이 되도록 형성한 다수개의 간살대; 하부전후방 풀리와, 상기 스크린 천을 차곡차곡 접혀서 안착이 될 수 있도록 상부의 끝단에 형성한 가이드절곡부와 상기 가이드절곡부를 형성하여 스크린 천이 절첩되어 적층되도록 터널부를 형성한 하부스크린천 고정부로 이루어져 스크린천의 강도를 높이고, 외관을 미적으로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ANTI BANDIT SHUTTER}
본 고안은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직선형, 방화셔터로 곡면이 형성된 구조 또는 내부 구조가 굴곡구조물에 설치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굴곡형, 타원형, 마름모형 등과 같이 구조물에 맞게 시공할 수 있는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 셔터는 평상시 내열성이 우수한 방화천이 샤프트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자동으로 권취되어 있던 방화천이 풀리면서 통로를 폐쇄하여 주는 장치이다. 이때 스크린 셔터에는 방화천을 절개하여 벌어진 틈새 사이로 사람들이 대피처로 이동할 수 있는 비상문이 반드시 형성되어 있고, 특히 상기 비상문의 일측단과 방화천의 일측단이 서로 겹쳐져 중첩된 상태로 있도록 함으로 써 화재현장의 불과 연기가 방화천과 비상문의 틈새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지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비상문은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비상문 테두리에 방화천과의 밀착되는 수단을 별도로 형성하여 더욱 우수한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크린 셔터가 권취되어지게 되면, 방화천의 일측단과 비상문의 일측단이 서로 겹쳐져 중첩되어 있는 부분에 의해 두께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방화천과 비상문이 어긋나게 권취되는 것이다.
더욱이 방화천과 비상문이 겹쳐져 있는 상태로 하나의 샤프트에 감겨지게 되면 2개의 천이 한꺼번에 감겨지게 되면서 단차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이로 인해 방화천이 모두 샤프트에 감겨져 있을 때에는 하부프레임이 상부끝에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위치 되어지지는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천은 서로 엉키거나 서로 중첩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90902호(2006.02.27)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386714호(2014.04.11)
본 고안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자형 또는 굴곡구조물의 방화, 방범 및 시설관리가 편리하도록 한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고정 지지대와 하부고정지지대의 사이에 절첩이 되도록 하되 서로 엉킴을 방지하고,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한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로 스크린천 방범셔터를 올리거나 내릴 경우 양쪽 도르레가 균일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각각의 연결 간살대를 형성하여 한쪽으로 더 감기지 않도록 한 효율적인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스크린 천과, 수직과 수평형 셔터 레일과, 와이어를 연결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다단 풀리가 형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부로 접이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한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는
상부전후방 풀리와, 상기 풀리를 고정하면서 중앙에 스크린 천을 고정하도록 양쪽에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중앙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체결볼트와 너트가 형성된 상부스크린천 고정부; 상기 스크린 천은 일정한 두께로 절첩이 되도록 형성한 다수개의 간살대; 하부전후방 풀리와, 상기 스크린 천을 차곡차곡 접혀서 안착이 될 수 있도록 상부의 끝단에 형성한 가이드절곡부와 상기 가이드절곡부를 형성하여 스크린 천이 절첩되어 적층되도록 터널부를 형성한 하부스크린천 고정부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스크린 천 셔터 연결장치는 스크린 천을 일정한 크기의 적층하도록 형성하여 엉키거나 언밸런스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간살대를 형성하여 스크린 천의 강도를 높이도록 형성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스크린 천 셔터 연결장치의 접은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크린 천 셔터 연결장치를 펼쳐진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 천 셔터 연결장치를 접은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크린 천 셔터 연결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스크린 천 셔터 연결장치의 간살대를 도시한 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범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은
스크린 천 셔터(250)와, 수직과 수평형 셔터레일(110)과, 와이어(100)을 연결하는 풀리(130)와, 상기 풀리에 연결되는 와이어(100)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다단 풀리(140)가 형성된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부로 접이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한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500)는
상부전후방 풀리(130)와, 상기 풀리를 고정하면서 중앙에 스크린 천(250)을 고정하도록 양쪽에 돌출된 돌기(150)와 상기 돌기의 중앙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체결볼트(160)와 너트(170)가 형성된 상부스크린천 고정부(300);
상기 스크린 천(250)은 일정한 두께로 절첩이 되도록 형성한 다수개의 간살대(210); 하부전후방 풀리(230)와, 상기 스크린 천(250)을 차곡차곡 접혀서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의 끝단에 형성한 가이드절곡부(260)와 상기 가이드절곡부를 형성하여 스크린 천이 절첩되어 적층되도록 터널부(270)를 형성한 하부스크린천 고정부(400)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스크린천 고정부(400)는 도 1과 2와 같이 스크린 천을 고정하는 돌기가 정중앙에 형성하거나 도 3과 도 4와 같이 한쪽면에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를 할 경우에는 스크린 천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하부부스크린천 고정부(400)내로 절첩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스크린 천은 펼쳐질 때 강도가 발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간살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 간살대(210)는 스크린 천을 접은 상태로 박음질(290)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므로 셔터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도 5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간살대(210)는 두 개의 천을 고정하는 고정집개(240)와 상기 고정집개(240)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씌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된 구조의 원통캡(280)으로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스크린 천을 접은 상태 또는 절취된 스크린 천을 서로 접은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집개(240)와 상기 고정집개(240)로 고정한 상태에서 보이지 않도록 길게 형성한 원통캡(280)을 형성하였다.
상기 원통캡(280)은 일측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하여 장착시에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스크린 천에 박을 질을 하거나 원통캡을 형성함으로 스크린천을 셔터와 같은 형상을 가지면 강도를 높이고, 미관상 좋은 느낌을 감도록 한 특징이 있다.
100: 스크린 천 110: 레일
120: 와이어 130: 풀리
140: 다단풀리 150: 돌기
200: 구동부 210: 간살대

Claims (3)

  1. 스크린 천 셔터(250)와, 수직과 수평형 셔터레일(110)과, 와이어(100)을 연결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연결되는 와이어(120)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다단 풀리(140)가 형성된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부로 접이거나 펼쳐지도록 형성한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천 셔터 연결장치(500)는
    상부전후방 풀리(130)와, 상기 풀리를 고정하면서 중앙에 스크린 천(250)을 고정하도록 양쪽에 돌출된 돌기(150)와 상기 돌기의 중앙에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에 체결볼트(160)와 너트(170)가 형성된 상부스크린 천 고정부(300);
    상기 스크린 천(250)은 일정한 두께로 절첩이 되도며, 두 개의 천을 고정하는 고정집개(240)와 상기 고정집개(240)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씌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된 구조의 원통캡(280)을 형성한 다수개의 간살대(210);
    하부전후방 풀리(230)와, 상기 스크린 천(250)을 차곡차곡 접혀서 안착이 될 수 있도록 상부의 끝단에 형성한 가이드절곡부(260)와 상기 가이드절곡부를 형성하여 스크린 천이 절첩되어 적층되도록 터널부(270)를 형성한 하부스크린천 고정부(4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살대(210)는
    스크린천을 접은 상태로 박음질(290)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3. 삭제
KR2020170005670U 2017-11-02 2017-11-02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KR200489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70U KR200489407Y1 (ko) 2017-11-02 2017-11-02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70U KR200489407Y1 (ko) 2017-11-02 2017-11-02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37U KR20190001137U (ko) 2019-05-13
KR200489407Y1 true KR200489407Y1 (ko) 2019-06-14

Family

ID=6653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70U KR200489407Y1 (ko) 2017-11-02 2017-11-02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0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90A (ja) * 2006-03-08 2007-09-20 Invel:Kk ルーバ装置
KR101243062B1 (ko) * 2012-12-13 2013-03-13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43061B1 (ko) * 2012-10-30 2013-03-13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780418B1 (ko) * 2015-06-22 2017-09-21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902A (ko) 2005-02-11 2006-08-17 임동현 스크린 천을 사용한 스크린 셔터
KR101386714B1 (ko) 2013-10-21 2014-04-23 이세일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KR101742044B1 (ko) * 2015-03-13 2017-06-01 김상근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90A (ja) * 2006-03-08 2007-09-20 Invel:Kk ルーバ装置
KR101243061B1 (ko) * 2012-10-30 2013-03-13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43062B1 (ko) * 2012-12-13 2013-03-13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780418B1 (ko) * 2015-06-22 2017-09-21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137U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158B1 (ko) 롤방충망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방범방충망
KR20180002442U (ko) 방충망용 이탈방지부재
KR101925855B1 (ko) 커튼월형 방진망을 구비한 창호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20130059586A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200489407Y1 (ko) 스크린천 셔터 연결장치
JP6783158B2 (ja) ブラインド
JP5140535B2 (ja) 建具
KR101077722B1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101577945B1 (ko) 안전 방충망 구조체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KR200423291Y1 (ko)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JP6456070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JP6885723B2 (ja) シャッター
JP6423299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200377474Y1 (ko) 버티칼 블라인드 보호용 창틀프레임의 구조
JP6652395B2 (ja) 建具と網戸の自走防止方法
JP3236700U (ja) 窓型インビジブルグリル
KR102255516B1 (ko) 다단방충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5B1 (ko)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JP2017160729A (ja) 建具
TWI434989B (zh) 防墜窗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