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515B1 -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515B1
KR102255515B1 KR1020200079813A KR20200079813A KR102255515B1 KR 102255515 B1 KR102255515 B1 KR 102255515B1 KR 1020200079813 A KR1020200079813 A KR 1020200079813A KR 20200079813 A KR20200079813 A KR 20200079813A KR 102255515 B1 KR102255515 B1 KR 10225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et
groove
vertical frame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곤
Original Assignee
오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곤 filed Critical 오성곤
Priority to KR1020200079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미세먼지와 해충이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창호부; 및 사각으로 형성되는 창호부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창호용보조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Window system including dust net win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으로 미세먼지망이 일측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창호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건물에는 실내·외를 구분하고 채광이나 통풍 등을 위해 창호를 설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복수의 틀부재들이 결합된 사각틀과, 그 사각틀에 마련되는 개폐식 창문 및 방충망으로 이루어진다.
창호(窓戶)의 틀부재들은 알루미늄 스틸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강도를 가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보통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사각틀의 형성을 위한 나사결합방식은, 창호의 제작 시 작업 시간을 줄여주고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작업자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사각틀을 형성할 경우, 결합방식의 특성과 작업자의 작업 특성으로 인해 틀부재들이 틀어진 상태로 서로 결합되거나,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나사결합방식으로 창호 제작을 위한 틀부재들의 조립 시, 당김 현상 발생으로 인해, 그 틀부재들의 모서리가 벌어질 경우 실리콘으로 모서리 메움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의 창문에는 모기, 파리 등의 벌레가 주택의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충망이 설치되는데, 이는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뿐 통상적인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입을 차단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방범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건강을 해치는 요인으로 알려짐에 따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미세먼지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성 창호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세먼지 유입 억제를 위한 기능성 창호의 경우, 원래의 창호 프레임에 별도의 미세먼지용 창호를 결합시켜 새로운 창호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규격과 중량이 커짐에 따라 설치상의 불편함 및 심리적 답답함을 초래하고 제조원가 및 시공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157호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되는 방범망에 황사 및 미세먼지 유입을 방지하는 롤방충망을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방범기능을 확보하면서 황사 및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실외의 조망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미세먼지와 해충이 내부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창호부; 및 사각으로 형성되는 창호부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창호용보조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서, 상기 창호부는, 외부로부터 미세먼지와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미세먼지차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차단수단은, 먼지망프레임의 일측이 탈부착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탈부착관; 탈부착관 일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사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방충망프레임; 해충유입을 차단하도록 방충망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방충망;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먼지망프레임; 먼지망프레임 일측으로 망롤러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며, 탈부착관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망케이스; 망롤러를 망케이스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먼지망프레임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마감캡; 망롤러를 망케이스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먼지망프레임 하부로 형성되는 하부마감캡; 망롤러에 권취된 먼지망을 일측으로 권출시키기 위해 먼지망 일측으로 형성되는 망이동부재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먼지망프레임 내부 상부와 하부 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 먼지망을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위해 망케이스 내부로 형성되는 망롤러; 먼지망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먼지망 일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망고정부재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망이동부재;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망롤러에 권취되는 먼지망; 먼지망의 권출시 먼지망을 먼지망프레임 상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먼지망프레임 일측으로 망이동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망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호부는, 일측방향으로 망을 권취하거나 타측방향으로 망을 권출하기 위한 먼지망권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망권취수단은, 먼지망을 권취하기 위해 망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축; 먼지망을 권취하기 위해 망케이스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축; 먼지망을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에 권취시키기 위해 먼지망일측이 제1회전축 에 고정되도록 제1회전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망삽입홈;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으로 회전시켜 먼지망이 권취 및 권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축회전모터; 권출되거나 권취되는 먼지망의 위치에 따라 먼지망의 권출 및 권취가 정지되도록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망스토퍼; 먼지망의 권취와 권출 길이를 감지하기 위해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사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망조절센서; 인체를 감지하도록 먼지망 일측에 형성되는 근접감지센서; 근접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먼지망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안전알람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호부는, 이중으로 구비되는 방충망이 개별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단방충망권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단방충망권취수단은, 망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상부마감캡과 하부마감캡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제1권취축;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권출되거나 초기위치로 권취되도록 제1권취축에 권취되는 제1권취망; 제1권취축을 회전시켜 제1권취망이 일측방향으로 권출되거나, 초기위치로 감기도록 제1권취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권취모터; 망케이스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어 상부마감캡과 하부마감캡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제2권취축;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권출되거나 초기위치로 귄취되도록 제2권취축에 권취되는 제2권취망; 제2권취축을 회전시켜 제2권취망이 일측방향으로 권출되거나, 초기위치로 감기도록 제2권취축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권취모터; 제1권취망이 일측방향으로 권출시 제2권취망과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제2권취축 일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롤러고정부재에 고정 형성되는 망안내롤러; 망안내롤러를 제2권취축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2권취축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 일측으로 권출되는 제1권취망과 제2권취망의 개폐길이를 센싱하기 위해 망케이스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개폐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제1삽입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 일측과 수평프레임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 제2삽입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중앙측과 수평프레임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 제3삽입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타측과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 틀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일측 끝단과 수평프레임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틀부재홈;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일측면과 수평프레임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홈;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1삽입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3삽입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틀부재홈과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틀부재홈에 안착결합되도록 연결부재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탈부착하기 위한 개폐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고정수단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연결부재 하부 일측과 타측으로 힌지회전되는 개폐부재; 연결부재와 개폐부재 간의 연결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힌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각각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기홈에 결합되도록 개폐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는,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삽입되어 빠짐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폭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폭고정수단은,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에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부재; 제1이동부재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 내면에서 밀착 이동가능하도록 제1이동부재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부재이동스크류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제2이동부재; 제1이동부재를 기준으로 제2이동부재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재이동스크류; 부재이동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스크류모터의 모터축 또는 스크류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타측은 부재이동스크류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크류회전기어; 스크류회전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회전기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핸들; 스크류회전기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회전기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모터; 제2이동부재의 일측 이동시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 내면에서 밀착되는 압력을 센싱하도록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 내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센서; 밀착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연결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센서감지알람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는 방범망에 황사 및 미세먼지 유입을 방지하는 롤방충망을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방범기능을 확보하면서 황사 및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실외의 조망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창호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창호시스템의 미세먼지차단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 창호시스템의 먼지망권취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창호시스템의 다단방충망권취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창호시스템의 창호용보조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창호용보조연결부에 또다른 실시예인 개폐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 창호용보조연결부에 또다른 실시예인 폭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창호시스템(1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창호시스템(10)의 미세먼지차단수단(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창호시스템(10)은 창호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부(100)는 사각의 틀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미세먼지와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호부(100)는 미세먼지차단수단(110)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먼지차단수단(110)은 외부로부터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먼지차단수단(110)은 탈부착관(111), 방충망프레임(120), 방충망, 먼지망프레임(130), 망케이스(131), 상부마감캡(132), 하부마감캡(133), 슬라이드홈(134), 망롤러(135), 망이동부재(136), 먼지망, 망고정부재(138)를 포함한다.
상기 탈부착관(111)은 먼지망프레임(130)의 일측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탈부착관(111)은 일측과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탈부착관(111)은 먼지망프레임(130)의 일측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탈부착관(111)은 사용자의 힘으로 탈부차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충망프레임(120)은 탈부착관(111) 일측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충망프레임(120)은 사각의 프레임 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충망프레임(120) 상에 방충망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충망은 해충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충망은 복수의 미세격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충망은 방충망프레임(120) 상에서 일정 텐션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망프레임(13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먼지망프레임(130)은 먼지망이 형성되도록 사각의 틀로 형성되며, 일측은 탈부착관(111)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동일한 형태의 망케이스(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케이스(131)는 먼지망프레임(130) 일측으로 망롤러(135)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케이스(131)는 탈부착관(111)에 탈부착가능하도록 탈부착관(111) 내부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망케이스(131)의 외면이 탈부착관(111)의 내면에 밀착결합되며, 탈부착관(111)이 일정 텐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망케이스(131)가 탈부착관(111)에서 착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마감캡(132)은 망롤러(135)를 망케이스(131)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마감캠은 망케이스(131) 상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마감캡(132)은 망롤러(135)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망롤러(135)가 상부마감캡(132)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마감캡(133)은 망롤러(135)를 망케이스(131) 상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마감캡(133)은 망케이스(131) 하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마감캡(133)은 망롤러(135)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며, 망롤러(135)가 하부마감캡(133)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홈(134)은 망롤러(135)에 권취된 먼지망을 일측으로 권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먼지망은 일측으로 형성되는 망이동부재(136)가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도록 먼지망프레임(130) 내부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롤러(135)는 먼지망을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롤러(135)는 망케이스(131) 내부 상에서 상부마감캡(132)과 하부마감캡(133)에 의해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이동부재(136)는 먼지망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이동부재(136)는 먼지망프레임(120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34)에 망이동부재(136)의 상부와 하부가 일부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망은 미세격자홈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여 미세먼지를 차단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먼지망은 일측이 망롤러(135)에 고정되어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망은 슬라이드홈(134)을 따라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고정부재(138)는 먼지망의 권출시 먼지망을 먼지망프레임(130) 상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고정부재(138)는 먼지망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망이동부재(136)가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창호시스템(10)의 먼지망권취수단(14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먼지망권취수단(140)은 일측방향으로 망을 권취하거나, 권취된 망을을 타측방향으로 권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망권취수단(140)은 제1회전축(141), 제2회전축(142), 망삽입홈(143), 망회전돌기(144), 축회전모터(150), 망스토퍼(160), 망조절센서(161), 근접감지센서(170), 안전알람(171)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141)은 먼지망을 권취하기 위해 망케이스(13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축(141)은 먼지망을 일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먼지망이 권취되도록 제2회전축(142)과 대응되는 위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141)은 상부마감캡(132)과 하부마감캡(133)에 의해 망케이스(131) 내부에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회전축(142)은 먼지망을 권취하기 위해 망케이스(131)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회전축(142)은 먼지망을 타측에서 일측방향 즉, 제1회전축(141)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먼지망이 권취되도록 제1회전축(141)과 대응되는 위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축(142)은 상부마감캡(132)과 하부마감캡(133)에 의해 망케이스(131) 내부에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삽입홈(143)은 먼지망을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에 권취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삽입홈(143)은 먼지망 일측이 제1회전축(141)에 고정되도록 제1회전축(141) 상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회전돌기(144)는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회전돌기(144)는 먼지망이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 상에 권취 및 권출시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 상에서 미끌리지 않도록 하여 권취되거나, 일측방향으로 권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회전돌기(144)는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 상에서 상부와 중부와 하부 상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회전모터(150)는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된느 것으로, 상기 축회전모터(150)는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스토퍼(160)는 축회전모터(150)에 의해 권출되거나, 권취되는 먼지망을 개폐되는 현재의 위치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스토퍼(160)는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망스토퍼(160)는 망케이스(13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조절센서(161)는 먼지망이 권취되는 길이 또는 먼지망이 권출되는 길이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망조절센서(161)는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 사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조절센서(161)에 따라 망조절센서(161)에 입력되는 설정값에 도달하는 경우 망스토퍼(160)를 작동시켜 먼지망의 권출 및 권취를 정지시키며, 동시에 축회전모터(150)를 작동시켜 제1회전축(141)과 제2회전축(142)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감지센서(170)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먼지망 일측으로 형성되며, 먼지망에 일정 전류를 흐르게하여 먼지망을 터치하는 경우 변경되는 전류값을 산출하여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싱정보를 안전알람(171)측으로 제공하여 먼지망을 터치한 사용자 또는 침입자에게 알려줌으로 사용자에게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경각심을 갖도록 하며, 침입자를 통해 감지되는 경우 주변에 알림으로 침입자에게 주의를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알람(171)은 근접감지센서(170)로부터 제공받는 감지정보에 따라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알람(171)은 먼지망프레임(13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 창호시스템(10)의 다단방충망권취수단(18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창호시스템(10)은 다단방충망권취수단(180)을 포함한다.
상기 다단방충망권취수단(180)은 이중으로 구비되는 방충망이 개별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방충망이 작동되거나, 두개의 방충망이 동시에 작동 또는 개별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단방충망권취수단(180)은 제1권취축(181), 제1권취망(182), 제1권취모터(182a), 제2권취축(184), 제2권취망(184), 제2권취모터(184a), 망안내롤러(185), 롤러고정부재(186), 개폐센서(187)를 포함한다.
상기 제1권취축(181)은 망케이스(131)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권취축(181)은 상부마감캡(132)과 하부마감캡(13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권취축(181)은 망케이스(131) 내부에서 일측으로 형성되며, 제2권취축(184)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권취망(182)은 제1권취축(181)에 일측이 고정되어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권취망(18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일측 방향으로 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권취모터(182a)는 제1권취축(18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권취모터(182a)는 제1권취축(181)을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권취모터(182a)는 제1권취축(18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권취축(184)은 망케이스(131)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권취축(184)은 상부마감캡(132)과 하부마감캡(13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권취축(184)은 망케이스(131) 내부에서 일측으로 형성되며, 제1권취축(181)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권취망(184)은 제2권취축(184)에 일측이 고정되어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권취망(18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권취망(182)과 동일한 일측 방향으로 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권취모터(184a)는 제2권취축(18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권취모터(184a)는 제2권취축(184)을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권취모터(184a)는 제2권취축(18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권취망(18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권취망(182)이 일측방향으로 권출되며, 제2권취망(18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권취망(184)이 일측방향으로 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권취망(182)과 제2권취망(184)은 동일한 방향 측으로 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안내롤러(185)는 제1권취망(182)이 일측방향으로 권출시 제2권취망(184)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망안내롤러(185)는 제2권취축(184) 일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롤러고정부재(186)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고정부재(186)는 망안내롤러(185)는 제2권취축(184)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느 것으로, 상기 롤러고정부재(186)는 제2권취축(184)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롤러고정부재(186)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센서(187)는 일측으로 권출되는 제1권취망(182)과 제2권취망(184)의 개폐길이를 센신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센서(187)는 망케이스(131)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1권취망(182)과 제2권취망(184)의 개폐길이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창호시스템(10)의 창호용보조연결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해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창호시스템(10)은 창호용보조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300)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여 사각의 틀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300)는 수직프레임(310), 수평프레임(320), 제1부재홈(321), 제2부재홈(322), 제3부재홈(323), 틀부재홈(324), 돌기홈(330), 연결부재(350), 제1삽입부재(351), 제2삽입부재(352), 제3삽입부재(353), 틀고정부재(354)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사각의 틀 중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320)은 사각의 틀 중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홈(321)은 제1삽입부재(35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부재홈(321)은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각각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부재홈(322)은 제2삽입부재(352)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부재홈(322)은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각각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부재홈(323)은 제3삽입부재(353)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부재홈(323)은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각각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틀부재홈(324)은 틀고정부재(354)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틀부재홈(324)은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각각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즉,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홈(330)은 고정돌기(363)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기홈(330)은 수직프레임(310)의 일측면과 수평프레임(320)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홈(33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63)는 원터치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350)는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50)는 일측이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의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삽입부재(351)는 수직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321)에 일측이 삽입되며, 수평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321)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삽입부재(351)는 연결부재(350)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결부재(350) 상부 일측의 제1삽입부재(351)는 수직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321)에, 연결부재(350) 상부 타측의 제1삽입부재(351)는 수평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321)에 삽입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삽입부재(352)는 수직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322)에 일측이 삽입되며, 수평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322)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삽입부재(352)는 연결부재(350)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결부재(350) 중앙 일측의 제2삽입부재(352)는 수직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322)에, 연결부재(350) 상부 타측의 제2삽입부재(352)는 수평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322)에 삽입 되는 것이다.
상기 제3삽입부재(353)는 수직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323)에 일측이 삽입되며, 수평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323)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3삽입부재(353)는 연결부재(350)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결부재(350) 하부 일측의 제3삽입부재(353)는 수직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323)에, 연결부재(350) 상부 타측의 제3삽입부재(353)는 수평프레임(320)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323)에 삽입 되는 것이다.
상기 틀고정부재(354)는 수직프레임(310)에 형성되는 틀부재홈(324)에 일측이 안착결합되며, 수평프레임(320)에 형성되는 틀부재홈(324)에 타측이 안착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틀고정부재(354)는 연결부재(350) 일측 끝단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 창호용보조연결부(300)에 또다른 실시예인 개폐고정수단(36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300)재는 개폐고정수단(3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고정수단(360)은 수평프레임(320)과 수직프레임(310)을 탈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고정수단(360)은 힌지결합으로 연결부재(350)와 수직프레임(310), 연결부재(350)와 수평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고정수단(360)은 개폐부재(361), 개폐힌지(362), 고정돌기(363)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361)는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부재(361)는 힌지방식으로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 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힌지(362)는 연결부재(350)와 개폐부재(361) 간의 연결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힌지(362)는 연결부재(350)와 개폐부재(361) 간의 연결 형성되며, 개폐부재(361)의 일측은 회전되어 수평프레임(320)과 수직프레임(310)의 일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연결부재(350)는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363)는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 일측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돌기홈(33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기(363)는 개폐부재(361) 일측으로 수평프레임(320)과 수직프레임(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돌기홈(33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 창호용보조연결부(300)에 또다른 실시예인 폭고정수단(370)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300)는 폭고정수단(3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폭고정수단(370)은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에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 삽입시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고정수단(370)은 제1이동부재(371), 제2이동부재(372), 부재이동스크류(373), 스크류회전기어(374), 스크류핸들(375), 스크류모터(376), 압착센서(377), 센서감지알람(37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이동부재(371)는 제1부재홈(321)과 제2부재홈(322)과 제3부재홈(323)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이동부재(371)는 연결부재(350)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상세하게는, 연결부재(350) 일측방향에서 일측, 연결부재(350) 타측방향에서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부재홈(321)과 제2부재홈(322)과 제3부재홈(323)에 삽입시 기준이 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이동부재(372)는 제1이동부재(371)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이동부재(372)는 일측방향 이동시 제1부재홈(321)과 제2부재홈(322)과 제3부재홈(323) 각각의 내부 타측으로 밀착되도록 조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이동스크류(373)는 제1이동부재(371)를 기준으로 제2이동부재(372)가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이동스크류(373)와 제2이동부재(372)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부재이동스크류(373)의 회전시 제2이동부재(372)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회전기어(374)는 부재이동스크류(37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회전기어(374)는 부재이동스크류(373)와 평행을 이루도록 맞물리는 웜기어 방식으로, 스크류회전기어(374)의 회전력은 부재이동스크류(373) 측으로 제공하여 부재이동스크류(373)가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회전기어(374)는 스크류모터(376) 또는 스크류핸들(375)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수동으로 제2이동부재(372)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크류핸들(375)과 연결 형성되며, 자동으로 제2이동부재(372)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스크류모터(376)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핸들(375)은 스크류회전기어(37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핸들(375)을 회전시켜 회전동력을 수동으로 형성시키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부재이동스크류(373)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모터(376)는 스크류회전기어(37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모터(376)에서 생성되는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부재이동스크류(373)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모터(376)는 압착센서(377)의 감지에 따라 자동 정지되는 것으로,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정지되며, 일정 압력을 유지할 동안 스크류모터(376)가 계속해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센서(377)는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이동부재(372)가 제1부재홈(321)과 제2부재홈(322)과 제3부재홈(323) 내부 일측에 밀착되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센서(377)를 통해 받은 압력으로 설정되는 이상의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스크류모터(376) 측으로 신호를 제공하여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감지알람(378)은 압착센서(377)로부터 일정 압력이상인 신호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소리를 통해 알려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감지알람(378)은 연결부재(35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창호시스템
100 : 창호부 110 : 미세먼지차단수단
111 : 탈부착관 120 : 망프레임
125 : 방충망 130 : 먼지망프레임
131 : 망케이스 132 : 상부마감캡
133 : 하부마감캡 134 : 슬라이드홈
135 : 망롤러 136 : 망이동부재
137 : 먼지망 138 : 망고정부재
140 : 먼지망권취수단 141 : 제1회전축
142 : 제2회전축 143 : 망삽입홈
144 : 망회전돌기 150 : 축회전모터
160 : 망스토퍼 161 : 망조절센서
170 : 근접감지센서 171 : 안전알람
180 : 다단방충망권취수단 181 : 제1권취축
182 : 제1권취망 182a : 제1권취모터
183 : 제2권취축 184 : 제2권취망
184a : 제2권취모터 185 : 망안내롤러
186 : 롤러고정부재 187 : 개폐센서
300 : 창호용보조연결부 310 : 수직프레임
320 : 수평프레임 321 : 제1부재홈
322 : 제2부재홈 323 : 제3부재홈
324 : 틀부재홈 330 : 돌기홈
350 : 연결부재 351 : 제1삽입부재
352 : 제2삽압부재 353 : 제3삽입부재
354 : 틀고정부재 360 : 개폐고정수단
361 : 개폐부재 362 : 개폐힌지
363 : 고정돌기 370 : 폭고정수단
371 : 제1이동부재 372 : 제2이동부재
373 : 부재이동스크류 374 : 스크류회전기어
375 : 스크류핸들 376 : 스크류모터
377 : 압착센서 378 : 센서감지알람

Claims (2)

  1.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창호부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호부는,
    일측방향으로 망을 권취하거나 타측방향으로 망을 권출하기 위한 먼지망권취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망권취수단은,
    먼지망을 권취하기 위해 망케이스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회전축;
    먼지망을 권취하기 위해 망케이스 내부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회전축;
    먼지망을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에 권취시키기 위해 먼지망일측이 제1회전축 에 고정되도록 제1회전축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망삽입홈;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으로 회전시켜 먼지망이 권취 및 권출되도록 하기 위해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축회전모터;
    권출되거나 권취되는 먼지망의 위치에 따라 먼지망의 권출 및 권취가 정지되도록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망스토퍼;
    먼지망의 권취와 권출 길이를 감지하기 위해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사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망조절센서;
    인체를 감지하도록 먼지망 일측에 형성되는 근접감지센서;
    근접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를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먼지망프레임 일측으로 형성되는 안전알람을 포함하며,
    상기 창호시스템은,
    사각으로 형성되는 창호부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창호용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는,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제1삽입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 일측과 수평프레임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
    제2삽입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중앙측과 수평프레임의 중앙측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
    제3삽입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타측과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
    틀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일측 끝단과 수평프레임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틀부재홈;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수직프레임의 일측면과 수평프레임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홈;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부재홈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1삽입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부재홈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2삽입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에 일측이 삽입되고,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제3부재홈에 타측이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3삽입부재;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틀부재홈과 수평프레임에 형성되는 틀부재홈에 안착결합되도록 연결부재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틀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탈부착하기 위한 개폐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고정수단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연결부재 하부 일측과 타측으로 힌지회전되는 개폐부재;
    연결부재와 개폐부재 간의 연결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힌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각각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돌기홈에 결합되도록 개폐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창호용보조연결부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삽입되어 빠짐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폭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폭고정수단은,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에 삽입되도록 연결부재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부재;
    제1이동부재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 내면에서 밀착 이동가능하도록 제1이동부재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부재이동스크류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제2이동부재;
    제1이동부재를 기준으로 제2이동부재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이동부재와 제2이동부재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재이동스크류;
    부재이동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해 일측이 스크류모터의 모터축 또는 스크류핸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타측은 부재이동스크류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크류회전기어;
    스크류회전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회전기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핸들;
    스크류회전기어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회전기어 일측으로 형성되는 스크류모터;
    제2이동부재의 일측 이동시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 내면에서 밀착되는 압력을 센싱하도록 제1부재홈과 제2부재홈과 제3부재홈 내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압착센서;
    밀착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소리를 통해 알려주도록 연결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센서감지알람을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2. 삭제
KR1020200079813A 2020-06-30 2020-06-30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813A KR102255515B1 (ko) 2020-06-30 2020-06-30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813A KR102255515B1 (ko) 2020-06-30 2020-06-30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515B1 true KR102255515B1 (ko) 2021-05-21

Family

ID=7615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813A KR102255515B1 (ko) 2020-06-30 2020-06-30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5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57B1 (ko) 2015-06-22 2016-02-15 오성곤 미세방충망이 장착된 방범망
KR20190038086A (ko) * 2017-09-29 2019-04-08 (주)그림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KR20190040427A (ko) * 2017-10-10 2019-04-18 조영창 방진망과 방충망을 겸용하는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57B1 (ko) 2015-06-22 2016-02-15 오성곤 미세방충망이 장착된 방범망
KR20190038086A (ko) * 2017-09-29 2019-04-08 (주)그림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KR20190040427A (ko) * 2017-10-10 2019-04-18 조영창 방진망과 방충망을 겸용하는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2452A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2283214B1 (ko) 다용도 롤러블 스크린 칸막이
KR101856158B1 (ko) 롤방충망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방범방충망
KR102216108B1 (ko)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창호
KR100514382B1 (ko) 건축물의 창문보호용 안전장치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2255515B1 (ko)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6B1 (ko) 다단방충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4B1 (ko) 미세먼지차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825384B1 (ko) 환기창호
KR102211245B1 (ko) 창호용보조연결기구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20120004113U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101545612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1898245B1 (ko) 비 가림막 및 그것이 설치된 방충창
KR100773432B1 (ko) 출입문용 롤권취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US20210115731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a concealed screen assembly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101099770B1 (ko) 안전방충망과 난간대를 겸비한 창호
KR200491073Y1 (ko) 블라인드 장치
KR200486630Y1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ITGE940041A1 (it) Inferriata apribile predisposta per ricevere la zanzariera per vani di serramenti esterni.
JP2005213911A (ja) 横引き網戸
JP2016142124A (ja) 玄関ドアー用網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