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086A -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086A
KR20190038086A KR1020170128127A KR20170128127A KR20190038086A KR 20190038086 A KR20190038086 A KR 20190038086A KR 1020170128127 A KR1020170128127 A KR 1020170128127A KR 20170128127 A KR20170128127 A KR 20170128127A KR 20190038086 A KR20190038086 A KR 20190038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automatic control
control device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993B1 (ko
Inventor
곽만영
Original Assignee
(주)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림 filed Critical (주)그림
Priority to KR102017012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블라인드의 상하 조절을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이며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며, 실외 또는 실내 환경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Blind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blind automatic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blind automatic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자동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블라인드의 상하 조절을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이며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한, 실외 또는 실내 환경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6-0003621호(이하, ‘선행문헌 1’라 함.)에는 구동 모터를 제1, 2 버튼 및 제어부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는 차양 시스템용 자동 조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68627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에는 모션 인식을 통한 블라인드 자동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에 따르면, 사용자가 컴퓨터가 있는 책상에 앉아서 몇 가지 직관적인 립모션(Leap Motion)을 입력하면, 립모션의 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하여 블라인드 제어장치로 와이파이를 통해 통신을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 2에 따르면 사용자는 블라인드의 상하 조절을 위해 제1, 2 버튼을 지속적으로 누르거나 립모션(Leap Motion)을 정확하게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사용자가 단 한 번의 조작으로 예를 들어 전체 길이의 ½, ⅓, 또는 ⅔ 만큼 블라인드를 올리거나 내리도록 제어할 수 있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블라인드를 통해 사용자의 기분전환을 돕고,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6-0003621호(공개일 2015.10.19)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68627호(공개일 2015.06.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블라인드의 상하 조절을 간단하면서도 직관적이며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 또는 실내 환경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블라인드를 제어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는, 권취봉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당김부재의 끈에 형성된 비드가 끼워지는 복수의 돌기부와 중심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의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구동축을 구비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구동하는 복수의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모듈과; 상기 기어모듈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기어모듈을 고정하는 브라켓모듈과;
상기 기어모듈과 모터와 브라켓모듈을 수납하는 후면 하우징과, 상기 후면 하우징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전자회로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종동풀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제1 기어의 구동축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을 구비한 전면 하우징과, 상기 전면 하우징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종동풀리가 수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호케이스와; 상기 전자회로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회로모듈은, 원격 제어 장치와 블라인드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권취봉으로부터 바닥까지의 전체 길이와 모터의 1회전에 따른 블라인드 원단이 풀어지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로 출력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은,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블라인드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출력부와; 실행프로그램과 원격 제어 장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블라인드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알람 시각 및 알람지속시간을 포함하는 알람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알람지속시간동안 알람제어신호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알람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알람지속시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에서 실행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은,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작동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작동 이벤트가 원격 제어 데이터 입력이벤트인지 센서 데이터 입력이벤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원격 제어 데이터 입력이벤트인 경우 상기 원격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센서 데이터 입력이벤트인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권취봉으로부터 바닥까지의 전체 길이와 모터의 1회전에 따른 블라인드 원단이 풀어지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와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와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이용해 변경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는 예를 들어, 블라인드 전체 길이의 ½, ⅓, 또는 ⅔와 같은 블라인드 개폐량 정보를 단 한 번 입력하기만 하면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가 블라인드 상하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는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원하는 블라인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알람 설정 기능 또는 기상정보 제공 기능과 함께 블라인드 제어 기능을 연동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분전환에 도움을 주며 나아가 사용자의 생활에 활력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는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을 입력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상하 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8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와 환경센서(150)와 무선전력 송신기(170)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원단(1)이 권취봉(10)에 감기는 블라인드 장치에 사용된다. 도 1에서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는 종동풀리(101)와 기어모듈(102)과 모터(103)를 포함하는 기구물(110)과 상기 기구물(110) 내부에 탑재되는 전자회로모듈(120)을 포함한다.
기구물(110)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전면 하우징(111)과 후면 하우징(112)과 보호케이스(113)를 포함한다. 전면 하우징(111)은 후면 하우징(112)과 고정되게 결합된다. 전면 하우징(111)은 내부에 전자회로모듈이 장착되며 종동풀리(101)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1111)와 제1 기어(1021)의 구동축(1021a)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1112)이 형성된다. 후면 하우징(112)은 전면 하우징(111)과 고정되게 결합된다. 후면 하우징(112)은 기어모듈(102)과 모터(103)와 브라켓모듈(104, 105)을 수납한다. 보호케이스(113)는 전면 하우징(111)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종동풀리(101)가 수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보호케이스(113)에는 전면 하우징(111)의 후크 홈(111a)과 탈, 부착되는 후크(11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동풀리(101)는 당김부재(2)의 끈(21)에 형성된 비드(22)가 끼워지는 복수의 돌기부(1011)와 중심부에 제1 관통홀(1012)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모듈(102)은 종동풀리(101)의 제1 관통홀(1012)에 삽입되는 구동축(1021a)을 구비한 제1 기어(1021)와 상기 제1 기어(1021)와 맞물려 구동하는 복수의 제2 기어를 포함한다. 모터(103)는 스텝핑 모터 또는 DC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브라켓모듈(104, 105)은 기어모듈(102)을 고정한다.
전자회로모듈(120)은 도 1을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부(121)와 메모리부(122)와 전원공급부(123)와 제어부(12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1)는 원격 제어 장치(500)와 블라인드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 통신부(121)는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Wi-Fi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또는 ZigBee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22)는 권취봉으로부터 바닥까지의 전체 길이와 모터의 1회전에 따른 블라인드 원단이 풀어지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전원공급부(123)는 전자회로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23)는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3)는 무선전력 송신기(170)에서 송신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기(170)는 공진주파수에 의한 공진방식을 통해 전원공급부(123)로 무선 전력을 공급한다. 공진주파수에 의한 공진방식은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공진에 의하여 에너지의 무선 전송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무선전력 송신기(170)와 전원공급부(123) 사이의 공진 주파수를 맞추어 공진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무선 전력을 송신한다. 무선전력 송신기(170)는 전원공급부(123)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식별정보와 충전상태 등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와 같은 장치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공급부(123)로 무선 전력을 전송한다.
제어부(124)는 근거리 통신부(121)를 통해 입력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와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제어신호를 모터(103)로 출력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과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여 메모리부(122)에 저장한다.
제어부(12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봉(10)으로부터 바닥까지의 블라인드 원단(1)의 전체 길이(D)와 모터의 1회전에 따른 블라인드 원단이 풀어지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1)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포함하는 데이터와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한다. 도 6(a)에서, 블라인드 원단(1)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는 권취봉(10)으로부터 제1 길이(d_1)에 해당하는 위치이며, 도 6(b)에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권취봉(10)으로부터 ⅓에 해당하는 제2 길이(d_2)인 경우, 모터의 회전방향은 역방향 즉, 블라인드 원단(1)을 올리는 방향이고, 모터의 회전량은 제1 길이(d_1)와 제2 길이(d_2)의 차이 값(Δd)이다. 도 7(a)에서, 블라인드 원단(1)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는 권취봉(10)으로부터 제1 길이(d_1)에 해당하는 위치이며, 도 7(b)에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권취봉(10)으로부터 ⅔에 해당하는 제2 길이(d_3)인 경우, 모터의 회전방향은 정방향 즉, 블라인드 원단(1)을 내리는 방향이고, 모터의 회전량은 제1 길이(d_1)와 제2 길이(d_3)의 차이 값(Δd)이다.
도 1에서,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25)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부(122)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일례로,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1∼29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를 끝까지 내리고,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30∼40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의 ⅓을 개방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41∼49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의 ½을 개방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50∼70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의 ⅔을 개방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71∼90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를 완전 개방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4)는 기울기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기울어진 각도에 관한 감지신호와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제어신호를 모터(103)로 출력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과 메모리부(1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여 메모리부(122)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여 블라인드를 구동하거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를 직접 조절하여 간단하고 직관적인 기울기 방식으로 블라인드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는 벽에 고정하지 않고 당김부재(2)의 끈(21)에 매단 상태에서 블라인드 원단(1)을 내리거나 올리는 동작 시 당김부재(2)의 끈(21)에 형성된 비드(22)을 따라 올라가지 않으며 블라인드 원단(1)을 떨어뜨리지 않을 정도의 무게를 갖도로 구현되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의 무게는 적어도 1㎏ 이상, 3㎏ 이하의 자중을 갖도록 구현된다. 기어모듈(10)은 기어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금속 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는 당김부재(2)의 끈(21)에 매다는 것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양면테이프나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에 부착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가 간단하다.
도 1에서 환경센서(150)는 실내 또는 실외 환경을 감지한다. 환경센서(150)는 실외의 풍향 측정 센서, 풍속 측정 센서, 강설 측정 센서, 강우 측정 센서, 실내의 온도 측정 센서, 습도 측정 센서, 조도 측정 센서, 또는 일사량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센서(15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와이-파이(Wi-Fi)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8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경센서(150)는 로라(LoRa)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로라(LoRa)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의 제어부(124)는 근거리 통신부(121)를 통해 환경센서(15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블라인드를 구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여름날 오후 2시에 일사량과 실외온도가 높은 경우 블라인드를 내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름날에 일사량이 낮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블라인드를 올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8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원격 제어 장치(8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블루투스 스피커, 또는 노트북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800)는 무선 통신부(810)와 사용자 입력부(820)와 출력부(830)와 메모리부(840)와 전원공급부(850)와 제어부(8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810)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와 블라인드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부(810)는 이동통신모듈, 무선인터넷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Wi-Fi 모듈, ZigBee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82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820)는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8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 음향 출력모듈, 및 햅틱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예를 들어, 충전 모드인 경우에는 무선충전용광고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 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8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햅틱 모듈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메모리부(840)는 제어부(8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실행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등)을 임시 저장한다. 메모리(840)는 무선전력 송신기(도 1의 참조부호 170)와 연동되는 무선전력충전 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5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85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70)는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870)는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무선전력충전 앱을 실행하여 수 m 내에 존재하는 무선전력 송신기(도 1의 참조부호 17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력이 수신되면 무선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870)는 블라인드 제어부(871)와 알람처리부(87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블라인드 제어부(871)는 사용자 입력부(820)로부터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무선 통신부(810)를 통해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전체 블라인드의 ⅓, ½, 또는 ⅔을 개방하도록 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870)는 디스플레이 화면 표시를 통해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한 번의 조작만으로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알람처리부(872)는 사용자 입력부(820)로부터 알람 시각 및 알람지속시간을 포함하는 알람설정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부(840)에 저장하고,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알람지속시간동안 알람제어신호를 출력부(8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알람 시각은 A.M 5시 55분, A.M 6시 10분이고, 알람지속시간은 1분 3회, 2분 2회일 수 있다.
블라인드 제어부(871)는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알람지속시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810)를 통해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로 전송한다. 일례로, 알람지속시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1분당 전체 블라인드의 ⅛ 또는 ¼을 개방하도록 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알람처리부(872)는 사용자 입력부(820)로부터 알람설정정보와 함께 블라인드 구동확인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부(840)에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블라인드 제어부(871)는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메모리부(840)에 저장된 블라인드 구동확인정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알람설정을 하면서 블라인드를 구동시킬지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알람이 울리면서 블라인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환경을 연출하고 싶은 경우 알람설정정보와 함께 블라인드 구동확인을 설정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장치(800)는 환경센서(도 1의 참조부호 15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기상정보를 출력부(830)로 출력하는 기상정보 처리부(8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라인드 제어부(871)는 기상정보 처리부(873)로부터 입력되는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810)를 통해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블라인드 제어부(871)는 일례로, 여름날 오후 2시에 일사량과 실외온도가 높은 경우 블라인드를 내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름날에 일사량이 낮고 비가 오는 경우에는 블라인드를 올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상정보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수량 10mm 당 전체 블라인드의 ⅛을 개방하도록 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는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을 자동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도 1에 예시한 구성을 갖는 장치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블라인드 원격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및 기울기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는 작동 이벤트가 감지되면(S901), 휴면모드(Idle Mode)에서 동작 모드(Active Mode)로 전환한다.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감지된 작동 이벤트가 원격 제어 데이터 입력이벤트인지를 판단한다(S902). 판단결과 긍정이면,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원격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획득한다(S903). 판단결과 부정이면,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센서 데이터 입력이벤트인지를 판단한다(S904). 판단결과 긍정이면,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를 검출한다(S905).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검출된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획득한다.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권취봉으로부터 바닥까지의 전체 길이와 모터의 1회전에 따른 블라인드 원단이 풀어지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검출한다(S906).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검출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와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한다(S907).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제어값을 산출한다(S908). 블라인드 자동 제어 프로세서는 검출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와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이용해 변경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하고(S909), 휴면모드(Idle Mode)로 전환한다(S910).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 종동풀리
102 : 기어모듈
1021: 제1 기어 1021a: 구동축
103 : 모터
104, 105 : 브라켓모듈
110 : 기구물
111 : 전면 하우징 111a : 후크 홈
1111: 삽입공간부 1112: 제2 관통홀
112 : 후면 하우징
113 : 보호케이스 113a : 후크

Claims (8)

  1. 블라인드 원단이 권취봉에 감기는 블라인드 장치에 사용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로서,
    상기 권취봉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당김부재의 끈에 형성된 비드가 끼워지는 복수의 돌기부와 중심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의 제1 관통홀에 삽입되는 구동축을 구비한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구동하는 복수의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모듈과;
    상기 기어모듈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기어모듈을 고정하는 브라켓모듈과;
    상기 기어모듈과 모터와 브라켓모듈을 수납하는 후면 하우징과, 상기 후면 하우징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전자회로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종동풀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제1 기어의 구동축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을 구비한 전면 하우징과, 상기 전면 하우징과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종동풀리가 수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보호케이스와;
    상기 전자회로모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회로모듈은:
    원격 제어 장치와 블라인드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권취봉으로부터 바닥까지의 전체 길이와 모터의 1회전에 따른 블라인드 원단이 풀어지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로 출력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는,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기울어진 각도에 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모터로 출력하고,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는,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1∼29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를 끝까지 내리고,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30∼40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의 ⅓을 개방하고,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41∼49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의 ½을 개방하고,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50∼70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의 ⅔을 개방하고,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가 71∼90도인 경우 전체 블라인드를 완전 개방하는 데이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무선전력 송신기에서 송신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모듈;
    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듈은 금속 기어로 구현되며,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무게는 적어도 1㎏ 이상, 3㎏ 이하의 자중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블라인드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사용자 조작명령과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와; 출력부와;
    실행프로그램과 원격 제어 장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블라인드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알람 시각 및 알람지속시간을 포함하는 알람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알람지속시간동안 알람제어신호를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알람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알람지속시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알람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알람설정정보와 함께 블라인드 구동확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블라인드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알람 시각이 도래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블라인드 구동확인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8. 권취봉에 감긴 블라인드 원단을 자동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에서 실행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작동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작동 이벤트가 원격 제어 데이터 입력이벤트인지 센서 데이터 입력이벤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원격 제어 데이터 입력이벤트인 경우 상기 원격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센서 데이터 입력이벤트인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에 포함된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의 기울어진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획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권취봉으로부터 바닥까지의 전체 길이와 모터의 1회전에 따른 블라인드 원단이 풀어지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이 감기는 길이와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와 블라인드 개폐량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제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와 상기 산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이용해 변경된 블라인드 원단의 마지막 위치(END POSITION)를 산출하고 이를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KR1020170128127A 2017-09-29 2017-09-29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KR10204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27A KR102041993B1 (ko) 2017-09-29 2017-09-29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27A KR102041993B1 (ko) 2017-09-29 2017-09-29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086A true KR20190038086A (ko) 2019-04-08
KR102041993B1 KR102041993B1 (ko) 2019-11-27

Family

ID=6616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127A KR102041993B1 (ko) 2017-09-29 2017-09-29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14B1 (ko) * 2020-06-30 2021-05-21 오성곤 미세먼지차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6B1 (ko) * 2020-06-30 2021-05-21 오성곤 다단방충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5B1 (ko) * 2020-06-30 2021-05-21 오성곤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681A (ja) * 1992-02-12 1994-07-19 Sasaki Blind Kogyo Kk 電動ブラインド装置
KR20010045034A (ko) * 1999-11-02 2001-06-05 이창길 롤 스크린 장착장치
KR20020003596A (ko) * 2000-06-21 2002-01-15 김귀현 버티컬 블라인드
KR20150068627A (ko) 2013-12-12 2015-06-22 구윤강 모션 인식을 통한 블라인드 자동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681A (ja) * 1992-02-12 1994-07-19 Sasaki Blind Kogyo Kk 電動ブラインド装置
KR20010045034A (ko) * 1999-11-02 2001-06-05 이창길 롤 스크린 장착장치
KR20020003596A (ko) * 2000-06-21 2002-01-15 김귀현 버티컬 블라인드
KR20150068627A (ko) 2013-12-12 2015-06-22 구윤강 모션 인식을 통한 블라인드 자동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14B1 (ko) * 2020-06-30 2021-05-21 오성곤 미세먼지차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6B1 (ko) * 2020-06-30 2021-05-21 오성곤 다단방충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5B1 (ko) * 2020-06-30 2021-05-21 오성곤 먼지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93B1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617B2 (en) Robot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6503592B2 (ja) 家電機器制御用方法及び装置
CN105517277B (zh) 照明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905279B1 (ko) 스마트 홈 설비의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설비
US893826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394451B1 (en) Backlit display with motion sensor
KR20190038086A (ko) 블라인드 자동 제어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블라인드 자동 제어방법
EP3125062A2 (en) Robot cleaner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05392257A (zh) 控制智能灯的方法及装置
KR101172002B1 (ko) 스마트폰과 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KR100911246B1 (ko) 커텐 개폐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0726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EP3099017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home power supply
CN103902002A (zh) 电源管理方法及装置
KR20140074155A (ko) 화면잠금을 제어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
CN105242775B (zh) 状态调整的方法及装置
CN103873686B (zh) 一种处理图标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2625615B1 (ko) 이벤트 알림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71842A (ko) Usn을 이용한 농작물 관리 시스템
KR2008000236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을 원격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6475087B2 (ja) 開閉装置の開閉体制御装置、開閉装置の開閉体制御方法及び開閉装置の遠隔操作装置
JP5289613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信号送信プログラム
CN106254919B (zh) 智能电视工作状态的调整方法及装置
KR20120080080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N104223611B (zh) 一种设置目标运动距离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