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291Y1 -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291Y1
KR200423291Y1 KR2020060012710U KR20060012710U KR200423291Y1 KR 200423291 Y1 KR200423291 Y1 KR 200423291Y1 KR 2020060012710 U KR2020060012710 U KR 2020060012710U KR 20060012710 U KR20060012710 U KR 20060012710U KR 200423291 Y1 KR200423291 Y1 KR 200423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window
support
installation structure
apartme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제
Original Assignee
조봉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제 filed Critical 조봉제
Priority to KR2020060012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2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4Security gr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의 베란다 양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는 방범창(120)과; 상기 방범창(120)의 일측을 지지하며, 방범창(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대(150)와; 상기 방범창(120)이 상기 지지대(150)의 상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7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범창(12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외관프레임(130)과, 상기 외관프레임(13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차단봉(1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에 의하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유사시 안전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방범창, 아파트, 베란다, 슬라이딩, 고정, 잠금

Description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A guard frame installation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범창 설치상태를 보인 아파트 베란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가 채용된 아파트 베란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가 채용된 아파트 베란다의 부분 평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방범창과 지지대의 체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방범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방범창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a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평면도.
도 6b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방범창이 하측으로 내려진 상태를 보인 베란다의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잠금부재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난간지지대 110. 창틀
120. 방범창 122. 돌기삽입홈
124. 수용홈 130. 외관프레임
140. 차단봉 142. 외장관
150. 지지대 152. 체결부
154. 지지부 156. 연결부
158. 관통홀 160. 방충망
170. 고정수단 172. 잠금부재
174. 키이
본 고안은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의 베란다 양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에는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범창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범창은 고정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탈거가 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아파트에도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범창을 설치하기 도 하는데, 도 1에는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되는 방범창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되는 방범창은, 베란다의 양측에 고정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파트의 베란다의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의 난간지지대(10)가 설치된다. 상기 난간지지대(10)는 보통 성인의 허리 정도의 높이로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난간지지대(10)의 내측(도 1에서는 후측)에는 소정의 창문이 설치되는데, 주로 중앙의 중앙문(20)과, 상기 중앙문(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문(2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중앙문(20)의 양측 즉, 상기 사이드문(22)의 전방에 도 1과 같이 방범창(30)이 설치된다. 상기 방범창(30)은 상기 사이드문(22)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난간지지대(10)의 상단으로부터 베란다의 상단에 이르는 면적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범창(30)은 베란다와 상기 난간지지대(10)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범창 설치구조에서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방범창(30)은 아파트의 베란다에 고정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이동시키거나 탈거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사시에도 방범창(30)의 분리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는 탈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내부 주거자에게는 마치 창살과 같은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범창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침입자가 용이하게 휘거나 절단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범창을 상하로 이동 가능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는 방범창과; 상기 방범창의 일측을 지지하며, 방범창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대와; 상기 방범창이 상기 지지대의 상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범창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외관프레임과, 상기 외관프레임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차단봉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차단봉은 등 간격으로 설치되며, 중앙부분의 외주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외장관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범창과 지지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과 체결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에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장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대에는 상기 장금부재의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방범창의 외관프레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범창의 차단봉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지는 환봉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금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잠금부재의 외경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에 의하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유사시 안전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가 채용된 아파트 베란다의 정면도 및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의 베란다에는 소정 높이의 난간지지대(100)가 설치된다. 상기 난간지지대(100)는 베란다를 통한 사람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성인의 허리 높이 정도로 설치된다.
상기 난간지지대(100)는 상단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단가이드(102)와 상기 상단가이드(102)와 베란다 사이에 상하로 형성되는 난간지지봉(104)으로 구성된다. 상기 난간지지봉(104)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방범기능도 겸비한다.
그리고 베란다의 양단에는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110)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한 쌍의 창틀(110) 사이에 다수의 창문(112,114)이 설치된다.
상기 창틀(110) 사이에 설치되는 창문(112,114)은, 일반적으로 중앙부에 위치되는 중앙문(112)과 상기 중앙문(112)의 좌우에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문(1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문(112)과 가이드문(114)은 서로 교차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문(114)의 전방에는 방범창(12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방범창(120)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중앙문(112)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방범창(120)이 설치되면, 상기 중앙문(112)의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방범창(120)의 일측(우측 또는 좌측)에는 지지대(15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50)는 베란다의 상단과 하단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방범창의 일측을 지지하여 방범창(120)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방범창(120)은 상기 가이드문(114)의 절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방범창(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문(114)의 상반부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방범창(120)의 전방에는 방충망(160)이 설치된다. 상기 방충망(160)은 상기 가이드문(114)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b에는 상기 방범창(120)과 지지대(150)의 구성이 각각 도시되 어 있다. 즉, 도 4에는 상기 방범창(120)의 일단이 상기 지지대(150)에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a와 도 5b에는 상기 방범창(120)의 사시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와 도 6b에는 상기 지지대(150)의 부분사시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범창(12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외관프레임(130)과, 상기 외관프레임(13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차단봉(1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프레임(130)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단을 형성하는 상단프레임(132) 및 하단을 형성하는 하단프레임(134) 그리고, 좌,우측을 형성하는 좌측프레임(136) 및 우측프레임(138)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차단봉(140)은 상기 상단프레임(132)과 하단프레임(134) 사이에 걸쳐 설치되며, 등 간격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단봉(140)은 환봉 형상을 가지며,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봉(140)을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보다 강도가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 휘어짐이나 절단이 용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단봉(140)의 중앙 부분은 이중관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차단봉(140)의 중앙부분 외주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외장관(14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외장관(142)은 내경이 상기 차단봉(140)의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단봉(140)을 감싸도록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장관(142)의 외면(표면)은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된다. 즉, 상기 외장관(142)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여 도색한 다음 상기 차단봉(140)에 끼운다.
상기 외장관(142)은 상기 차단봉(140)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즉 상기 외장관(142)의 내면과 상기 차단봉(140)의 외면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방범창(120)의 좌우 측단은 상기 창틀(110)과 상기 지지대(150)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범창(120)의 좌측단에는 상기 창틀(110)의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12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우측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대(150)의 체결부(152)가 삽입 수용되는 수용홈(12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4)의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수단(170)의 잠금부재(172)가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된다.(도 5b참조)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중앙문(112)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방범창(120)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I)빔(Beam)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즉,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창틀(110)의 수용홈(124)에 삽입되는 체결부(152)와, 상기 체결부(152)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문(112)와 접하는 지지부(154) 그리고, 상기 체결부(152)와 지지부(15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5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5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수단(170)의 잠금부재(172)가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홀(158)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150)를 구성하는 체결부(152)와 지지부(154)를 관통하여 관통홀(158)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158)은 아래에서 설명할 잠금부재(172)의 외주면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범창(120)에는 고정수단(170)이 더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170)은 상기 방범창(120)이 상기 지지대(150)의 상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50)에 형성되는 관통홀(158)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잠금부재(172)와, 상기 잠금부재(172)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키이(174)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방범창(120)의 외관프레임(130)에 고정수단(17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좌측프레임(136) 또는 우측프레임(138)에 상기 고정수단(170)이 구비되어, 상기 방범창(120)이 상기 지지대(150)의 상반부에 위치한 채로 정지하도록 한다.
상기 잠금부재(172)는 원형의 상기 관통홀(158)과 대응되도록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재(172)의 외경은 상기 관통홀(158)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이(17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쇠와 같은 것으로, 상기 외관프레임(130)에 형성되는 키홈(174')에 삽입된 채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부재(172)가 상기 외관프레임(130)의 측면에 형성된 부재홀(172') 내부로 수용되거나 외측(도 5a에서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방범창(120)이 기능을 상실한 경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방범창(120)이 상기 난간지지대(100)의 후측(내측)에 위치된 상태이다. 즉, 상기 잠금부재(172)가 상기 부재홀(172')에 삽입되어 상기 방범창(120)이 상기 지지대(150)와 창틀(110)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때에는 주거자는 상기 방범창(120)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생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난간지지대(100)의 좌우 양측 상반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 부분을 통해 외부로 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방범창(120)이 고정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방범창(120)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방범창(120)의 외관프레임(130) 양단은 상기 지지대(150)와 창틀(110) 사이에 끼워진 채로 상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상기 외관프레임(130)의 돌기삽입홈(122)에는 상기 창틀(110)의 돌기가 수용되고 상기 수용홈(124)에는 상기 지지대(150)의 체결부(152)가 삽입된 채로 상기 방범창(120)이 상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범창(120)이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잠금부재(172)가 상기 외관프레임(130)의 측면에 형성된 부재홀(172') 내부로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잠금부재(172)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방범창(120)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문(114)의 상반부를 차폐하게 되면, 사용자는 다음으로 상기 키이(174)를 돌려 상기 잠금부재(172)의 단부(도 5b에서는 우측단)이 상기 지지대(150)의 관통홀(158)에 삽입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방범창(120)이 상기 지지대(150)와 창 틀(110)에 안내되어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잠금부재(172)가 상기 지지대(150)의 관통홀(158)과 대등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키이(174)를 돌려 상기 잠금부재(172)가 상기 관통홀(158)에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키이(17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도 8과 같이 상기 잠금부재(172)가 우측(도 8에서)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170)에 의해 상기 방범창(120)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문(114)의 외측은 방범창(120)에 의해 견고하게 보호되는 것이다. 이때의 베란다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수단(170)이 상기 외관프레임(130)의 어느 한 곳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수단(170)은 여러 곳에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170)의 설치위치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방범창(120)이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고정수단(170)의 잠금부재(172)와 상기 지지대(150)의 관통홀(158)이 동일 높이에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한, 상기 고정수단(170)과 관통홀(158)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의 고정수단(170)에서 상기 잠금부재(172)가 자동으로 외측(우측 또는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고정 수단(170)에 상기 잠금부재(172)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상기 잠금부재(172)에는 계속적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려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방범창(120)을 들어올리기만 하면, 상기 잠금부재(172)가 저절로 상기 지지대(150)의 관통홀(158)에 삽입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방범창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필요 시 사용자는 베란다에 설치된 방범창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화재 발생시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사용자는 베란다의 양단에 설치된 방범창을 내리고 탈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평상시에도 사용자는 베란다의 방범창을 하측으로 내려 바깥을 내다볼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창살 속에 갇힌 느낌을 갖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외출시에만 방범창을 올려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베란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방범창에는 외장관이 구비되며, 이러한 외장관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거주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되므로 아파트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차단하는 방범창(120)과;
    상기 방범창(120)의 일측을 지지하며, 방범창(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대(150)와;
    상기 방범창(120)이 상기 지지대(150)의 상반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7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12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사각 형상의 외관프레임(130)과,
    상기 외관프레임(13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차단봉(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차단봉(140)은 등 간격으로 설치되며, 중앙부분의 외주면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외장관(14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120)과 지지대(15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홈(124)과 체결 부(152)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70)에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잠금부재(172)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50)에는 상기 잠금부재(172)의 일단이 삽입되는 관통홀(15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70)은 상기 방범창(120)의 외관프레임(130)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창(120)의 차단봉(140)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지는 환봉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17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158)은 상기 잠금부재(172)의 외경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전용 방범창의 설치구조.
KR2020060012710U 2006-05-12 2006-05-12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KR200423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10U KR200423291Y1 (ko) 2006-05-12 2006-05-12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10U KR200423291Y1 (ko) 2006-05-12 2006-05-12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291Y1 true KR200423291Y1 (ko) 2006-08-04

Family

ID=4177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710U KR200423291Y1 (ko) 2006-05-12 2006-05-12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29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54B1 (ko) * 2011-11-02 2013-11-20 하가영 개방형방범장치
KR101818844B1 (ko) 2016-03-16 2018-01-16 한국메탈주식회사 아파트용 여닫이 안전방범방충창
KR102083394B1 (ko) 2019-09-30 2020-03-02 (주)에스엔시 창문용 안전난간
KR200497071Y1 (ko) * 2023-04-27 2023-07-19 승건산업 주식회사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54B1 (ko) * 2011-11-02 2013-11-20 하가영 개방형방범장치
KR101818844B1 (ko) 2016-03-16 2018-01-16 한국메탈주식회사 아파트용 여닫이 안전방범방충창
KR102083394B1 (ko) 2019-09-30 2020-03-02 (주)에스엔시 창문용 안전난간
KR200497071Y1 (ko) * 2023-04-27 2023-07-19 승건산업 주식회사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1216678B1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KR200423291Y1 (ko)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20160062513A (ko) 투명 난간 중간 매입형 이중창호구조
JP2014214465A (ja) サッシ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1077722B1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20170012173A (ko) 난간용 방충망 구조체
KR101678346B1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구조
KR20090124841A (ko) 방범창용 창살 및 그 제조방법
JP5475249B2 (ja) 窓シャッター枠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200473378Y1 (ko) 확장형 창틀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다기능 핸드레일
KR100277199B1 (ko) 방범창
KR101536971B1 (ko) 철격자 일체형 미서기창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101852335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KR200471959Y1 (ko) 확장형 창틀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난간대 겸용 손스침 부재
JP6423299B2 (ja) 網戸付きサッシ
KR101032732B1 (ko) 방범 창호프레임
KR200341320Y1 (ko) 교체 가능한 장식부를 갖는 슬라이드식 방범창
KR200206313Y1 (ko) 방충망 및 방범창이 설치된 개폐식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