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71Y1 -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 Google Patents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71Y1
KR200497071Y1 KR2020230000851U KR20230000851U KR200497071Y1 KR 200497071 Y1 KR200497071 Y1 KR 200497071Y1 KR 2020230000851 U KR2020230000851 U KR 2020230000851U KR 20230000851 U KR20230000851 U KR 20230000851U KR 200497071 Y1 KR200497071 Y1 KR 200497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guide
frame
window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071Y9 (ko
Inventor
류동환
장신자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승건산업 주식회사
류동환
장신자
이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건산업 주식회사, 류동환, 장신자, 이동호 filed Critical 승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30000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71Y1/ko
Publication of KR200497071Y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71Y9/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06B2009/015Mount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프레임(F)의 안쪽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수판 프레임(100)과 상기 창틀프레임(F)의 안쪽에서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나란하고 좌우로 이어지는 길이를 갖는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서 소정 이격된 상부에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22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상부가이드(220)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가이드(230)가 구비되는 배치되는 방범창 프레임(200)과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1 수직재(310)와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2 수직재(3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재(310)에서 상기 방범창 프레임(200)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 창살재(330)와, 일단이 상기 제 1 창살재(330) 중앙에 형성된 창살가이드공(331)에 내입되고 타단은 제 2 수직재(320)까지 슬라이딩 되도록 제 2 창살재(340)가 구비되는 창살 프레임(300)을 포함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 Emergency escape window structure }
본 고안은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프레임에 고정되어 창문을 개방할 경우에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유사 시 내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방범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비상 탈출 공간을 만들어 인명의 피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방범창 하부에 구비되는 차수판을 통해 지하 주택에 설치된 창문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창은 아파트나 주택 등의 창문에 설치되어, 쉽게 개폐되는 창문과 다르게 침입자의 침입을 막아 재산이나 생명을 보호하거나 아이들의 고층에서 부주의로 추락하는 사고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범창 구조는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자 주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빛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고정된 형태의 방범창 구조체는 침수, 화재, 지진 등이 발생할 경우에 비상탈출구를 차단하게 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외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방범창을 열어 탈출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범창 구조체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지하 주택에 거주할 경우에는 방범창 구조체를 설치하여도,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강수가 발생할 때, 거주자(내부인)가 대응하지 못하는 아주 짧은 순간에도 창문을 통해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4727호(명칭 :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에는, 복도식 공동주택이나 연립주택 또는 단독주택의 방범창 설치시, 방범창을 건물 외부의 창문틀이나 벽에 고정시켜 설치하므로써 침입자가 외부에서 방범창을 먼저 훼손시킨 후 창문을 깨고 들어오는 문제점과 실내에서 화재발생 등의 위급 상황 발생시 출입문이 봉쇄 될 경우 창문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창문 외부측에 고정시켜 부착된 방범창 때문에 창문을 통한 탈출이 불가능하여 참변을 당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평상시에는 실내측에 있는 방범창에 의해 방범 기능이 있음은 물론 외부 침입자가 침입시 먼저 외측에 있는 창문을 파손한다 해도 내부에 더 튼튼한 방범창이 있어 침입이 어려움과 동시에 창문을 먼저 파손하게 되면 내부인에게 이미 발각되어 방범창을 파손시키기 어렵게 되며, 사각형상의 면판(12)과 유동이 없는 사각핀(13) 때문에 방범창살(8) 사이로 손을 넣어 방범창문을 열지 못하도록 하고, 실내측에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 발생시에는 방범창의 손잡이가 달린 볼트(14)를 간단히 돌려 사각핀(13)을 빼내므로써 방범창조합을 쉽게 열고 창문으로 탈출이 가능하게 한 방범창 구조체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범창 구조체는 침수, 화재, 지진 등이 발생하여 내부인 또는 거주자가 긴급하게 탈출해야 할 경우에는, 방법창 구조체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다수 개의 볼트(14)를 돌리는 동작을 해야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창틀프레임에 고정되어 창문을 개방할 경우에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유사 시 내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방범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비상 탈출 공간을 만들어 인명의 피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방범창 하부에 구비되는 차수판을 통해 지하 주택에 설치된 창문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4727호(명칭 :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틀프레임(F)의 안쪽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수판 프레임(100)과 상기 창틀프레임(F)의 안쪽에서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나란하고 좌우로 이어지는 길이를 갖는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서 소정 이격된 상부에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22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상부가이드(220)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가이드(230)가 구비되는 배치되는 방범창 프레임(200)과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1 수직재(310)와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2 수직재(3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재(310)에서 상기 방범창 프레임(200)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 창살재(330)와, 일단이 상기 제 1 창살재(330) 중앙에 형성된 창살가이드공(331)에 내입되고 타단은 제 2 수직재(320)까지 슬라이딩 되도록 제 2 창살재(340)가 구비되는 창살 프레임(300)으로 창틀프레임에 고정되어 창문을 개방할 경우에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유사 시 내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방범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비상 탈출 공간을 만들어 인명의 피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방범창 하부에 구비되는 차수판을 통해 지하 주택에 설치된 창문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종단에는 상기 제 1 수직재(310)과 나란하게 제 3 수직재(350)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수직재(350)에는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외경이 내입되는 내입통공(351)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어 방범창을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수용공(2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 3 수직재(350)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에 내입 수용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하단에 내입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결합캡(22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상기 제 1,2 수직재결합캡(212,222)은 접면날개(212a), 수용케이싱(212b) 및 수용내입공(212c)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케이싱(212b)은 소정의 상하 길이로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면날개(212a)는 상기 수용케이싱(212b)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상면과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저면에 접면되고, 중앙 위치에는 결합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통공(212d)이 배치되어 제 3 수직재가 수직재수용공이 존재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베이스 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에 지지될 수 있고, 나아가 제 3 수직재가 베이스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와 결합 시, 그 지지력 또는 결합력이 향상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창틀프레임(F)의 하부에 지지되어 입설된 지지대(500)과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서로 어긋나도록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00)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일측에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대(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준평면(41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전단에 상향 돌출되는 제 1 전단지지면(420)과 상기 제 1 전단지지면(420)의 어느 일측에 상향 돌출되는 제 2 전단지지면(43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후단에 하향 돌출되는 제 1 후단지지면(440)과 상기 제 1 후단지지면(440)에서 상기 제 2 전단지지면(430)의 대향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제 2 후단지지면(450)으로 구비되어 베이스 가이드가 없는 경우에 제 3 수직재가 지지대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창살재(310)의 종단을 커버하도록 창살재 마감캡(33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하단 또는 상단에는 상기 베이스가이드(210)를 따라 구름 이동 되도록 구름부재(32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창문 안쪽에는 잠금수단(360)이 구비되어 잠금수단을 해제된 경우에만 방범창 구조체가 슬라이딩할 수 있어, 외부에서 방범창 구조첼믈 슬라이딩하여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는 먼저, 창틀프레임(F)의 안쪽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수판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창틀프레임(F)의 안쪽에서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나란하고 좌우로 이어지는 길이를 갖는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서 소정 이격된 상부에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22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상부가이드(220)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가이드(230)가 구비되는 배치되는 방범창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1 수직재(310)와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2 수직재(3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재(310)에서 상기 방범창 프레임(200)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 창살재(330)와, 일단이 상기 제 1 창살재(330) 중앙에 형성된 창살가이드공(331)에 내입되고 타단은 제 2 수직재(320)까지 슬라이딩 되도록 제 2 창살재(340)가 구비되는 창살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종단에는 상기 제 1 수직재(310)과 나란하게 제 3 수직재(350)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수직재(350)에는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외경이 내입되는 내입통공(351)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수용공(2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에 내입 수용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하단에 내입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결합캡(22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상기 제 1,2 수직재결합캡(212,222)은 접면날개(212a), 수용케이싱(212b) 및 수용내입공(212c)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케이싱(212b)은 소정의 상하 길이로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면날개(212a)는 상기 수용케이싱(212b)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상면과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저면에 접면되고, 중앙 위치에는 결합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통공(212d)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창틀프레임(F)의 하부에 지지되어 입설된 지지대(500)과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서로 어긋나도록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00)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일측에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대(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준평면(41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전단에 상향 돌출되는 제 1 전단지지면(420)과 상기 제 1 전단지지면(420)의 어느 일측에 상향 돌출되는 제 2 전단지지면(43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후단에 하향 돌출되는 제 1 후단지지면(440)과 상기 제 1 후단지지면(440)에서 상기 제 2 전단지지면(430)의 대향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제 2 후단지지면(45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창살재(310)의 종단을 커버하도록 창살재 마감캡(33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하단 또는 상단에는 상기 베이스가이드(210)를 따라 구름 이동 되도록 구름부재(32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창문 안쪽에는 잠금수단(3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제공하여,
첫째, 창틀프레임(F)의 안쪽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수판 프레임(100)과 상기 창틀프레임(F)의 안쪽에서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나란하고 좌우로 이어지는 길이를 갖는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서 소정 이격된 상부에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22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상부가이드(220)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가이드(230)가 구비되는 배치되는 방범창 프레임(200)과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1 수직재(310)와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2 수직재(3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재(310)에서 상기 방범창 프레임(200)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 창살재(330)와, 일단이 상기 제 1 창살재(330) 중앙에 형성된 창살가이드공(331)에 내입되고 타단은 제 2 수직재(320)까지 슬라이딩 되도록 제 2 창살재(340)가 구비되는 창살 프레임(300)으로 창틀프레임에 고정되어 창문을 개방할 경우에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유사 시 내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방범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비상 탈출 공간을 만들어 인명의 피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방범창 하부에 구비되는 차수판을 통해 지하 주택에 설치된 창문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둘째,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종단에는 상기 제 1 수직재(310)과 나란하게 제 3 수직재(350)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수직재(350)에는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외경이 내입되는 내입통공(351)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어 창살 프레임이 용이하게 슬라이딩하여 탈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수용공(2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 3 수직재(350)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에 내입 수용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하단에 내입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결합캡(22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상기 제 1,2 수직재결합캡(212,222)은 접면날개(212a), 수용케이싱(212b) 및 수용내입공(212c)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케이싱(212b)은 소정의 상하 길이로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면날개(212a)는 상기 수용케이싱(212b)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상면과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저면에 접면되고, 중앙 위치에는 결합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통공(212d)이 배치되어 제 3 수직재가 수직재수용공이 존재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베이스 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에 지지될 수 있고, 나아가 제 3 수직재가 베이스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와 결합 시, 그 지지력 또는 결합력이 향상된다.
다섯째, 상기 창틀프레임(F)의 하부에 지지되어 입설된 지지대(500)과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서로 어긋나도록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00)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일측에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대(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준평면(41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전단에 상향 돌출되는 제 1 전단지지면(420)과 상기 제 1 전단지지면(420)의 어느 일측에 상향 돌출되는 제 2 전단지지면(43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후단에 하향 돌출되는 제 1 후단지지면(440)과 상기 제 1 후단지지면(440)에서 상기 제 2 전단지지면(430)의 대향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제 2 후단지지면(450)으로 구비되어 베이스 가이드가 없는 경우에 제 3 수직재가 지지대를 통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제 1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창살재(310)의 종단을 커버하도록 창살재 마감캡(33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하단 또는 상단에는 상기 베이스가이드(210)를 따라 구름 이동 되도록 구름부재(32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창문 안쪽에는 잠금수단(360)이 구비되어 잠금수단을 해제된 경우에만 방범창 구조체가 슬라이딩할 수 있어, 외부에서 방범창 구조첼믈 슬라이딩하여 해제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차수판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방범창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구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1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수직재결합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연결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마감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1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도면이다.
도 2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의 단면이 사각형상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도면이다.
도 22 내지 2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의 구름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차수판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방범창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1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구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 및 1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수직재결합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 및 1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연결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7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마감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8 및 19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0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도면이며, 도 2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의 단면이 사각형상인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도면이며, 도 22 내지 2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의 창살 프레임의 구름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도면이다.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는 먼저, 창틀프레임(F)의 안쪽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수판 프레임(100)과 상기 창틀프레임(F)의 안쪽에서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나란하고 좌우로 이어지는 길이를 갖는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서 소정 이격된 상부에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22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상부가이드(220)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가이드(230)가 구비되는 배치되는 방범창 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은 창틀프레임(F)의 양측에 구비되는 창틀 베이스와, 상기 창틀 베이스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의 외주에 형성되는 수밀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1 수직재(310)와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2 수직재(3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재(310)에서 상기 방범창 프레임(200)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 창살재(330)와, 일단이 상기 제 1 창살재(330) 중앙에 형성된 창살가이드공(331)에 내입되고 타단은 제 2 수직재(320)까지 슬라이딩 되도록 제 2 창살재(340)가 구비되는 창살 프레임(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 수직재(3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창살가이드공(331)에는 수용홈(331a)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창살재(340)에는 상기 수용홈(331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수용돌출(341)이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홈(331a)과 상기 수용돌출(341)을 통해 접촉 표면적이 넓어져, 슬라이딩 시 창살 프레임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종단에는 상기 제 1 수직재(310)과 나란하게 제 3 수직재(350)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수직재(350)에는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외경이 내입되는 내입통공(351)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2 창살재가 상기 제 1 창살재를 통해 가이드되어 슬라이딩함으로써, 응급 또는 위기 상황 시 내부인 또는 거주자가 창문을 통해 탈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수용공(2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수직재수용공(211)과 상기 제 2 수직재수용공(221)에 상기 제 3 수직재(350)이 결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에 내입 수용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하단에 내입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결합캡(22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 수직재결합캡(212,222)은 접면날개(212a), 수용케이싱(212b) 및 수용내입공(212c)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케이싱(212b)은 소정의 상하 길이로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면날개(212a)는 상기 수용케이싱(212b)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상면과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저면에 접면되고, 중앙 위치에는 결합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통공(212d)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이스가이드(210) 및 상기 상부가이드(220)에 결합되는 상기 제 1,2 수직재결합캡(212,222)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양단에 각각 내입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 3 수직재(350)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창틀프레임(F)의 하부에 지지되어 입설된 지지대(500)과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서로 어긋나도록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00)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일측에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대(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준평면(41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전단에 상향 돌출되는 제 1 전단지지면(420)과 상기 제 1 전단지지면(420)의 어느 일측에 상향 돌출되는 제 2 전단지지면(43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후단에 하향 돌출되는 제 1 후단지지면(440)과 상기 제 1 후단지지면(440)에서 상기 제 2 전단지지면(430)의 대향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제 2 후단지지면(450)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평면(410)의 상면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과의 결합이 용이해지도록 제 1 결합돌출(410a)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준평면(410)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대(500)와의 결합이 용이해지도록 제 2 결합돌출(410b)가 더 구비되는 것 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창살재(310)의 종단을 커버하도록 창살재 마감캡(3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위치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의 어느 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창살재가 제 1 수직재를 관통하여 형성되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 수직재를 관통하는 제 1 창살재의 위치을 말한다.
또 한편,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하단 또는 상단에는 상기 베이스가이드(210)를 따라 구름 이동 되도록 구름부재(3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름부재(321)는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 형성된 레일부(213)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하는 결합플레이트(321a)와, 상기 결합플레이트(321a)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플레이트(321a)가 용이하게 상기 레일부(213)에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돌출(321b)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돌출(321b)은 360도 회전 가능한 구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213)의 상면을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창문 안쪽에는 잠금수단(360)이 구비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360)은 회동잠금재(361)와, 상기 회동잠금재(361)의 형상과 대응하는 관통공을 갖는 커버재(362)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재의 상기 관통공에 상기 회동잠금재를 관통시킨 후 상기 회동잠금재를 회동시키면 상기 관통공과 상기 회동잠금재가 엇갈려, 외부에서는 상기 창살 프레임을 슬라이딩 할 수 없도록 잠금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회동잠금재를 다시 원복시켜 상기 커버재를 상기 회동잠금재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창살 프레임을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360)은 자기력을 사용하는 전자식 자기 잠금장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은 무선 컨트롤러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원격으로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을 실행 또는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한편, 상기 잠금수단(360), 상기 무선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강수예상모듈, 인체감지모듈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기상 데이터 등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수예상모듈이 본원 고안의 방범창 구조체가 위치한 지역에 예상 강수량이 시간 당 20mm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해당 시간대에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모듈은, 방범창 구조체 앞에 사람이 감지되면 잠금을 유지하고,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을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수단의 동작 우선순위는 상기 강수예상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강수예상모듈을 통해 잠금수단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범창 구조체 앞에 사람이 감지될지라도 다시 잠금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구름부재(321)에는 많은 양의 강수가 발생하여 상기 레일부(213)에 물이 가득 차 있는 경우, 상기 제 2 창살재(340)의 슬라이딩이 용이해지도록 슬라이딩날개(321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날개(321c)를 통해 상기 레일부(213)에 채워진 물을 가로지르며 슬라이딩 할 수 있으므로, 위급 시 긴급하게 상기 제 2 창살재(340)가 신속히 슬라이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를 이용하면, 창틀프레임(F)의 안쪽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수판 프레임(100)과 상기 창틀프레임(F)의 안쪽에서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나란하고 좌우로 이어지는 길이를 갖는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서 소정 이격된 상부에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22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상부가이드(220)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가이드(230)가 구비되는 배치되는 방범창 프레임(200)과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1 수직재(310)와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2 수직재(3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재(310)에서 상기 방범창 프레임(200)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 창살재(330)와, 일단이 상기 제 1 창살재(330) 중앙에 형성된 창살가이드공(331)에 내입되고 타단은 제 2 수직재(320)까지 슬라이딩 되도록 제 2 창살재(340)가 구비되는 창살 프레임(300)으로 창틀프레임에 고정되어 창문을 개방할 경우에 외부에서 창문을 통해 무단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되, 유사 시 내부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방범창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비상 탈출 공간을 만들어 인명의 피해를 방지하고, 나아가 방범창 하부에 구비되는 차수판을 통해 지하 주택에 설치된 창문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종단에는 상기 제 1 수직재(310)과 나란하게 제 3 수직재(350)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수직재(350)에는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외경이 내입되는 내입통공(351)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어 창살 프레임이 용이하게 슬라이딩하여 탈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수용공(2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 3 수직재(350)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에 내입 수용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하단에 내입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결합캡(22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상기 제 1,2 수직재결합캡(212,222)은 접면날개(212a), 수용케이싱(212b) 및 수용내입공(212c)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케이싱(212b)은 소정의 상하 길이로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면날개(212a)는 상기 수용케이싱(212b)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상면과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저면에 접면되고, 중앙 위치에는 결합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통공(212d)이 배치되어 제 3 수직재가 수직재수용공이 존재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베이스 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에 지지될 수 있고, 나아가 제 3 수직재가 베이스가이드 및 상부가이드와 결합 시, 그 지지력 또는 결합력이 향상되고, 상기 창틀프레임(F)의 하부에 지지되어 입설된 지지대(500)과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서로 어긋나도록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00)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일측에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대(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준평면(41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전단에 상향 돌출되는 제 1 전단지지면(420)과 상기 제 1 전단지지면(420)의 어느 일측에 상향 돌출되는 제 2 전단지지면(43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후단에 하향 돌출되는 제 1 후단지지면(440)과 상기 제 1 후단지지면(440)에서 상기 제 2 전단지지면(430)의 대향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제 2 후단지지면(450)으로 구비되어 베이스 가이드가 없는 경우에 제 3 수직재가 지지대를 통해 지지될 수 있고, 제 1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창살재(310)의 종단을 커버하도록 창살재 마감캡(33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하단 또는 상단에는 상기 베이스가이드(210)를 따라 구름 이동 되도록 구름부재(32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창문 안쪽에는 잠금수단(360)이 구비되어 잠금수단을 해제된 경우에만 방범창 구조체가 슬라이딩할 수 있어, 외부에서 방범창 구조첼믈 슬라이딩하여 해제하는 것을 방지한다.
100 ... 차수판 프레임
200 ... 방범창 프레임
210 ... 베이스가이드
211 ... 제 1 수직재수용공
212 ... 제 1 수직재결합캡
212a ... 접면날개
212b ... 수용케이싱
212c ... 수용내입공
212d ... 결합통공
220 ... 상부가이드
221 ... 제 2 수직재수용공
222 ... 제 2 수직재결합캡
230 ... 세로가이드
300 ... 창살 프레임
310 ... 제 1 수직재
320 ... 제 2 수직재
321 ... 구름부재
321a ... 결합플레이트
321b ... 슬라이딩돌출
321c ... 슬라이딩날개
330 ... 제 1 창살재
331 ... 창살가이드공
331a ... 수용홈
332 ... 마감캡
340 ... 제 2 창살재
341 ... 수용돌출
350 ... 제 3 수직재
351 ... 내입통공
360 ... 잠금수단
400 ... 연결브라켓
410 ... 기준평면
410a ... 제 1 결합돌출
410b ... 제 2 결합돌출
420 ... 제 1 전단지지면
430 ... 제 2 전단지지면
440 ... 제 1 후단지지면
450 ... 제 2 후단지지면
500 ... 지지대
F ... 창틀프레임

Claims (6)

  1. 창틀프레임(F)의 안쪽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수판 프레임(100);
    상기 창틀프레임(F)의 안쪽에서 상기 차수판 프레임(10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나란하고 좌우로 이어지는 길이를 갖는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에서 소정 이격된 상부에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220)와,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와 상기 상부가이드(220)를 서로 연결하는 세로가이드(230)가 구비되는 배치되는 방범창 프레임(200); 및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1 수직재(310)와 일측의 상기 세로가이드(230)와 나란한 제 2 수직재(320)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재(310)에서 상기 방범창 프레임(200)의 중앙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 창살재(330)와, 일단이 상기 제 1 창살재(330) 중앙에 형성된 창살가이드공(331)에 내입되고 타단은 제 2 수직재(320)까지 슬라이딩 되도록 제 2 창살재(340)가 구비되는 창살 프레임(300);을 포함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종단에는 상기 제 1 수직재(310)과 나란하게 제 3 수직재(350)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수직재(350)에는 상기 제 1 창살재(330)의 외경이 내입되는 내입통공(351)이 상하로 소정 간격을 이루며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는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수용공(211)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수용공(221)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에 내입 수용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중간에 결착되어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하단에 내입 수용하도록 제 1 수직재결합캡(212)에 대향되게 제 2 수직재결합캡(222)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상기 제 1,2 수직재결합캡(212,222)은,
    접면날개(212a), 수용케이싱(212b) 및 수용내입공(212c)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케이싱(212b)은 소정의 상하 길이로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상단과 하단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접면날개(212a)는 상기 수용케이싱(212b)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베이스가이드(210)의 상면과 상기 상부가이드(220)의 저면에 접면되고, 중앙 위치에는 결합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통공(212d)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F)의 하부에 지지되어 입설된 지지대(500)과 상기 제 3 수직재(350)를 서로 어긋나도록 연결하는 연결브라켓(400)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브라켓(400)은,
    일측에 상기 제 3 수직재(350)의 저면을 지지하고 타측에 상기 지지대(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준평면(41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전단에 상향 돌출되는 제 1 전단지지면(420)과 상기 제 1 전단지지면(420)의 어느 일측에 상향 돌출되는 제 2 전단지지면(430)과 상기 기준평면(410)의 후단에 하향 돌출되는 제 1 후단지지면(440)과 상기 제 1 후단지지면(440)에서 상기 제 2 전단지지면(430)의 대향 위치에 하향 돌출되는 제 2 후단지지면(45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창살재(310)의 종단을 커버하도록 창살재 마감캡(332)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하단 또는 상단에는 상기 베이스가이드(210)를 따라 구름 이동 되도록 구름부재(32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재(320)의 창문 안쪽에는 잠금수단(3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KR2020230000851U 2023-04-27 2023-04-27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KR200497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851U KR200497071Y1 (ko) 2023-04-27 2023-04-27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851U KR200497071Y1 (ko) 2023-04-27 2023-04-27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071Y1 true KR200497071Y1 (ko) 2023-07-19
KR200497071Y9 KR200497071Y9 (ko) 2024-03-15

Family

ID=8742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851U KR200497071Y1 (ko) 2023-04-27 2023-04-27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7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727A (ko) 2004-04-16 2005-09-28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423291Y1 (ko) * 2006-05-12 2006-08-04 조봉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KR20140104089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한라씨엔티 침수방지용 경량화 플라스틱 차수판
KR200475789Y1 (ko) * 2013-09-17 2015-01-06 김용욱 방범용 창틀
KR101655893B1 (ko) * 2016-02-29 2016-09-08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2114006B1 (ko) * 2019-04-05 2020-05-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4727A (ko) 2004-04-16 2005-09-28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423291Y1 (ko) * 2006-05-12 2006-08-04 조봉제 아파트 전용 방범창 설치구조
KR20140104089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한라씨엔티 침수방지용 경량화 플라스틱 차수판
KR200475789Y1 (ko) * 2013-09-17 2015-01-06 김용욱 방범용 창틀
KR101655893B1 (ko) * 2016-02-29 2016-09-08 (주)에이치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2114006B1 (ko) * 2019-04-05 2020-05-22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071Y9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435B2 (en) Self-closing gate for fence enclosures
US5832666A (en) Window storm shield and guard assembly
JP4613776B2 (ja) 建物
JP5517242B2 (ja) 住宅
KR200497071Y1 (ko)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KR100537027B1 (ko) 슬라이딩 방범창
JP4577569B2 (ja) 引き戸
JP2013028907A (ja) シェルター付建物
KR101846260B1 (ko)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창호
KR101096583B1 (ko) 이단 열림구조가 있는 건축물의 현관문
KR200355513Y1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80010578A (ko) 안전 방범창
KR20050094727A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100695685B1 (ko)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US20170321460A1 (en) Gravity Gate Latch Lockable and Unlockable by a Padlock from Both Sides of a Gate
JP5312866B2 (ja) 集合住宅の防犯構造
KR101117942B1 (ko) 출입문
RU2317394C2 (ru) Защитно-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конного проема
KR101015374B1 (ko) 안전 창호
RU54389U1 (ru) Механизм аварийного открытия оконных или две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EP0676529A1 (en) Grating that can be opened to receive a mosquito net for external door and window opening
CN214860660U (zh) 一种具备逃生功能的高楼
US4409757A (en) Security latch assembly
RU546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конного проема
KR102646816B1 (ko) 방화 기능을 향상시킨 창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