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52B1 -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 Google Patents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52B1
KR101786852B1 KR1020170031131A KR20170031131A KR101786852B1 KR 101786852 B1 KR101786852 B1 KR 101786852B1 KR 1020170031131 A KR1020170031131 A KR 1020170031131A KR 20170031131 A KR20170031131 A KR 20170031131A KR 101786852 B1 KR101786852 B1 KR 10178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rame
insect
rai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피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피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범창호의 미세한 틈으로 날파리, 모기 등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로 개폐가 가능한 롤 방충망이 일측에 장착되고, 방범창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Crime preventing window having insect inhibi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범창호의 미세한 틈으로 날파리, 모기 등의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로 개폐가 가능한 롤 방충망이 일측에 장착되고, 방범창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및 아파트의 저층의 창문에 설치되는 방범창호는 창틀 프레임 외벽에 다수개의 창살을 고정 설치하거나, 창문 프레임에 격자형의 철망을 고정 설치하여 외부로부터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방범창은 방범을 위해서는 유용하지만 외관상 보기 흉하고 특히 모기나 날파리 등 해충이 격자형의 청망 사이를 통과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격자형의 철망의 간격을 좁히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는 방범철망이 실내를 매우 어둡고 분위기를 침체시키는 원인 및 환기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추가적인 문제점을 동반하였다.
반면에 방충망은 실내 환기시 외부로부터 날벌레들의 침입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방충창틀에 조립하는 방충망의 가장 일반적인 결합구조로는 사각의 방충창틀 내측테두리에 입구가 단턱진 사각홈부에 방충망을 봉상의 고무재몰딩재에 감아 끼워 넣는 방식이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는 방충망은 외력에 의하여, 단턱진 사각홈으로 부터 고무재 몰딩이 쉽게 이탈되는것으로 내구성이 취약하여 어린이들의 추락사고로도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존에 설치된 창틀프레임에 장착이 가능하며, 방충망 기능이 구비되며, 유아, 어린이들의 추락사고 및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범창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4762호 '방범기능이 구비된 방충망' (출원일자 2001.08.25)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8330 '방충망 기능을 겸비한 방범창' (출원일자 2014.10.24)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1092호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출원일자 2015.01.2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설치된 창틀프레임에 장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충망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에 롤 방충망이 구비되어 유아, 어린이들의 추락사고 및 외부 침입 방지효과와 더불어 모기, 날파리 등의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마주보는 한쌍의 레일프레임(100); 양단이 각각의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고정프레임(200); 양단이 각각의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방충망하우징(300); 상호 결합된 상기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의 전방에 고정설치되는 방범프레임(400); 상기 수용공간(S)에 위치하되, 일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510)에 권취되며, 끝단이 상기 방충망하우징(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충망(500); 상기 방충망(500)의 끝단과 체결되며,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양단이 각각의 레일프레임(100)에 체결되고, 상기 방충망(500)이 상기 방범프레임(400)의 후방 전면적을 덮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00)과 탈부착되는 방충레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하우징(300)은 상기 방충망(500)이 삽입되는 상기 내부공간(S)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측면에 별도의 잠금장치(L)가 잠기도록 잠금장치 삽입홈(311)이 합입 형성되는 케이스(310); 상기 방충망(500)이 상기 케이스(10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될 때 방충망(500)의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로드(320); 상기 방충망(500)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안내로드(3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50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접촉돌기(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충레버(600)의 양측단과 각각의 상기 레일프레임(100) 사이에는 레버가이더(7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이더(700)는 상기 레일프레임(100)에 형성된 레일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더몸체(710); 상기 가이더몸체(7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방충레버(600)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권취롤러(5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방충레버(600)와 방충망하우징(300)이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충망하우징(300)과 마주보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고정후크(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충레버(60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후크(210)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레버고정구(6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충레버(600)에는 사용자가 방충레버(6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충레버(600)의 측면에 돌출된 손잡이(601)와 상기 손잡이(601)와 일정간격 이격된 삽입돌기(6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레버고정구(610)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601)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돌기(602)에 삽입되어 상기 방충레버(600)에 고정되는 레버하우징(611); 상기 레버하우징(611)에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후크(210)와 결합되는 결합후크(612-1)와 상기 레버하우징(611)의 외부에 노출된 버튼부(612-2)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612-2)를 가압하면 상기 결합후크(612-1)와 상기 고정후크(210)의 결합이 해제되는 잠금부(6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의 전방에는 상기 방범프레임(4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100-1,200-1,300-1)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방범프레임(400)은 각각의 상기 고정브라켓(100-1,200-1,300-1)에 슬라이딩되며 삽입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충망이 실내의 내측에 펼쳐질 수 있어, 해충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어린이나 유아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방범망이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인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조립이 간편하며, 시간 대비 생산량이 증가되어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범창호의 일측에 설치된 방충망이 좌우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충망과 방범망의 작용효과를 누릴 수 있고,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 장착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설치비용과 시공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의 주요구성을 나타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방범프레임의 시공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방범망과 방충레버의 작동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방충망하우징, 고정프레임 및 방충레버의 단면을 나타낸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 삽입홈에 잠금장치가 체결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의 주요구성을 나타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방범프레임의 시공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방범망과 방충레버의 작동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방충망하우징, 고정프레임 및 방충레버의 단면을 나타낸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 삽입홈에 잠금장치가 체결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는 한쌍을 이루는 레일프레임(100)을 갖는다. 레일프레임(100)은 소정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한쌍의 레일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의 레일프레임(100)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레일프레임(100)은 상기의 레일프레임(100)과 서로 대칭을 이루며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레일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이격된 레일프레임(100)의 거리만큼 연장되는 고정프레임(200)이 형성된다. 고정프레임(200)은 양단이 각각의 레일프레임(100)의 일측 끝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양단에 각각 별도의 연결구(800)가 장착되어 연결구(800)를 통해 레일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200) 상호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레일프레임(100)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방충망하우징(300)이 더 구비된다. 방충망하우징(300)의 상하측은 레일프레임(100)의 타측 끝단과 각각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방충망하우징(300)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하측이 개방된 형상을 이룬다.
이때, 방충망하우징(300)의 수용공간(S)을 밀폐하기 위한 상부커버(910)와 하부커버(920)가 더 구비되며, 상부커버(910)와 하부커버(920)가 방충망하우징(300)에 장착되는 경우 레일프레임(100)의 타측단이 상부커버(910)와 하부커버(92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을 통해 기존에 설치된 창틀프레임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창호프레임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호 결합된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의 전방에 방범프레임(400)이 고정설치된다. 방범프레임(400)은 메쉬형상으로 이루어진 방범망(410)과 방범망(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420)을 포함한다.
이때,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의 전방에는 방범프레임(4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100-1,200-1,300-1)이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로 인해 일측방향에 위치한 고정프레임(200)을 레일프레임(100)에 결합하기 전, 고정프레임(200) 및 레일프레임(100)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브라켓(200-1,100-1)에 방범프레임(400)을 끼운다. 그리고, 방충망하우징(300)의 고정브라켓(300-1)에 방범프레임(400)의 타측이 안착될 때까지 방범프레임(400)을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후, 일측에 위치한 고정프레임(200)을 레일프레임(100)에 결합시키면 고정프레임(200)의 고정브라켓(200-1)이 방범프레임(400)의 일측에 끼워지면서 방범프레임(400)은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의 전방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방충망하우징(300)의 내부공간(S)에 위치하는 방충망(500)이 구비된다. 방충망(500)은 일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510)에 권취된다. 그리고, 방충망(500)의 끝단은 방충망하우징(500)의 외부에 노출되어 후술하는 방충레버(600)과 연결된다.
그리고, 방충망(500)의 권취롤러(510)는 하부커버(920)에 형성된 삽입봉(921)에 삽입되며, 삽입봉(921)에 형성된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방충망(500)의 끝단에 결합되는 방충레버(600)가 구비된다. 방충레버(600)는 한쌍을 이루는 레일프레임(1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각각 레일프레임(100)과 결합된다. 이때, 방충레버(600)는 레일프레임(100)의 연장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레일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방충레버(600)를 파지하여 방충레버(600)를 슬라이딩시키면 방충망(500)이 방충망하우징(300)에서 인출되어 방범프레임(400)의 후방 전면적이 덮일 수 있도록 펼쳐질 수 있다. 이때, 방충레버(600)가 고정프레임(200)에 탈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충망(50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방충망하우징(300)은 케이스(310), 안내로드(320) 및 접촉돌기(330)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스(310)는 방충망(500)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이루며, 고정프레임(200)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즉,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수용공간(S)에 방충망(5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310)의 측면에는 잠금장치 삽입홈(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잠금장치 삽입홈(311)은 수용공간(S)으로 일정 깊이 합입된다. 잠금장치 삽입홈(311)에는 별도의 잠금장치(L)의 후크가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미서기창호(sliding door)로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 설치되면 어느 하나의 창문틀의 측면에 잠금장치(L)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잠금장치(L)를 조작하여 잠금장치(L)의 후크가 잠금장치 삽입홈(311)에 삽입되면 미서기창호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잠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를 참조하면 케이스(310)의 고정프레임(200)과 마주보는 일측에는 안내로드(320)가 구비된다. 안내로드(320)는 방충망(500)이 인출 또는 인입될 때 방충망(500)의 방향을 안내하고, 권취롤러(510)의 탄성력에 의해 빠르게 방충망이 케이스(100)로 인입될 때 방충망(500)이 접혀 오작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로드(320)의 끝단에는 방충망(500)의 표면과 접촉되는 접촉돌기(330)가 형성된다. 접촉돌기(330)는 방충망(500)의 표면에 일정한 장력이 지속되도록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방충망(500)이 인출 또는 인입될 때 방충망(500)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접촉돌기(330)에 걸리면서 방충망(500) 외부로 제거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방충레버(600)의 양측단과 각각의 레일프레임(100) 사이에는 레버가이더(700)가 더 구비된다. 레버가이더(700)는 방충레버(600)의 양측단에 삽입고정된다.
레버가이더(700)는 가이더몸체(710)와 완충부(720)를 포함한다. 이때, 한쌍의 레일프레임(100)에는 서로 마주보는 레일홈(110)이 각각 형성되고, 레일홈(110)에는 가이더몸체(710)가 삽입된다. 레일홈(110)은 레일프레임(100)의 연장되는 길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더몸체(710)는 방충레버(600)가 이동하면서 레일홈(110)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버가이더(700)로 인해 방충레버(60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720)는 가이더몸체(7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방충레버(600)와 방충망하우징(300)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방충레버(600)가 고정프레임(200)에서 탈착되면, 권취롤러(510)의 탄성력에 의해 방충레버(600)는 방충망하우징(300)으로 이동한다. 이때, 방충레버(600)와 방충망하우징(300)이 접촉되기 전 완충부(720)가 방충망하우징(300)에 먼저 접촉되면서 방충레버(600)와 방충망하우징(300) 상호간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방충망하우징(300)과 마주보는 고정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고정후크(210)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방충레버(600)에는 레버고정구(610)가 설치되며, 레버고정구(6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후크(210)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 를 참조하면 방충레버(600) 측면에는 사용자가 방충레버(600)의 이동시 방충레버(6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60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601)가 돌출된 방충레버(600)의 측면에는 손잡이(601)와 일정간격 이격된 삽입돌기(60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레버고정구(610)는 방충레버(600)에 고정되는 레버하우징(611)을 포함한다. 레버하우징(611)은 일측이 손잡이(601)에 지지되고, 타측 일면에 형성된 삽입홀(도면부호 미부여)에 삽입돌기(602)가 삽입되면서 방충레버(600)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레버고정구(610)에는 잠금부(612)가 설치되는데, 잠금부(612)는 고정후크(210)와 결합되어 방충레버(600)를 일시적으로 고정프레임(200)에 결합시키는 결합후크(612-1)와 결합후크(612-1)의 결합 여부를 제어하는 버튼부(612-2)를 포함한다. 버튼부(612-2)는 레버하우징(61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결합후크(612-1)와 연결된다. 즉, 버튼부(612-2)를 사용자가 가압하면 버튼부(612-2)는 레버고정구(6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동시에 결합후크(612-1)도 버튼부(612-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결합후크(612-1)가 고정후크(210)에서 탈착되면 방충레버(600)와 고정프레임(200)은 상호 분리된다. 이와 반대로 결합후크(612-1)를 고정후크(210)에 결합시키면 방충레버(600)는 고정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는 방충망(500)이 실내의 내측에 펼쳐질 수 있어, 해충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동시에 방범프레임(400)이 외부에 설치되어 어린이나 유아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인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 장착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설치비용이 불필요하며, 조립이 간편하여 시간 대비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100 : 레일프레임 200 : 고정프레임
300 : 방충망하우징 310 : 케이스
320 : 안내로드 330 : 접촉돌기
400 : 방범프레임 500 : 방충망
510 : 권취롤러 600 : 방충레버
601 : 손잡이 602 : 삽입돌기
610 : 레버고정구 611 : 레버하우징
612 : 잠금부 700 : 레버가이더
710 : 가이더몸체 720 : 완충부
100-1, 200-1, 300-1 : 고정브라켓

Claims (6)

  1.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마주보며, 기존에 설치된 창틀에 미서기창호(Sliding door)로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프레임(100);
    양단이 각각의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일측 끝단과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고정프레임(200);
    양단이 각각의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방충망하우징(300);
    상호 결합된 상기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의 전방에 고정설치되는 방범프레임(400);
    상기 수용공간(S)에 위치하되, 일측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러(510)에 권취되며, 끝단이 상기 방충망하우징(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충망(500);외
    상기 방충망(500)의 끝단과 체결되며,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양단이 각각의 레일프레임(100)에 체결되고, 상기 방충망(500)이 상기 방범프레임(400)의 후방 전면적을 덮도록 상기 고정프레임(200)과 탈부착되는 방충레버(600);를 포함하되,
    상기 방충망하우징(300)은 상기 방충망(500)이 삽입되는 상기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되, 측면에 어느 하나의 창문틀의 측면에 설치된 별도의 잠금장치(L)의 후크가 삽입되면서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잠금장치 삽입홈(311)이 합입 형성되는 케이스(310);
    상기 방충망(500)이 상기 케이스(310)에서 인출 또는 인입될 때 방충망(500)의 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권취롤러(510)의 탄성력에 의해 빠르게 방충망이 케이스(100)로 인입될 때 방충망(500)이 접혀 오작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안내로드(320);
    상기 방충망(500)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안내로드(3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50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접촉돌기(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레버(600)의 양측단과 각각의 상기 레일프레임(100) 사이에는 레버가이더(7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레버가이더(700)는 상기 레일프레임(100)에 형성된 레일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홈(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더몸체(710);
    상기 가이더몸체(7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방충레버(600)가 상기 고정프레임(200)에서 탈착되는 경우 상기 권취롤러(5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방충레버(600)와 방충망하우징(300)이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하우징(300)과 마주보는 상기 고정프레임(200)의 일측에는 고정후크(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방충레버(60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후크(210)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레버고정구(6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레버(600)에는 사용자가 방충레버(6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충레버(600)의 측면에 돌출된 손잡이(601)와 상기 손잡이(601)와 일정간격 이격된 삽입돌기(60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고정구(610)는 일측이 상기 손잡이(601)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돌기(602)에 삽입되어 상기 방충레버(600)에 고정되는 레버하우징(611);
    상기 레버하우징(611)에 장착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후크(210)와 결합되는 결합후크(612-1)와 상기 레버하우징(611)의 외부에 노출된 버튼부(612-2)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612-2)를 가압하면 상기 결합후크(612-1)와 상기 고정후크(210)의 결합이 해제되는 잠금부(6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100), 고정프레임(200) 및 방충망하우징(300)의 전방에는 상기 방범프레임(4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100-1,200-1,300-1)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방범프레임(400)은 각각의 상기 고정브라켓(100-1,200-1,300-1)에 슬라이딩되며 삽입고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20170031131A 2017-03-13 2017-03-13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178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31A KR101786852B1 (ko) 2017-03-13 2017-03-13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31A KR101786852B1 (ko) 2017-03-13 2017-03-13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852B1 true KR101786852B1 (ko) 2017-10-18

Family

ID=6029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31A KR101786852B1 (ko) 2017-03-13 2017-03-13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8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08B1 (ko) 2018-01-05 2018-07-3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1883409B1 (ko) 2018-02-28 2018-07-3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투헤드 타입의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2074985B1 (ko) 2019-07-04 2020-02-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2135190B1 (ko) * 2020-03-27 2020-07-17 세라코 주식회사 미서기창
KR2021000775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KR102439504B1 (ko) 2021-07-01 2022-09-01 김동현 인출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
KR102624651B1 (ko) * 2023-08-04 2024-01-12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방충망 안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669B1 (ko) * 2015-03-05 2015-09-11 케이에스스크린(주)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669B1 (ko) * 2015-03-05 2015-09-11 케이에스스크린(주)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08B1 (ko) 2018-01-05 2018-07-3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1883409B1 (ko) 2018-02-28 2018-07-3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투헤드 타입의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2074985B1 (ko) 2019-07-04 2020-02-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20210007758A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KR102303857B1 (ko) * 2019-07-12 2021-09-23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롤 스크린을 구비하는 방충망 조립체
KR102135190B1 (ko) * 2020-03-27 2020-07-17 세라코 주식회사 미서기창
KR102439504B1 (ko) 2021-07-01 2022-09-01 김동현 인출형 방충망이 구비된 창호
KR102624651B1 (ko) * 2023-08-04 2024-01-12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방충망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2024980B1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2013010438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100024282A (ko)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KR101044837B1 (ko) 섀시 연동형 방충장치
KR100952573B1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200474437Y1 (ko) 소음방지 롤 방충망
KR101882763B1 (ko)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101770162B1 (ko) 방범방충 일체형 안전창호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20090094421A (ko) 개폐식 방충망의 록 장치
KR200381606Y1 (ko) 방충망 잠금 장치
KR20140137137A (ko) 자동개폐식 방충망이 구비된 창문구조
JP6456798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1101170B1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101877329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2030741B1 (ko) 롤방충망의 록킹구조
KR200435394Y1 (ko) 별도의 안내레일이 필요없는 안전 방충망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