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282A -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 Google Patents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282A
KR20100024282A KR1020080083062A KR20080083062A KR20100024282A KR 20100024282 A KR20100024282 A KR 20100024282A KR 1020080083062 A KR1020080083062 A KR 1020080083062A KR 20080083062 A KR20080083062 A KR 20080083062A KR 20100024282 A KR20100024282 A KR 20100024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door
insect repellent
wi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이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만 filed Critical 이상만
Priority to KR1020080083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282A/ko
Publication of KR2010002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3Storm doors; Combination-screen-and-storm-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 창문 등의 한편에 설치되어 방범 기능과 방충 기능은 물론 선택적인 방풍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출입문의 틀, 창문의 틀과 같이 건물에 설치되는 문틀 한쪽에 설치되는 보조 문에 있어서, 양측의 세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되 전방 측에 하부가 개방된 롤 케이스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되 롤 케이스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방 측에 수납부가 형성된 하부 프레임으로써 사각의 형태로 짜져 문틀에 대하여 고정 또는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내곽에 사면이 고정되어 프레임 내측을 통해 해충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방충 스크린; 일정 간격을 갖는 직선 형태 또는 빗살 형태로 프레임 내곽에 고정설치되어 프레임 내측을 통한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게 하는 방범 스크린; 상부 프레임의 롤 케이스 내에 롤 형태로 감긴 채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하향으로 펼쳐진 후 그 하단이 하부 프레임의 수납부에 위치됨에 따라 프레임 내측을 통해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풍 스크린; 및 방풍 스크린의 하단이 하부 프레임의 수납부에 위치되어 방풍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게 방풍 스크린의 하단 부분과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방범, 방충, 방풍, 스크린, 출입문

Description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Door with protecting screens}
본 발명은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출입문, 창문 등의 한편에 설치되어 방범 기능과 방충 기능은 물론 선택적인 방풍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범창은 출입문이나 창문을 통해 외부인의 무단 출입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문틀에 설치되는 것으로, 틀의 내측에는 다수의 창살이 일정 간격을 두고 직선형태 또는 대각형태로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출입문이나 창문에 설치되는 방충망은 특히 여름철에 모기나 파리 등 크기가 작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문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은 눈 크기를 갖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충망은 출입문이나 창문의 형태에 따라서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거나 발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246124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20-417235호 등에는 방범 기능과 방충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방범창 또는 방범문이 개시되어 있다. 즉, 예의 방범창 또는 방범문의 프레임에는 방범 창살과 방충망이 동시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출입문의 내측 또는 외측에 원래의 출입문과는 별도로 개폐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여름철의 경우와 같이 실내외 공기의 환기를 위해서 출입문을 열어 두는 경우에도 개방된 출입문을 통해서 외부 침입자 및 해충의 출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예의 방범창 또는 방범문의 구조는 방범 기능과 방충 기능을 위한 방범 창살 및 방충망만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문을 개방해 둔 상태에서는 항시 실내외의 공기 흐름이 가능하게 되어 원래의 출입문을 닫지 않는 이상에는 외부의 바람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건물에 설치되는 출입문, 창문 등의 한편에 설치되어 방범 기능과 방충 기능은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방풍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출입문의 틀, 창문의 틀과 같이 건물에 설치되는 문틀 한쪽에 설치되는 보조 문에 있어서, 양측의 세로 프레임, 세로 프레임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되 전방 측에 하부가 개방된 롤 케이스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되 롤 케이스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방 측에 수납부가 형성된 하부 프 레임으로써 사각의 형태로 짜져 문틀에 대하여 고정 또는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내곽에 사면이 고정되어 프레임 내측을 통해 해충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방충 스크린; 일정 간격을 갖는 직선 형태 또는 빗살 형태로 프레임 내곽에 고정설치되어 프레임 내측을 통한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게 하는 방범 스크린; 상부 프레임의 롤 케이스 내에 롤 형태로 감긴 채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하향으로 펼쳐진 후 그 하단이 하부 프레임의 수납부에 위치됨에 따라 프레임 내측을 통해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풍 스크린; 및 방풍 스크린의 하단이 하부 프레임의 수납부에 위치되어 방풍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게 방풍 스크린의 하단 부분과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서 세로 프레임의 전방 내측에는 각각 방풍 스크린이 펼쳐지거나 감기는 과정에서 방풍 스크린의 양단 위치가 제한되게 하는 방풍 스크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서 프레임의 내곽을 이루는 세로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는 각각 방충 스크린의 한쪽 끝을 지탱하기 위한 방충 스크린 장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방충 스크린 장착홈에는 방충 스크린을 끼운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는 방충 스크린 압착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서 방풍 스크린의 하단에는 방풍 스크린 바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서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은 방충 스크린 바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스토퍼, 하부 프레임 상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상기 레버에 상시 힘을 가하여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및 레버와 일체를 이루며 스토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걸림 상태 또는 해제 상태가 되게 동작하는 훅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에서 프레임을 이루는 세로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세로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간의 각 연결부는 직각 형태의 조인트로써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은 출입문이나 창문의 한쪽에 설치되어 방범 기능, 방충 기능은 물론 방풍 기능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서 계절의 변화 등에 상관없이 안락하고 쾌적한 실내 분위기 조성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출입문이나 창문의 구조에 맞춰 여닫이 형태, 미닫이 형태의 가동식은 물론 상시 개방된 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식으로도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 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정면도로서 방풍 스크린이 닫힌 상태의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평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풍 스크린이 개방되고 있는 상태의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풍 스크린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배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측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입문에 적용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서 구성된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을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의 프레임(11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양측에 위치되는 세로 프레임(112,114), 양측의 세로 프레임(112,114)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116) 및 양측의 세로 프레임(112,114)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1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세로 프레임(112,114)의 상단과 상부 프레임(116)의 일단 사이, 세로 프레임(112,114)의 하단과 하부 프레임(118)의 일단 사이는 직접 맞대어진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조인트(120)로써 조립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 각각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조인트(120)로써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의 각 끝단 사이가 연결 및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인트(120)에는 대략 직각 관계에 있는 2개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한편 각 연결부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의 끝단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이 4각의 형태로 조립되어 프레임(110)이 완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4각의 틀로 짜진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의 프레임(110) 내곽에는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방충 스크린(130)이 설치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10)의 내곽에는 별도의 방충 스크린 압착 부재(132)가 장착되기 위한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이 마련된다. 이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 스크린(130)의 한쪽 끝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방충 스크린 압착 부재(132)가 눌려 끼워지게 됨에 따라서 결국은 방충 스크린(130)의 사방이 고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방충 스크린(130)과 일정 간격 떨어진 프레임(110)의 내곽에는 외부인의 침입을 제한하기 위한 방범 스크린(140)이 설치된다. 방범 스크린(1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둔 빗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정 간 격을 갖는 직선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방범 스크린(140)의 구성을 위해서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 각각의 일 측면 상에는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이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의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2개의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의 단면상 구조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세로 프레임(112,114)의 일측에는 뒤에서 설명될 방풍 스크린(150)의 양쪽 끝단이 정해진 궤도 내에서 이동하게 하는 방풍 스크린 가이드 레일(112a,114a)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116)의 일측에는 방풍 스크린(150)이 롤 형태로 보관되는 롤 케이스(116a)가 형성되는 한편 하부 프레임(118)의 일측에는 방풍 스크린(150)의 하단 일부가 수용되는 수납부(118a) 등의 구성요소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의 단면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세로 프레임(112,114),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구조에 불과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110)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세로 프레임(112,114)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프레임(110)의 내곽을 이루는 측면의 중앙 부분에는 내측이 개방된 형태의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이 마련된다. 그리고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의 후방 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개방된 형태의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이 마련되는데, 이때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은 방충 스크린 압착 부재(132)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a)의 전방 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풍 스크린(150)의 양측 끝단이 수용되거나 통과되기 위한 방풍 스크린 가이드 레일(112a,114a)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10)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상부 프레임(116)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내곽을 이루는 하면의 중앙 부분에는 내측이 개방된 형태의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이 마련된다. 그리고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의 후방 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개방된 형태의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이 마련되는데, 이때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은 압입된 방충 스크린 압착 부재(132)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의 전방 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의 형태로 감긴 방풍 스크린(150)이 보관되기 위한 롤 케이스(116a)가 형성된다. 롤 케이스(116a) 내측에는 도 1,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와인딩 수단(160)이 마련되는데, 이 와인딩 수단(160)은 코일 스프링 등의 동작에 의해서 방풍 스크린(150)이 롤러(162)의 외주에 감기게 하기 위한 것이다. 롤 케이스(116a)의 하부는 전술한 롤러(162)에 감긴 방풍 스크린(150)이 풀려 하향하게 되거나 펼쳐진 상태의 방풍 스크린(150)이 감기면서 상향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방풍 스크린 출입구(116b)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10)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하부 프레임(118)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내곽을 이루는 상면의 중앙 부분에는 내측이 개방된 형태의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이 마련된다. 그리고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의 후방 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개방된 형태의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이 마련되는데, 이때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은 압입된 방충 스크린 압착 부재(132)가 쉽게 이탈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의 전방 측에는 방풍 스크린(150)의 하단에 일체로 설치된 방풍 스크린 바(15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납부(118a)가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6)의 롤 케이스(116a)에 감긴 채로 설치된 방풍 스크린(150)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프레임(110)의 전면을 가리도록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170)이 전술한 방풍 스크린 바(152) 및 하부 프레임(118)의 수납부(118a) 상에 마련된다.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17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 스크린 바(152)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스토퍼(178), 하부 프레임(118) 상에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프링(176)에 의해서 상시 한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게 설치되는 레버(172), 레버(172)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178)에 대하여 걸림 상태가 되거나 해제 상태가 되게 동작하는 훅(174, hook)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방풍 스크린 바(152)에 설치된 스토퍼(178)가 훅(174)에 걸려 방풍 스크린(150)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레버(172)를 작동시키게 되면 스프 링(176)이 압축되면서 스토퍼(178)가 훅(174)으로부터 해제됨에 따라서 상부 프레임(116) 측에 설치된 와인딩 수단(160)이 동작하게 되면서 펼쳐졌던 방풍 스크린(150)은 감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레임(110) 내측을 통한 바람 등 유체의 통과가 허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위치된 세로 프레임(112,114)의 중간 부분에 중간 프레임(122)이 더 설치된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간 프레임(122)의 상측 및 양측에는 각각 방충 스크린 장착홈(110a) 및 방범 스크린 장착홈(110b)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이 경우에도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 스크린(130) 및 방범 스크린(140)은 상하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방풍 스크린(150)은 전체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이 출입문의 문틀(200) 한쪽에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서 세로 프레임(112,114)의 측면에는 경첩(미도시)이 장착되거나 상부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8) 상에는 문의 개폐를 유도하기 위한 롤러(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이 잠겨진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시건 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문의 개폐 구조에 따른 여닫이 형태의 문뿐만 아니라 미닫이 형태의 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문의 용도에 따른 출입문뿐만 아니라 창문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의 방풍 스크린(15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풍 스크린(150)이 내려진 상태에서 프레임(110)의 하측에 마련된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170)의 레버(172)를 해제 방향으로 조작하면, 스토퍼(178)가 훅(174)에 걸린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면서 와인딩 수단(160)의 복원력에 의해서 방풍 스크린(150)은 롤러(162)에 감기면서 상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방충 스크린(130) 및 방범 스크린(140)은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이 닫힌 상태에 있다면 비록 출입문은 개방되어 있더라도 해충이나 외부인의 침입은 방지하게 된다.
즉, 계절의 변화나 주변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여 방충 스크린(130), 방범 스크린(140) 및 방풍 스크린(150)이 딸린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100)의 상태를 조절하게 되면 실내의 공기의 분위기를 더욱 안락하고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정면도로서 방풍 스크린이 닫힌 상태의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평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풍 스크린이 개방되고 있는 상태의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풍 스크린이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배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의 측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입문에 적용되는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110. 프레임 110a. 방충 스크린 장착홈
110b. 방범 스크린 장착홈 112. 세로 프레임
112a. 방풍 스크린 가이드 레일 114. 세로 프레임
114a. 방풍 스크린 가이드 레일 116. 상부 프레임
116a. 롤 케이스 116b. 방풍 스크린 출입구
118. 하부 프레임 118a. 수납부
120. 조인트 122. 중간 프레임
130. 방충 스크린 132. 방충 스크린 장착 부재
140. 방범 스크린 150. 방풍 스크린
152. 방풍 스크린 바 160. 와인딩 수단
162. 롤러 170.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
172. 레버 200. 출입문의 문틀

Claims (6)

  1. 출입문의 틀, 창문의 틀과 같이 건물에 설치되는 문틀 한쪽에 설치되는 보조 문에 있어서,
    양측의 세로 프레임, 상기 세로 프레임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되 전방 측에 하부가 개방된 롤 케이스가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세로 프레임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되 상기 롤 케이스와 대응하는 위치의 전방 측에 수납부가 형성된 하부 프레임으로써 사각의 형태로 짜져 상기 문틀에 대하여 고정 또는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곽에 사면이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을 통해 해충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방충 스크린;
    일정 간격을 갖는 직선 형태 또는 빗살 형태로 상기 프레임 내곽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을 통한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게 하는 방범 스크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롤 케이스 내에 롤 형태로 감긴 채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하향으로 펼쳐진 후 그 하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납부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내측을 통해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풍 스크린; 및
    상기 방풍 스크린의 하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수납부에 위치되어 방풍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방풍 스크린의 하단 부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의 전방 내측에는 각각 상기 방풍 스크린이 펼쳐지거나 감기는 과정에서 방풍 스크린의 양단 위치가 제한되게 하는 방풍 스크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곽을 이루는 세로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는 각각 방충 스크린의 한쪽 끝을 지탱하기 위한 방충 스크린 장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방충 스크린 장착홈에는 방충 스크린을 끼운 상태에서 고정되게 하는 방충 스크린 압착 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스크린의 하단에는 방풍 스크린 바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 스크린 잠금 수단은 상기 방충 스크린 바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스토퍼,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상기 레버에 상시 힘을 가하여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레버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걸림 상태 또는 해제 상태가 되게 동작하 는 훅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세로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은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로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간의 각 연결부는 조인트로써 조립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KR1020080083062A 2008-08-25 2008-08-25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KR20100024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62A KR20100024282A (ko) 2008-08-25 2008-08-25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062A KR20100024282A (ko) 2008-08-25 2008-08-25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282A true KR20100024282A (ko) 2010-03-05

Family

ID=4217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062A KR20100024282A (ko) 2008-08-25 2008-08-25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28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18B1 (ko) * 2011-03-03 2013-03-11 강교리 방풍용 롤 스크린 시스템
KR20150006383A (ko) * 2013-07-08 2015-01-16 이상현 이중 방충망 창호
KR20180001066U (ko) * 2016-10-10 2018-04-18 정지성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101883408B1 (ko) * 2018-01-05 2018-07-3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20180114379A (ko) * 2017-04-10 2018-10-18 (주)엘지하우시스 교체 가능한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방충망 조립체
KR20180114378A (ko) * 2017-04-10 2018-10-18 (주)엘지하우시스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20210002297A (ko) 2019-06-30 2021-01-07 삼도건설 주식회사 메인망과 미세먼지망을 구비하는 창문조립체
KR102300878B1 (ko) * 2020-12-07 2021-09-09 석종민 방진용 롤스크린이 마련된 창문조립체
KR20220040235A (ko) * 2020-09-23 2022-03-30 (주)플러스미 환기 및 미세먼지 차단 선택형 방진방충망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18B1 (ko) * 2011-03-03 2013-03-11 강교리 방풍용 롤 스크린 시스템
KR20150006383A (ko) * 2013-07-08 2015-01-16 이상현 이중 방충망 창호
KR20180001066U (ko) * 2016-10-10 2018-04-18 정지성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20180114379A (ko) * 2017-04-10 2018-10-18 (주)엘지하우시스 교체 가능한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방충망 조립체
KR20180114378A (ko) * 2017-04-10 2018-10-18 (주)엘지하우시스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1883408B1 (ko) * 2018-01-05 2018-07-3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20210002297A (ko) 2019-06-30 2021-01-07 삼도건설 주식회사 메인망과 미세먼지망을 구비하는 창문조립체
KR20220040235A (ko) * 2020-09-23 2022-03-30 (주)플러스미 환기 및 미세먼지 차단 선택형 방진방충망
KR20230107165A (ko) * 2020-09-23 2023-07-14 (주)플러스미 환기 및 미세먼지 차단 선택형 방진방충망
KR102300878B1 (ko) * 2020-12-07 2021-09-09 석종민 방진용 롤스크린이 마련된 창문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4282A (ko) 방범, 방충 및 방풍 겸용 보조문
KR102024980B1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20080029057A (ko) 햇빛가리개가 구비된 절첩식 방충망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200385577Y1 (ko) 방범창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1077722B1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101576178B1 (ko) 방충망
KR200251259Y1 (ko) 방충 및 방범용 보조도어 조립체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20090004433U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JP2002047874A (ja) 面格子付固定網戸
JP3145400U (ja) 網戸
JP2019167737A (ja) 複合型引き違いサッシ
KR200192856Y1 (ko) 자바라식 방범 방충망문
KR102281951B1 (ko) 접철식 방진(충)망이 다수개 설치된 출입문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102017371B1 (ko) 방범 방충망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