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28Y1 -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 Google Patents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28Y1
KR200462728Y1 KR2020100010055U KR20100010055U KR200462728Y1 KR 200462728 Y1 KR200462728 Y1 KR 200462728Y1 KR 2020100010055 U KR2020100010055 U KR 2020100010055U KR 20100010055 U KR20100010055 U KR 20100010055U KR 200462728 Y1 KR200462728 Y1 KR 200462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frame
opened
fron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113U (ko
Inventor
김세호
Original Assignee
김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호 filed Critical 김세호
Priority to KR2020100010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2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06B9/0661Lazy tongue, pantograph or scissor-like systems in the plane of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통풍을 위하여 현관문을 열더라도 해충의 침입이나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고정 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문 프레임과; 문 프레임의 개방시 문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측부 및 상단을 연결하는 방충망과; 상기 문 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문 프레임의 개방시 상기 문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자바라와; 상기 문 프레임의 내측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현관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현관문을 열지 않아도 통풍이 가능하고, 통풍시 사생활 침해, 해충이나 외부침입자의 침입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A door for mothproof and security}
본 고안에 따른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통풍을 위하여 현관문을 열더라도 해충의 침입이나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현관문은 아파트나 사무실 등에서 사람이 출입하는 곳으로, 출입할 때 외에는 출입구가 폐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내, 외부 간의 통풍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에 실내의 환기나 통풍을 위해서는 창문을 열어 둔다. 그러나 창문만으로는 통풍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원활한 환기나 통풍을 위해선 현관문을 열어놓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현관문을 열어 놓으면, 실외에서 실내를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위험이 발생될 수 있고, 모기나 파리 등의 각종 해충이 실내로 들어올 수 있으며, 강도나 도둑 등의 침입 가능성이 있어 위험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방충망 및 방범창이 겸비된 현관문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 현관문의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방충망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방충용 도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방식 방충용 도어는 슬라이드식 방충망이 실내 측에 존재하는 것으로, 통풍을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현관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실내측에 설치된 방충망을 닫아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각종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통풍이 가능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충용 도어는 방충망이 현관문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현관문을 열어 놓지 않으면, 통풍이 불가능하고, 현관문을 열어 놓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생활 침해나 외부침입자(도둑이나 강도 등)의 침입가능성으로 인한 위험성은 해결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관문을 열지 않아도 통풍이 가능하고, 통풍시 사생활 침해, 해충이나 외부침입자의 침입를 방지할 수 있는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문 프레임을 닫았을 때 방충망의 정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통풍을 하지 않는 경우 문 프레임의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을 더욱 강화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문 프레임과; 문 프레임의 개방시 문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측부 및 상단을 연결하는 방충망과; 상기 문 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문 프레임의 개방시 상기 문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자바라와; 상기 문 프레임의 내측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현관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충망은 자바라에 연결되어 자바라의 이동에 따라 접히고 펼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 프레임에는 폐쇄시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은 문 프레임을 실외측으로 열어 놓음으로써 현관문의 개방 없이도 환기 및 통풍이 가능하며, 자바라에 의해 문 프레임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기 때문에 실내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각종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람의 출입시 문프레임에 구비된 현관문을 열어 출입하므로 방충망과 관계없이 용이하게 출입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자바라에 방충망이 연결됨에 따라 자바라의 이동에 따라 방충망이 펼쳐지고 접혀지기 때문에 문 프레임의 폐쇄시 자바라를 따라 방충망이 비교적 일정하게 접혀 실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방충망이 돌출되어 나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깔끔하게 보관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문 프레임의 잠금장치 사용으로 통풍을 하지 않는 경우에 문 프레임이 고정되어 열리지 않으므로 보안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의 문 프레임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방충현관문의 현관문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현과문에서 문 프레임의 잠금장치를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의 문 프레임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방충현관문의 현관문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은 고정 프레임(10), 문 프레임(20), 방충망(30), 자바라(40), 현관문(50)으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 프레임(10)은 출입구에 고정되는 최외각 틀로, 상??하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측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0)의 내측에는 문 프레임(20)이 힌지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문 프레임(20)은 그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문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으로부터 여닫을 수 있게 형성되어 현관문(50)을 열지 않아도 통풍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문 프레임(20)은 고정 프레임(10)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을 갖되, 문의 폐쇄시 문 프레임(20)과 고정 프레임(10)의 사이에 틈새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형성해야 한다.
또한 상기 문 프레임(20)과 고정 프레임(10)의 사이에는 문 프레임(20)의 개방시 문 프레임(20)과 고정 프레임(10)의 측부 및 상단을 연결하는 방충망(30)이 구비된다. 이때 방충망(30)의 연결은 나사못 등과 같은 통상의 각종 결합부재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충망(30)은 통풍은 가능하게 하면서 실내로 해충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도록 차단하는 스크린을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사로 제조된 격자구조의 메시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방충망(30)은 문 프레임(20)을 개방하는 경우에 문 프레임(20)과 고정 프레임(10)의 사이에 구비된 방충망(30)이 펼쳐져 통풍이 가능하면서도 해충의 침입은 방지할 수 있고, 문 프레임(20)을 폐쇄하는 경우 문 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방충망(30)이 접혀 실내 측에 위치하게 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자바라(40)는 문 프레임(20)의 개방 정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외부침입자가 방충망을 찢더라도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범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문 프레임(20)과 고정 프레임(10)의 사이에 구비되어 문 프레임(20)의 개방시 상기 문 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접히거나 펴진다.
이때 자바라(40)의 양단은 힌지 결합되지 않은 고정 프레임(10)의 측부 내측과 이와 접하는 문 프레임(20)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고, 자바라(40)의 길이는 접혀졌을 때의 높이가 문 프레임(20)의 길이를 넘지 않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와 같은 자바라(40)는 외부침입자들의 침입 방지는 물론, 문 프레임(20)이 열리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통풍시 실외에서 실내가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문 프레임(20)의 열리는 각도는 45도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실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문 프레임(20)의 내측에는 현관문(50)이 구비된다. 이 현관문(50)은 실질적으로 사람들이 출입하는 곳으로, 문 프레임(20)의 내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현관문(50)은 문 프레임(20)의 개폐시 문 프레임(20)과 일체로 이동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현관문의 닫힌 상태와 동일하다. 그러나 환기 또는 통풍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프레임을 실외측으로 열어 놓음으로써 현관문의 개방없이도 환기가 가능하게 되며, 통풍시 자바라에 의해 문 프레임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기 때문에 실내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각종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사람의 출입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프레임에 힌지결합된 현관문을 열어 출입하므로 방충망과 관계없이 용이하게 출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방충망(30)은 문 프레임(20)의 폐쇄시 문 프레임(20)을 따라 접히기는 하나 일정하게 접히지 않기 때문에 문 프레임(20)과 고정 프레임(10)의 사이로 방충망(30)이 빠져 나오거나 실내측에 지저분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방충 및 방범 현관문의 상기 방충망(30)은 자바라에 연결되어 자바라의 이동에 따라 접히고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충망(30)이 자바라(40)와 함께 핀으로 결합되어 연결되거나, 그 외 통상의 방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방충망(30)은 펼쳐진 상태의 자바라(40)와 접하는 부분 모두가 연결될 수도 있고, 일부분만이 결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바라(40)와 연결된 방충망(30)은 문 프레임(20)의 개방으로 자바라(40)가 펼쳐지면서 자바라(40)에 연결된 방충망(30)도 펼쳐지게 되고, 문 프레임(20)의 폐쇄시에는 자바라(40)가 접히면서 방충망(30)도 자바라(40)를 따라 비교적 일정하게 접혀져 실내측에 위치하도록 유지되기 때문에 문 프레임(20)의 폐쇄시 방충망(30)이 돌출되어 나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깔끔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 현과문에서 문 프레임의 잠금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문 프레임(20)에는 폐쇄시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통풍을 하지 않을 때에 문 프레임(20)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시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문 프레임(20)을 고정 프레임(10)에 고정 및 잠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지의 다양한 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잠금장치(60)의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프레임(20)의 하부에 손잡이(61)의 회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잠금바(62)가 구비되고, 고정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잠금바(62)와 대응되는 위치에 잠금바(62)가 삽입될 수 있는 잠금홈(63)이 구비되어 손잡이(61)를 회동시켜 잠금바(62)를 내리면, 잠금바(62)가 잠금홈(63)에 삽입되어 문 프레임(20)이 잠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잠금장치의 사용은 통풍을 하지 않는 경우 문 프레임(20)이 고정되어 열리지 않도록 하므로 보안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10: 고정 프레임 20: 문 프레임
30: 방충망 40: 자바라
50: 현관문 60: 잠금장치
61: 손잡이 62: 잠금바
63: 잠금홈

Claims (3)

  1. 고정 프레임(10)과;
    일측이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문 프레임(20)과;
    문 프레임의 개방시 문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측부 및 상단을 연결하는 방충망(30)과;
    상기 문 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문 프레임의 개방시 상기 문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자바라(40)와;
    상기 문 프레임의 내측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현관문(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30)은 자바라에 연결되어 자바라(40)의 이동에 따라 접히고 펼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문 프레임(20)에는 폐쇄시 고정 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2020100010055U 2010-09-29 2010-09-29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KR200462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55U KR200462728Y1 (ko) 2010-09-29 2010-09-29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55U KR200462728Y1 (ko) 2010-09-29 2010-09-29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13U KR20120004113U (ko) 2012-06-12
KR200462728Y1 true KR200462728Y1 (ko) 2012-10-08

Family

ID=4661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55U KR200462728Y1 (ko) 2010-09-29 2010-09-29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889B1 (ko) * 2012-11-13 2013-09-10 이찬희 방범 도어 시스템
KR20160012417A (ko) * 2014-07-24 2016-02-03 푸른노무법인 안전고리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설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52Y1 (ko) * 2012-07-16 2014-04-01 김상민 안전 창호구조
ES2967962T3 (es) * 2013-02-01 2024-05-06 Michael Presutti Dispositivo para atrancar una puerta
KR102110347B1 (ko) * 2020-01-10 2020-05-15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절첩식 방충망 도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856Y1 (ko) 1998-05-28 2000-09-01 김용국 자바라식 방범 방충망문
KR200256852Y1 (ko) 2001-09-12 2001-12-24 남이식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2007503801A (ja) 2003-08-15 2007-03-01 ラルセン,オル,ジェッペ,フジョルド 折畳式防蚊ルーム構造体
JP2007506882A (ja) 2003-07-09 2007-03-22 ヴィーケーアール・ホールディング・アー・エス 網部を有する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856Y1 (ko) 1998-05-28 2000-09-01 김용국 자바라식 방범 방충망문
KR200256852Y1 (ko) 2001-09-12 2001-12-24 남이식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2007506882A (ja) 2003-07-09 2007-03-22 ヴィーケーアール・ホールディング・アー・エス 網部を有する窓
JP2007503801A (ja) 2003-08-15 2007-03-01 ラルセン,オル,ジェッペ,フジョルド 折畳式防蚊ルーム構造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889B1 (ko) * 2012-11-13 2013-09-10 이찬희 방범 도어 시스템
KR20160012417A (ko) * 2014-07-24 2016-02-03 푸른노무법인 안전고리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설치 구조
KR101626380B1 (ko) 2014-07-24 2016-06-01 임경헌 안전고리를 이용한 블라인드의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13U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US6401663B1 (en) Pet enclosure
KR200396859Y1 (ko) 여닫이, 미닫이 방식을 병용한 안전 방범창
KR20110106153A (ko)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KR20150011888A (ko) 숨겨진 개폐식 난간을 갖는 발코니 창호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770162B1 (ko) 방범방충 일체형 안전창호
KR100651633B1 (ko) 아코디언식 방충망
KR100774489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200251259Y1 (ko) 방충 및 방범용 보조도어 조립체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JP5266139B2 (ja)
JP2002047874A (ja) 面格子付固定網戸
US9015995B2 (en) Security shutter assembly
KR101117942B1 (ko) 출입문
KR200329031Y1 (ko) 방충용 도어
JP2601691Y2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KR20170119113A (ko) 방범 및 안전 방충망을 구비하는 창호 시스템
KR20140044729A (ko) 현관문에 장착되는 보조문, 및 이를 구비하는 현관문
KR910009333Y1 (ko) 창문틀체에 취부되는 방충, 방범 겸용 보조창문
KR200163137Y1 (ko) 건축물의 현관문
EP3875726B1 (en) Insect screen handlebar with disappearing retractable brush and insect screen with handlebar integrating a disappearing retractable brush
JP2002081268A (ja) 戸構造
KR20140050358A (ko) 제연용 환기창
KR200254634Y1 (ko) 통풍 및 환기를 위한 보조문을 갖는 이중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