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90B1 - 미서기창 - Google Patents

미서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190B1
KR102135190B1 KR1020200037240A KR20200037240A KR102135190B1 KR 102135190 B1 KR102135190 B1 KR 102135190B1 KR 1020200037240 A KR1020200037240 A KR 1020200037240A KR 20200037240 A KR20200037240 A KR 20200037240A KR 102135190 B1 KR102135190 B1 KR 10213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ar
window
clerk
fram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준
Original Assignee
세라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라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21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 special provisions for fitting in window frames or to adjacent units; Separate edge protect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06B3/67321Covering spacer elements, e.g. with sea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페어 글라스를 갖는 미서기창문이 미서기창틀에 구비된 미서기창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문은 가로 창문 프레임바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가 결합된 창문 프레임의 실외측 면에 페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이 열차단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페어 글라스의 가장자리가 열차단 커버부에 의하여 커버되게 구비되고, 상기 미서기창틀은 가로 창틀 프레임바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의 결합으로 구비된 창틀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페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의 가장자리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의 실외측 면을 커버하도록 하여 페어 글라스를 통해 미서기창문 프레임이 외부로 비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서기창{SLIDING WINDOW}
이 건 발명은 미서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의 가장자리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의 실외측 면을 커버하도록 하여 페어 글라스를 통해 미서기창문 프레임이 외부로 비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틀에 창문이나 도어가 설치되어 채광과 조망하는 가운데 개폐가 가능하게 구비되어 출입, 또는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개폐 방식에 따라 회동식 창호와 슬라이딩식 창호로 구분되며, 슬라이딩 방식의 미서기 창호는 미닫이와 유사하나 2개 이상의 도어, 또는 창문 두 짝을 겹쳐서 홈이나 가이드 레일에서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창문 한짝을 옆에 있는 다른 한짝에 밀어붙여 여닫을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반쪽만 열 수 있게 되어 개방 면적이 자유롭고, 궤조의 수에 따라 개방 면적을 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8658호(2018.12.04.)의 확장된 유리창을 갖는 미서기 창호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미서기 창호는 실내측 유리와 실외측 유리가 이중 구조를 갖는 유리창이 형성되는 두 개의 창문이 창문틀에 슬라이딩 이동되며 개폐되는 가운데 실외측을 향하는 창문 프레임의 실외측 면에서 내측 유리가 부착되는 제1 접착부와, 제1 접착부와 단차를 형성하며, 외측 유리가 부착되는 제2 접착부가 형성되어 유리창이 창문 프레임에 고정되며, 외측 유리는 창문 프레임의 실외측 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채광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나, 창문 프레임에 부착되는 외측 유리가 단판으로 형성됨에 따라 열불균형으로 인하여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8496호(2020.01.28호)의 외부에서 창틀이 보이지 않는 미서기창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미서기창은 가동유리창이 중간틀부재 및 하부중간틀부재에 접착제에 의하여 단순 접착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점과 아울러 중간틀부재 및 하부중간틀부재를 통해 열이 전도됨에 따라 열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8658호(2018.12.04.)
이 건 발명은 페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의 가장자리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의 실외측 면을 커버하도록 하여 페어 글라스를 통해 미서기창문 프레임이 외부로 비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페어 글라스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간에 열차단 고정부가 구비되어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페어 글라스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간에 열차단 커버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페어 글라스(G)를 갖는 미서기창문(W)이 미서기창틀(F)에 구비된 미서기창(A)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문(W)은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가 결합된 창문 프레임(100)의 실외측 면에 페어 글라스(G)의 실내측 면이 폴리아미드의 단열 고정바(220)를 구비한 열차단 고정부(200)에 의하여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100)이 실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모서리에서 실외측으로 커버 지지편(310)이 일체로 직각되게 돌출되고, 상기 커버 지지편(310)의 외측으로 폴리아미드의 단열 커버바(320)가 구비되어 열차단 커버부(3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페어 글라스(G)의 외측 가장자리가 커버되며, 상기 미서기창틀(F)은 가로 창틀 프레임바(410)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420)의 결합으로 구비된 창틀 프레임(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차단 고정부(200)는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에 T자형 고정편(210)이 적어도 1개 이상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T자형 고정편(210)이 삽입되는 T자형 고정홈(221)이 단열 고정바(220)에 구비되고, 상기 단열 고정바(220)의 내측으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표면과 페어 글라스(G)의 표면 사이에 접착 고정부재(2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고정부재(230)는 실리콘이 포함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지지편(310)의 내,외측에 ㅓ형 지지편(311)이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ㅓ형 지지편(311)이 삽입되는 ㅓ형 지지홈(321)이 단열 커버바(320)에 구비되고, 상기 단열 커버바(320)의 단부와 페어 글라스(G)의 모서리 사이에 실링부재(3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330)는 실리콘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틀 프레임(400)에 편심방지레일(500)이 구비되되, 상기 편심방지레일(500)은 가로 창틀 프레임바(410)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420)에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직각되게 돌출된 레일 웹부(510)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 웹부(510)의 상부에 사각관형태를 갖는 레일 플렌지부(520)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 플랜지부(520)의 상부 중앙에 로울러 안착 가이드(5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 창문 프레임바(410)는 로울러(R)가 구비되는 내측에 로울러 삽입 가이드홈(411)이 상부를 향하여 인입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서기창문(W)에 열차단 블라인드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열차단 블라인드부(600)는 와인딩, 리와인딩이 가능한 권취부(610)에 의하여 블라인드(620)가 롤형태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미서기창문(W)의 상부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의 블라인드 공간부(630)에 구비되고, 상기 블라인드(620)의 단부에 제1언록킹편(641)을 갖는 블라인드 손잡이(640)가 구비되며, 상기 블라인드(620)는 양측단부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에 구비된 안내홈(650)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미서기창문(W)의 하부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에 언록킹홈(6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 손잡이(640)는 손잡이 하부에 상부 마그네틱편(670)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마그네틱편(670)에 이물질 제거부(700)의 상부에 구비된 하부 마그네틱편(710)이 척력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이물질 제거부(700)는 양측으로 위치된 안내홈(650)에 ㅏ형태를 갖는 슬라이더(720)가 삽입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720) 사이에 수평 와이퍼(730)를 갖는 와이퍼 지지바(740)가 피스(750)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지지바(740)에 제2언록킹편(761)을 갖는 와이퍼 손잡이(7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서기창문(W)은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내부에 대류차단부재(8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서기창문(W)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 중 서로 교차하는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내측 모서리에 와이퍼 고정편(900)이 구비되어 수직와이퍼(91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페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의 가장자리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의 실외측 면을 커버하도록 함으로써, 페어 글라스를 통해 미서기창문 프레임이 외부로 비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외관이 미려해져 보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페어 글라스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간에 열차단 고정부가 구비됨으로써, 열의 유출입이 방지도록 하여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페어 글라스가 미서기창문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간에 열차단 커버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창문 프레임의 실내측에 열차단 블라인드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페어 글라스를 통해 열의 유출입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창문 프레임의 실내측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차단 블라인드부의 하부로 수평 와이퍼를 갖는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되도록 하여 미서기창문의 페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이 항상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미서기창문의 세로 창문 프레임바의 내측 모서리에 구비된 와이퍼 고정편에 수직와이퍼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일측으로 위치한 미서기창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미서기창문의 실외측면에 있는 먼지, 얼룩 등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2는 도1의 BB부 확대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4는 도3의 CC부 확대도.
도5는 도3의 DD부 확대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에 있어 열차단 블라인드부의 손잡이로부터 이물질 제거부가 분리되어 열차단 블라인드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BB부 확대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CC부 확대도이고, 도5는 도3의 DD부 확대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에 있어 열차단 블라인드부의 손잡이로부터 이물질 제거부가 분리되어 열차단 블라인드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A)은 외관이 미려해져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열의 유출입을 막아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프레임(100), 열차단 고정부(200), 열차단 커버부(300), 창틀 프레임(400) 및 편심방지레일(50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미서기창(A)은 페어 글라스(G)를 갖는 미서기창문(W)이 미서기창틀(F)에 열리고 닫힐 수 있게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100)은 알루미늄이 압출 성형된 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가 사각형태를 갖도록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열차단 고정부(200)에 의하여 창문 프레임(100)의 실외측 면에 페어 글라스(G)의 실내측 면이 접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열차단 커버부(300)에 의하여 페어 글라스(G)의 가장자리가 커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는 페어 글라스(G)에 의하여 창문 프레임(100)을 이루는 알루미늄으로 구비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관을 돋보이게 하는 가운데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열차단 고정부(200)는 창문 프레임(100)과 페어 글라스(G) 사이로 열의 유출입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에 T자형 고정편(210)이 적어도 1개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가운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T자형 고정편(210)이 삽입되는 T자형 고정홈(221)이 단열 고정바(220)에 구비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는 가운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열 고정바(220)는 폴라이미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검은색을 가짐에 따라 외부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알루미늄 색상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 고정바(220)의 내측으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표면과 페어 글라스(G)의 표면 사이에 접착 고정부재(230)가 구비되어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외부로부터 내부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 열의 유출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표면과 페어 글라스(G)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접착고정부재(230)는 실리콘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차단 커버부(300)는 페어 글라스(G)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페어 글라스(G)의 단부로 열이 유출입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모서리에서 실외측으로 커버 지지편(310)이 직각되게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단열 커버바(320) 및 실링부재(33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지지편(310)의 내,외측은 ㅓ형 지지편(311)이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ㅓ형 지지편(311)이 삽입되는 ㅓ형 지지홈(321)이 단열 커버바(320)에 구비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끼워지게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 “‡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이때, 상기 단열 커버바(320)는 폴리아미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330)는 페어 글라스(G)의 단부와 단열 커버바(320)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단열 커버바(320)의 단부와 페어 글라스(G)의 모서리 사이에 실리콘이 포함되는 실링부재(33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미서기창틀(F)은 알루미늄이 압출 성형된 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결합된 것으로 가로 창틀 프레임바(410)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420)의 결합으로 구비된 창틀 프레임(400)에 편심방지레일(500)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편심방지레일(500)은 페어 글라스(G)의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로 창틀 프레임바(410)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420)에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직각되게 돌출된 레일 웹부(510)가 구비됨에 따라 창문 프레임(140)의 하단과 상단이 각각 가로 창틀 프레임바(410)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420)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일 웹부(510)의 상부에 사각관형태를 갖는 레일 플렌지부(520)가 구비되어 충분한 편심하중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일 플랜지부(520)의 상부 중앙에 로울러 안착 가이드(5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페어 글라스(G)가 편심방지레일(500)의 레일 웹부(510)로부터 일정 간격을 갖는 실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편삼방지레일(500)에 과도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 과정에서 이에 충분한 저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는 로울러(R)가 구비되는 내측에 로울러 삽입 가이드홈(411)이 상부를 향하여 인입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문(W)에는 실내측으로 열차단 블라인드부(600)가 더 구비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열차단 블라인드부(600)는 와인딩, 리와인딩이 가능한 권취부(610)에 의하여 블라인드(620)가 롤형태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미서기창문(W)의 상부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의 블라인드 공간부(630)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권취부(610)은 통상의 롤블라인드가 풀리고 감기는 구성과 동일한 형태의 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라인드(620)의 단부에는 제1언록킹편(641)을 갖는 블라인드 손잡이(64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블라인드 손잡이(640)를 잡고 아래로 당김과 동시에 블라이드(620)가 권취부(610)로부터 풀려 페어 글라스(G)의 내측면이 가려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620)의 양측단부는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에 구비된 안내홈(650)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되게 구비됨으로써,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640)를 하부로 내린 상태에서 미서기창문(W)의 하부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에 구비된 언록킹홈(660)에 제1언록킹편(641)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으로 록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페어 글라스(G)를 가린 블라인드(620)를 열기 위해서는 언록킹홈(660)에 끼워진 제1언록킹편(641)을 역방향으로 밀게 되면 록킹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권취부(610)에 의하여 블라인드(620)가 권취되면서 블라인드 손잡이(640)가 같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블라인드 손잡이(640)는 손잡이 하부에 상부 마그네틱편(670)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상부 마그네틱편(670)에 별도의 이물질 제거부(700)의 상부에 구비된 하부 마그네틱편(710)이 척력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700)는 실내에서 페어 글라스(G)의 실내측 면에 붙어 있는 먼지, 얼룩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으로 위치된 세로 창문 프레임부(120)에 구비된 안내홈(650)에 ㅏ형태를 갖는 슬라이더(720)가 삽입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720) 사이에 수평 와이퍼(730)를 갖는 와이퍼 지지바(740)가 피스(750)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지지바(740)에 제2언록킹편(761)을 갖는 와이퍼 손잡이(7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700)를 이용하여 페어 글라스(G)의 실내측 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도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와이퍼 손잡이(760)을 잡고 하부로 당김과 동시에 열차단 블라인드부(600)의 블라인드(620)가 풀려지면서 수평 와이퍼(730)가 페어 글라스(G)의 내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같이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로 내릴때만 힘을 가하고, 상부로는 블라인드(620)에 의하여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의 손잡이(640)와 와이퍼손잡이(760)를 서로의 마그네트편(670, 710)으로부터 분리하여 척력을 제거 함으로써, 이물질 제거부(700)를 독립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700)가 필요치 않을 경우, 블라인드 손잡이(640)에 구비된 상부 마그네트편(670)으로부터 와이퍼 손잡이(760)에 구비된 하부 마그네트편(710)이 분리되도록 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620)의 하단에 블라인드 손잡이(640)만 구비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문(W)은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내부에 대류차단부재(80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에서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열이 전도되어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미서기창문(W)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 중 서로 교차하는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내측 모서리에 와이퍼 고정편(900)이 구비되어 수직와이퍼(91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할 경우, 일측에 위치된 미서기창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미서기창문의 실외측 면에 있는 먼지, 얼룩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100:창문 프레임 110:가로 창문 프레임바
120:세로 창문 프레임바 200:열차단 고정부
210:T자형 고정편 220:단열 고정바
221:T자형 고정홈 230:접착 고정부재
300:열차단 커버부 310:커버 지지편
311:ㅓ형 지지편 320:단열 커버바
321:ㅓ형 지지홈 330:실링부재
400:창틀 프레임 410:가로 창틀 프레임바
420:세로 창틀 프레임바 500:편심방지레일
510:레일 웹부 520:레일 플렌지부
530:로울러 안착 가이드

Claims (11)

  1. 페어 글라스(G)를 갖는 미서기창문(W)이 미서기창틀(F)에 구비된 미서기창(A)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문(W)은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가 결합된 창문 프레임(100)의 실외측 면에 페어 글라스(G)의 실내측 면이 폴리아미드의 단열 고정바(220)를 구비한 열차단 고정부(200)에 의하여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창문 프레임(100)이 실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모서리에서 실외측으로 커버 지지편(310)이 일체로 직각되게 돌출되고, 상기 커버 지지편(310)의 외측으로 폴리아미드의 단열 커버바(320)가 구비되어 열차단 커버부(3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페어 글라스(G)의 외측 가장자리가 커버되며, 상기 미서기창틀(F)은 가로 창틀 프레임바(410)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420)의 결합으로 구비된 창틀 프레임(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고정부(200)는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에 T자형 고정편(210)이 적어도 1개 이상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T자형 고정편(210)이 삽입되는 T자형 고정홈(221)이 단열 고정바(220)에 구비되고, 상기 단열 고정바(220)의 내측으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표면과 페어 글라스(G)의 표면 사이에 접착 고정부재(2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고정부재(230)는 실리콘이 포함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지편(310)의 내,외측에 ㅓ형 지지편(311)이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ㅓ형 지지편(311)이 삽입되는 ㅓ형 지지홈(321)이 단열 커버바(320)에 구비되고, 상기 단열 커버바(320)의 단부와 페어 글라스(G)의 모서리 사이에 실링부재(3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330)는 실리콘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프레임(400)에 편심방지레일(500)이 구비되되,
    상기 편심방지레일(500)은 가로 창틀 프레임바(410)와 세로 창틀 프레임바(420)에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직각되게 돌출된 레일 웹부(510)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 웹부(510)의 상부에 사각관형태를 갖는 레일 플렌지부(520)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 플랜지부(520)의 상부 중앙에 로울러 안착 가이드(53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는 로울러(R)가 구비되는 내측에 로울러 삽입 가이드홈(411)이 상부를 향하여 인입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문(W)에 열차단 블라인드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열차단 블라인드부(600)는 와인딩, 리와인딩이 가능한 권취부(610)에 의하여 블라인드(620)가 롤형태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미서기창문(W)의 상부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의 블라인드 공간부(630)에 구비되고, 상기 블라인드(620)의 단부에 제1언록킹편(641)을 갖는 블라인드 손잡이(640)가 구비되며, 상기 블라인드(620)는 양측단부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에 구비된 안내홈(650)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미서기창문(W)의 하부로 위치된 가로 창문 프레임바(110)에 언록킹홈(66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손잡이(640)는 손잡이 하부에 상부 마그네틱편(670)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마그네틱편(670)에 이물질 제거부(700)의 상부에 구비된 하부 마그네틱편(710)이 척력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이물질 제거부(700)는 양측으로 위치된 안내홈(650)에 ㅏ형태를 갖는 슬라이더(720)가 삽입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720) 사이에 수평 와이퍼(730)를 갖는 와이퍼 지지바(740)가 피스(750)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지지바(740)에 제2언록킹편(761)을 갖는 와이퍼 손잡이(7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문(W)은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내부에 대류차단부재(8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서기창문(W)은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 중 서로 교차하는 세로 창문 프레임바(120)의 내측 모서리에 와이퍼 고정편(900)이 구비되어 수직와이퍼(91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
KR1020200037240A 2020-03-27 2020-03-27 미서기창 KR10213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40A KR102135190B1 (ko) 2020-03-27 2020-03-27 미서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40A KR102135190B1 (ko) 2020-03-27 2020-03-27 미서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190B1 true KR102135190B1 (ko) 2020-07-17

Family

ID=7183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240A KR102135190B1 (ko) 2020-03-27 2020-03-27 미서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763B1 (ko) * 2021-06-15 2022-02-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718B1 (ko) * 2009-03-05 2011-12-09 박종태 자동 유리 닦는 미서기창
KR20170031540A (ko) * 2015-09-11 2017-03-21 김순석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786852B1 (ko) * 2017-03-13 2017-10-18 해피창 주식회사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20180128658A (ko)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확장된 유리창을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718B1 (ko) * 2009-03-05 2011-12-09 박종태 자동 유리 닦는 미서기창
KR20170031540A (ko) * 2015-09-11 2017-03-21 김순석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786852B1 (ko) * 2017-03-13 2017-10-18 해피창 주식회사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20180128658A (ko)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확장된 유리창을 구비하는 미서기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763B1 (ko) * 2021-06-15 2022-02-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9754A (en) Extruded profile members, particularly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material, for blind frames and sashes of sash windows, sliding doors, or the like
CN101644129B (zh) 隔离幕装置
KR101520149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호
EP2878758A1 (en) An integrated rolling curtain window
US9316045B2 (en) Window and door system having easily changeable structure
KR102135190B1 (ko) 미서기창
CA2780995A1 (en) Watertight patio door assembly
KR100823663B1 (ko) 슬라이딩 창호가 구비된 투명 마감 방식의 커튼월 구조
US4763446A (en) Low sound, thermal and air penetration sliding window
KR101495694B1 (ko) 블라인드
CA1137821A (en) Shutter assembly
JP2987293B2 (ja) ビルディングの外壁
JP3445676B2 (ja) スクリーン状装置
US2329485A (en) Supplemental metallic window unit
JP2017179843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101969760B1 (ko) 대면적 복층유리용 차양장치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101886121B1 (ko) 스크린 가이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CN217001611U (zh) 内嵌式蜂巢帘
KR101969759B1 (ko) 에너지 절감형 차양장치
CN220566007U (zh) 下垂杆、底梁、导轨侧梁及其遮阳窗
CN218092695U (zh) 一种新型窄边推拉门窗结构
KR20130098123A (ko) 바닥 은폐형 이중 안전창
KR20230139485A (ko) 배수 및 단열 성능이 우수한 내부창호
KR200466786Y1 (ko) 방범셔터의 투시형 슬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