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763B1 -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 Google Patents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763B1
KR102368763B1 KR1020210077211A KR20210077211A KR102368763B1 KR 102368763 B1 KR102368763 B1 KR 102368763B1 KR 1020210077211 A KR1020210077211 A KR 1020210077211A KR 20210077211 A KR20210077211 A KR 20210077211A KR 102368763 B1 KR102368763 B1 KR 10236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outer window
awning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이정재
기성훈
김동건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63B1/ko
Priority to US17/834,893 priority patent/US2022040369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03Cavity wall closers; Fastening door or window frames in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22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with adjustable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는 창틀과, 실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틀과 결합하는 외측창짝프레임과,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외측유리와, 실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틀과 결합하는 내측창짝프레임과, 상기 내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내측유리와,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층에 구비되어 차양 역할을 하는 차양막과, 상기 중공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유리를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차양막을 내장 및 가이드 하는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Slim double-skin structure}
본 발명은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도형 이중외피 또는 콤팩트형 이중외피 창호의 중공층 폭을 줄일 수 있는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중외피 창호구조는 건물의 냉방 및 난방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2개의 창호가 실내 및 실외에 각각 면하는 구조를 가진 이중외피 창호의 가장 큰 특징은 냉방기 중 유입되는 일사에 의해 발생하는 중공층에서의 과열을 외부로 버림으로써 일사열획득계수 SHGC(Solar Heat Gain Coefficient)를 0.1~0.2 이하로 낮출 수 있다는 점이다.
통상 외부면 적용 창호의 유리는 투과율이 매우 높은 유리를 적용하고, 냉방기에는 중공층에서의 과열을 버림으로 일사를 차단하며, 동절기에는 동일하게 발생하는 중공층에서의 따뜻한 예열을 실내에 유입함으로써 자연환기 효과의 극대화를 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이중외피 창호는 복도형 이중외피(중공층 폭 800mm)로서 중공층 내에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태양열 유입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나, 구조가 너무 크고, 복잡하며, 고가라는 한계가 있다.
또한, 외부창이 통상 전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외풍압이 높을 경우 중공층 차양보호를 위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중공층의 폭을 200~300mm 이내로 낮추어 구조를 가볍게 구성함으로써 비용적인 측면에서 합리적 구성이 가능한 중공층에 차양이 있는 compact형 이중외피 창호 시장이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공층에 적용되는 차양이 고층건물의 고층부 또는 풍압이 높은 발생할 경우 파손 및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중공층 차양의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해 차양의 두께가 두껍고 이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레일구조로 보완되며, 또한 높은 풍압발생 시 차양이 전동으로 OFF 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1024(2002.02.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도형 이중외피 또는 콤팩트형 이중외피 창호의 중공층 폭을 줄일 수 있는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리고정프레임과 차양을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는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차양이 유리고정프레임과 일체화됨으로 창호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고, 무엇보다 차양을 좌우상하 고정할 수 있는 레일의 확보가 가능하여 외부창의 개방 시 차양의 흔들림 및 파손을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별도의 전동장치 없이 풍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는 창틀과, 실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틀과 결합하는 외측창짝프레임과,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외측유리와, 실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틀과 결합하는 내측창짝프레임과, 상기 내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내측유리와,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층에 구비되어 차양 역할을 하는 차양막과, 상기 중공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유리를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차양막을 내장 및 가이드 하는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은 상기 중공층 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은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부분과, 상기 상단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분과, 상기 한 쌍의 측면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단부분은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차양막이 내장되는 보관함과,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이 감기는 롤과, 상기 보관함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이 상기 보관함의 외부로 인출되는 개구부와, 상기 보관함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분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보관함과 연결되는 측면연결대와, 상기 측면연결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를 가이드 하는 레일과, 상기 측면연결대의 상기 창틀 측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2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단부분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연결대와 연결되는 하단연결대와, 상기 하단연결대의 상기 창틀 측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3삽입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돌기 내지 상기 제3삽입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을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고정할 시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걸려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에 의하면, 복도형 이중외피 또는 콤팩트형 이중외피 창호의 중공층 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유리고정프레임과 차양을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차양을 측면부 유리고정프레임의 삽입홈에 추가로 고정함으로써 풍압에 따른 거동 및 파손에 더욱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의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10)는 창틀(11)과, 실외측에 구비되어 창틀(11)과 결합하는 외측창짝프레임(12)과, 외측창짝프레임(12)에 구비되는 외측유리(13)와, 실내측에 구비되어 창틀(11)과 결합하는 내측창짝프레임(14)과, 내측창짝프레임(14)에 구비되는 내측유리(15)와, 외측유리(13)와 내측유리(15)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층에 구비되어 차양 역할을 하는 차양막(16)과, 중공층에 위치하도록 외측창짝프레임(12)에 구비되어 외측유리(13)를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함과 동시에 차양막(16)을 내장 및 가이드 하는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창짝프레임(12) 및 외측유리(13)는 내측창짝프레임(14) 및 내측유리(15)와 함께 이중외피 구조를 형성하고 사이에 중공층을 형성하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은 중공층에 위치하여 외측유리(13)를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차양막(16)을 내장 및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을 통해 외측유리(13)를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하고 차양막(16)을 내장 및 가이드 함으로써 중공층 폭을 줄일 수 있고, 차양막(16)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양막(16)의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일체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이중창이 아닌 단일창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구조적 안전성 확보 및 높은 일사차단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10)의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의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10)는 창틀(11)과, 실외측에 구비되어 창틀(11)과 결합하는 외측창짝프레임(12)과, 외측창짝프레임(12)에 구비되는 외측유리(13)와, 실내측에 구비되어 창틀(11)과 결합하는 내측창짝프레임(14)과, 내측창짝프레임(14)에 구비되는 내측유리(15)와, 외측유리(13)와 내측유리(15)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층에 구비되어 차양 역할을 하는 차양막(16)과, 중공층에 위치하도록 외측창짝프레임(12)에 구비되어 외측유리(13)를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함과 동시에 차양막(16)을 내장 및 가이드 하는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창짝프레임(12)은 중공층 측에 형성되어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이 삽입되는 삽입홈(12a)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은 외측창짝프레임(12)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부분(110)과, 상단부분(1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외측창짝프레임(12)의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분(120)과, 한 쌍의 측면부분(120)과 결합하여 외측창짝프레임(12)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부분(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단부분(110), 한 쌍의 측면부분(120) 및 하단부분(130)으로 이루어진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은 사각 틀 형상을 가지며, 중공층에 위치하여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상단부분(11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상단부분(110)은 내부공간(111a)을 구비하여 차양막(16)이 내장되는 보관함(111)과, 내부공간(111a)에 구비되어 차양막(16)이 감기는 롤(112)과, 보관함(111)의 하면에 구비되어 차양막(16)이 보관함(111)의 외부로 인출되는 개구부(113)와, 보관함(111)의 상면에 구비되어 외측창짝프레임(12)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12a)에 끼워지는 제1삽입돌기(114)를 구비할 수 있다.
보관함(111)은 외측창짝프레임(12)의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차양막(16)이 감기는 롤(112)은 별도의 제어장치(미도시)와 연계되어 상황에 따라 차양막(16)을 감아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양막(16)을 풀어 빛의 투과를 차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개구부(113)는 빛의 투과를 차단할 시 차양막(16)의 차양 효과를 높이기 위해 외측창짝프레임(12) 측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삽입돌기(114)는 삽입홈(12a)에 삽입되는 제1부분(140)과, 제1부분(140)에서 연장되어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을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할 시 외측창짝프레임(12)에 구비되는 걸림턱(12b)에 걸려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이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부분(15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측면부분(12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보관함(111)과 연결되는 측면연결대(121)와, 측면연결대(1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차양막(16)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16a)를 가이드 하는 레일(122)과, 측면연결대(121)의 창틀(11) 측 일면에 구비되어 외측창짝프레임(1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a)에 끼워지는 제2삽입돌기(123)를 구비할 수 있다.
차양막(16)은 롤(112)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시 가이드돌기(16a)를 가이드 하는 레일(122)에 의해 안전하게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좌우양단이 레일(122)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외측유리(13)를 개방하더라도 차양막(16)의 미세한 거동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필요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자연환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2삽입돌기(123)는 삽입홈(12a)에 삽입되는 제1부분(140)과, 제1부분(140)에서 연장되어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을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할 시 외측창짝프레임(12)에 구비되는 걸림턱(12b)에 걸려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이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부분(15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단부분(13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측면연결대(121)와 연결되는 하단연결대(131)와, 하단연결대(131)의 창틀(11) 측 일면에 구비되어 외측창짝프레임(12)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홈(12a)에 끼워지는 제3삽입돌기(132)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단연결대(131)는 보관함(111)과 같이 차양막(16)이 일정길이 내장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의 사각 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3삽입돌기(132)는 삽입홈(12a)에 삽입되는 제1부분(140)과, 제1부분(140)에서 연장되어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을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할 시 외측창짝프레임(12)에 구비되는 걸림턱(12b)에 걸려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이 외측창짝프레임(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부분(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100)은 중공층을 50mm 이내로 슬림하게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존 벽두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외측유리(13)의 고정과 차양막(16)을 내장 및 가이드 하는 구조를 일체화함으로써 공사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디자인 측면에서 단순화 및 합리화를 실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이중외피 창호에 차양이 설치될 경우, 외측창 개방시 외풍에 따른 차양의 거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에 별도의 가이드 레일구조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10)는 유리고정프레임(100)을 이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별도의 레일이 필요 없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11: 창틀
12: 외측창짝프레임 12a: 삽입홈
12b: 걸림턱 13: 외측유리
14: 내측창짝프레임 15: 내측유리
16: 차양막 16a: 가이드돌기
100: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 110: 상단부분
111: 보관함 111a: 내부공간
112: 롤 113: 개구부
114: 제1삽입돌기 120: 측면부분
121: 측면연결대 122: 레일
123: 제2삽입돌기 130: 하단부분
131: 하단연결대 132: 제3삽입돌기
140: 제1부분 150: 제2부분

Claims (7)

  1. 창틀과,
    실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틀과 결합하는 외측창짝프레임과,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외측유리와,
    실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틀과 결합하는 내측창짝프레임과,
    상기 내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내측유리와,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층에 구비되어 차양 역할을 하는 차양막과,
    상기 중공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유리를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차양막을 내장 및 가이드 하는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은 상기 중공층 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은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부분과, 상기 상단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부분과, 상기 한 쌍의 측면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분은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차양막이 내장되는 보관함과,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이 감기는 롤과, 상기 보관함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이 상기 보관함의 외부로 인출되는 개구부와, 상기 보관함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1삽입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분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보관함과 연결되는 측면연결대와, 상기 측면연결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양막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를 가이드 하는 삽입부분이 형성된 레일과, 상기 측면연결대의 상기 창틀 측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2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분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연결대와 연결되는 하단연결대와,
    상기 하단연결대의 상기 창틀 측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제3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돌기 내지 상기 제3삽입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을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고정할 시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걸려 상기 케이스형 유리고정프레임이 상기 외측창짝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KR1020210077211A 2021-06-15 2021-06-15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KR10236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11A KR102368763B1 (ko) 2021-06-15 2021-06-15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US17/834,893 US20220403698A1 (en) 2021-06-15 2022-06-07 Slim double-ski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11A KR102368763B1 (ko) 2021-06-15 2021-06-15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763B1 true KR102368763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211A KR102368763B1 (ko) 2021-06-15 2021-06-15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403698A1 (ko)
KR (1) KR1023687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48B1 (ko) * 2009-12-18 2011-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KR101076408B1 (ko) * 2011-06-21 2011-10-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KR200485829Y1 (ko) * 2017-10-16 2018-02-28 이석배 블라인드 프레임
KR20200011024A (ko) 2018-07-23 2020-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5190B1 (ko) * 2020-03-27 2020-07-17 세라코 주식회사 미서기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748B1 (ko) * 2009-12-18 2011-03-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KR101076408B1 (ko) * 2011-06-21 2011-10-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KR200485829Y1 (ko) * 2017-10-16 2018-02-28 이석배 블라인드 프레임
KR20200011024A (ko) 2018-07-23 2020-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5190B1 (ko) * 2020-03-27 2020-07-17 세라코 주식회사 미서기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3698A1 (en)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292B2 (en) Window system
KR101226306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308759B1 (ko)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2368763B1 (ko) 슬림형 이중외피 구조
KR101023748B1 (ko) 차양 내장형 삼중유리 창짝구조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257496B1 (ko) 창호시스템
KR101774002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2247552B1 (ko) 가스켓을 이용한 내풍압 단열 셔터
KR102312383B1 (ko)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커튼 월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255086B1 (ko) 창호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KR102216412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2653564B1 (ko) 단열 루버
KR102397830B1 (ko) 성능 가변형 창호 일체형 시스템
KR20170062008A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JP2006090053A (ja) 開口部構造
KR102216414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CN215761227U (zh) 一种单元幕墙内设置的内开内倒窗结构
KR102155859B1 (ko) 외부 차양 장치
JP5748425B2 (ja) シャッタ
KR102507325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CN215772182U (zh) 一种防撬百叶通风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