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573B1 -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573B1
KR100952573B1 KR1020100002611A KR20100002611A KR100952573B1 KR 100952573 B1 KR100952573 B1 KR 100952573B1 KR 1020100002611 A KR1020100002611 A KR 1020100002611A KR 20100002611 A KR20100002611 A KR 20100002611A KR 100952573 B1 KR100952573 B1 KR 10095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in
window frame
insect
insec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운
Original Assignee
이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운 filed Critical 이용운
Priority to KR102010000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창문틀에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레일에 방충망의 지지후레임이 슬라이드되게 끼워진 결합상태에서 강한 강풍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이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져서 창문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창문틀의 외측부에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메쉬 형태의 망체를 지지하는 지지후레임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끼워 슬라이드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방충망과, 상기 지지후레임의 상단부 가이드홈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져서 창문틀의 상부 가이드레일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이탈방지핀이 구비된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작동관체 내에 스프링과 이탈방지핀과 회전작동구가 구비되어 눌름버튼에 의해 작동관체 선단의 이탈방지핀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출몰형 이탈방지핀으로 구성된 방충망 이탈방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Insect net device}
본 발명은 방충망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창문틀에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레일에 방충망의 지지후레임이 슬라이드되게 끼워진 결합상태에서 강한 강풍이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이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져서 창문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실내의 외부 공기가 순환공급될 수 있도록 창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파리,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실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독주택, 아파트 베란다 등의 창문틀 외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방충망은 창문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형과, 창문틀의 외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개폐형으로 되어 있다.
고정형의 방충망은 착탈이 어렵기 때문에, 방충망이 불필요한 계절에도 방충망을 제거하기 어렵고, 방충망이 오염되더라도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시야를 가림과 함께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일단 제거한 방충망은 재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방충망이 창문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방충망을 착탈하여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개폐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폐형 방충망은 메쉬 형태의 망체를 지지하는 사각형상의 경량체로 된 지지후레임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창문틀의 상,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끼워 슬라이드되게 한 형태로 방충망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개폐형 방충망을 창문틀에 끼우게 될 때에는 일반적인 유리창문을 끼우는 것과 같이 방충망의 지지후레임 상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창문틀의 상부 가이드레일에 끼우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려 창문틀의 하부 가이드레일보다 높은 위치에 지지후레임의 하단부 가이드홈 입구의 위치가 높아지게 되면 지지후레임의 하단부 가이드홈을 하부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도록 방충망을 아래로 내려 방충망을 끼우게 되며, 상기 방충망을 끼우는 역순으로 방충망을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개폐형 방충망은 착탈이 용이한 반면에 합성수지나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체 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강풍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방충망이 위로 쉽게 들어 올려져서 창문틀의 하부 가이드레일의 높이 보다 방충망의 하부 후레임의 높이가 높아지는 이격되면서 방충망이 이탈 및 외부로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충망 이탈방지장치를 안출한 것으로, 방충망의 지지후레임 상,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창문틀의 상,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끼워 슬라이드되게 한 형태로 방충망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되 지지후레임의 상단부 측벽에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출몰형 이탈방지핀이 가이드홈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한 구성으로 창문틀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과의 간극이 좁혀지도록 한 구성으로 방충망이 상부로 들어 올려져서 창문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충망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는, 창문틀의 외측부에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메쉬 형태의 망체를 지지하는 지지후레임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끼워 슬라이드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방충망과, 상기 지지후레임의 상단부 가이드홈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져서 창문틀의 상부 가이드레일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이탈방지핀이 구비된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작동관체 내에 스프링과 이탈방지핀과 회전작동구가 구비되어 눌름버튼에 의해 작동관체 선단의 이탈방지핀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출몰형 이탈방지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폐형 방충망과 같이 창문틀 외측에 방충망이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개폐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이탈방지부재의 출몰형 이탈방지핀에 의해 경량체로 된 방충망이 강풍이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위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방충망이 이탈되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이탈방지부재는 기존에 설치된 방충망에도 구조변경없이 간편하게 이탈방지부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충망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충망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된 일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충망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재의 이탈방지핀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가)는 이탈방지핀이 전진한 상태이고, (나)는 탈방지핀이 후진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충망 이탈방지부재를 또 다른 구성의 창문틀에 설치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는, 창문틀의 외측부에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메쉬 형태의 망체를 지지하는 지지후레임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끼워 슬라이드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방충망과, 상기 지지후레임의 상단부 가이드홈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져서 창문틀의 상부 가이드레일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이탈방지핀이 구비된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된 것을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작동관체 내에 스프링과 이탈방지핀과 회전작동구가 구비되어 눌름버튼에 의해 작동관체 선단의 이탈방지핀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출몰형 이탈방지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지지후레임의 상단부 측벽에 가이드홈과 관통되게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그 장착구멍에 이탈방지부재의 작동관체를 끼워 볼트로 작동관체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후레임의 상단부 가이드홈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이탈방지핀과 창문틀의 상부 가이드레일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방충망이 슬라이드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충망(20)은 실내의 외부 공기가 순환공급될 수 있도록 창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파리, 모기와 같은 해충이 실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독주택, 아파트 베란다 등의 창문틀(10)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시야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고 방충망(20)을 착탈하여 청소가 가능하도록 한 개폐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즉, 메쉬 형태의 망체(24)를 지지하는 사각형상의 경량체로 된 지지후레임(21)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2)(22')을 창문틀의 상,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12')에 끼워 슬라이드되게 한 형태로 방충망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충망(20)의 지지후레임(21)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홈(22)을 창문틀(10)의 상부 가이드레일(12)에 끼우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려 창문틀(10)의 하부 가이드레일(12') 보다 높은 위치에 지지후레임(21)의 하부 가이드홈(22') 입구 위치가 높아지게 되면 지지후레임(21)의 하단부 가이드홈(22')을 하부 가이드레일(12')에 끼워지도록 방충망(20)을 아래로 내려 방충망(20)을 끼우게 되며, 상기 방충망(20)을 끼우는 역순으로 방충망을 분리하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개폐형 방충망(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후레임(21)의 상단부 가이드홈(22)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져서 창문틀(10)의 상부 가이드레일(12)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이탈방지핀(36)이 구비된 이탈방지부재(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탈방지핀(36)이 창문틀(1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과 좁은 간극을 유지하도록 하여 방충망(20)이 상부로 들어 올려져서 창문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작동관체(32) 내에 스프링(33)과 이탈방지핀(36)과 회전작동구(34)가 구비되어 눌름버튼(35)에 의해 작동관체(32) 선단의 이탈방지핀(36)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출몰형 이탈방지핀(36)으로 구성되어 창문틀(10)에 방충망(20)을 끼우게 될 때에는 이탈방지핀(36)을 후진상태로 유지하여 통상의 방충망을 끼우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눌름버튼(35)에 의해 이탈방지핀(36)이 출몰되게 한 출몰수단은 주지된 범용기술내용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방충망(20)이 끼워진 상태가 되면 이탈방지핀(36)을 상부 가이드홈(22)에 수평으로 전진시켜 창문틀(1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 하부에 진입되게 한 수단으로 방충망(20)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지지후레임(21)의 상단부 측벽에 가이드홈(22)과 관통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구멍(26)이 형성되어 그 장착구멍(26)에 이탈방지부재(30)의 작동관체(32)를 끼워 볼트(38)로 장착하여 외측의 눌름버튼(35)을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선단부 이탈방지핀(36)이 상부 가이드홈(22)으로 출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후레임(21)의 상단부 가이드홈(22)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이탈방지핀(36)과 창문틀(10)의 상부 가이드레일(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방충망(20)이 슬라이드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는 창문틀(10)에 방충망(20)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방충망(20)이 창문틀(10)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시야 확보를 할 수 있으면서 방충망(20)에 강풍이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방충망(20)이 끼움 역순형태로 들어 올려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는 종래와 같이 개폐형 방충망과 같이 창문틀(10) 외측에 방충망(20)이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착탈이 용이한 좌우로 슬라이드되어 개폐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이탈방지부재(30)의 출몰형 이탈방지핀(36)에 의해 경량체로 된 방충망(20)이 위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기존에 설치된 방충망(20)에도 구조변경없이 간편하게 이탈방지부재(3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탈방지부재(30)는 방충망의 지지후레임(21)이 합성수지제로 된 것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과 같은 것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창문틀 12 ,12' : 가이드레일
20 : 방충망 21 : 지지후레임
22,22' : 가이드홈 24 : 망체
26 : 장착구멍 30 : 이탈방지부재
32 : 작동관체 33 : 스프링
34 : 회전작동구 35 : 눌름버튼
36 : 이탈방지핀 38 : 볼트

Claims (4)

  1. 창문틀(10)의 외측부에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레일(12)(12')과,
    상기 가이드레일(12)(12')에 메쉬 형태의 망체(24)를 지지하는 지지후레임(21)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2)(22')을 끼워 슬라이드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방충망(20)과,
    상기 지지후레임(21)의 상단부 가이드홈(22)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져서 창문틀(10)의 상부 가이드레일(12)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이탈방지핀(36)이 구비된 이탈방지부재(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의 이탈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작동관체(32) 내에 스프링(33)과 이탈방지핀(36)과 회전작동구(34)가 구비되어 눌름버튼(35)에 의해 작동관체(32) 선단의 이탈방지핀(36)이 전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출몰형 이탈방지핀(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의 이탈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지지후레임(21)의 상단부 측벽에 가이드홈(22)과 관통되게 장착구멍(26)이 형성되어 그 장착구멍(26)에 이탈방지부재(30)의 작동관체(32)를 끼워 볼트(38)로 작동관체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의 이탈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후레임(21)의 상단부 가이드홈(22)에 수평으로 관통되게 끼워지는 이탈방지핀(36)과 창문틀(10)의 상부 가이드레일(12)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방충망(20)이 슬라이드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의 이탈방지장치.
KR1020100002611A 2010-01-12 2010-01-12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095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11A KR100952573B1 (ko) 2010-01-12 2010-01-12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11A KR100952573B1 (ko) 2010-01-12 2010-01-12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573B1 true KR100952573B1 (ko) 2010-04-12

Family

ID=4221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11A KR100952573B1 (ko) 2010-01-12 2010-01-12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5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670B1 (ko) 2017-08-21 2017-11-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101821804B1 (ko) * 2017-05-29 2018-01-30 대호산업개발 주식회사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106097A (ko) * 2017-03-17 2018-10-01 김동규 방충망 프레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충망 장치
KR20180123790A (ko)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제스트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KR102100584B1 (ko) 2019-03-22 2020-04-13 홍정기 추락 방지 기능을 갖는 방충망
KR20210123781A (ko) 2020-04-06 2021-10-14 홍정기 방충망 이탈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88A (ko) * 1999-11-17 2000-02-07 김영근 방충망의 고정장치
KR200373446Y1 (ko) 2004-10-30 2005-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충창 지지기구
KR200384262Y1 (ko) 2005-02-24 2005-05-12 남건재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KR100652164B1 (ko) 2004-08-31 2006-12-01 임성순 방범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88A (ko) * 1999-11-17 2000-02-07 김영근 방충망의 고정장치
KR100652164B1 (ko) 2004-08-31 2006-12-01 임성순 방범창
KR200373446Y1 (ko) 2004-10-30 2005-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충창 지지기구
KR200384262Y1 (ko) 2005-02-24 2005-05-12 남건재 미닫이 창문의 개폐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097A (ko) * 2017-03-17 2018-10-01 김동규 방충망 프레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충망 장치
KR101951709B1 (ko) * 2017-03-17 2019-04-29 김동규 방충망 프레임 고정장치
KR20180123790A (ko) 2017-05-10 2018-11-20 주식회사 제스트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KR101821804B1 (ko) * 2017-05-29 2018-01-30 대호산업개발 주식회사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96670B1 (ko) 2017-08-21 2017-11-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102100584B1 (ko) 2019-03-22 2020-04-13 홍정기 추락 방지 기능을 갖는 방충망
KR20210123781A (ko) 2020-04-06 2021-10-14 홍정기 방충망 이탈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573B1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216678B1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1363100B1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102010885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KR101044100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
KR200460972Y1 (ko) 차양막 이탈방지장치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100894610B1 (ko) 창호와 연동 개폐되는 방충망 장치
KR200381606Y1 (ko) 방충망 잠금 장치
KR101470486B1 (ko) 방충망 이탈을 방지하는 창틀용 우수 배수장치
KR101846260B1 (ko)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창호
KR101877329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20110058762A (ko)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200340805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
JP2010236823A (ja) 換気フード
KR20180077815A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200470750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20180034836A (ko) 환풍장치
CN205858132U (zh) 带有上卷隐形纱窗的防护栏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20200000447U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200423687Y1 (ko) 차량용 방충망
WO2011049320A2 (ko) 블라인드가 결합된 방충망 창
CN213775203U (zh) 集免钉、全开、随意停、六点式及联动功能为一体的纱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