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804B1 -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804B1
KR101821804B1 KR1020170066426A KR20170066426A KR101821804B1 KR 101821804 B1 KR101821804 B1 KR 101821804B1 KR 1020170066426 A KR1020170066426 A KR 1020170066426A KR 20170066426 A KR20170066426 A KR 20170066426A KR 101821804 B1 KR101821804 B1 KR 10182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pair
longitudin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주혁
Original Assignee
대호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호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에 도포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횡와이어; 상기 그물망에 종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종와이어; 상기 횡와이어와 상기 종와이어를 동시에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상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상단고정부; 상기 횡와이어와 상기 종와이어를 동시에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하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하단고정부; 상기 횡와이어 또는 상기 종와이어를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측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측단고정부; 및 상기 종와이어를 인접하는 다른 상기 종와이어와 교차시키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느 한 쌍의 상기 종와이어를 연결하는 교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고정부는, 상기 종와이어의 교차부위에 대향되도록 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를 당기며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PREVENTION NET FOR FALLING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종와이어 및 복수 개의 횡와이어가 설치되고, 서로 교차되는 종와이어 사이에 장력을 제공하여 그물망을 사면에 압착시킬 수 있으며, 종와이어의 교차 부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종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성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석방지시설은 도로와 인접된 암반 및 암벽 절개면의 낙석, 토사붕괴 등으로 인한 교통장애, 도로구조물의 손상, 재산 및 인명상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통상적인 낙석방지시설의 기능은 낙석의 충격에 저항하여 낙석운동을 억제하고, 낙석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낙석의 낙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 위험이 없는 곳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기본적인 기능이다.
한편, 낙석방지시설은 기능에 따라 보강공법과 보호공법으로 구분되며, 보호공법으로는 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낙석방지옹벽, 피암터널 등이 있다.
낙석방지시설중 낙석방지망은 통상 와이어로프를 재료로 사용하여 낙석의 우려가 있는 암반 및 암벽의 절개면을 덮어 낙석에 대처하는 시설물로서 낙석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도로쪽이 아닌 방지망의 하부로 유도하는 구조물이다.
또한, 낙석방지망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강우나 풍화, 나무뿌리의 작용 등에 의해 불연속면의 이완이 심화되어 낙석발생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철제망으로 덮어 낙석을 예방하는 공법으로 방지망의 자중과 이완된 암석의 포획효과에 의해 암석의 운동에너지를 억제하는 시설이다.
그리고 낙석방지망은 철망과 절개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완암편을 절개면과 망 사이에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하는 비포켓식 낙석방지망과, 기둥로프, 지주, 철망과 와이어로프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하는 낙석을 철망에 충동시킴으로써 낙석의 에너지를 감쇠하도록 하여 낙석이 도로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낙석방지망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포켓식 낙석방지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낙석방지망에 있어서, 교차되는 와이어로프의 교차점부위에는 와이어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차지점의 지지력 강화를 위하여 조립구가 형성된다.
조립구는 낙석방지망의 구조중 포켓식의 경우에는 에폭시 등을 주입하여 와이어로프의 이완을 없애도록 한 조립구를 사용하며, 비포켓식의 경우에는 조립구와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조립구와 와이어로프 사이의 인장력은 2,500kgf 이상이 되어야 한다.
한편, 낙석방지망의 조립구 구성은 상호 교차되는 와이어로프를 몸체 내측으로 수평, 수직 와이어 고정홈이 교차되게 구비되고, 몸체 단부에는 관통되게 체결홈이 구비된 각각의 전후몸체를 형성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낙석방지망의 경우에 있어서, 상호 교차되는 와이어로프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조립구는 발생될 수 있는 외력, 즉, 낙석의 중량 및 낙하속도 및 작용방향과 작용위치 등을 감안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낙석방지용 조립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용 조립구는, 암반 및 암벽의 절개면과 같이 낙석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낙석방지망의 와이어로프 교차지점에 설치되어 지지력 강화를 목적으로 설치되고,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하측은 트여지게 형성되며, 몸체 외측으로는 상부에서 절곡되게 지지면이 구비되고, 지지면의 직교부에는 교차설치되는 와이어로프를 상부에서 압착시켜 고정하는 파지홈이 형성되며, 몸체 중앙부에는 하부와 연통된 도피홀이 구비되고, 몸체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부몸체와 상하 대칭된 형상으로, 상부몸체의 지지면 내측으로 위치되고, 상부는 트여지게 형성되며, 몸체 외측으로는 저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게 접지면이 구비되고, 접지면의 직교부위에는 교차설치된 와이어로프를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몸체의 파지홈과 동일위치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몸체 저면 중앙부에는 상부와 연통된 개방홀이 구비되고, 몸체저면 단부에는 다수개의 끼움홀이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체결홀과 하부몸체의 끼움홀에 설치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상호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2517호(2003년 02월 12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낙석방지용 조립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낙석방지용 조립구는,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한 쌍의 몸체가 체결되고, 결합된 몸체를 사면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위에 별도의 완충부가 구비되지 않아 와이어의 내구력을 초과하는 낙성 하중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와이어 및 몸체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면서 낙석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사면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종와이어 및 복수 개의 횡와이어가 설치되고, 서로 교차되는 종와이어 사이에 장력을 제공하여 그물망을 사면에 압착시킬 수 있으며, 종와이어의 교차 부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종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성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면에 도포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횡와이어; 상기 그물망에 종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종와이어; 상기 횡와이어와 상기 종와이어를 동시에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상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상단고정부; 상기 횡와이어와 상기 종와이어를 동시에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하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하단고정부; 상기 횡와이어 또는 상기 종와이어를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측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측단고정부; 및 상기 종와이어를 인접하는 다른 상기 종와이어와 교차시키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느 한 쌍의 상기 종와이어를 연결하는 교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고정부는, 상기 종와이어의 교차부위에 대향되도록 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를 당기며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단고정부는, 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와 상기 횡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앵커볼트; 상기 제1앵커볼트의 고리부를 통과한 상기 종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종와이어의 중앙부에 고정시켜 상기 제1앵커볼트와 상기 종와이어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클립부재; 상기 제1앵커볼트에 연결되어 사면으로 연장되는 보조와이어; 및 상기 보조와이어가 연결되어 사면에 설치되는 제2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단고정부는, 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와 상기 횡와이어가 연결되는 제3앵커볼트; 및 상기 제3앵커볼트의 고리부를 통과한 상기 종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종와이어의 중앙부에 고정시켜 상기 제3앵커볼트와 상기 종와이어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장력제공부는, 한 쌍의 상기 종와이어가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걸려 상기 종와이어의 연장방향이 굴곡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서 상기 종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종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블록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감기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감기는 삽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종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향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에서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감기는 삽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상기 종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에 삽입된 상기 종와이어를 구속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구속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사면에 그물망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앵커볼트를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앵커볼트에 횡와이어 및 종와이어를 연결하여 서로 대향되는 상기 앵커볼트를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종와이어를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종와이어와 교차시켜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종와이어의 교차부위에 대향되도록 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를 당기며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교차고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은, 그물망의 테두리를 사면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종와이어 및 횡와이어가 설치되고, 상단의 횡와이어와 하단의 횡와이어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종와이어를 서로 교차시켜 교차고정부에 의해 사면에 고정시키므로 그물망이 사면에 압착되어 사면으로부터 낙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은, 종와이어가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 교차고정부가 설치되고, 교차고정부에 구비되는 장력제공부에 의해 종와이어를 당기게 되므로 그물망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면에 압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은, 서로 교차되는 종와이어가 교차고정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므로 그물망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면에 압착시키면서 낙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은, 종와이어가 교차되는 부위를 마감하는 커버부재가 설치되므로 장력제공부에 토사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력제공부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교차고정부가 설치되는 사면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시공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하단고정부 및 측단고정부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시공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하단고정부 및 측단고정부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은, 사면에 도포되는 그물망(10)과, 그물망(10)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횡와이어(14)와, 그물망(10)에 종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종와이어(12)와, 횡와이어(14)와 종와이어(12)를 동시에 구속하고, 그물망(10)의 상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상단고정부(30)와, 횡와이어(14)와 종와이어(12)를 동시에 구속하고, 그물망(10)의 하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하단고정부(50)와, 횡와이어(14) 또는 종와이어(12)를 구속하고, 그물망(10)의 측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측단고정부(56)와, 종와이어(12)를 인접하는 다른 종와이어(12)와 교차시키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느 한 쌍의 종와이어(12)를 연결하는 교차고정부(70)를 포함한다.
사면에 그물망(10)을 도포한 후에는 그물망(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앵커볼트를 설치하여 그물망(10)의 테두리를 고정시키고, 그물망(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그물망(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사이에 횡와이어(14)를 설치하여 그물망(10)의 중앙부를 사면에 압착시키게 된다.
이후에, 그물망(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그물망(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사이에 종와이어(12)를 설치하는데, 이때, 다수 개의 종와이어(12)를 일측 및 타측으로 교호로 경사지게 배치시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종와이어(12)와 교차되도록 한다.
상단고정부(30)는, 사면에 설치되고 종와이어(12)와 횡와이어(14)가 연결되는 제1앵커볼트(32)와, 제1앵커볼트(32)의 고리부를 통과한 종와이어(12)의 단부를 종와이어(12)의 중앙부에 고정시켜 제1앵커볼트(32)와 종와이어(12)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클립부재(36)와, 제1앵커볼트(32)에 연결되어 사면으로 연장되는 보조와이어(38)와, 보조와이어(38)가 연결되어 사면에 설치되는 제2앵커볼트(34)를 포함한다.
또한, 종와이어(12)는, 그물망(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앵커볼트(32)로부터 하측으로 사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12a)와, 제1앵커볼트(32)에 연결되고,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교호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연장되는 제2와이어(12b)와, 제2와이어(12b)와 같은 제1앵커볼트(32)에 연결되고, 타측 방향 및 일측 방향으로 교호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2와이어(12b)와 교차되는 제3와이어(12c)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1앵커볼트(32)의 고리부에는 제2와이어(12b)와 제3와이어(12c)가 연결되고, 제2와이어(12b)와 제3와이어(12c)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물결 모양을 이루며 연장되므로 다수의 위치에서 교차되어 그물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물망(1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앵커볼트(32)에는 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12a)와 제2와이어(12b) 또는 제3와이어(12c)가 연결되고, 다수 개의 제1앵커볼트(32)에는 하나의 횡와이어(14)가 통과되게 연결된다.
하단고정부(50)는, 사면에 설치되고 종와이어(12)와 횡와이어(14)가 연결되는 제3앵커볼트(52)와, 제3앵커볼트(52)의 고리부를 통과한 종와이어(12)의 단부를 종와이어(12)의 중앙부에 고정시켜 제3앵커볼트(52)와 종와이어(12)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클립부재(54)를 포함한다.
그물망(1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제3앵커볼트(52)가 설치되고, 제3앵커볼트(52)의 고리부에는 횡와이어(14)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결되고, 각각의 제3앵커볼트(52)에는 제2와이어(12b)와 제3와이어(12c)가 연결된다.
제3앵커볼트(52)의 고리부에 삽입된 제2와이어(12b) 및 제3와이어(12c)의 단부는 각각의 와이어 중앙부와 중첩되게 굴곡되어 제2클립부재(5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그물망(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횡와이어(14)와, 그물망(10)의 하단에 설치되는 횡와이어(14) 사이에는 다수 개의 횡와이어(14)가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 배치되고, 각각의 횡와이어(14)는 와이어로프에 의해 교차되는 종와이어(12)와 연결되고, 횡와이어(14)의 단부는 제1와이어(12a)와 연결된다.
측단고정부(56)는, 그물망(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4앵커볼트(56a)를 포함하고, 제4앵커볼트(56a)에는 제1와이어(12a)와 제2와이어(12b) 또는 제1와이어(12a)와 제3와이어(12c)가 연결되며, 그물망(10)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는 제4앵커볼트(56a)에는 횡와이어(14)도 같이 연결된다.
교차고정부(70)는, 종와이어(12)의 교차부위에 대향되도록 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72)과, 베이스패널(72)에 설치되고, 종와이어(12)를 당기며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76)와, 장력제공부(76)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패널(72)에 결합되는 커버부재(7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교차고정부(70)는, 커버부재(78)에 의해 장력유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덮여지므로 낙석방지망의 외관이 미려하게 마감되고, 장력제공부(76)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력제공부(76)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78)는, 베이스패널(72)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는 사각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4개의 테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차단패널(78a)이 연장되어 차단패널(78a)의 하단이 베이스패널(72)에 결합된다.
차단패널(78a)의 폭은, 커버부재(78)의 일측 단부 길이와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므로 4개의 차단패널(78a)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종와이어(12)가 삽입되고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패널(72)에는 횡와이어(14)가 통과되어 고정되는 유볼트(72a)가 설치되므로 교차고정부(70)를 통과하는 종와이어(12)에 장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횡와이어(14)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장력제공부(76)는, 한 쌍의 종와이어(12)가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걸려 종와이어(12)의 연장방향이 굴곡되도록 베이스패널(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과,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서 종와이어(12)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6e)와, 탄성부재(76e)가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종와이어(12)가 가이드블록(76c)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탈방지부(80)를 포함한다.
사각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는 베이스패널(72)은 제5앵커볼트(74)에 의해 사면에 고정되고, 베이스패널(72)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4개의 축부재(76a)가 설치되어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이 축부재(7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축부재(76a)의 단부에는 너트부재(76b)가 체결되어 가이드블록(76c)이 축부재(76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패널(72)의 일측에는 한 쌍의 축부재(76a)가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베이스패널(72)의 타측에는 한 쌍의 축부재(76a)가 간격을 유지하며 돌출되어 다른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가이드블록(76c)은,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와이어가 감길 때에 와이어가 곡선으로 굴곡되어 감길 수 있도록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되는 슬라이딩홀부(76d)가 형성되어 축부재(76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이 간격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베이스패널(72)에 설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 사이의 간격에는 탄성부재(76e)가 개재되므로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을 베이스패널(72)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에는 각각 종와이어(12)가 감기게 되는데, 일측에서 연장되는 종와이어(12)는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76c)의 외벽에 감기고, 타측에서 연장되는 종와이어(12)는 일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76c)의 외벽에 감기게 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종와이어(12)가 교차고정부(70)에 의해 교차되면서 연결된다.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종와이어(12)의 교차 부위에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이 삽입되고,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은 탄성부재(76e)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종와이어(12)의 교차부위를 넓히면서 종와이어(12)에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와이어(12)의 교차부위마다 교차고정부(70)가 설치되어 각각의 종와이어(12)에 장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그물망(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와이어들이 그물망(10)을 사면에 압착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사면에서 낙석이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탈방지부(80)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76c)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으로부터 돌출되고, 탄성부재(76e)가 감기는 가이드축(82)과, 가이드축(82)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다른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으로부터 돌출되고, 탄성부재(76e)가 감기는 삽입축(84)(84)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에는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축(82)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에는 가이드축(82)에 삽입되는 삽입축(84)(84)이 구비되며, 삽입축(84)(84)은 가이드축(82)에 삽입되어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을 연결한다.
삽입축(84)(84)과 가이드축(82)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블록(76c) 사이의 연결축에는 탄성부재(76e)가 감싸지도록 설치되므로 탄성부재(76e)에 의해 가이드블록(76c)이 베이스패널(72)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이 사면에 설치된 후에는 가이드블록(76c)의 외벽을 베이스패널(72)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종와이어(12)가 감기게 되므로 탄성부재(76e)가 압축되면서 가이드블록(76c)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종와이어(12)를 양측 방향으로 벌리는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 시공방법은, 사면에 그물망(10)을 도포하는 단계와, 그물망(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앵커볼트를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설치하는 단계와, 앵커볼트에 횡와이어(14) 및 종와이어(12)를 연결하여 서로 대향되는 앵커볼트를 연결하는 단계와, 종와이어(12)를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종와이어(12)와 교차시켜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사면에 그물망(10)을 도포한 후에 그물망(10)의 테두리를 따라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서로 대향되는 앵커볼트 사이에 와이어를 연결한다.
이때, 그물망(1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와이어(12)는 일측 및 타측으로 교호로 경사지게 배치시키면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종와이어(12)와 교차되게 연결하여 종와이어(12)를 그물 모양으로 배치시킨다.
종와이어(12)를 교차시켜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종와이어(12)의 교차부위에 대향되도록 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72)과, 베이스패널(72)에 설치되고, 종와이어(12)를 당기며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76)와, 장력제공부(76)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패널(72)에 결합되는 커버부재(78)를 포함하는 교차고정부(70)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교차되는 종와이어(12)는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당겨지게 되므로 그물망(10)을 가면에 압착시키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이탈방지부(80)는, 탄성부재(76e)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블록(76c)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86)와, 종와이어(12)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블록(76c)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부(8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가이드블록(76c)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한 쌍의 가이드홈부(86)가 형성되고, 다른 가이드블록(76c)에도 동일한 모양의 가이드홈부(86)가 형성되어 가이드홈부(86)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향되는 가이드홈부(86)에 탄성부재(76e)가 삽입되어 가이드블록(76c)을 베이스패널(72)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이드블록(76c) 타측면에는 하측 모서리가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이탈방지홈부(87)가 형성되는데, 이탈방지홈부(87)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가이드블록(76c)의 둘레면에 감싸지는 와이어가 이탈방지홈부(87)에 삽입되어 와이어가 가이드블록(76c)을 감싸도록 걸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76c)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이탈방지홈부(87)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블록(76c)의 상면을 덮는 커버부재(78)가 생략될 수 있어 교차고정부(70)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베이스패널(72)에는 슬라이딩홀부(76d)가 형성되므로 가이드블록(76c)에 고정되거 설치되는 축부재(76a)가 베이스패널(7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76d)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가이드블록(76c)이 베이스패널(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이탈방지부(80)는, 탄성부재(76e)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86)와, 가이드홈부(86)에 대향되도록 다른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에서 돌출되고 탄성부재(76e)가 감기는 삽입축(84)(8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블록(76c) 일측면에는 삽입축(84)(84)과 가이드홈부(86)가 각각 나란히 형성되므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이드블록(76c)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86)와 삽입축(84)(84)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일측의 가이드블록(76c)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축(84)(84)은 타측의 가이드블록(76c)의 가이드홈부(86)에 삽입되고, 타측의 가이드블록(76c)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축(84)(84)은 일측의 가이드블록(76c)의 가이드홈부(86)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76e)는 가이드홈부(86)에 삽입되어 가이드홈부(86)로 삽입되는 삽입축(84)(84)을 베이스패널(72)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이탈방지부(80)는, 탄성부재(76e)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블록(76c)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블록(76c)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86)와, 종와이어(12)가 삽입되도록 가이드블록(76c)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부(87)와, 이탈방지부(80)에 삽입된 종와이어(12)를 구속하도록 가이드블록(76c)에 설치되는 구속패널(8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블록(76c) 내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홈부(86)가 형성되어 탄성부재(76e)가 삽입되고, 가이드블록(76c)의 외측면에는 이탈방지홈부(8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이탈방지홈부(87)는, 가이드블록(76c)의 외측면 중앙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탈방지홈부(87)의 테두리에는 이탈방지홈부(87)를 차단하여 이탈방지홈부(87)에 삽입되는 종와이어(1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패널(88)이 설치된다.
따라서 이탈방지홈부(87)에 종와이어(12)를 삽입한 후에 구속패널(88)을 가이드블록(76c)에 설치하면 종와이어(12)가 가이드블록(76c)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종와이어(12)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78)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베이스패널(72)에는 슬라이딩홀부(76d)가 형성되어 가이드블록(76c)에 고정되는 축부재(76a)가 슬라이딩홀부(76d)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가이드블록(76c)이 베이스패널(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70)는, 커버부재(78)를 베이스패널(72)에 설치하기 위한 착탈부(79)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스패널(72)에 설치되는 제5앵커볼트(74)를 커버부재(78)에 관통시켜 너트를 설치하기 전에 착탈부(79)에 의해 커버부재(78)가 베이스패널(72)에 조립되므로 커버부재(78)를 베이스패널(72)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킨 후에 너트를 제5앵커볼트(74)에 체결하여 교차고정부(7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착탈부(79)는, 베이스패널(72)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안착홈부(79a)와, 안착홈부(79a) 내벽이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걸림홈부(79b)와, 커버부재(78)의 차단패널(78a) 단부에 형성되어 걸림홈부(79b)에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79c)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스패널(72)에 커버부재(78)를 안착시키면 차단패널(78a)의 단부가 안착홈부(79a)에 삽입되면서 측 방향으로 벌어지고, 후크부재(79c)가 걸림홈부(79b)에 대향되게 배치되면 벌어졌던 차단패널(78a)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후크부재(79c)가 걸림홈부(79b)에 삽입되어 차단패널(78a)과 베이스패널(72)이 조립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78) 저면에는, 축부재(76a)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레일홈부(78b)가 형성되므로 축부재(76a)의 상단에 너트를 설치하지 않고 커버부재(78)를 설치하면 축부재(76a)의 상단이 레일홈부(78b)에 삽입되어 축부재(76a)로부터 가이드블록(76c)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망의 교차고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베이스패널(72)에는 슬라이딩홀부(76d)가 형성되어 가이드블록(76c)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축부재(76a)가 슬라이딩홀부(76d)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베이스패널(72)의 저면에는 슬라이딩홀부(76d)를 감싸는 굴곡패널(76f)이 구비되어 베이스패널(72)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축부재(76a)의 하단이 사면에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홀부(76d)를 통해 교차고정부(70) 내측으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면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종와이어 및 복수 개의 횡와이어가 설치되고, 서로 교차되는 종와이어 사이에 장력을 제공하여 그물망을 사면에 압착시킬 수 있으며, 종와이어의 교차 부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종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성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그물망 12 : 종와이어
12a : 제1와이어 12b : 제2와이어
12c : 제3와이어 14 : 횡와이어
30 : 상단고정부 32 제1앵커볼트
34 : 제2앵커볼트 36 : 제1클립부재
38 : 보조와이어 50 : 하단고정부
52 : 제3앵커볼트 54 : 제2클립부재
56 : 측단고정부 56a : 제4앵커볼트
70 : 교차고정부 72 : 베이스패널
72a : 유볼트 74 : 제5앵커볼트
76 : 장력제공부 76a : 축부재
76b : 너트부재 76c : 가이드블록
76d : 슬라이딩홀부 76e : 탄성부재
78 : 커버부재 78a : 차단패널
79 : 착탈부 79a : 안착홈부
79b : 걸림홈부 79c : 후크부재
80 : 이탈방지부 82 : 가이드축
84 : 삽입축 86 : 가이드홈부
87 : 이탈방지홈부 88 : 구속패널

Claims (9)

  1. 사면에 도포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횡와이어;
    상기 그물망에 종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되는 복수 개의 종와이어;
    상기 횡와이어와 상기 종와이어를 동시에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상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상단고정부;
    상기 횡와이어와 상기 종와이어를 동시에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하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하단고정부;
    상기 횡와이어 또는 상기 종와이어를 구속하고, 상기 그물망의 측단을 사면에 가압하는 측단고정부; 및
    상기 종와이어를 인접하는 다른 상기 종와이어와 교차시키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느 한 쌍의 상기 종와이어를 연결하는 교차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고정부는,
    상기 종와이어의 교차부위에 대향되도록 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를 당기며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제공부는,
    한 쌍의 상기 종와이어가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걸려 상기 종와이어의 연장방향이 굴곡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서 상기 종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종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블록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는 사각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4개의 테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차단패널이 연장되어 상기 차단패널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패널의 폭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 길이와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므로 4개의 상기 차단패널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종와이어가 삽입되고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부는,
    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와 상기 횡와이어가 연결되는 제1앵커볼트;
    상기 제1앵커볼트의 고리부를 통과한 상기 종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종와이어의 중앙부에 고정시켜 상기 제1앵커볼트와 상기 종와이어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클립부재;
    상기 제1앵커볼트에 연결되어 사면으로 연장되는 보조와이어; 및
    상기 보조와이어가 연결되어 사면에 설치되는 제2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부는,
    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와 상기 횡와이어가 연결되는 제3앵커볼트; 및
    상기 제3앵커볼트의 고리부를 통과한 상기 종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종와이어의 중앙부에 고정시켜 상기 제3앵커볼트와 상기 종와이어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감기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감기는 삽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종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향되도록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에서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감기는 삽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상기 종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부; 및
    상기 이탈방지부에 삽입된 상기 종와이어를 구속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설치되는 구속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9. (a) 사면에 그물망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앵커볼트를 간격을 유지하며 사면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앵커볼트에 횡와이어 및 종와이어를 연결하여 서로 대향되는 상기 앵커볼트를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종와이어를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종와이어와 교차시켜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종와이어의 교차부위에 대향되도록 사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종와이어를 당기며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교차고정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장력제공부는,
    한 쌍의 상기 종와이어가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걸려 상기 종와이어의 연장방향이 굴곡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을 벌리면서 상기 종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종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블록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패널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는 사각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4개의 테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차단패널이 연장되어 상기 차단패널의 하단이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패널의 폭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 단부 길이와 비교하여 좁게 형성되므로 4개의 상기 차단패널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종와이어가 삽입되고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망 시공방법.
KR1020170066426A 2017-05-29 2017-05-29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26A KR101821804B1 (ko) 2017-05-29 2017-05-29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26A KR101821804B1 (ko) 2017-05-29 2017-05-29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804B1 true KR101821804B1 (ko) 2018-01-30

Family

ID=6107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426A KR101821804B1 (ko) 2017-05-29 2017-05-29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8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32B1 (ko) 2019-10-10 2020-09-16 (주)지트 드론을 이용한 사면의 측량 시스템 및 방법
CN115323947A (zh) * 2022-07-27 2022-11-1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联动式大能级拦石结构及其构造方法
CN115354594A (zh) * 2022-07-27 2022-11-1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陡坡拦石结构及其构造方法
CN115369894A (zh) * 2022-08-10 2022-11-22 坑露璐 一种生态环境建设边坡防护可降解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73B1 (ko) * 2010-01-12 2010-04-12 이용운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0976269B1 (ko) * 2010-02-05 2010-08-18 (주)화천알엔씨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1077650B1 (ko) * 2011-05-26 2011-10-2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도로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방음벽 겸용 낙석방지 구조물
KR101648567B1 (ko) * 2016-02-29 2016-08-16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낙석방지로프 완충형 고정장치
KR101682624B1 (ko) * 2016-06-08 2016-12-05 선진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73B1 (ko) * 2010-01-12 2010-04-12 이용운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0976269B1 (ko) * 2010-02-05 2010-08-18 (주)화천알엔씨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1077650B1 (ko) * 2011-05-26 2011-10-2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도로의 비탈면에 설치되는 방음벽 겸용 낙석방지 구조물
KR101648567B1 (ko) * 2016-02-29 2016-08-16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낙석방지로프 완충형 고정장치
KR101682624B1 (ko) * 2016-06-08 2016-12-05 선진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32B1 (ko) 2019-10-10 2020-09-16 (주)지트 드론을 이용한 사면의 측량 시스템 및 방법
CN115323947A (zh) * 2022-07-27 2022-11-11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联动式大能级拦石结构及其构造方法
CN115354594A (zh) * 2022-07-27 2022-11-1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陡坡拦石结构及其构造方法
CN115354594B (zh) * 2022-07-27 2023-06-16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陡坡拦石结构及其构造方法
CN115369894A (zh) * 2022-08-10 2022-11-22 坑露璐 一种生态环境建设边坡防护可降解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804B1 (ko)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82624B1 (ko) 충격흡수형 압착식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8565B1 (ko)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KR101905473B1 (ko)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20190090188A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JP2004332278A (ja) 雪崩・落石防護装置
KR101672788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JP2004162486A (ja) 防護柵
KR101572504B1 (ko) 개폐형 낙석방지책
KR101947515B1 (ko) 추락방망 고정장치
JP2002322615A (ja) 防護柵
KR102019396B1 (ko) 낙석방지책 구조물
KR101349220B1 (ko) 충격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422784B1 (ko) 낙석방지책
KR101897766B1 (ko)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20150135749A (ko)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JP7165777B1 (ja) 支柱の交換方法、及び冶具
KR101484005B1 (ko) 암부착 와이어넷 및 그 연결 방법
JP2002322616A (ja) 防護ネット及び防護柵
KR20140037503A (ko)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1819725B1 (ko)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1927760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