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788B1 -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788B1
KR101672788B1 KR1020160061286A KR20160061286A KR101672788B1 KR 101672788 B1 KR101672788 B1 KR 101672788B1 KR 1020160061286 A KR1020160061286 A KR 1020160061286A KR 20160061286 A KR20160061286 A KR 20160061286A KR 101672788 B1 KR101672788 B1 KR 101672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racket
ropes
rope
slid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화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화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화휀스
Priority to KR102016006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지주(1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와 지주의 양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 상에 일자형으로 겹쳐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로프(50)의 이중연결구조를 기반으로 지주(10)의 일측과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의 연결이 분리되는 경우에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의 어댑터(21)가 조인트(60)의 제 1 슬라이딩홀(631)에 걸릴 때까지 와이어로프(20)가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보조로프(50)의 일단의 캡(51)이 제 2 슬라이딩홀(611)에 걸릴 때까지 하나의 보조로프(50)가 슬라이딩되어 이동됨으로써 인장스프링의 탈락 시에도 와이어로프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대폭 향상된 낙석방지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Falling stone prevention fence of dual connection structure for improved safety}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과 인접한 곳에 도로를 설치하는 경우 주로 인위적으로 산을 절개하여 도로를 생성하며, 이러한 절개면은 도로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도로이용자 및 도로시설이 낙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낙석방지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낙석방지시설에는 철망과 함께 그물로써 낙석을 방지하는 구조인 낙석방지망(Rockfall Protection Net), 도로변에 수직으로 지주를 설치하고 지주 사이에 와이어로프와 철망을 설치하여 낙석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낙석방지펜스(Rockfall Protection Fence), 산의 절개면 하부에 대량으로 설치된 옹벽(Barrier) 그리고 낙석방지펜스나 옹벽의 설치가 불가한 구간에 설치되는 피암터널(Rock Shed)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낙석방지시설 중에서 낙석방지펜스는 낙석발생 예상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그것의 설치와 보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며 소규모의 낙석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낙석방지펜스는 낙석 지역의 도로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한 후에 그 콘크리트 기초에 여러 개의 지주의 하측 부위를 일정 깊이로 매립하고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여러 개의 와이어로프로 연결한 후에 와이어로프의 후면에 그물망을 배치하는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낙석방지펜스는 와이어를 지주에 소켓을 통해 연결시킨 단순한 구조로써, 낙석 하중이 지주에 집중되어 지주가 변형되거나 피로 파괴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3532호는 와이어로프와 지주 사이를 와이어소켓과 인장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시킨 “완충형 낙석방지펜스” 를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65163호는 와이어로프와 지주 사이를 연결링 및 인장스프링을 이용하여 연결시킨 “낙석방지책”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낙석방지펜스에 비해 완충효과가 향상되고 유지보수측면에서 유리한 점은 있으나, 대규모 낙석과의 충돌로 인해 인장스프링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인장스프링이 탈락되는 경우에 낙석이 도로변으로 쏟아져 나올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규모 낙석과의 충돌로 인해 지주와 와이어로프 사이에 삽입된 인장스프링이 탈락된 경우에 낙석방지펜스의 충격을 대폭 완화할 수 있으면서 와이어로프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대폭 향상된 낙석방지펜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각각이 H형빔으로서 낙석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복수 개의 지주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사이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주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 각각이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말단에 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말단을 감싸는 구조로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양단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어댑터; 각각이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말단과 상기 각 지주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각 와이어로프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사이에 일자형으로 팽팽하게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지주 중 어느 하나의 지주의 양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 상에 일자형으로 겹쳐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로프; 각각이 상기 각 보조로프의 말단에 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보조로프의 말단을 감싸는 구조로 상기 각 보조로프의 양단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캡; 및 각각이 상기 어댑터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각 어댑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을 둘러싸는 제 1 슬라이딩홀과 상기 각 캡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각 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을 둘러싸는 제 2 슬라이딩홀을 갖는 복수 개의 조인트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장스프링에 의한 어느 하나의 지주의 일측과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의 일단의 연결이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의 일단의 어댑터가 상기 제 1 슬라이딩홀에 걸릴 때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가 상기 제 1 슬라이딩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로프의 일단의 캡이 상기 제 2 슬라이딩홀에 걸릴 때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로프가 상기 제 2 슬라이딩홀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다.
상기 각 조인트는 하나의 하판과 두 개의 측판을 갖는 “[” 형의 횡단면의 절곡판으로 두 개의 측판 각각에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의 두 개의 측판의 홈에 상기 각 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의 두 개의 측판의 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홀은 상기 브래킷의 두 개의 측판의 홈과 상기 커버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조인트는 반고리형 부위의 내측에 상기 각 어댑터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형의 양단이 상기 브래킷의 하판의 두 개의 관통공과 상기 커버의 두 개의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에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는 U형볼트; 및 상기 커버 상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되는 U형볼트의 양단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래킷을 상기 커버에 결합시키는 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홀은 상기 브래킷의 하판과 상기 U형볼트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 개의 보조로프 중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보조로프의 간격만큼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쌍의 관통공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띠 형태의 평판으로 상기 브래킷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 각각의 두 개의 측판의 홈에 상기 각 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 각각의 두 개의 측판의 홈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낙석방지펜스는 각각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지주의 플랜지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인장스프링의 양단 각각은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걸고리형 일단은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말단의 어댑터에 걸림 결합되고, 걸고리형 타단은 상기 각 지주의 플랜지 일측의 소켓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 중 어느 하나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각 인장스프링의 걸고리형 양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각 와이어로프의 말단의 어댑터로부터 탈락되거나 상기 각 지주의 플랜지 일측의 소켓으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
상기 각 소켓은 횡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사각판이 상기 각 지주의 플랜지 일측의 정면에 고정되는 꺾쇠; 및 일측이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꺾쇠의 타측 사각판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인장스프링의 걸고리형 타단과 걸림 결합되는 고리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와 와이어로프 사이에 삽입된 인장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일차적으로 완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의 탈락 시에 이차적으로 와이어로프가 조인트의 제 1 슬라이딩홀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보조로프가 제 2 슬라이딩홀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이차적으로 완화됨으로써 대규모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낙석방지펜스의 매우 큰 충격이 거의 소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의 탈락 시에 와이어로프와 보조로프의 이중연결구조를 기반으로 와이어로프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안전성이 대폭 향상된 낙석방지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형볼트에 대한 너트의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브래킷의 두 개의 측판의 홈과 커버 사이의 간격과 브래킷의 하판과 U형볼트의 사이의 간격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 보조로프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최적 크기의 제 1 슬라이딩홀과 제 2 슬라이딩홀이 형성될 수 있어 대규모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 와이어로프, 보조로프의 슬라이딩 이동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어 안전성이 대폭 향상된 낙석방지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보조로프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띠 형태의 커버를 통해 탈락된 인장스프링 주변의 보조로프에 가해진 힘이 다른 보조로프에 분산될 수 있어 탈락된 인장스프링 주변의 보조로프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보조로프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다른 보조로프가 단선된 보조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를 연결시킬 수 있어 낙석방지펜스의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에 낙석 등에 의해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인장스프링의 걸고리형의 양단 중 어느 하나는 각 와이어로프의 말단의 어댑터로부터 탈락되거나 각 지주의 플랜지의 일측으로부터 탈락됨으로써 그 양단 중 어느 한 쪽만 걸려 수직방향으로 늘어져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을 받은 인장스프링은 와이어로프와 지주 사이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인장스프링과 외관상 명확히 구별될 수 있어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는 각 인장스프링의 배치 변화를 관찰하는 것만으로 그 인장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와이어로프와 지주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주(10)와 와이어로프(2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꺾쇠(41)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와이어로프와 보조로프의 이중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낙석방지펜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를 간략하게 “낙석방지펜스”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석방지펜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주(10)와 와이어로프(2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된 지주(10)와 와이어로프(2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의 (b)는 도 1에 도시된 지주(10)와 와이어로프(20)의 연결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복수 개의 지주(10),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복수 개의 소켓(40), 복수 개의 보조로프(50), 복수 개의 조인트(60), 및 방호망(7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는 상기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주(10)는 각각이 H형빔으로서 낙석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된다. 낙석 지역의 도로변에 콘크리트 기초를 타설한 후에 그 콘크리트 기초에 각 지주(10)의 하측 부위를 일정 깊이로 매립함으로써 각 지주(10)는 낙석 지역의 도로변에 직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지주(10)의 플랜지 양측 각각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12)이 각 지주(1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지주(10)의 플랜지 양측의 관통공(12)은 각 소켓(40)의 꺾쇠(41)를 각 지주(10)에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43)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원형공이다.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도로 측을 향하여 떨어지는 낙석을 보다 많은 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지주(10)는 그 상단부가 도로 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는 각 지주(10)의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복수 개의 지주(1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사이마다 지주(10)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와이어로프(20)의 양단은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그 각각에 와이어로프(20)와 인장스프링(30)을 연결시키기 위한 어댑터(21)가 체결된다. 복수 개의 어댑터(21) 각각은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에 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을 감싸는 구조로 각 와이어로프(20)의 양단 각각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20)의 양단의 어댑터(21)의 직경은 와이어로프(20)의 직경보다 크다. 각 어댑터(21)의 일측은 원통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각 와이어로프(20)의 볼트형 양단 각각과 볼트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은 하나의 걸림공을 갖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각 인장스프링(30)의 양단 중 일단과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각각은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과 각 지주(10)의 플랜지(11) 사이에 삽입되어 그 각각의 탄성에 의해 각 와이어로프(20)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사이에 일자형으로 팽팽하게 연결시킨다. 즉,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은 두 개씩 한 쌍을 이루어서 각 와이어로프(20)의 좌측 말단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중 좌측 지주의 플랜지(11)의 우측에 삽입되고 각 와이어로프(20)의 우측 말단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중 우측 지주의 플랜지(11)의 좌측에 삽입됨으로써 각 와이어로프(20)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사이에 일자형으로 팽팽하게 연결시킨다. 각 인장스프링(30)의 양단 각각은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의 일단은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의 어댑터(21)의 걸림공에 걸림 결합되고, 걸고리형의 타단은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소켓(40)의 고리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중 적어도 하나에 낙석 등에 의해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의 양단 중 어느 하나는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의 어댑터(21)로부터 탈락되거나 각 지주(10)의 플랜지(11)의 일측으로부터 탈락된다. 여기에서, 임계 크기는 각 인장스프링(30)에 가해진 외력에 저항하여 각 인장스프링(30)의 양단의 걸림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외력의 크기이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인장스프링(30)이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의 어댑터(21)로부터 탈락되거나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소켓(40)으로부터 탈락되면 그 양단 중 어느 한 쪽만 걸려 수직방향으로 늘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을 받은 인장스프링(30)은 와이어로프(20)와 지주(10) 사이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인장스프링(30)과 외관상 명확히 구별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30)이 와이어로프(20), 보조로프(50), 어댑터(21), 소켓(40), 조인트(60) 등 그것의 주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30)에 형광색 계열의 도료가 코팅될 수도 있다.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는 각 인장스프링(30)의 배치 변화를 관찰하는 것만으로 그 인장스프링(30)에 의해 연결된 와이어로프(20)와 지주(10)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할 수 있는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인장스프링(30)에 이러한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그것의 주변부재가 파손되기 전에 그것의 걸림 결합이 해체될 수 있도록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 형태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낙석방지펜스의 관리자는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진단된 인장스프링(30)과 그것의 주변부재를 중심으로 낙석방지펜스를 점검함으로써 낙석방지펜스를 정기적으로 자주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되고 낙석방지펜스의 전체를 세세하게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되어 낙석방지펜스의 유지보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소켓(40) 각각은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각 지주(10)의 플랜지(11)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고정된다. 소켓(40)은 지주(10)와 인장스프링(30)을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써 소켓(40) 없이 인장스프링(30)이 지주(10)에 직접 걸림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소켓(40)은 각 지주(10)의 전측 플랜지와 후측 플랜지 중 후측 플랜지(11)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고정되어 있으나 전측 플랜지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고정될 수도 있다. 방호망(70)이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에 밀착 결합되기 위해서는 각 소켓(40)은 각 지주(10)의 후측 플랜지(11)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소켓(40)은 고리볼트(42)를 각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꺾쇠(41), 각 인장스프링(30)의 타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리볼트(42), 꺾쇠(41)를 각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트와 너트(43), 및 고리볼트(42)를 꺾쇠(41)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44)로 구성된다.
각 소켓(40)의 꺾쇠(41)는 횡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일측 사각판이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정면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꺾쇠(41)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정면에 밀착되는 주부(411)와 주부(411)로부터 직각으로 꺽여져 연장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부(412)로 구성된다. 꺾쇠(41)의 측부(412)는 주부(411)의 네 변 중 플랜지(11)와 가장 먼 쪽의 변으로부터 지주(10)의 안쪽을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꺾쇠(4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꺾쇠(41)의 절곡 부분이 플랜지(11)의 말단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꺾쇠(41)의 주부(411)에는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꺾쇠(41)의 주부(411)의 관통공은 각 소켓(40)의 꺾쇠(41)를 각 지주(10)에 체결시키기 위한 볼트(43)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원형공이다. 한 쌍의 볼트와 너트(43) 중 볼트가 꺾쇠(41)의 주부(411)의 관통공과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관통공(12)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에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꺾쇠(41)는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꺾쇠(41)의 측부(412)에는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꺾쇠(41)의 측부(412)의 관통공은 고리볼트(42)의 볼트 부분이 통과될 수 있고 고리볼트(42)의 다른 부분은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의 원형공이다.
각 소켓(40)의 고리볼트(42)는 그 일측이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꺾쇠(41)의 타측 사각판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 타단과 걸림 결합된다. 각 고리볼트(42)의 볼트형 일측은 꺾쇠(41)의 측부(412)의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 너트(44)와 체결됨으로써 각 고리볼트(42)는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꺾쇠(41)에 고정될 수 있다. 고리볼트(51)와의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 개의 너트(44)가 각 고리볼트(42)에 조임 결합될 수도 있다. 각 고리볼트(42)의 고리형 타측에는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 타단이 걸림으로써 각 고리볼트(42)와 각 인장스프링(30)은 서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 일단이 걸림 결합되는 어댑터(21)의 걸림공의 크기와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 타단이 걸림 결합되는 고리볼트(42)의 고리 구멍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각 인장스프링(30)에 가해진 외력에 저항하여 각 인장스프링(30)의 양단의 걸림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외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어댑터(21)의 걸림공의 크기와 고리볼트(42)의 고리 구멍의 크기가 클수록 인장스프링(30)은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탈락될 수 있는 반면, 어댑터(21)의 걸림공의 크기와 고리볼트(42)의 고리 구멍의 크기가 작을수록 인장스프링(30)은 큰 외력에 의해서도 탈락되지 않게 된다.
낙석 등으로 인한 외력에 의해 인장스프링(30)이 최대한 인장되더라도 인장스프링(30)이 탈락됨으로써 인장스프링(30)과 와이어로프(20)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에 비해 충격 흡수 효과가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지주(10), 각 와이어로프(20) 등을 파손시킬 수 있는 크기의 외력이 낙석방지펜스에 가해진 경우에 인장스프링(30)이 탈락되도록 각 지주(10)의 강도, 각 와이어로프(20)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어댑터(21)의 걸림공의 크기와 고리볼트(42)의 고리 구멍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인장스프링(30)의 충격 흡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1)의 걸림공의 크기와 고리볼트(42)의 고리 구멍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낙석 충돌 시에 인장스프링(30)의 양단 중 어느 한 쪽만 걸려 수직방향으로 늘어져 있도록 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전진단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꺾쇠(41)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412)는 주부(411)의 일단 모서리로부터 예리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주부(411)와 직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주부(411)와 측부(412) 사이에는 직각의 각면이 형성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412)는 주부(411)의 일단 모서리로부터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주부(411)와 직각을 이룬다. 이에 따라, 주부(411)와 측부(412) 사이에는 일정 곡률의 곡면(413)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꺾쇠(41)의 주부(41)는 지주(10)에 고정되고, 측부(42)는 인장스프링(30)에 의해 당겨지게 된다. 측부(412)가 주부(411)의 일단 모서리로부터 예리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측부(412)가 주부(411)의 일단 모서리로부터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경우가 주부(411)와 측부(412)의 경계 부분의 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인장스프링(30)의 신축에 보다 잘 대응할 수 있어 인장스프링(30)의 신축에 따른 피로 누적으로 인한 꺾쇠(41)의 부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의 (b)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분해도이다. 복수 개의 보조로프(50) 각각은 복수 개의 지주(10) 중 어느 하나의 지주의 양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 상에 일자형으로 겹쳐서 배치된다. 각 보조로프(50)는 그것에 겹쳐서 배치되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의 말단에 걸림 결합된 두 개의 인장스프링(30) 중 적어도 하나가 낙석 충돌에 의해 탈락된 경우에 두 개의 와이어로프와 지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조로프(50)의 양단은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그 각각에 보조로프(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51)이 체결된다. 복수 개의 캡(51) 각각은 각 보조로프(50)의 말단에 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을 감싸는 구조로 각 와이어로프(20)의 양단 각각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보조로프(50)의 양단의 캡(51)의 직경은 보조로프(50)의 직경보다 크다. 각 캡(51)의 일측은 원통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각 보조로프(50)의 볼트형 양단 각각과 볼트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조인트(60) 각각은 각 어댑터(21)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각 어댑터(21)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을 둘러싸는 제 1 슬라이딩홀(631)과 각 캡(51)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각 캡(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을 둘러싸는 제 2 슬라이딩홀(621)을 갖는다.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중 어느 하나에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인장스프링(30)에 의한 어느 하나의 지주(10)의 일측과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의 연결이 분리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의 어댑터(21)가 각 조인트(60)의 제 1 슬라이딩홀(631)에 걸릴 때까지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20)가 제 1 슬라이딩홀(63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어느 하나의 보조로프(50)의 일단의 캡(51)이 각 조인트(60)의 제 2 슬라이딩홀(621)에 걸릴 때까지 어느 하나의 보조로프(50)가 제 2 슬라이딩홀(621)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23532호, 제10-0865163호 등은 스프링을 사용하여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낙석방지펜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낙석방지펜스는 와이어로프와 지주 사이에 스프링을 삽입함으로써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 완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은 그것의 걸고리가 다른 부재에 걸리는 방식으로 다른 부재와 결합됨에 따라 스프링이 신축되는 과정에서 걸고리 부분이 쉽게 분리되거나 부러질 수 있다. 스프링의 탈락으로 인해 와이어로프와 지주의 연결이 해체되면 낙석이 방호망(70)과 함께 도로로 유입될 수 있어 도로를 달리는 차량이 낙석에 충돌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10)와 와이어로프(20) 사이에 삽입된 인장스프링(30)의 탄성에 의해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일차적으로 완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30)의 탈락 시에 이차적으로 와이어로프(20)가 조인트(60)의 제 1 슬라이딩홀(63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보조로프(50)가 제 2 슬라이딩홀(621)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이차적으로 완화됨으로써 대규모 낙석과의 충돌로 인한 낙석방지펜스의 매우 큰 충격이 거의 소멸될 수 있다.
특히,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의 어댑터(21)가 조인트(60)의 제 1 슬라이딩홀(631)에 걸릴 때까지 와이어로프(20)가 슬라이딩 이동되고 보조로프(50)의 일단의 캡(51)이 조인트(60)의 제 2 슬라이딩홀(621)에 걸릴 때까지 보조로프(50)가 제 2 슬라이딩홀(621)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두 개의 와이어로프와 지주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낙석이 도로로 유입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이중연결구조를 기반으로 대규모 낙석이 충돌한 경우에도 낙석방지펜스의 충격이 거의 소멸될 수 있으면서 와이어로프(20)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대폭 향상된 낙석방지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방호망(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에 의해 팽팽해진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의 후면 상에 설치된다. 방호망(70)은 폴리염화비닐로 코팅된 격자 구조의 철망이 주로 사용되며 그 전체가 펼쳐져서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의 후면 상에 설치되어 지주(10)와 지주(10) 사이의 공간 전체를 덮게 된다. 이러한 방호망(70)에 의해 산사면의 암벽, 절개지 등과 같은 낙석 지역으로부터 낙하되는 낙석들이 도로나 인도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에 클립,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방호망(70)을 군데군데 묶음으로써 방호망(70)은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조인트(60)는 브래킷(61), 커버(62), U형볼트(63), 및 너트(64)로 구성된다. 각 조인트(60)의 브래킷(61)은 하나의 하판과 두 개의 측판을 갖는 “[” 형의 횡단면의 절곡판으로 하나의 하판에는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측판 각각에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브래킷(61)의 하판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며 두 개의 측판이 하판의 양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꺽여져 연장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 각각에는 보조로프(50)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조인트(60)의 커버(62)는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 평판으로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에 각 캡(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을 덮는다. 제 2 슬라이딩홀(611)은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과 커버(62)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에 각 캡(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이 끼워지게 된다.
각 조인트(60)의 U형볼트(63)는 볼트 형태의 양단을 갖는 “U”형으로 형성되어 반고리형 부위의 내측에 각 어댑터(21)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형의 양단이 브래킷(61)의 하판의 두 개의 관통공과 커버(62)의 두 개의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에 커버(62)로부터 돌출된다. U형볼트(63)의 양단 사이의 폭은 와이어로프(20)가 그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20)의 직경보다 약간 크다. 각 조인트(60)의 너트(64)는 커버(62) 상에 위치하여 커버(62)로부터 돌출되는 U형볼트(63)의 양단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브래킷(61)을 커버(62)에 결합시킨다. 제 1 슬라이딩홀(631)은 브래킷(61)의 하판과 U형볼트(63)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에 각 어댑터(21)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이 끼워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인장스프링(30)이 탈락된 경우에 이것과 걸림 결합된 어댑터(21)가 브래킷(61)의 하판과 U형볼트(63)의 사이의 제 1 슬라이딩홀(631)에 걸릴 때까지 와이어로프(20)는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인장스프링(30)과 걸림 결합된 캡(51)이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과 커버(62) 사이의 제 2 슬라이딩홀(611)에 걸릴 때까지 보조로프(50)는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각 와이어로프(20)와 각 보조로프(50)는 모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나, 그것의 어댑터(21)와 그것의 캡(51)이 조인트(60)에 걸림으로써 최대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중연결구조에 의해 인장스프링(30)과 지주(10)의 연결이 끊어지는 상황에서도 서로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20)가 보조로프(2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는 여러 개의 소선을 여러 겹으로 꼬아서 만들기 때문에 각각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U형볼트(63)에 대한 너트(64)의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과 커버(62) 사이의 간격과 브래킷(61)의 하판과 U형볼트(63)의 사이의 간격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20), 보조로프(5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최적 크기의 제 1 슬라이딩홀(631)과 제 2 슬라이딩홀(611)이 형성될 수 있어 대규모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 와이어로프(20), 보조로프(50)의 슬라이딩 이동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어 안전성이 대폭 향상된 낙석방지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 및 분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의 연결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커버(62)의 형태와 도 6에 도시된 커버(62)의 형태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커버(62)의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며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커버(62)는 복수 개의 보조로프(50) 중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보조로프의 간격만큼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쌍의 관통공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띠 형태의 평판으로 브래킷(61)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 각각의 두 개의 측판의 홈에 각 캡(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 각각의 두 개의 측판의 홈을 덮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62)는 그 길이방향이 보조로프(5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띠 형태의 평판으로 복수 개의 보조로프(50) 중 수직방향으로 이웃하는 적어도 두 개의 보조로프(50)와 체결된다.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중 어느 하나가 탈락된 경우에 그것 주변의 와이어로프(20)와 보조로프(50)가 힘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개의 보조로프(5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띠 형태의 커버(62)를 통해 탈락된 인장스프링 주변의 보조로프(50)에 가해진 힘이 다른 보조로프(50)에 분산될 수 있어 탈락된 인장스프링 주변의 보조로프(50)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두 개의 U형볼트(63)는 그 각각의 반고리형 부위의 내측에 각 어댑터(21)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형의 양단이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61)의 하판의 두 개의 관통공과 커버(62)의 복수 쌍의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에 커버(62)로부터 돌출된다. 적어도 네 개의 너트(64)는 커버(62) 상에 위치하여 커버(62)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U형볼트(63)의 양단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61)을 커버(62)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6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보조로프(50)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다른 보조로프(50)가 단선된 보조로프(50)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20)를 연결시킬 수 있어 낙석방지펜스의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낙석방지펜스의 안전성 향상을 살펴보기 위해 인장스프링(30), 보조로프(50)가 파손된 경우의 낙석방지펜스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확대부분 “A”는 인장스프링(30)에 가해진 외력이 과도하여 와이어로프(20)와 지주(10)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를 나타내고, 확대부분 “B”는 보조로프(50)에 가해진 외력이 과도하여 보조로프(50)까지 끊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20)를 연결할 수 있는 보조로프(50)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인장스프링(30) 또는 소켓(40)이 파손되는 긴급 상황에서도 낙석을 막아낼 수 있다. 즉, 지주(10)와 와이어로프(20)를 연결시키기 위한 부재인 인장스프링(30), 소켓(40) 등이 파손되는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20)가 보조로프(50)에 의해 계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로프(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장스프링(30), 소켓(40) 등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와이어로프(20)가 그 연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로변으로 낙석이 쏟아져 내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B”를 보면, 본 실시예는 여러 개의 보조로프(5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띠 형태의 커버(62)를 구비함으로써 탈락된 인장스프링 주변의 보조로프(50)에 가해진 힘이 다른 보조로프(50)에 분산될 수 있어 탈락된 인장스프링 주변의 보조로프(50)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커버(6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보조로프(50)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더라도 다른 보조로프(50)가 단선된 보조로프(50)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20)를 연결시킬 수 있어 낙석방지펜스의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주 11: 플랜지
20: 와이어로프 21: 어댑터
30: 인장스프링
40: 소켓
41: 꺾쇠 42: 고리볼트
50: 보조로프 51: 캡
60: 조인트
61: 브래킷 62: 커버
63: U형볼트 64: 너트
70: 방호망

Claims (6)

  1. 각각이 H형빔으로서 낙석 지역의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직립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10);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사이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의 직립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20);
    각각이 상기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에 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을 감싸는 구조로 상기 각 와이어로프(20)의 양단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어댑터(21);
    각각이 상기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과 상기 각 지주(10)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각 와이어로프(20)를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 사이에 일자형으로 팽팽하게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지주(10) 중 어느 하나의 지주의 양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와이어로프 상에 일자형으로 겹쳐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로프(50);
    각각이 상기 각 보조로프(50)의 말단에 씌어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보조로프(50)의 말단을 감싸는 구조로 상기 각 보조로프(20)의 양단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캡(51); 및
    각각이 상기 어댑터(21)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각 어댑터(21)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을 둘러싸는 제 1 슬라이딩홀(631)과 상기 각 캡(51)의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각 캡(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을 둘러싸는 제 2 슬라이딩홀(611)을 갖는 복수 개의 조인트(6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장스프링(30)에 의한 어느 하나의 지주(10)의 일측과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의 연결이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20)의 일단의 어댑터(21)가 상기 제 1 슬라이딩홀(631)에 걸릴 때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와이어로프(20)가 상기 제 1 슬라이딩홀(631)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로프(50)의 일단의 캡(51)이 상기 제 2 슬라이딩홀(611)에 걸릴 때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로프(50)가 상기 제 2 슬라이딩홀(611)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고,
    상기 각 조인트(60)는
    하나의 하판과 두 개의 측판을 갖는 “[” 형의 횡단면의 절곡판으로 두 개의 측판 각각에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61); 및
    상기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에 상기 각 캡(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을 덮는 커버(6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홀(611)은 상기 브래킷(61)의 두 개의 측판의 홈과 상기 커버(62)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인트(60)는
    반고리형 부위의 내측에 상기 각 어댑터(21)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와이어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형의 양단이 상기 브래킷(61)의 하판의 두 개의 관통공과 상기 커버(62)의 두 개의 관통공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에 상기 커버(62)로부터 돌출되는 U형볼트(63); 및
    상기 커버(62) 상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62)로부터 돌출되는 U형볼트(63)의 양단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래킷(61)을 상기 커버(62)에 결합시키는 너트(6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홀(631)은 상기 브래킷(61)의 하판과 상기 U형볼트(63)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2)는 상기 복수 개의 보조로프(50) 중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보조로프의 간격만큼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쌍의 관통공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띠 형태의 평판으로 상기 브래킷(61)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 각각의 두 개의 측판의 홈에 상기 각 캡(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보조로프 부분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브래킷 각각의 두 개의 측판의 홈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지주(10)의 플랜지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소켓(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인장스프링(30)의 양단 각각은 걸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걸고리형 일단은 상기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의 어댑터(21)에 걸림 결합되고, 걸고리형 타단은 상기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소켓(40)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인장스프링(30) 중 어느 하나에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 양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각 와이어로프(20)의 말단의 어댑터(21)로부터 탈락되거나 상기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소켓(40)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켓(40)은
    횡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사각판이 상기 각 지주(10)의 플랜지 일측의 정면에 고정되는 꺾쇠(41); 및
    일측이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꺾쇠(41)의 타측 사각판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각 인장스프링(30)의 걸고리형 타단과 걸림 결합되는 고리볼트(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석방지펜스.
KR1020160061286A 2016-05-19 2016-05-19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KR101672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86A KR101672788B1 (ko) 2016-05-19 2016-05-19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86A KR101672788B1 (ko) 2016-05-19 2016-05-19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788B1 true KR101672788B1 (ko) 2016-11-04

Family

ID=5753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86A KR101672788B1 (ko) 2016-05-19 2016-05-19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7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725B1 (ko) * 2017-07-17 2018-01-17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KR101828998B1 (ko) * 2016-12-27 2018-0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KR20190066644A (ko) * 2017-12-05 2019-06-14 김재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US11668096B2 (en) * 2020-05-26 2023-06-06 Multirail Stainless Inc. Rope connector, rope assembly and rail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035A (ja) * 2001-12-12 2003-07-03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2005320696A (ja) * 2004-05-06 2005-11-17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柵
KR101023532B1 (ko) * 2010-05-07 2011-03-21 강덕중 완충형 낙석방지펜스
KR101418955B1 (ko) * 2014-04-15 2014-07-21 주식회사 신웅 암파쇄 방호시설용 충격흡수형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035A (ja) * 2001-12-12 2003-07-03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柵および衝撃吸収方法
JP2005320696A (ja) * 2004-05-06 2005-11-17 Yoshida Kouzou Design:Kk 衝撃吸収柵
KR101023532B1 (ko) * 2010-05-07 2011-03-21 강덕중 완충형 낙석방지펜스
KR101418955B1 (ko) * 2014-04-15 2014-07-21 주식회사 신웅 암파쇄 방호시설용 충격흡수형 클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998B1 (ko) * 2016-12-27 2018-02-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KR101819725B1 (ko) * 2017-07-17 2018-01-17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KR20190066644A (ko) * 2017-12-05 2019-06-14 김재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KR102000570B1 (ko) * 2017-12-05 2019-07-17 김재교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 보호망
US11668096B2 (en) * 2020-05-26 2023-06-06 Multirail Stainless Inc. Rope connector, rope assembly and ra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788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US7556242B2 (en) Cable guardrail release system
JP4188998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5005659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
JP5156845B2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
KR10166951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
KR101572505B1 (ko) 사면 낙석방지책
KR20190090188A (ko) 충격 흡수용 가변 지주부를 구비하는 터널형 낙석 방호시설
JP5953281B2 (ja) 防護柵
JP5919098B2 (ja) 防護柵
KR101598405B1 (ko) 차량 방호울타리의 보강방법 및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JP3668964B2 (ja) 防護柵
KR20150129191A (ko)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KR101638783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시설
KR102019396B1 (ko) 낙석방지책 구조물
KR101687830B1 (ko) 보강된 차량 방호울타리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KR20150031259A (ko) 파이프형 에너지 소산 장치가 부설된 낙석방지 울타리
JP3668965B2 (ja) 防護ネット及び防護柵
EA020081B1 (ru) Дамба открытого типа для защиты от селевого потока
KR102264239B1 (ko) 생태계 보존을 위한 소음 방지 방음벽
JP2019027077A (ja) 落石防護柵
KR102576540B1 (ko) 원형로프를 이용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시설
JP7258587B2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支柱、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支柱の施工方法、及び、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
KR102640339B1 (ko) 십자 및 엑스자 복합연결구조의 낙석방지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