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998B1 -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8998B1 KR101828998B1 KR1020160180301A KR20160180301A KR101828998B1 KR 101828998 B1 KR101828998 B1 KR 101828998B1 KR 1020160180301 A KR1020160180301 A KR 1020160180301A KR 20160180301 A KR20160180301 A KR 20160180301A KR 101828998 B1 KR101828998 B1 KR 1018289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housing
- smart sensor
- elastic
- external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 G01R31/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는 양측에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 케이블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케이블의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하고, 길이가 가변되게 구비되는 탄성 연결부재, 상기 제1 케이블의 내측 도선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저항체 및 일단은 상기 제2 케이블의 내측 도선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항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도로 등에는 토사붕괴, 낙석, 차량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펜스가 설치될 수 있으며, 펜스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기둥 부재 및 기둥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철조망 등 기타 위험물 낙하 방지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펜스에는 위험물이 펜스에 충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펜스 상태 검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스 상태 검지 센서는 철조망 등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에 전류를 인가하고, 케이블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펜스 상태 검지 센서가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위험물이 철조망에 충돌하여, 철조망 변형에 의해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 케이블을 통해 흐르던 전류는 더 이상 흐르지 않게 된다. 제어부에서는 이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관리자에게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관리자는 펜스에 이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펜스 상태 검지 센서의 경우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에만 제어부에서 이상신호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였기 때문에 케이블이 단선 직전 위험상황 등에 대한 판단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펜스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펜스의 다양한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는 양측에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 케이블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케이블의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하고, 길이가 가변되게 구비되는 탄성 연결부재, 상기 제1 케이블의 내측 도선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저항체 및 일단은 상기 제2 케이블의 내측 도선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항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체는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에서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길이는 가변되고,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접촉되는 상기 저항체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에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도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도체에 상기 저항체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접촉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기둥 부재, 상기 기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차단망, 상기 차단망에 결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상기 스마트 센서의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단망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전원부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전원부의 다른 하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상기 차단망이 변형되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길이는 가변되고, 상기 연결도체가 접촉하는 상기 저항체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상기 케이블 부재를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는 다양한 펜스의 상태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어셈블리는 펜스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수신하여 열차 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펜스가 연결된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적용되는 외력에 따른 전류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펜스가 연결된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적용되는 외력에 따른 전류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펜스가 연결된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10)는 철도, 도로 등 시설물 보호가 필요한 곳에 토사 붕괴, 낙석,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기둥 부재(11), 상기 기둥 부재(11) 사이를 연결하는 차단망(12), 상기 차단망(12)에 결합되는 스마트 센서(20) 및 상기 스마트 센서(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11)는 복수 개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10) 펜스가 철도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기둥 부재(11)는 철도의 선로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부재(11)는 기둥 부재(11)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하측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기둥 부재(11)의 하측 단부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웃하게 배치되는 기둥 부재(11) 사이에는 차단망(12)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망(12)은 펜스(10) 내측으로 위험물이 유입되거나, 펜스(10) 외측으로 차량 등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철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차단망(12)의 재질은 철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펜스(10)의 내측이란 펜스(10)가 보호해야하는 시설물이 구비된 일측을 의미하며, 펜스(10)의 외측이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망(12)에는 다양한 종류의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붕괴된 토사, 낙석 등이 접촉하여 외력을 가하거나 열차 운행 시 발생되는 기압차에 의한 열풍 등이 접촉하여 외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단망(1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차단망(12)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10)는 상기 차단망(12)에 연결되는 스마트 센서(20) 및 상기 스마트 센서(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센서(20)는 차단망(12)에 연결되는 케이블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부재(220)는 차단망(12)이 변형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 부재(220)를 흐르는 전류값이 변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케이블 부재(220)를 흐르는 전류값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차단망(12)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 센서(20)는 차단망(12)의 변형에 대응하여 저항값이 변하는 일종의 가변저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센서(20)의 상세한 작동원리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에서는 상기 케이블 부재(220)를 흐르는 전류값를 측정함으로써, 차단망(12)에 외력이 작용하였는지 여부 및 작용한 외력의 크기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열차의 운행제어 및 펜스(10)의 유지보수 필요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1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스(10)는 열차의 선로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펜스(10)는 신호케이블(14)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펜스(10)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신호케이블(14)을 통하여 펜스(10)에 구비되는 케이블 부재(220)에 흐르는 전류값 정보를 집중기(15)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집중기(15)에서는 수신한 전류값을 특정 주파수로 변환하여 그 값을 유/무선 방식으로 지상신호장치(16)에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상신호장치(16)에서 수신된 정보, 다시 말해, 복수 개의 펜스(1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20)의 상세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센서(20)는 하우징(210), 케이블 부재(220), 탄성 연결부재(230), 저항체(240) 및 연결도체(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스마트 센서(20)의 외형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스마트 센서(20)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들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양측에는 케이블 부재(220)가 관통하는 케이블 관통홀(211a, 211b)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부재(220)는 펜스(10)의 차단망(12)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차단망(12)이 변형되는 경우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부재(220)는 차단망(12)의 일측으로터 타측을 향해 차단망(12)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방(12)의 일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케이블 부재(220)에는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부재(220)는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211a)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 케이블(221) 및 하우징(210)의 타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211b)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 케이블(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케이블(221) 및 제2 케이블(222) 중 적어도 하나는 차단망(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블과(211)과 제2 케이블(222)은 단선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연결도체(25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케이블(221)은 전원부(13)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케이블(222)은 전원부(13)의 다른 하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13)에서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 전원부(13)와 케이블 부재(220)는 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221) 및 제2 케이블(222)은 탄성 연결부재(230)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연결부재(230)는 제1 케이블(221)과 제2 케이블(222)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 제1 케이블(221)의 단부 및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 제2 케이블(221)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연결부재(230)는 제1 케이블(221)에 연결되는 제1 지지대(231), 제2 케이블(222)에 연결되는 제2 지지대(232) 및 제1 지지대(231)와 제2 지지대(232)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망(12)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차단망(12)에 결합된 제1 케이블(221) 및 제2 케이블(222)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연결부재(230)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으며, 제1 케이블(221)과 제2 케이블(222)의 단부사이 거리는 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케이블(221) 및 제2 케이블(222)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제1 지지대(231)와 제2 지지대(232)를 연결하는 상기 탄성 부재(233)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탄성 연결부재(230)의 전체적인 길이가 인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 부재(233)는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게 되고, 탄성 연결부재(230)의 전체적인 길이는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221)의 내측 도선(221a)에는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저항체(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케이블(222)의 내측 도선(222a)에는 연결도체(2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도체(250)는 상기 저항체(240)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케이블(221)과 상기 제2 케이블(22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10)에는 상기 연결도체(250)의 저항체(240)의 접촉신뢰성 확보를 위해 탄성 접촉 유지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접촉 유지부재(260)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연결도체(250)에 결합되어 연결도체(250)에 저항체(240)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연결도체(250)와 저항체(240)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도체(250)는 케이블 부재(2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하는 저항체(240)가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 부재(22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케이블(221)과 제2 케이블(222)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연결도체(250)가 접촉하는 저항체(240)는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블 부재(22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연결부재(230)의 길이는 가변되고, 이러한 탄성 연결부재(230)의 길이에 대응하여 연결도체(250)와 접촉하는 저항체(240)는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탄성 연결부재(230)의 길이변화가 클수록 연결도체(250)가 접촉하는 저항체(240)의 저항값은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케이블(221)에 구비되는 저항체(240)의 저항값은 제1 케이블(221)의 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도체(250)와 접촉하는 저항체(240)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 스마트 센서(20) 전체 저항값이 변경되며 이로 인해, 스마트 센서(20)를 흐르는 전류값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에서는 이러한 전류값을 측정하여 펜스(10)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30)에서 공급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 스마트 센서(20)를 흐르는 전류값은 연결도체(250)가 접촉하는 저항체(240)의 종류에 따라 값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차단망(12)에 연결된 케이블 부재(220)에 외력이 가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는 차단망(12)에 외력이 가해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전류값의 변화를 통해 차단망(12)에 외력이 가해져있는 지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케이블 부재(220)에 가해지는 외력 크기에 대응하여 탄성 연결부재(230)의 가변길이도 변경되므로, 제어부에서는 케이블 부재(220)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에서는 측정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연결도체(250)가 접촉하고 있는 저항체(240)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연결도체(250)의 이동거리 즉 탄성부재(233)의 변형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수식에 근거하여 제어부에서는 케이블 부재(220)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차단망(12)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F = k * x
(∵ F = 가해진 외력의 크기, k = 탄성부재의 탄성계수, x = 탄성부재의 변형거리)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차단망(12)에 가해지는 외력의 종류에 따른 전류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는 케이블 부재(220)가 단선된 경우, 전류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차단망(12)에 강한 외력이 작용(t1)하고 이로 인해 케이블 부재(220)가 단선된 경우,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된다.
도 4b는 차단망(12)에 열차풍 등 비교적 약한 외력이 인가된 경우, 전류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약한 외력이 차단망(12)에 작용(tl)하는 경우, 연결도체(250)가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마트 센서(20)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값은 감소하게 된다. 이후 외력이 해제(t2)되면 연결도체(250)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스마트 센서(20)의 저항도 외력 작용 전 값으로 변경되어 전류값은 다시 외력 작용전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도 4c는 차단망(12)에 비교적 강한 외력이 인가된 경우 전류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강한 외력이 차단망(12)에 작용(t1)하는 경우, 연결도체(250)가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마트 센서(20)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류값은 감소하게 된다. 이후 외력이 해제(t2)되면 연결도체(250)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스마트 센서(20)의 저항도 외력 작용 전 값으로 변경되어 전류값은 다시 외력 작용전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즉, 도 4c의 그래프의 전체적인 형태는 도 4b에 도시된 그래프와 유사하지만 도 4c에서 전류값의 변화폭(D2)은 도 4b의 전류값 변화폭(D1)보다 크다. 이는 차단망(12)에 작용되는 외력의 크기가 증가할 수록 연결도체(250)의 이동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스마트 센서(20)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만, 전류값의 변화 양상은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도4a 내지 4c에는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 비교적 약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 비교적 강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대한 전류값의 변화 양상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류값의 변화 양상은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 시간, 빈도 수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어부에서는 이렇게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펜스(10) 보다 구체적으로 차단망(12)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으며, 관리자에게 차단망(12) 상태에 상응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열차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펜스 11: 기둥 부재
12: 차단망 13: 전원부
14: 신호케이블 15: 집중기
20: 스마트 센서 210: 하우징
220: 케이블 부재 230: 탄성 연결부재
240: 저항체 250: 연결도체
12: 차단망 13: 전원부
14: 신호케이블 15: 집중기
20: 스마트 센서 210: 하우징
220: 케이블 부재 230: 탄성 연결부재
240: 저항체 250: 연결도체
Claims (10)
- 양측에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1 케이블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케이블 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케이블의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하고, 길이가 가변되게 구비되는 탄성 연결부재;
상기 제1 케이블의 내측 도선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저항체; 및
일단은 상기 제2 케이블의 내측 도선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저항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체;를 포함하는 스마트 센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체는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스마트 센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길이는 가변되고, 상기 연결도체는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접촉되는 상기 저항체가 변경되는 스마트 센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스마트 센서. -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도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도체에 상기 저항체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 접촉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센서. -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기둥 부재;
상기 기둥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차단망;
상기 차단망에 결합되는 상기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스마트 센서; 및
상기 스마트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펜스.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센서의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단망에 결합되는 펜스.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전원부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전원부의 다른 하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펜스.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망이 변형되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부재의 길이는 가변되고, 상기 연결도체가 접촉하는 상기 저항체는 변경되는 펜스.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를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펜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301A KR101828998B1 (ko) | 2016-12-27 | 2016-12-27 |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301A KR101828998B1 (ko) | 2016-12-27 | 2016-12-27 |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8998B1 true KR101828998B1 (ko) | 2018-02-14 |
Family
ID=6122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0301A KR101828998B1 (ko) | 2016-12-27 | 2016-12-27 |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899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81090A (ja) * | 2003-03-12 | 2004-10-07 |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 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
JP2009014583A (ja) * | 2007-07-06 | 2009-01-22 | Noriyuki Kashimoto | 電気柵用動作電圧チェックライト |
KR20120068065A (ko) * | 2010-10-26 | 2012-06-27 | (주)모토닉 | 전기 울타리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KR101418955B1 (ko) * | 2014-04-15 | 2014-07-21 | 주식회사 신웅 | 암파쇄 방호시설용 충격흡수형 클립 |
KR101640032B1 (ko) * | 2015-02-25 | 2016-07-15 | 스마클(주) | 스마트 전기목책 |
KR101672788B1 (ko) * | 2016-05-19 | 2016-11-04 | 주식회사 성화휀스 |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
-
2016
- 2016-12-27 KR KR1020160180301A patent/KR1018289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81090A (ja) * | 2003-03-12 | 2004-10-07 |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 誘電体バリヤ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
JP2009014583A (ja) * | 2007-07-06 | 2009-01-22 | Noriyuki Kashimoto | 電気柵用動作電圧チェックライト |
KR20120068065A (ko) * | 2010-10-26 | 2012-06-27 | (주)모토닉 | 전기 울타리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KR101418955B1 (ko) * | 2014-04-15 | 2014-07-21 | 주식회사 신웅 | 암파쇄 방호시설용 충격흡수형 클립 |
KR101640032B1 (ko) * | 2015-02-25 | 2016-07-15 | 스마클(주) | 스마트 전기목책 |
KR101672788B1 (ko) * | 2016-05-19 | 2016-11-04 | 주식회사 성화휀스 |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7063B1 (ko) | 다중 전류 센서 시스템 | |
CN101529972B (zh) | 具有熔线的功率控制器 | |
KR101780712B1 (ko) |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 |
CN112067201B (zh) | 用于机动车辆的转向装置 | |
KR102529912B1 (ko) | 배터리 시스템의 수분 유입 감지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 |
CN102985794A (zh) | 用于检测开关装置的开关状态的方法 | |
JP2008527317A (ja) | 2つのスイッチングレベルをもつセンサマット | |
KR101828998B1 (ko) | 스마트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펜스 | |
US9669733B2 (en) | Self-insulated modular power supply line | |
KR102586965B1 (ko) | 침입 감지 시스템 | |
CL2021002211A1 (es) | Montaje de barrera de seguridad vial para detectar impacto de un vehículo. | |
CN102722955A (zh) | 一种器件与线型感温复合的差定温火灾探测器 | |
KR20190074682A (ko) | 침수 및 수위 감지용 센서 모듈 | |
RU2522895C2 (ru) | Инерционный датчик | |
JP6298327B2 (ja) | 雪崩検知装置 | |
KR101598985B1 (ko) | 산사태 경보 장치 | |
EP1899997B1 (en) | Foil-type switch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use in collision detection systems | |
US20210025927A1 (en) |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al currents on or in the vicinity of electrical conductors | |
KR102307358B1 (ko) | 낙석방지망 안전성 평가 및 모니터링을 위한 커플러 | |
CN105932973A (zh) | 一种固态微波功率放大器的控制保护电路 | |
JP2020521145A (ja) | 導体上または導体付近の電流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 |
KR102684494B1 (ko) | 위험 감지 기반 자동 전력차단시스템 | |
JPS6191576A (ja) | 電力ケ−ブルの事故区間検出方法 | |
CN112447017B (zh) | 一种断路时报火警的缆式线型感温火灾探测器 | |
KR102459272B1 (ko) | 노면 상태 감지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