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712B1 -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712B1
KR101780712B1 KR1020170044550A KR20170044550A KR101780712B1 KR 101780712 B1 KR101780712 B1 KR 101780712B1 KR 1020170044550 A KR1020170044550 A KR 1020170044550A KR 20170044550 A KR20170044550 A KR 20170044550A KR 101780712 B1 KR101780712 B1 KR 101780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s
current
current value
transmission lin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이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성 filed Critical 이호성
Priority to KR102017004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ating Fault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는, 송전탑에 의해 지지되며,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송전선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전류값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류값을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전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류 프로파일에서, 이상 프로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상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존재되는 상기 이상 프로파일의 위치를 사고 위치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고 위치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DETECTING DEVICE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 FAULT LOCATION}
본 발명은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신뢰성을 확보한 사고 위치에서의 송전선 일부분을 재점검 및 재점검 결과 최종적인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그 일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산, 송전선로는 전력공급을 위하여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변전소를 통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시설로서 현대사회에서 송전시설의 사고는 장시간의 전력공급중단에 직접 연결되어 사회적으로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지상에 설치되는 송전선로는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송전탑 등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 송전선로는 전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시설되므로 바람, 눈, 비, 낙뢰 등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송전선로의 사고는 예기치 못한 요인에 의해 지락 또는 단락되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송전탑에 낙뢰가 직격됨에 따라 송전선로가 손상되는 낙뢰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낙뢰에 의한 낙뢰사고 발생 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게 되고,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순시점검 등을 통한 예방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에서의 송전선 일부분을 점검할 뿐, 사고 위치의 신뢰성을 판단 할 수 없고, 해당 사고 위치에서의 즉각적인 대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03834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의 사고 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신뢰성을 확보한 사고 위치에서의 송전선 일부분을 재점검 및 재점검 결과 최종적인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그 일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는, 송전탑에 의해 지지되며,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송전선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전류값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류값을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전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류 프로파일에서, 이상 프로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상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존재되는 상기 이상 프로파일의 위치를 사고 위치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고 위치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이상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사고 위치에서의 상기 송전선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고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고 학인부는,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확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에는, 상기 송전선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는,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사고 위치에서의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한 쌍의 측정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 각각은,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와, 상기 장치 몸체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 강제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 내부에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는 송전 라인에 접촉되어 상기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상기 한 쌍의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 몸체에는, 상기 관통홀에 노출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외면에 레일 결합되어 회전되는 휠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휠을 회전시켜 상기 장치 몸체를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송전선의 사고 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신뢰성을 확보한 사고 위치에서의 송전선 일부분을 재점검 및 재점검 결과 최종적인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그 일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확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확인 장치가 송전선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로 확인 장치가 이동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로 확인 장치가 이동 배치되어, 사고 위치에서 연결 라인을 통해 송전 라인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확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확인 장치가 송전선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로 확인 장치가 이동 배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로 확인 장치가 이동 배치되어, 사고 위치에서 연결 라인을 통해 송전 라인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는, 송전탑에 의해 지지되며,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송전선(1)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100)와, 상기 전류 측정부(100)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전류값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류값을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전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류 프로파일에서, 이상 프로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상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존재되는 상기 이상 프로파일의 위치를 사고 위치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사고 위치 판단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이상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송전선(1)의 사고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사고 위치에서의 상기 송전선(1)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사고 확인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사고 확인부(500)는,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확인 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400)에는, 상기 송전선(1)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420)가 각각 설치된다.
특히,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400)는,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의 사고 위치에서의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한 쌍의 측정기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400) 각각은,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이 관통되는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410)와, 상기 장치 몸체(410)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420)와, 상기 장치 몸체(41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에 강제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1) 내부에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는 송전 라인(1a)에 접촉되어 상기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한 쌍의 측정기(43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정기(430)는 보조 전류 확인부이다.
상기 장치 몸체(410)에는, 상기 관통홀(411)에 노출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의 외면에 레일 결합되어 회전되는 휠(440)이 설치된다.
상기 휠(440)은,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휠(440)을 회전시켜 상기 장치 몸체(410)를 상기 다수의 송전선(1) 각각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460)를 구비한다.
상기 휠(440)은 다수로 설치되고, 휠들(440)의 구동에 따라, 장치 몸체(410)를 송전선(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장치 몸체(410)에는 이동 위치값을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위치 센서(45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정기(430)는, 모터축(미도시)을 갖는 모터(431)와, 모터축에 고정되는 금속의 스크류(432)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431)는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정역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스크류(432)를 회전시킨다.
상기 스크류(432)는 회전에 따라 송전선(1)의 외면 피복을 강제로 파고들어 그 내부에 마련되는 송전 라인(1a)에 강제로 접촉되어,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432) 내부에는, 감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센서(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센서는 상기 스크류(4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더하여, 한 쌍의 측정기(430)는 연결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 수단은, 한 쌍의 스크류(43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433)과, 상기 연결 라인(433)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라인(433)의 전류 흐름을 개폐하는 스위치(434)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434)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구동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고 위치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사고 위치에성의 전류 흐름 상태를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이후 실제로 송전선 교체 등의 작업시 까지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류 측정부
200 : 제어부
300 : 사고 위치 판단부
400 : 확인 장치
500 : 사고 위치 확인부

Claims (5)

  1. 송전탑에 의해 지지되며, 설정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송전선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전류값이 기설정되는 기준 전류값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류값을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인 전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전류 프로파일에서, 이상 프로파일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상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존재되는 상기 이상 프로파일의 위치를 사고 위치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고 위치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이상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송전선의 사고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사고 위치에서의 상기 송전선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사고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 확인부는,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확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에는, 상기 송전선의 외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확인 장치는,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사고 위치에서의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한 쌍의 측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정기 각각은, 상기 다수의 송전선각각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와, 상기 장치 몸체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에 강제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 내부에 형성되어 전류가 흐르는 송전 라인에 접촉되어 상기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한 쌍의 측정기는 보조 전류 확인부이고,
    상기 장치 몸체에는, 상기 관통홀에 노출되어,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외면에 레일 결합되어 회전되는 휠이 설치되고,
    상기 휠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휠을 회전시켜 상기 장치 몸체를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휠은 다수로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휠의 구동에 따라, 상기 장치 몸체는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장치 몸체에는 이동 위치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정기는, 모터축을 갖는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고정되는 금속의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정역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고,
    상기 스크류는 회전에 따라 상기 다수의 송전선 각각의 외면 피복을 강제로 파고들어 그 내부에 마련되는 송전 라인에 강제로 접촉되어, 전류값을 측정하되,
    상기 스크류 내부에는, 감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스크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정기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연결 수단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스크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과,
    상기 연결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라인의 전류 흐름을 개폐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KR1020170044550A 2017-04-06 2017-04-06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KR101780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550A KR101780712B1 (ko) 2017-04-06 2017-04-06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550A KR101780712B1 (ko) 2017-04-06 2017-04-06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712B1 true KR101780712B1 (ko) 2017-10-10

Family

ID=6019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550A KR101780712B1 (ko) 2017-04-06 2017-04-06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7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95B1 (ko)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감시장치
KR102252399B1 (ko)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 및 수신신호 식별id 설정방법
KR102258883B1 (ko) 2021-02-23 2021-06-01 주식회사 열림이텍 배전선로 상에서 선로사고 발생지점 검출방법
KR102266785B1 (ko) 2021-03-09 2021-06-18 (주)영의 배전선로 감시장치에 대한 자동점검 및 교체된 감시장치의 자동설정 방법
KR102266781B1 (ko) 2021-03-09 2021-06-18 (주)영의 고장난 배전선로 감시장치에 대한 위치파악 및 교체된 감시장치의 자동설정 방법
KR102573042B1 (ko) * 2023-03-08 2023-08-31 (주)하나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단선 검출 및 복구장치 및 이를 갖는 배전선로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119B1 (ko) * 2013-01-22 2013-06-20 (주) 주암전기통신 송전선로 점검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119B1 (ko) * 2013-01-22 2013-06-20 (주) 주암전기통신 송전선로 점검로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95B1 (ko)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감시장치
KR102252399B1 (ko)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 및 수신신호 식별id 설정방법
KR102258883B1 (ko) 2021-02-23 2021-06-01 주식회사 열림이텍 배전선로 상에서 선로사고 발생지점 검출방법
KR102266785B1 (ko) 2021-03-09 2021-06-18 (주)영의 배전선로 감시장치에 대한 자동점검 및 교체된 감시장치의 자동설정 방법
KR102266781B1 (ko) 2021-03-09 2021-06-18 (주)영의 고장난 배전선로 감시장치에 대한 위치파악 및 교체된 감시장치의 자동설정 방법
KR102573042B1 (ko) * 2023-03-08 2023-08-31 (주)하나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단선 검출 및 복구장치 및 이를 갖는 배전선로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712B1 (ko)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KR101948523B1 (ko) 변전시설물 유지 관리방법
KR101720322B1 (ko) 지중 배전선로 구간별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101041576B1 (ko) 적외선 온도감지센서를 이용한 버스바 온도감지장치
KR100961899B1 (ko) 레일의 절손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CN211954433U (zh) 一种电缆自动检测机器人
US20150380145A1 (en) Switching Arrangement
CN101837736B (zh) 一种电力机车供电系统漏电流检测方式及装置
ES2338543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supervision de conmutadores en instalaciones de conmutacion electrica.
KR20200062680A (ko) 이동 센싱을 통한 지중 배전선로 구간별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20150063530A (ko) 케이블 하니스의 다수의 전기 에너지 라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CN105431342A (zh) 用于监控被引导车辆的正确复轨的方法和设备
RU24829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дефекта в проводе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CN106226620B (zh) 一种供电设备监察系统
KR100922632B1 (ko) 송배전선로용 이상판별장치
KR101540112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1972325B1 (ko) 개폐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EP2962915B1 (en) Supervision device and sensor device comprising a supervision device
KR100645167B1 (ko) 가공 송전선 낙뢰 및 사고지점 검출장치
KR20180136808A (ko) 접지 안전성 측정 기능을 구비한 gis용 접지개폐기
FI3507612T3 (fi) Laite sähköisen käyttömoottorin avulla käytetyn mekaanisen laitteiston diagnosoimiseksi
CN206563789U (zh) 一种激光超声在线检测装置
KR100592845B1 (ko) 가공 송전선 낙뢰 및 사고지점 검출 장치
KR10240560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KR101062313B1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