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600B1 -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600B1
KR102405600B1 KR1020210165748A KR20210165748A KR102405600B1 KR 102405600 B1 KR102405600 B1 KR 102405600B1 KR 1020210165748 A KR1020210165748 A KR 1020210165748A KR 20210165748 A KR20210165748 A KR 20210165748A KR 102405600 B1 KR102405600 B1 KR 102405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tribution line
power supply
monitoring uni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21016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상상황 발생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전력공급수단이 구비된 배전선로 구축되는 단계;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 관리기록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 주변부가 감시관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는 이상판별장치에 의하여 이상이 판별되되, 상기 이상판별장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압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을 통하여 상기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제 1신호처리부와, 상기 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출력하는 제 2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of a line power supply blocking system}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가 지락 또는 단락되거나 낙뢰에 의한 지락사고가 발생될 경우에 이들의 사고위치를 정확히 파악함과 아울러 그 크기를 선로측에 설치되는 볼센서에 설치할 수 있도록 소형화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룰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배전선로는 건축물 또는 공장 또는 공동주택 등에 상업용 전원에 의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로 또는 전력케이블이다.
전력공급을 위하여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변전소를 통하여 각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시설로서 현대사회에서 전력시설의 사고는 장시간의 전력공급중단에 직접 연결되어사회적으로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지상에 설치되는 배전선로는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배전탑 등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 배전선로는 전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시설되므로 바람, 눈, 비, 낙뢰 등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배전선로의 사고는 예기치 못한 요인에 의해 지락 또는 단락되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배전탑에 낙뢰가직격됨에 따라 배전선로가 손상되는 낙뢰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낙뢰에 의한 낙뢰사고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게 되고,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순시점검 등을 통한 예방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낙뢰사고에 의해 배전선이 단락된 경우 배전선에는 부하전류의 수배에서 수십배에 달하는 다량의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배전탑에 설치된 승압기 등 전기기기의 항장력을 약화시켜 해당 전기기기의 이상동작을 초래하게 한다.
따라서, 배전탑에 지락 또는 단락사고 및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이를 신속히 검출하여 고장구간의 전기공급을 중단시키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고구간 검출장치를 설치하여 사고에 대처하였다.
도 1은 종래 가공 배전선의 사고구간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선로(20)를 지지하도록 다수개의 배전탑(10)이 형성되고, 상기 배전선로(20)상에 전류변환기(30)가 설치되며, 상기 전류 변환기(30)에 의해 검출된 전류를 저장하여 전송하는 전송장치(40)가 형성된다.
상기 배전선로(20)는 배전탑(10)의 상측 끝단부를 지나는 가공 지선(22)과 중간 상부를 지나는 가공 배전선(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 지선(22)에는 상기 전류 변환기(30)가 설치된다.
배전탑(10)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전류 변환기(30)에 의해 검출된 전류를 저장하여 중앙 제어부(50)로 전송하도록 전송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 전송장치(40)에는 수신장치(미도시)가 형성되어 이상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그 시간을 측정하여 중앙 제어부(50)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50)에서는 상기 전송장치(40)에서 전송하는 전류의 파형과 수신장치에서 측정한 시간등을 토대로 배전선로(20)의 지락 또는 단락된 구간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전류 변환기(30)는 철심의 히스테리시스 특성 때문에 설계보다 큰 전류가 가공 지선(22)에 흐를경우 사고구간을 검출하기 곤란하고, 낙뢰와 같은 순간 발생되는 빠른 주파수의 전류에 대해서는 검출을 할 수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검출장치는 사고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가 검출되면 신호를 발송하기 때문에 검출장치가 설치된 두개의 배전탑 사이구간을 검사해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1100800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지락 또는 단락사고 및 낙뢰사고로 인한 사고구간 및 사고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전 선로상에 직접 설치되는 볼센서의 네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로고스키 코일을 적용하여 그 크기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볼센서의 내부에서 배전선로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어 초기 제공을 위한 준비시점에서부터 설치 운용 전반에 이르는 부분에서 시스템의 검증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사후에 입증자료로 제공가능하여 문제의 발생원인과 배상책임 등을 명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하여 즉각적인 실시간 조치가 가능하여 대량 작업과 대량 설치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오류와 피해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대상을 모니터하고, 주변 기후적 환경 혹은 동작조건 및 오염 노출상황 등에 대응하여 전체적 혹은 일부분의 보호수납, 동작의 선택적 제어 등이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수단 자체의 내진구조와 충격완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동작이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전선로가 구축되는 단계;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 낙뢰방지를 위한 수단이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 관리기록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 주변부가 감시관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는 이상판별장치에 의하여 이상이 판별되되, 상기 이상판별장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압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을 통하여 상기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제 1신호처리부와, 상기 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출력하는 제 2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지락 또는 단락사고 및 낙뢰사고로 인한 사고구간 및 사고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 선로상에 직접 설치되는 볼센서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로고스키 코일을 적용하여 그 크기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볼센서의 내부에서 배전선로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어 초기 제공을 위한 준비시점에서부터 설치 운용 전반에 이르는 부분에서 시스템의 검증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증과 관리를 사후에 입증자료로 제공가능하여 문제의 발생원인과 배상책임 등을 명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증과 관리를 수행하여 즉각적인 실시간 조치가 가능하여 대량 작업과 대량 설치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오류와 피해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증과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대상을 모니터하고, 주변 기후적 환경 혹은 동작조건 및 오염 노출상황 등에 대응하여 전체적 혹은 일부분의 보호수납, 동작의 선택적 제어 등이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수단 자체의 내진구조와 충격완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동작이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배전선의 사고구간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신호처리부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신호처리부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신호처리부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신호처리부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은 선로(미도시) 상에 배치되는 볼센서(미도시)와 같은 장치의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부(100)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100)는 로고스키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고스키 코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단에 마련되며 외경(D)이 100mm인 제 1체결부(111)와, 상기 몸체(110)의 타단에 마련되며 내경(d)이 80mm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체결부(111)에 끼워져 클램핑되는 제 2체결부(1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체결부(111)의 단면두께(t1)와 제 2체결부(112)의 단면두께(t2)는 10mm 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고스키 코일은 센서코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는 다수의 배전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압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00)는 제 1신호처리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신호처리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을 통하여 상기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 1신호처리부(200)는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적분기(210)와, 상기 적분기(210)로부터 검출된 전압값을 기설정된 기준전압값과 비교하여, 전압값의 이상유무를 판별하여 서로다른 전류신호로 출력하는 비교기(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분기(210)는 상기 센서부(100)의 검출 전압값 중 평상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값을 정상전류파형으로 변형하도록 형성된 제1적분기(211)와, 상기 센서부(100)의 검출 전압값 중 사고에 의해 검출된 전압값을 사고전류파형으로 변형하도록 형성된 제2적분기(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00)로부터 검출되어 출력된 전압값은 프리엠프(201)를 거치고, 제 1,2적분기(211,212)로 전송된다.
상기 제 1,2적분기(211,212) 각각은 상기 검출된 전압값 중에 선택적으로 전압값을 검출한다.
이 검출된 전압값은 비교기(220)에 의하여 기준전압값과 동일한 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따라서, 평상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값이 기준전압값과 동일한 경우에는 정상전류값이므로 제 1적분기(211)는 정상전류파형으로 변형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고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값이 기준전압값과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사고전류값이므로 제 2적분기(212)는 사고전류파형으로 변형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2적분기(211,212)는 외부의 제어부(500) 또는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에 의하여 사고전류파형을 감지하게 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사고전류파형을 가시적으로 확인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은 상기 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출력하는 제 2신호처리부(300)와, 상기 제 1신호처리부(200)와 상기 제 2신호처리부(3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사고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상기 제 2신호처리부(300)는 상기 센서부(100)의 검출 전압값 중 낙뢰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값을 서지전류파형으로 변형하도록 형성된 서지적분기(310)와, 상기 서지 적분기(310)에 의한 서지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출력하는 극성판별기(320)를 구비한다.
상기 극성판별기(320)는 서지적분기(310)에서 검출된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positive'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된 제1극성판별기(321)와, 상기 서지적분기(310)에서 검출된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negative'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된 제2극성판별기(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00)로부터 검출되어 출력된 전압값은 프리엠프(301)를 거치고, 서지분석기(310)로 전송된다.상기 서지분석기(310)는 이 검출된 전압값을 제 1극성판별기(321)와 제 2극성판별기(322)로 각각 전송한다.
상기 제 1극성판별기(321)는 상기 서지적분기(310)에서 검출된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positive' 신호를 출력할수 있고, 상기 제 2극성판별기(322)는 상기 서지적분기(310)에서 검출된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negative'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 2극성판별기(322)의 신호에서 'negative'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이 출력되는 'negative' 신호는 제어부(500)로 전송되고, 제어부(500)는 상기 'negative' 신호가 발생된 선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500)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함으로써, 검출된 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배전선로가 구축되는 단계;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 낙뢰방지를 위한 수단이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 관리기록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 주변부가 감시관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전선로는 이상판별장치에 의하여 이상이 판별되되, 상기 이상판별장치는, 다수의 배전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전압값으로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값을 통하여 상기 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별하는 제 1신호처리부와, 상기 선로에서 흐르는 전류값의 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출력하는 제 2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기록유닛은,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촬영을 수행하는 관리모듈이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기록유닛은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모듈가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상기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관리기록유닛은, 상기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상기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31')가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이 무회전되는 일반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수용모듈(310')이 축회전되는 회전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되, 상기 제1감시부(CM1)는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감시부(CM2)는 상기 제1감시부(CM1)와 대향하도록 상기 수용모듈(310')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장착체(341')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장착체(3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장착체(341')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1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1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1강도보다 약한 제2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2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은, 각각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가동모듈(2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구동패널(352')과,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 사이에 구비되는 하방가동모듈(3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일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4온도조절부(361')가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타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5온도조절부(362')가 구비된다.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제2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유체분사를 수행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제2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한다.
아울러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는 상기 제1장착체(341')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제2장착체(342')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3장착체(370')와 상기 제3장착체(370') 좌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3장착체(370') 우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5장착체(37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5장착체(37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3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3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3강도보다 약한 제4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4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은, 상기 제1기동모듈과 상기 제2기동모듈로부터 상하로 제2위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은,상기 제2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3장착체(370'), 상기 제4장착체(371') 및 상기 제5장착체(37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관리기록유닛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둥모듈(1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1고정모듈(4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5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기둥모듈(1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1연장부(1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모듈(410')은, 하부의 제1본체패널(411')과, 상기 제1본체패널(4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서브압입모듈(4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본체패널(411')은 상기 제1연장부(1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1압입모듈(412')은 상기 제1연장부(1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 제2기둥모듈(2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2연장부(2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모듈(510')은, 하부의 제2본체패널(511')과, 상기 제2본체패널(5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압입모듈(5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2서브압입모듈(513')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패널(511')은 상기 제2연장부(2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은 상기 제2연장부(2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압입을 수행하되,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과 함께 상기 제1기둥모둘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향하여 둘레방향회전과 함께 근접이동이 가미되어 압입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에 제1연장바(4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1고정플랜지(4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에 제2연장바(5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2고정플랜지(5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한다.
아울러 상기 제1연장바(4131')와 상기 제2연장바(5131')의 하강에 기반하여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가 상기 제1기둥모둘(1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하부로 당겨 고정력을 부여한다.
상기 관리기록유닛은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체(610')가 덮어지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에 안착되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관리기록유닛을 밀폐시켜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상기 유체분사와 상기 제2유체분사에 따라 유체가 내부 충진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100 : 센서부 110 : 몸체
111 : 제 1체결부 112 : 제 2체결부
200 : 제 1신호처리부 210 : 적분기
220 : 비교기 300 : 제 2신호처리부

Claims (2)

  1.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상상황 발생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전력공급수단이 구비된 배전선로가 구축되는 단계;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 관리기록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 주변부가 감시관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배전선로는 이상판별장치에 의하여 이상이 판별되되,
    상기 관리기록유닛은,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촬영을 수행하는 관리모듈이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제1구동몸체(115')와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되며,
    상기 관리기록유닛은,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31')가 구비되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32')가 구비되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되되,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이 무회전되는 일반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수용모듈(310')이 축회전되는 회전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고,
    상기 제1감시부(CM1)는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감시부(CM2)는 상기 제1감시부(CM1)와 대향하도록 상기 수용모듈(310')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2. 삭제
KR1020210165748A 2021-11-26 2021-11-26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KR102405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748A KR102405600B1 (ko) 2021-11-26 2021-11-26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748A KR102405600B1 (ko) 2021-11-26 2021-11-26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600B1 true KR102405600B1 (ko) 2022-06-08

Family

ID=8198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748A KR102405600B1 (ko) 2021-11-26 2021-11-26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669A (ko) * 2007-11-16 2009-05-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송/배전선로용 사고위치 검출장치
KR101811008B1 (ko) 2016-06-13 2017-12-21 에이치제이산전(주) 낙뢰 선로 구분 표시 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KR102269832B1 (ko) * 2021-03-03 2021-06-28 장덕혜 배전 전신주 매립 고정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669A (ko) * 2007-11-16 2009-05-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송/배전선로용 사고위치 검출장치
KR101811008B1 (ko) 2016-06-13 2017-12-21 에이치제이산전(주) 낙뢰 선로 구분 표시 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KR102269832B1 (ko) * 2021-03-03 2021-06-28 장덕혜 배전 전신주 매립 고정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ryulin et al. Method for cable lines insulation monitoring
KR101847864B1 (ko) Mems 가속도센서 기반 부분방전/결함 위치 검출 방법 및 검출시스템
KR102355069B1 (ko)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1780712B1 (ko) 송전선 사고 위치 검출 장치
US10884049B2 (en) Distribution network coordination in the presence of intermittent faults
CA262446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faults within a power circuit utilizing dynamically modified inrush restraint
KR101521134B1 (ko) 낙뢰 경보, 예방 시스템
KR102405603B1 (ko) 배전선로 전신주의 낙뢰방지 시스템 제공방법
US11081878B2 (en) Method for coordinating switches in multiple reclosers in a distribution feeder line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 fault
KR101902716B1 (ko) 절연 열화 감시 장치
KR10240560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US6087836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insulation on the wire in a winding
KR100922632B1 (ko) 송배전선로용 이상판별장치
KR102399938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원 케이블 관리시스템 운용방법
KR200432468Y1 (ko) 피뢰기 고장 원격 무선 검지 장치
US5532601A (en) Circuit integrity test system
JPS62207974A (ja) 避雷碍子の監視システム
EP0942292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able oversheath faults and installations in which they are used
JP3305815B2 (ja) 電力ケーブル故障点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62031B1 (ko) 고압 차단기 부스 클립 이상온도 자동 검출장치
JP3226554B2 (ja) 送電線路の事故発生区間の標定方法
KR101814704B1 (ko) 발전기 권선 흡습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600904B1 (ko) 신재생에너지가 융복합 적용된 스마트팜의 에너지 누설 및 절연저항 측정 방법 및 모니터링 방법
KR20190003104U (ko) 메인 변전실 온도감시 및 역률 제어 시스템
US5552712A (en) Method for in-place circuit integrity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