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69B1 -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69B1
KR102355069B1 KR1020210126314A KR20210126314A KR102355069B1 KR 102355069 B1 KR102355069 B1 KR 102355069B1 KR 1020210126314 A KR1020210126314 A KR 1020210126314A KR 20210126314 A KR20210126314 A KR 20210126314A KR 102355069 B1 KR102355069 B1 KR 10235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panel
driving
monitoring
monitor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철
Original Assignee
노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철 filed Critical 노영철
Priority to KR102021012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관제서버가, 자신의 ID를 제1정보로 포함시킨 제1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모든 감시장치가, 상기 제1신호에 자신의 ID를 제2정보로 더 포함시킨 제2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선로 감시시스템은,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에서 발생되는 지락, 단선 또는 단락사고 발생위치를 감지하여, 근거리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관제서버에 전송하기 위하여, 배전선로 상에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경간마다 설치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는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가 설치되는 과정 및 설치 이후의 상기 전주 및 상기 전주 주변의 상황을 지속관리하기 위한 관리설비가 구비되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FOR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으로 고장구간을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인공지능으로 판단한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상에 지락(전선이 끊어져 땅에 붙어 접지되는 경우) 또는, 단락(서로 다른 상(phase)의 선로들이 붙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그 사고가 발생한 고장점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에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찾기 위하여 변전소 차단장치를 동작시켜 가면서 현장의 조작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주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사고 지점에 관한 정보를 서로교환함으로써 고장점을 찾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복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전 시간이 길어져전력 소비자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변압기에 연결된 배선선로의 장애 또는 사고 발생시 그 고장점의 위치를 인공지능으로 신속히 파악하고 복구하여 정전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신뢰성과 수용가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113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장구간을 인공지능으로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의 설치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이상발생과 파손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관제서버가, 자신의 ID를 제1정보로 포함시킨 제1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모든 감시장치가, 상기 제1신호에 자신의 ID를 제2정보로 더 포함시킨 제2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선로 감시시스템은,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에서 발생되는 지락, 단선 또는 단락사고 발생위치를 감지하여, 근거리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관제서버에 전송하기 위하여, 배전선로 상에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경간마다 설치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는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가 설치되는 과정 및 설치 이후의 상기 전주 및 상기 전주 주변의 상황을 지속관리하기 위한 관리설비가 구비되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장구간을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의 설치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이상발생과 파손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잇는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에 실장되는 기판 혹은 모듈의 실장예를 보인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100)는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제어부(130);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출력하는 감지부(110);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120); 및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온되는 램프부(140); 배전선로 상에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170);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하는 장력센서(180); 및 램프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110)는 전류감지센서, 전압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부(110)는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할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판단부(120)는 예를 들면, 감지데이터의 수치가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장판단부(120)는 기 설정된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데이터수치를 감지데이터와 비교하여 단계적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장판단부(120)는 예를 들어 전류 데이터의 기 설정데이터가 각각 1A, 2A, 3A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감지데이터의 전류값이 1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단계로, 2A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의 단계로, 3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험 단계로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계적 고장여부 판단은 설정에 따라 전류, 전압 및 온도 데이터의 수치를 조합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장판단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140)는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어 동작한다. 이러한 램프부(140)는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램프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 및 색상, 조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부(150)는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 순찰자, 순찰차량(40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RF, 지그비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장정보는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위치, 제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1통신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1통신부(150)는 외부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고장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RFID태그 방식을 이용하여 순찰자나 순찰차량 등이 접근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고장 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제2통신부(160)는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160)는 예를 들면, CDMA, WiBro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며, 램프부(140)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통신부(160)에서 수신한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이용하여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 개폐기 등에 설치되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는 배전기기 고장정보, 고장방향 등의 각종 상태정보를 배전센터(200)에 전송하며, 배전센터(200)는 이로부터 넓은범위의 고장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배전센터(200)는 고장 발생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제2통신부(16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고장 발생 지역에 해당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지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100)는 1차적으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램프부(140)와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장판단부(12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램프부(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
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고장판단부(120)에서 단계적으로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램프부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예를 들면, 단계적 고장여부가 경고, 주의, 위험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 순으로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는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색상은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울기센서(170)는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기울기센서(170)는 예를 들면, 전주의 기울어짐에 의해 배전선로의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기울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판단부(120)는 기울기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력센서(180)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장력센서(180)는 예를 들면, 착빙과 풍압 등에 의하여 배전선로에 이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판단부(120)는 장력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400)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전선로의 주변에 도착한 후램프부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은 제1통신부에서 전송하는 고장정보를 전송받아 램프부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램프부(140)의 상부에 외부에서 입사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램프부(140)에서 나오는 빛을 좀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장치(100)는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는데, 이를 테면 도 5의 예시와 같이, 가공 배전선(L)상에 감지함체(100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함체(1000)에는 앞서 설명한 제어부(130)를 비롯하여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보드 혹은 모듈 형태로 실장된다.
이를 테면, 제어부(130)가 메인보드 형태, 즉 기판상으로 내장되고, 이 메인보드 형태의 제어부(130)에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 등이 슬롯접속 방식으로 실장되어 탑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함체(1000)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가공 배전선(L)에 설치되기 위해 상단면 양측에는 고정구(2000)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2000)도 가공 배전선(L) 상에 직접 걸려 고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당연히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2000)는 내부에 가공 배전선(L)이 끼워져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고정구본체(2100)와, 상기 고정구본체(2100)의 하단면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감지함체(1000)의 상단면에 나사체결되는 함체고정로드(2200)와, 상기 가공 배전선(L)이 삽입된 공간 입구를 상하로 결속하여 가공 배전선(L)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전선이탈방지구(2300)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설치지점의 가공 배전선(L) 상에 단지 걸어 두는 방식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전선이탈방지구 (2300)를 충분히 조이면 가공 배전선(L)을 무는 힘이 더 세져 가공 배전선(L)을 타고 감지함체(1000)가 슬라이딩되거나 혹은 슬립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감지함체(1000)는 무게중심이 가공 배전선(L) 보다 훨씬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뒤집어지지도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설치위치에 고정된 채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다. 물론, 이러한 감지함체(1000)는 볼륨이 크지 않아 설치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덧붙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은 다수의 탑재슬롯(132)이 마련 되어 있고, 탑재슬롯(132)과 직교되는 양측에는 상기 감지함체(1000) 혹은 감지함체(1000)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미도시) 상에 고정된 슬라이딩가이더(134)이 마련되어 기판 혹은 모듈 형태를 갖는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실장될 때 그 양측을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에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보드형제어부(130)를 향해 밀게 되면 이들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슬라이딩가이더(134)을 타고 이동하다가 그 선단에 구비된 단자(TR)들이 상기 탑재슬롯(132)에 삽입됨과 동시에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다수의 전기 전자 소자들의 복합체인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신호처리를 하게 된다. 그런데, 감지함체(1000)가 외부 충격을 받거나 혹은 진동, 작업자가 정확하게 끼워넣지 못한 경우 등에 의해 이들이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의 접속불량에 의해 신호처리가 불량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것은 작업자가 덜 끼움으로 인해 발생되기도 하며, 또한 이들 기판 혹은 모듈(즉, 감지부, 고장판단부, 제1,2
통신부를 말함)을 탑재슬롯(132)에 끝까지 완벽하게 밀어 넣어 고정하려면 많은 힘을 주어야 하고, 빡빡할 경우에는 잘 끼워지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선단에서 회동되는 견착유도구(1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견착유도구(110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반의 일부가 절단된 수직단면(1110)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반의 일측면에는 회동중심축(112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중심축(1120)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일단면에 삽입된 후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견착유도구(1100)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판면에서 회전되면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며, 잠금전에는 상기 수직단면(1110)이 슬라이딩가이더(134)의 개방부까지 침범하지 않고 그 외측에 서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잠금방향으로 회전되면 세워져 있던 수직단면(1110)이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딩가이더(134)의 개방부쪽으로 침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중심축(1120)이 고정된 원반면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회동중심축(11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원반표면에서 수직단면(1110)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부(113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부(1130)는 상기 수직단면(11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3 정도의 길이 범위내에서만 형성된다. ]이것은 견착유도구(1100)가 회동중심축(112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기판 혹은 모듈의 후단과 접촉할 수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경사면부(1130)에서 가장 큰 단차는 D이며, 이 D 만큼 유격이 발생되어 기판 혹은 모듈이 덜 삽입된 경우 라도 견착유도구(1100)를 회전시키면 경사면부(1130)에 기판 혹은 모듈의 후단이 걸리면서 미끄러지듯이 경사면
부(113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려고 한다. 그러나, 견착유도구(1100)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인 기판 혹은 모듈이 밀려 들어가면서 보다 긴밀하면서 완전한 삽입과 정확한 견착, 즉 실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단면(1110) 반대쪽 견착유도구(1100)의 둘레면 중심에는 체결홈(1140)이 더 형성되고, 상기체결홈(1140)에는 손잡이(1150)가 체결되어 견착유도구(1100)의 회동을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9 내지 도 13는 도 1에 따른 주요 구성들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전술하 내용을 기반하으로 도 9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관제서버가, 자신의 ID를 제1정보로 포함시킨 제1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모든 감시장치가, 상기 제1신호에 자신의 ID를 제2정보로 더 포함시킨 제2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선로 감시시스템은,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에서 발생되는 지락, 단선 또는 단락사고 발생위치를 감지하여, 근거리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하여, 배전선로 상에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경간마다 설치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는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가 설치되는 전주 및 상기 전주 주변의 상황을 지속관리하기 위한 관리설비가 구비된다.
여기서의 상기 관리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고,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구동패널(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한편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고,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1-1출몰돌기(511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1접촉몸체(511)와, 상기 제1-1접촉몸체(51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1이동구(5112)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통해 상기 제1-1접촉몸체(51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중간부에 접하는 제1-2접촉몸체(512)와, 상기 제1-2접촉몸체(51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2이동구(5121)와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통해 상기 제1-2접촉몸체(51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단부에 접하되 제1-2출몰돌기(5131)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3접촉몸체(513)를 포함하는 제1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2-1출몰돌기(521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1접촉몸체(521)와, 상기 제2-1접촉몸체(5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1이동구(5212)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통해 상기 제2-1접촉몸체(52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중간부에 접하는 제2-2접촉몸체(522)와, 상기 제2-2접촉몸체(52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2이동구(5221)와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통해 상기 제2-2접촉몸체(52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상단부에 접하되 제2-2출몰돌기(5231)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3접촉몸체(523)를 포함하는 제2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접촉몸체(511)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촉몸체(51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1동작과 상기 제1-2접촉몸체(512)는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매개로 상기 제1-2출몰돌기(513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3접촉몸체(5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2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2-1접촉몸체(521)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매개로 상기 제2-2접촉몸체(5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1동작과 상기 제2-2접촉몸체(522)는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매개로 상기 제2-2출몰돌기(523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접촉몸체(5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2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과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 내지 상기 제2-2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을 상기 하판패널부(421) 및 상기 최하판패널부(422)와 연동고정시킨다.
상기 하부파츠는 인접영역 혹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영역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각 하부파츠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각 하부파츠들에 대응하여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부설치면에 설치되어 상하반전형으로 위치되거나, 일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거나 타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1출몰돌기(5111), 상기 제1-2출몰돌기(5131), 상기 제2-1출몰돌기(5211) 및 상기 제2-2출몰돌기(5231)는 각기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기능 또는 히팅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 및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의 주변부에 대한 온도조건이 설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감지부
120: 고장판단부
130: 제어부
140: 램프부
150: 제1통신부
160: 제2통신부

Claims (2)

  1.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관제서버가, 자신의 ID를 제1정보로 포함시킨 제1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모든 감시장치가, 상기 제1신호에 자신의 ID를 제2정보로 더 포함시킨 제2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전선로 감시시스템은,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에서 발생되는 지락, 단선 또는 단락사고 발생위치를 감지하여, 근거리 사물인터넷 통신으로 관제서버에 전송하기 위하여, 배전선로 상에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경간마다 설치되는 감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는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가 설치되는 과정 및 설치 이후의 전주 및 상기 전주 주변의 상황을 지속관리하기 위한 관리설비가 구비되되,
    상기 관리설비는,
    상기 배전선로 주변에는 상기 배전선로와 상기 배전선로가 설치되는 전주 및 상기 전주 주변의 상황을 지속관리하기 위한 관리설비가 구비되되,
    상기 관리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구동패널(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는 것인,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2. 삭제
KR1020210126314A 2021-09-24 2021-09-24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35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14A KR102355069B1 (ko) 2021-09-24 2021-09-24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14A KR102355069B1 (ko) 2021-09-24 2021-09-24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069B1 true KR102355069B1 (ko) 2022-02-08

Family

ID=8025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314A KR102355069B1 (ko) 2021-09-24 2021-09-24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24B1 (ko)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KR102439421B1 (ko)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설비 장애발생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KR102454968B1 (ko) * 2022-06-17 2022-10-17 (주)대광기술 신도시의 변압기를 구비한 지중누전감시시스템 누전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64140B1 (ko) * 2022-01-26 2022-11-09 (주)하늘천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73889B1 (ko) * 2022-06-21 2022-12-07 동양감리(주) 변압기가 구성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누전감시설비 제공방법
KR102620960B1 (ko) 2023-08-17 2024-01-05 (주)청운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KR102669875B1 (ko) 2023-02-21 2024-05-29 주식회사 한강기술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38B1 (ko) 2016-06-17 2016-10-10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2252395B1 (ko) *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감시장치
KR102299878B1 (ko)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38B1 (ko) 2016-06-17 2016-10-10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변전소 변압기의 방진 지지장치
KR102252395B1 (ko) * 2021-02-23 2021-05-14 주식회사 한국전력전문기술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감시장치의 설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감시장치
KR102299878B1 (ko) * 2021-03-03 2021-09-08 홍현자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140B1 (ko) * 2022-01-26 2022-11-09 (주)하늘천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39424B1 (ko)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KR102439421B1 (ko) * 2022-04-27 2022-09-05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설비 장애발생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KR102454968B1 (ko) * 2022-06-17 2022-10-17 (주)대광기술 신도시의 변압기를 구비한 지중누전감시시스템 누전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KR102473889B1 (ko) * 2022-06-21 2022-12-07 동양감리(주) 변압기가 구성된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누전감시설비 제공방법
KR102669875B1 (ko) 2023-02-21 2024-05-29 주식회사 한강기술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감시 시스템
KR102620960B1 (ko) 2023-08-17 2024-01-05 (주)청운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선로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069B1 (ko)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43942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설비 장애발생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US6631063B2 (en)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al circuit operation
KR101482669B1 (ko)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KR102382151B1 (ko) 배전반 이상 모니터링 장치
US20220406158A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onitoring utility systems
KR101645519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KR102336382B1 (ko) 안전선로 검출 변류기
CN1226634C (zh) 用于检测线路的装置和方法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CN115868089A (zh) 电气连接器
CN110363968B (zh) 外力导致架空线路停电故障的预警方法及预警设备
KR102439424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JPH10341524A (ja) 車載用信号伝送装置と信号伝送方法及び車載用電力供給制御装置と電力制御方法及び車載ケーブル異常検出装置
CN210270123U (zh) 一种接地线监测装置、eos监测系统
KR101959951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KR101693434B1 (ko) 전력 설비의 이상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3018565B (zh) 用于对电气设施上的机械冲击进行识别的方法及设备
KR102309924B1 (ko) 도심 주택가의 배전선로 안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20690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KR10240560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전력공급 차단시스템 제공방법
JP5517186B2 (ja) 接地極付のコンセント
KR102266313B1 (ko) 분기회로 보호용 온도 과부하 및 과전압 감시 시스템
CN217303918U (zh) 一种隧道安全用视距监测预警装置
CN218471426U (zh) 短接线断线自动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