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24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24B1
KR102439424B1 KR1020220052106A KR20220052106A KR102439424B1 KR 102439424 B1 KR102439424 B1 KR 102439424B1 KR 1020220052106 A KR1020220052106 A KR 1020220052106A KR 20220052106 A KR20220052106 A KR 20220052106A KR 102439424 B1 KR102439424 B1 KR 102439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cessed part
fluid
monitoring system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Priority to KR102022005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를 제공한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은 누전 감시를 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현장으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현장에 하적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 시스템은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를 위한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는,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슬롯(132)에 접속되어 배전선로 상의 전류,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Installation method of distribution facility failur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위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장구간을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에 관련된 시스템의 설치 과정에서 위생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구축하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관련된 시스템의 설치 과정에서 위생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구축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또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으로서, 배전설비 누전 감시를 위한 감시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현장으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현장에 하적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 시스템은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를 위한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는,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슬롯(132)에 접속되어 배전선로 상의 전류,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상기 슬롯(132)에 접속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고장판단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관련된 시스템의 설치 과정에서 위생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또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에 실장되는 기판 혹은 모듈의 실장예를 보인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100)는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제어부(130);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110);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120); 및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온되는 램프부(140);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170);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하는 장력센서(180); 및 램프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110)는 전류감지센서, 전압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부(110)는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판단부(120)는 예를 들면, 감지데이터의 수치가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장판단부(120)는 기 설정된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데이터수치를 감지데이터와 비교하여 단계적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장판단부(120)는 예를 들어 전류 데이터의 기 설정데이터가 각각 1A, 2A, 3A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감지데이터의 전류값이 1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단계로, 2A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의 단계로, 3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험 단계로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계적 고장여부 판단은 설정에 따라 전류, 전압 및 온도 데이터의 수치를 조합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장판단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140)는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어 동작한다. 이러한 램프부(140)는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램프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 및 색상, 조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부(150)는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 순찰자, 순찰차량(40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RF, 지그비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장정보는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의 위치, 제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1통신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1통신부(150)는 외부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고장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RFID태그 방식을 이용하여 순찰자나 순찰차량 등이 접근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고장 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제2통신부(160)는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160)는 예를 들면, CDMA, WiBro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며, 램프부(140)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통신부(160)에서 수신한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이용하여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 개폐기 등에 설치되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는 배전기기 고장정보, 고장방향 등의 각종 상태정보를 배전센터(200)에 전송하며, 배전센터(200)는 이로부터 넓은범위의 고장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배전센터(200)는 고장 발생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제2통신부(16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고장 발생 지역에 해당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100)는 1차적으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램프부(140)와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장판단부(12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램프부(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고장판단부(120)에서 단계적으로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램프부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예를 들면, 단계적 고장여부가 경고, 주의, 위험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 순으로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는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색상은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울기센서(170)는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기울기센서(170)는 예를 들면, 전주의 기울어짐에 의해 배전선로의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판단부(120)는 기울기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력센서(180)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장력센서(180)는 예를 들면, 착빙과 풍압 등에 의하여 배전선로에 이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판단부(120)는 장력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400)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전선로의 주변에 도착한 후 램프부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은 제1통신부에서 전송하는 고장정보를 전송받아 램프부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램프부(140)의 상부에 외부에서 입사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램프부(140)에서 나오는 빛을 좀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장치(100)는 가공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는데, 이를 테면 도 5의 예시와 같이, 가공 배전선(L)상에 감지함체(100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함체(1000)에는 앞서 설명한 제어부(130)를 비롯하여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보드 혹은 모듈 형태로 실장된다.
이를 테면, 제어부(130)가 메인보드 형태, 즉 기판상으로 내장되고, 이 메인보드 형태의 제어부(130)에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 등이 슬롯접속 방식으로 실장되어 탑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함체(1000)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가공 배전선(L)에 설치되기 위해 상단면 양측에는 고정구(2000)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2000)도 가공 배전선(L) 상에 직접 걸려 고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당연히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2000)는 내부에 가공 배전선(L)이 끼워져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 형상의 고정구본체(2100)와, 상기 고정구본체(2100)의 하단면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감지함체(1000)의 상단면에 나사체결되는 함체고정로드(2200)와, 상기 가공 배전선(L)이 삽입된 공간 입구를 상하로 결속하여 가공 배전선(L)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전선이탈방지구(2300)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설치지점의 가공 배전선(L) 상에 단지 걸어 두는 방식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전선이탈방지구(2300)를 충분히 조이면 가공 배전선(L)을 무는 힘이 더 세져 가공 배전선(L)을 타고 감지함체(1000)가 슬라이딩되거나 혹은 슬립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감지함체(1000)는 무게중심이 가공 배전선(L) 보다 훨씬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뒤집어지지도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설치위치에 고정된 채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다. 물론, 이러한 감지함체(1000)는 볼륨이 크지 않아 설치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덧붙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은 다수의 탑재슬롯(132)이 마련되어 있고, 탑재슬롯(132)과 직교되는 양측에는 상기 감지함체(1000) 혹은 감지함체(1000)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미도시) 상에 고정된 슬라이딩가이더(134)이 마련되어 기판 혹은 모듈 형태를 갖는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실장될 때 그 양측을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에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보드형 제어부(130)를 향해 밀게 되면 이들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슬라이딩가이더(134)을 타고 이동하다가 그 선단에 구비된 단자(TR)들이 상기 탑재슬롯(132)에 삽입됨과 동시에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다수의 전기 전자 소자들의 복합체인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신호처리를 하게 된다. 그런데, 감지함체(1000)가 외부 충격을 받거나 혹은 진동, 작업자가 정확하게 끼워넣지 못한 경우 등에 의해 이들이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의 접속불량에 의해 신호처리가 불량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것은 작업자가 덜 끼움으로 인해 발생되기도 하며, 또한 이들 기판 혹은 모듈(즉, 감지부, 고장판단부, 제1,2통신부를 말함)을 탑재슬롯(132)에 끝까지 완벽하게 밀어 넣어 고정하려면 많은 힘을 주어야 하고, 빡빡할 경우에는 잘 끼워지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선단에서 회동되는 견착유도구(1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견착유도구(110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반의 일부가 절단된 수직단면(1110)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반의 일측면에는 회동중심축(112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중심축(1120)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일단면에 삽입된 후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견착유도구(1100)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판면에서 회전되면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며, 잠금전에는 상기 수직단면(1110)이 슬라이딩가이더(134)의 개방부까지 침범하지 않고 그 외측에 서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잠금방향으로 회전되면 세워져 있던 수직단면(1110)이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딩가이더(134)의 개방부쪽으로 침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중심축(1120)이 고정된 원반면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회동중심축(11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원반표면에서 수직단면(1110)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부(113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부(1130)는 상기 수직단면(11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3 정도의 길이 범위내에서만 형성된다. 이것은 견착유도구(1100)가 회동중심축(112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기판 혹은 모듈의 후단과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경사면부(1130)에서 가장 큰 단차는 D이며, 이 D 만큼 유격이 발생되어 기판 혹은 모듈이 덜 삽입된 경우라도 견착유도구(1100)를 회전시키면 경사면부(1130)에 기판 혹은 모듈의 후단이 걸리면서 미끄러지듯이 경사면부(113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려고 한다. 그러나, 견착유도구(1100)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인 기판 혹은 모듈이 밀려 들어가면서 보다 긴밀하면서 완전한 삽입과 정확한 견착, 즉 실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단면(1110) 반대쪽 견착유도구(1100)의 둘레면 중심에는 체결홈(114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140)에는 손잡이(1150)가 체결되어 견착유도구(1100)의 회동을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으로서, 배전설비 누전 감시를 위한 감시 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현장으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현장에 하적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감시 시스템은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를 위한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는,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슬롯(132)에 접속되어 배전선로 상의 전류,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상기 슬롯(132)에 접속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고장판단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측으로 슬라이딩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변구동체(1241,124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가변구동체(1261',126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타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이동패널(116') 및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1접촉모듈(411')과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눌러 가압하는 제2접촉모듈(412')과 상기 제5유체분사모듈(215')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3접촉모듈(413')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제1-1영역(S1')과 상기 제1-2영역(S2') 사이로 출몰되는 제1세로몸체(511')와, 상기 제1세로몸체(511')에서 상기 제1-1영역(S1')의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영역(S2')의 제2유체분사모듈(212')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1가로몸체(5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는, 상기 제2-1영역(S3')과 상기 제2-2영역(S4') 사이로 출몰되는 제2세로몸체(512')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서 상기 제2-1영역(S3')의 상기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2영역(S4')의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2가로몸체(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는, 상기 제3-1영역(S5')과 상기 제3-2영역(S6') 사이로 출몰되는 제3세로몸체(513')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서 상기 제3-1영역(S5')의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3-2영역(S6')의 제4유체분사모듈(214')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3가로몸체(523')가 구비된다.
한편 여기서의 현장(P)은 상기 시스템이 위치되는 제1현장(P1)과, 상기 제1현장(P1)으로 진입하기 위한 게이트에 해당되는 제3현장(P3)과 상기 제1현장(P1)과 상기 제3현장(P3)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현장(P2)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적어도 상기 제2현장(P2)은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이 배치 혹은 설치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감지부 120: 고장판단부
130: 제어부 140: 램프부

Claims (2)

  1.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으로서,
    누전 감시를 위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현장으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현장에 하적되는 단계; 및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 시스템은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를 위한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구간 자동감지장치는,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슬롯(132)에 접속되어 배전선로 상의 전류,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감시 시스템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하며,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2. 삭제
KR1020220052106A 2022-04-27 2022-04-27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KR102439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06A KR102439424B1 (ko) 2022-04-27 2022-04-27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06A KR102439424B1 (ko) 2022-04-27 2022-04-27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424B1 true KR102439424B1 (ko) 2022-09-05

Family

ID=83279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106A KR102439424B1 (ko) 2022-04-27 2022-04-27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4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2355069B1 (ko) * 2021-09-24 2022-02-08 노영철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362558B1 (ko) * 2021-11-11 2022-02-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2355069B1 (ko) * 2021-09-24 2022-02-08 노영철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362558B1 (ko) * 2021-11-11 2022-02-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42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설비 장애발생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KR102355069B1 (ko)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US10684264B2 (en) System for monitoring air quality and docking station for a mobile robot equipped with air quality sensors
US10113694B2 (en) Time-of-flight safety photoelectric barrier and method of monitoring a protective field
US20200249688A1 (en) Robotic equipment including a mobile robot, method for recharging a battery of such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docking station
US200401195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rning systems
CN111120827A (zh) 一种检测设备的升降平台的控制设备、检测设备
KR200470826Y1 (ko)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US10589766B2 (en) Railroad crossing gate monitoring and alarm system
KR102166859B1 (ko) 지중 송전선로의 고장구간 모니터링 장치
KR102439424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누전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KR101773170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KR101645519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US5982125A (en) Automatic door test apparatus
KR20180129157A (ko) 작업장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785255U (zh) 一种非接触式限宽门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CN116608907A (zh) 一种用于医药冷链的故障监测系统
EP0962787B1 (en) Method of verifying an extension area sensor controller, master controller of area sensors, and cover to be used when no slave controller is added
KR101882189B1 (ko) 건축물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의 누전 차단형 트레이장치
KR102439487B1 (ko)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
CN111257602B (zh) 避雷器试验装置与避雷器试验系统
KR102077276B1 (ko) Rfid를 이용한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8476803U (zh) 受电弓电火花检测系统
CN112505721A (zh) 一种基于激光雷达的车辆进出探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