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826Y1 -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826Y1
KR200470826Y1 KR2020130007020U KR20130007020U KR200470826Y1 KR 200470826 Y1 KR200470826 Y1 KR 200470826Y1 KR 2020130007020 U KR2020130007020 U KR 2020130007020U KR 20130007020 U KR20130007020 U KR 20130007020U KR 200470826 Y1 KR200470826 Y1 KR 200470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gear
electric shock
facility
channel region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남북중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북중전기(주) filed Critical 남북중전기(주)
Priority to KR2020130007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압 및 저압의 전기가 사용되는 수배전반 설비에 센서부를 설치하여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소정거리 별로 각각 다른 위험 경보를 발생시켜 감전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수배전반 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 설비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설비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경보 발생 정보가 미리 설정된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경보 발생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상기 경보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키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UWB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채널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채널 영역에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ALARM DEVICE FOR ELECTRIC SHOCK DANGER IN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배전반 설비에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소정거리 별로 각각 다른 위험 경보를 발생시켜 감전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천 내지 수만 볼트 전기의 전송로가 되는 배전선로는 근접시 감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므로 항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특히, 특 고압 및 저압의 전기를 수전 및 변전하는 수배전반의 경우에는 각종 단자나, 부스바(bus-bar)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장비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접근이 요구되는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이나 유지보수시 안전관리가 엄격히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활선 상태에서 수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관리자(점검자 또는 작업자)가 수배전반에 접근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 경우에 감전사고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충분히 숙지하고 대처해야 한다.
종래의 수배전반 안전사고 방지시스템을 살펴보면, 수배전반 주장치에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폐 망(절연체)을 설치하고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배전반 안전사고 방지시스템은, 차폐 망으로 접근을 제어하는 상태이므로 관리자가 자의적으로만 위험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부주의한 접근으로 말미암아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관리자의 작업에 대한 상황을 인지할 수 없어, 사후 관리책임 및 원인규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수배전반 설비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전력공급자의 책임 강화도 점차 요구되고 있다.
등록공보 제10-1277282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설비' 등록공보 제10-1167979호 '자동 강제 정전 작업 유도 기능을 내장한 안전 배전반'
본 고안은 고압 및 저압의 전기가 사용되는 수배전반 설비에 센서부를 설치하여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소정거리 별로 각각 다른 위험 경보를 발생시켜 감전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수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수배전반 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 설비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설비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경보 발생 정보가 미리 설정된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경보 발생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상기 경보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키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UWB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채널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채널 영역에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먼 채널 영역에서 가까운 채널 영역으로 차례대로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채널 영역; 상기 제1 채널 영역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채널 영역; 및 상기 제2 채널 영역으로부터 제3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제3 채널 영역에서부터 제2 채널 영역으로, 또는 상기 제3 채널 영역에서부터 제2 채널 영역 및 제1 채널 영역으로 차례대로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WB 센서는 다수 개의 채널 영역 중 하나의 채널 영역에서만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UWB 센서에는 각각의 채널 영역별로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UWB 센서에 의하여 제1 채널 영역에서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전원 차단부를 통하여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성 출력부와 발광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수배전반 설비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발광 표시부는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수배전반 설비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의 신호를 발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고압 및 저압의 전기가 사용되는 수배전반 설비에 센서부를 설치하여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소정거리 별로 각각 다른 위험 경보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접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비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도 2의 UWB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또는, 구비)한다' 및/또는 '포함(또한, 구비)하는'으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서의 수배전반 설비는 고압에서 저압에 이르는 전압을 수전하여 상용전압으로 강압시켜 건물 내의 각부로 배전하기 위한 수배전반, 3상 전동기를 제어(ON, OFF)하여 3상 전동기를 보호하는 전동기 제어반(MCC), 또는 옥내 배선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설치되는 분전반과 같은 통상의 수배전반 설비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 내지 3d는 도 2의 UWB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는 수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수배전반 설비(10)에 설치되어 수배전반 설비(10)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장치로서, 센서부(110), 메모리부(120), 통신부(140), 전원 차단부(150), 음성 출력부(160), 발광 표시부(170) 및 메인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는 조작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배터리(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옥내의 수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과 같은 수배전반 설비(10)에 설치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옥내의 수배전반 설비(10)의 도어(11)에 직접 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110)는 수배전반 설비(10)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신호로 하여 메인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UWB(Ultra Wide Ban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WB 센서는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채널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UWB 센서는 마이크로 웨이브와 같이 수십MHz의 대역폭을 갖는 전파형 감지기와는 달리 450~500MHz의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센서로 거리 분해능력을 높인 감지기이다. 즉, 상기 UWB 센서는 2~3ns의 짧은 펄스를 발생시켜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약 30cm 단위로 물체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높은 거리 분해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UWB 센서를 110번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UWB 센서(110)는 수배전반 설비(10)(구체적으로는, 수배전반 설비(10)의 도어(11))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채널 영역(A), 제2 채널 영역(B) 및 제3 채널 영역(C)을 형성한다. 물론, 이러한 채널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이보다 많게 혹은 적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그 채널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물체의 이동방향을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UWB 센서(110)의 채널 영역을 더 많게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채널 영역(A)은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 제1 거리(a)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수배전반 설비(10)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 영역(B)은 제1 채널 영역(A)으로부터 제2 거리(b)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채널 영역(C)은 제2 채널 영역(B)으로부터 제3 거리(c)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채널 영역의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 그 거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수배전반 설비(10)가 사용되는 장소의 거리 폭이 좁은 경우에는 각 채널 영역의 거리를 좁게 설정하고, 넓은 경우에는 각 채널 영역의 거리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거리(a)는 30cm이고, 제2 거리(b)는 30cm이며, 제3 거리(c)는 40cm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기 UWB 센서(110)가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UWB 센서(110)는 각각의 채널 영역에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에서 감지되고 나서 제2 채널 영역(B) 및 제1 채널 영역(A)에서 차례로 감지되면, 이 물체가 수배전반 설비(10)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반면,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제2 채널 영역(B)에서만 감지되면, 이 물체가 수배전반 설비(10) 근처를 단순히 지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하나의 채널 영역에서만 감지되면, 이 물체가 수배전반 설비(10) 근처를 단순히 지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더불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에서 감지되고 나서 제2 채널 영역(B)에서 감지되면, 이 물체가 수배전반 설비(10)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도 3a 및 3b와 도 3d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경보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각각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그 후 상기 물체가 다시 제3 채널 영역(C)에서 감지된다면, 그 때에는 이 물체가 수배전반 설비(10) 근처를 단순히 지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여 제어신호에 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감지될 때,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 먼 채널에서 순차적으로 가까운 채널로 인식되되, 수배전반 설비(1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1 채널 영역(A) 또는 제 2 채널 영역(B)까지 인식되어야만 이 물체가 수배전반 설비(10)에 접근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수배전반 설비(10)를 향해 접근하려는 물체에 대하여만 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WB 센서(110)에는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크기의 최소값이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물체라 하더라도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UWB 센서(110)에는 각각의 채널 영역별로 최소값을 설정하여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에 의해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WB 센서(110)에 저장된 신호크기의 최소값은 제3 채널 영역(C)에서 제1 채널 영역(A)으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센서부(110)는 수배전반 설비(10)에 물체의 접근 거리를 구체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초음파 센서(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센서부(110)는 초음파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물체의 접근 거리와 UWB 센서(110)에 의하여 감지된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메인 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130)로 하여금 제어신호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경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제어신호에 따른 경보 발생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치이다. 이러한 메모리부(120)는 그 내부에 미리 설정된 정보를 인출하여 다른 장비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이동식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보 발생 정보는 수배전반 설비(10)와 물체와의 거리, 즉 UWB 센서(110)와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 다른 경보는, UWB 센서(110)에 의하여 감지된 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에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에서 제2 채널 영역(B)에 접근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 표시부(170) 및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발생되는 일반적인 제1 경보와, 제어신호에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 제2 채널 영역(B), 제1 채널 영역(A)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 표시부(170) 및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전원 차단을 알리는 변형된 제2 경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보와 제2 경보의 형식은 수배전반 설비(10)의 설치장소 및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경보는 버저(161)를 통하여 출력되는 짧은 버저음일 수 있고, 제2 경보는 스피커(162)를 통하여 출력되는 연속적인 버저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보 발생시에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 통신부(140)는 외부의 관리 서버(미도시)에 의하여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경보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한 후 메인 제어부(130) 및 메모리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 차단부(150)는 메인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UWB 센서(110)에 의하여 제1 채널 영역(A)에서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전원 차단부(150)를 통하여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차단부(150)는 수배전반 설비(10)와 수배전반 설비(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사이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메인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수배전반 설비(10)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각각 다르게 발생된 제1 경보 및 제2 경보에 해당되는 음성들을 버저(161) 또는 스피커(16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제1 경보 및 제2 경보의 출력 방식을 달리하여 버저(161) 또는 스피커(162)로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제1 경보 및 제2 경보를 각각 버저(161) 및 스피커(162)로 별도로 출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발광 표시부(170)는 메인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수배전반 설비(10)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의 신호를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표시부(170)는 다수 개의 엘이디(LED) 소자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발광 표시부(170)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각각 다르게 발생된 제1 경보 및 제2 경보에 해당되는 색상들을 엘이디 소자들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제어신호를 경보 발생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경보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UWB 센서(110)에 의하여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과 제2 채널 영역(B)에 순차적으로 감지되면 일반적인 제1 경보를 발생시키고,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과 제2 채널 영역(B) 및 제1 채널 영역(A)에서 차례로 감지되면 전원 차단을 알리는 변형된 제2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80)는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의 동작이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작부(180)는 수배전반 설비(10)로의 전원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전원 공급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를 온 시켜 전원 공급부로부터 수배전반 설비(10) 내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한 후, 각 설비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각 부분에 공급해주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작부(180)는 센서부(110), 메인 제어부(130), 음성 출력부(160) 및 발광 표시부(170) 등에 각각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에는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본 수배전반 설비(10) 내의 상용 전원을 정류하여 각 설비의 필요한 부분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195)는 정전 시에도 일정 시간 동안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는 이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에 배터리(195)를 내장시켜 정전시에도 경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감전 사고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에 따르면, 고압 및 저압의 전기가 사용되는 수배전반 설비(10)에 센서부(110)를 설치하여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소정거리 별로 각각 다른 위험 경보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접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비리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수배전반 설비 11: 도어
100: 감전위험 경보장치 110: 센서부
120: 메모리부 130: 메인 제어부
140: 통신부 150: 전원 차단부
160: 음성 출력부 170: 발광 표시부
180: 조작부 190: 전원 공급부
195: 배터리

Claims (7)

  1. 수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수배전반 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반 설비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설비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경보 발생 정보가 미리 설정된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경보 발생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상기 경보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키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UWB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채널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채널 영역에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며,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먼 채널 영역에서 가까운 채널 영역으로 차례대로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채널 영역;
    상기 제1 채널 영역로부터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채널 영역; 및
    상기 제2 채널 영역으로부터 제3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UWB 센서는 상기 제3 채널 영역에서부터 제2 채널 영역으로, 또는 상기 제3 채널 영역에서부터 제2 채널 영역 및 제1 채널 영역으로 차례대로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UWB 센서는 다수 개의 채널 영역 중 하나의 채널 영역에서만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상기 UWB 센서에는 각각의 채널 영역별로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 크기의 최소값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UWB 센서에 의하여 제1 채널 영역에서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전원 차단부를 통하여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성 출력부와 발광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수배전반 설비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발광 표시부는 다수 개의 엘이디 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수배전반 설비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의 신호를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KR2020130007020U 2013-08-22 2013-08-22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KR200470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20U KR200470826Y1 (ko) 2013-08-22 2013-08-22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020U KR200470826Y1 (ko) 2013-08-22 2013-08-22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826Y1 true KR200470826Y1 (ko) 2014-01-16

Family

ID=5141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020U KR200470826Y1 (ko) 2013-08-22 2013-08-22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82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501B1 (ko) * 2013-11-19 2014-04-04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Rfid를 이용한 수배전반 안전잠금장치
KR200485163Y1 (ko) * 2017-04-25 2017-12-05 보령기전(주)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에 내장되는 전기안전 경보 장치
KR101877687B1 (ko) * 2017-10-18 2018-07-12 한국전력공사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1667B1 (ko) * 2018-09-11 2019-04-12 우창전력(주) 옥외 전력설비 근접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82816A (zh) * 2020-06-24 2020-11-03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危险报警方法、介质及系统
CN111882077A (zh) * 2020-06-24 2020-11-03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布防空间的建立方法及系统
EP3849034A1 (de) * 2020-01-08 2021-07-14 Westnetz GmbH Sicherheitsanordnung für zumindest eine umspanns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914A (ko) *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에스원 초광대역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
KR20100040610A (ko) * 2008-10-10 2010-04-20 (주) 케이엠티 방향성 센서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7422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오샘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KR101237881B1 (ko) * 2012-09-04 2013-02-27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적외선 발광망이 구비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914A (ko) * 2008-09-29 2010-04-07 주식회사 에스원 초광대역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위치인식 시스템
KR20100040610A (ko) * 2008-10-10 2010-04-20 (주) 케이엠티 방향성 센서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27422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오샘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KR101237881B1 (ko) * 2012-09-04 2013-02-27 파워에너텍 주식회사 적외선 발광망이 구비된 수배전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501B1 (ko) * 2013-11-19 2014-04-04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Rfid를 이용한 수배전반 안전잠금장치
KR200485163Y1 (ko) * 2017-04-25 2017-12-05 보령기전(주)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에 내장되는 전기안전 경보 장치
KR101877687B1 (ko) * 2017-10-18 2018-07-12 한국전력공사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1667B1 (ko) * 2018-09-11 2019-04-12 우창전력(주) 옥외 전력설비 근접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EP3849034A1 (de) * 2020-01-08 2021-07-14 Westnetz GmbH Sicherheitsanordnung für zumindest eine umspannstation
CN111882816A (zh) * 2020-06-24 2020-11-03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危险报警方法、介质及系统
CN111882077A (zh) * 2020-06-24 2020-11-03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一种用于变电站的布防空间的建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826Y1 (ko)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KR102299878B1 (ko)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KR100978470B1 (ko) 출력펄스개수로 추정한 활선전압크기에 따른 배전반 활선 상태 음성경보장치
KR101076772B1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US7391313B2 (en) Emergency power shutdown management system
KR101404102B1 (ko)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US9978239B2 (en) Electric shock warning distribution board system including wearable device for warning electric shock and distribution board linked thereto
US10755549B2 (en) High voltag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cabinetry
KR101601605B1 (ko) 전기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배전반
KR200485163Y1 (ko)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에 내장되는 전기안전 경보 장치
KR101594333B1 (ko)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US8836526B2 (en) Monitoring device for de-energized catenary systems or overhead lines
CN113049901A (zh) 电控和保护设备
KR101362792B1 (ko)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에폭시 애자
CN103065432B (zh) 高压试验报警器
KR101865609B1 (ko) 누전표시장치
KR101379501B1 (ko) Rfid를 이용한 수배전반 안전잠금장치
CN103310573A (zh) 高压试验区域报警装置
KR100892106B1 (ko) 광통신을 이용한 배전반 활선 상태 음성경보장치
CN204178486U (zh) 一种电力电缆防盗装置
KR100544916B1 (ko) 고정형 활선 접근 경보시스템
US7233866B2 (en) Device for the management of electrical sockets
CN103543724A (zh) 一种围栏监控装置以及一种围栏
CN204928365U (zh) 一种开关柜智能警示保护装置
KR101447736B1 (ko) 가로등 선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