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422A -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422A
KR20100127422A KR1020090045860A KR20090045860A KR20100127422A KR 20100127422 A KR20100127422 A KR 20100127422A KR 1020090045860 A KR1020090045860 A KR 1020090045860A KR 20090045860 A KR20090045860 A KR 20090045860A KR 20100127422 A KR20100127422 A KR 2010012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alarm
main control
control uni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772B1 (ko
Inventor
김홍준
문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샘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샘코
Priority to KR102009004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77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수배전반에서 위험영역이나 보호가 필요한 영역에 설치되어 설정거리 이내로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 경보를 발생하고, 관리자(점검자, 작업자, 등)의 영상을 기록으로 보관하여 사고시 추후 원인규명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물체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물체 감지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경보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경보 동작시에 상기 물체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와 물체와의 접근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에 따라 차등적인 경보를 수행하여 감전위험을 인지시켜주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수배전반, 감전, 복합센서, 경보장치

Description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Alarm device for electric shock danger in switch-board using complex sensors}
본 발명은 특 고압 및 저압이 흐르는 수·배전반에서 감전위험 경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영역이나 보호가 필요한 영역에 설치되어 설정거리 이내로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 경보를 발생하고, 관리자(점검자, 작업자, 등)의 영상을 기록으로 보관하여 사고시 추후 원인규명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천 내지 수만 볼트 전기의 전송로가 되는 배전선로는 근접시 감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므로 항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특히, 특 고압 및 저압의 전기를 수전 및 변전하는 수·배전반의 경우에는 각종 단자나, 부스바(bus-bar)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장비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접근이 요구되는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이나 유지보수시 안전관리가 엄격히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활선 상태에서 수·배전반의 점검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관리자(점검자 또는 작업자)가 수·배전반에 접근하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 경우에 감전사고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충분히 숙지하고 대처해야한다.
종래의 수·배전반 안전사고 방지시스템을 살펴보면, 수·배전반 주장치에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차폐 망(절연체)을 설치하고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배전반 안전사고 방지시스템은, 차폐 망으로 접근을 제어하는 상태이므로 관리자가 자의적으로만 위험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부주의한 접근으로 말미암아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관리자의 작업에 대한 상황을 인지할 수 없어, 사후 관리책임 및 원인규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력설비 안전성 확보에 대한 전력공급자의 책임 강화도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수·배전반의 관리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험영역이나 보호가 필요한 영역에 설치되어 설정거리 이내로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 경보를 발생하도록 한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관리자(점검자, 작업자, 등)의 영상을 기록으로 보관하여 사고시 추후 원인규명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물체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물체 감지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경보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경보 동작시에 상기 물체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와 물체와의 접근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에 따라 차등적인 경보를 수행하여 감전위험을 인지시켜주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등적인 경보는,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위험거리에 도달한 경우 시각 경보와 음성 경보를 통한 1차 위험 경고와,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 위험거리에 도달한 경우 시각 경보와 버저음을 통한 2차 위험 경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따라 경보 동작시 상기 물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신호처리한 후 기록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로 만들어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 제공해주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저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원격 제어기인 리모컨에 의해 송출되는 감지거리 설정 신호와 동작 정지 및 복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 제공해주는 리모컨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는, 정전시에도 일정 시간 동안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는 옥내의 수·배전반 내의 부스 바에 직접 부착되어 설치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배전반에서 위험영역이나 보호가 필요한 영역에 설치되어 설정거리 이내로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 경보를 발생해줌으로써, 부주의한 접근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점검자, 작업자, 등)의 영상을 기록으로 보관할 수 있어, 사고시 추후 정확하게 원인규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시 원인 규명 등이 가능하므로 감전사고 등에 대한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전력설비 안정성 확보에 대한 전력공급자의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100)는 경보 표시기(101), 카메라(102), 영상 처리부(103), 센서부(104), 조작부(105), 표시기(106), 저장장치(107), 버저(108), 음성 출력부(109), 스피커(110), 리모컨 수신기(111), 전원 공급기(112), 배터리(113), 메인 컨트롤 유닛(MCU)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100)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옥내의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옥내의 수·배전반의 부스 바(Bus-Bar)에 직접 부착되어 설치된다.
센서부(104)는 물체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물체 감지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경보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경보 동작시에 상기 물체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100)와 물체와의 접근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에 따라 차등적인 경보를 수행하여 감전위험을 인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경고 해제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차등적인 경보는,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위험거리에 도달한 경우 시각 경보와 음성 경보를 통한 1차 위험 경고와,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 위험거리에 도달한 경우 시각 경보와 버저음을 통한 2차 위험 경고를 내포한다.
카메라(102)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4)의 제어에 따라 경보 동작시 상기 물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처리부(103)는 상기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신호처리한 후 기록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로 만들어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제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장치(107)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저장장치로서, 상기 저장장치(107)를 인출하여 다른 장비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이동식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컨 수신기(111)는 원격 제어기인 리모컨(REMOCON)에 의해 송출되는 감지거리 설정 신호와 동작 정지 및 복귀 신호 등을 수신하여 신호처리한 후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제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13)는 정전시에도 일정 시간 동안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출력부(109)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4)의 제어에 따라 1차 위험 경고시 경보 음성을 스피커(110)로 출력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2차 위험 경고시 버저(108)에 구동신호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보 표시기(101)는 비상 경보시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멸시키거나 점등시켜 외부에 경고 상태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기(112)는 수·배전반 내의 상용 전원을 정류하여 장치의 필요한 부분에 공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100)는, 옥내외 수·배전반의 부스-바에 설치한 상태에서, 조작부(105)에 구비된 전원 공급 스위치(105b)를 온 상태로 동작시켜면 전원 공급기(112)에서 배전반 내의 상용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한 후,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각 부분에 공급해준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에 구동용 전원으로 공급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며, 표시기(106) 등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며, 아울러 배터리(113)에 충전용 전원으로 공급해준다.
여기서 배터리(113)의 충전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충전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센서부(104)에서 출력되는 움직임 정보와 물체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경보 동작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센서부(104)내의 초음파 센서는 물체에 초음파를 발생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제공하게 되며, 적외선 센서 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경보 동작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데, 통상적으로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100)를 옥내외 수·배전반의 부스-바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수·배전반의 도어를 닫게 되므로, 초음파 센서에서는 도어를 물체로 감지하게 된다. 이때 메인 컨트롤 유닛(114)이 물체가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을 하고, 경보 동작으로 결정을 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수·배전반의 도어가 닫히게 되면 무조건 경보 동작 상태가 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적외선 센서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되는 상태에서만 경보장치의 상태를 경보 동작 상태로 만들게 된다.
즉, 적외선 센서는 관리자가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해 수·배전반의 도어를 여는 경우에만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보 동작을 결정하는 데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감지 방식은 상기와 같이 초음파 센서로 물체를 감지만 되면 경보 동작을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적외선 센서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수·배전반의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을 하고, 경보 동작 상태로 결정을 하게 되고, 다음으로, 물체 감지 정보를 계산하여 물체와 장치와의 접근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거리 산출은 초음파 발신 시간에 발신된 초음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거리로 환산하게 되면 용이하게 물체와 장치와의 접 근 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접근 거리의 산출이 이루어지면 그 산출 거리를 표시기(106)의 표시창(106a)을 통해 표시해주고, 감전사고에 대한 위험을 경고해주기 위해서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제1 위험 거리와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접근 거리가 제1 위험 거리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위험 거리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 설정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경보장치와의 물체와의 거리를 70cm로 하여 제1 위험 거리를 설정하였다.
상기 판단 결과 접근 거리가 제1 위험 거리에 도달하면 1차적인 감전 사고의 위험을 경고해주기 위해서, 경보 표시기(101)를 통해 경보용 발광다이오드(101)를 소정 주기로 점멸 또는 점등시켜 시각적인 경보를 해주게 된다. 여기서 점멸시의 주기는 일반적인 경보장치에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는 주기를 그대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보 표시와 동시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 음성 데이터를 인출하여 음성 출력부(109)에 제공하게 되고, 음성 출력부(109)는 상기 경고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10)를 통해 외부에 송출함으로써, 대상자에게 감전사고에 대해 주의하도록 한다.
이러한 1차 위험을 경고하는 상태에서 접근 대상자가 장치로 접근하게 되면 초음파 센서는 지속적으로 물체를 감지하게 되고,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접근 거리를 산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위험 거리와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접근 거리가 제2 위험 거리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제2 위험 거리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 설정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경보장치와의 물체와의 거리를 30cm로 하여 제2 위험 거리를 설정하였다.
상기 판단 결과 물체의 접근 거리가 제2 위험 거리에 도달하면 2차적인 감전 사고의 위험을 경고해주기 위해서, 경보 표시기(101)를 통해 경보용 발광다이오드(101)를 소정 주기로 점멸 또는 점등시켜 시각적인 경보를 해주게 된다. 여기서 점멸시의 주기는 일반적인 경보장치에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는 주기를 그대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보 표시와 동시에 음성 출력부(109)를 통해 버저(108)를 구동하도록 하며, 이러한 제어에 의해 음성 출력부(109)의 구동 신호가 버저(108)에 제공되어 버저(108)가 구동하여 버저음을 송출되며, 이로써 대상자에게 감전사고에 대해 더욱 주의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장치와 물체(관리자)와의 거리에 따라 차등적으로 경보를 발생해주어, 관리자가 더욱 주의를 하도록 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서 경보 동작으로 결정을 하게 되면, 동시에 카메라(102)가 구동되어 물체를 촬영하게 되고, 이렇게 획득되는 영상은 영상 처리부(103)에서 신호처리 과정을 통해 저장용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제공된다. 메인 컨트롤 유닛(114)은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장치(107)에 저장하여, 추후 사고시 원인규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저장장치(107)는 디지털 저장장치로서, 이동식 저장장치를 사용 하여 추후 간단히 인출하고 다른 장비(예를 들어, 컴퓨터)에 접속하여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배터리(112)를 내장시켜 정전시에도 경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감전사고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정전이 되면 배터리(112)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을 하여 각 부분에 구동용 전원으로 공급이 되어, 일정 시간 동안은 경보장치가 정상적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터리는 전원 공급시 전원 공급기(113)에 의해 충전을 하는 Ni-Cd계의 무보수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복귀시킬 수 있으며, 감지 거리 설정도 원격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경보 발생시 점검을 위하여 경보를 해제하는 경우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거리(최대 10m)에서 오프 명령을 송출하면, 리모컨 수신기(111)에서 이를 수신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서 수동 명령인 오프 명령을 인식하고 장치를 오프하게 된다. 이후 점검이 완료된 후 장치의 재기동을 위해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온 명령을 송출하면 리모컨 수신기(111)에서 이를 수신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 제공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114)에서 상기 온 명령에 따라 장치를 다시 기동시킴으로써, 원격에서 장치를 정지시키거나 복귀를 수행할 수 있는 편리함 및 안정성을 제공해주게 된다. 이러한 원격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감지 거리에 대한 원격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101… 경보 표시기
102… 카메라
103… 영상 처리부
104… 센서부
107… 저장장치
111… 리모컨 수신기
112… 전원 공급기
113… 배터리
114… 메인 컨트롤 유닛(MCU)

Claims (7)

  1. 수·배전반에서 감전위험을 경보해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물체의 접근 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물체 감지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경보 동작 여부를 결정하고, 경보 동작시에 상기 물체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와 물체와의 접근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에 따라 차등적인 경보를 수행하여 감전위험을 인지시켜주는 메인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적인 경보는,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1 위험거리에 도달한 경우 시각 경보와 음성 경보를 통한 1차 위험 경고와, 상기 산출한 접근 거리가 미리 설정된 제2 위험거리에 도달한 경우 시각 경보와 버저음을 통한 2차 위험 경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의 제어에 따라 경보 동작시 상기 물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신호처리한 후 기록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로 만들어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 제공해주는 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저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기인 리모컨에 의해 송출되는 감지거리 설정 신호와 동작 정지 및 복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닛에 제공해주는 리모컨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정전시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 장치는 옥내의 수·배전반 내의 부스 바에 직접 부착되어 설치되는 특징으로 하는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KR1020090045860A 2009-05-26 2009-05-26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KR101076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60A KR101076772B1 (ko) 2009-05-26 2009-05-26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860A KR101076772B1 (ko) 2009-05-26 2009-05-26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422A true KR20100127422A (ko) 2010-12-06
KR101076772B1 KR101076772B1 (ko) 2011-10-26

Family

ID=4350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860A KR101076772B1 (ko) 2009-05-26 2009-05-26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7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26Y1 (ko) * 2013-08-22 2014-01-16 남북중전기(주)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WO2016085128A1 (ko) * 2014-11-24 2016-06-02 정진혁 출입 감지 장치
WO2016122184A1 (ko) * 2015-01-30 2016-08-04 (주)에스엔 감전을 경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와 연동된 수배전반이 포함된 감전 경보 수배전반 시스템
CN108806182A (zh) * 2017-08-04 2018-11-13 佛山市顺德区易达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电线杆上安全施工系统
KR20200029662A (ko) 2018-09-07 2020-03-19 주식회사 주왕산업 빅 데이터 기반 배터리 수명 예측 시스템
KR102491071B1 (ko) * 2022-08-26 2023-01-20 (주) 동보파워텍 전력기기 열화상태 진단 및 활선부 감전사고 예방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모니터링장치 내장형 수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672B1 (ko) 2013-08-07 2013-11-26 한국 전기안전공사 수배전반의 아크-플래시 보호 시스템
KR101596270B1 (ko) 2014-06-16 2016-02-24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전전로용 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594333B1 (ko) 2014-11-20 2016-02-16 정혜진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631992B1 (ko) 2015-09-22 2016-06-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프리즘을 이용한 아크 플래시 검출 시스템
KR101800361B1 (ko) * 2016-03-08 2017-11-22 한상육 배전설비 활선 시험기
KR102261657B1 (ko) 2019-08-21 2021-06-07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외부 이중 안전표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KR102347172B1 (ko) 2021-04-29 2022-01-03 이규복 전기안전 경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15B1 (ko) * 2009-01-12 2009-05-14 청석전기 주식회사 감전방지형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26Y1 (ko) * 2013-08-22 2014-01-16 남북중전기(주)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WO2016085128A1 (ko) * 2014-11-24 2016-06-02 정진혁 출입 감지 장치
WO2016122184A1 (ko) * 2015-01-30 2016-08-04 (주)에스엔 감전을 경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와 연동된 수배전반이 포함된 감전 경보 수배전반 시스템
US9978239B2 (en) 2015-01-30 2018-05-22 Sn Co., Ltd. Electric shock warning distribution board system including wearable device for warning electric shock and distribution board linked thereto
CN108806182A (zh) * 2017-08-04 2018-11-13 佛山市顺德区易达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电线杆上安全施工系统
KR20200029662A (ko) 2018-09-07 2020-03-19 주식회사 주왕산업 빅 데이터 기반 배터리 수명 예측 시스템
KR102491071B1 (ko) * 2022-08-26 2023-01-20 (주) 동보파워텍 전력기기 열화상태 진단 및 활선부 감전사고 예방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모니터링장치 내장형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772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772B1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감전위험 경보장치
CN102412627B (zh) 基于图像识别的智能变电站状态监控系统
CN108928700B (zh) 医院电梯安全立体监测云平台、系统及其方法、电梯系统
CN108750854B (zh) 医院电梯安全立体监测云平台、系统及其方法、电梯系统
KR101334306B1 (ko) 아크 플래시 감지를 통해 차단 기능을 가지는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및 분전반
KR100956978B1 (ko) 교통사고 유의지역 통합관리 시스템
CN104155959A (zh) 变电站无人值守综合监控系统
KR200470826Y1 (ko)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KR101594333B1 (ko)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212630B1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20150080080A (ko)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4658188A (zh) 通道安全预警系统以及通道预警方法
KR102006201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누전 감시장치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CN205958639U (zh) 智能提醒高压带电显示装置
CN103065432B (zh) 高压试验报警器
CN105321125A (zh) 无人值守变电站监管系统
CN202334001U (zh) 基于图像识别的智能变电站状态监控系统
CN207489207U (zh) 一种具有远程智能控制的消防主机系统
CN212847040U (zh) 车辆检修安全监控系统
KR101596270B1 (ko) 충전전로용 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11243227A (zh) 电力系统防触电保护装置和方法
CN207867646U (zh) 一种安检设备防入侵监测装置及安检设备
CN113643508B (zh) 防灾紧急通道监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8973764A (zh) 一种充电装置及充电检测预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