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687B1 -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687B1
KR101877687B1 KR1020170135450A KR20170135450A KR101877687B1 KR 101877687 B1 KR101877687 B1 KR 101877687B1 KR 1020170135450 A KR1020170135450 A KR 1020170135450A KR 20170135450 A KR20170135450 A KR 20170135450A KR 101877687 B1 KR101877687 B1 KR 10187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main body
sens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석
문경락
박웅기
김가원
박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3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Abstract

접근 경보 시스템은 전주의 완철에 결합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연결되고, 전주에 구비된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본체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마련되고, 센서부가 물체를 감지하면,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물체가 접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PPROACHING WAR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송전 또는 배전을 위해 설치된 전력 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전 또는 배전을 위한 전력 설비로서, 변압기(2), 컷 아웃 스위치(COS, 3), 애자(4), 전선(5) 등이 설치된 전주(1)가 마련된다. 그런데 전력 설비 인근에서 건축 공사 등이 시행될 때, 건축 공사 등에 사용되는 중장비 시설이 전선, 변압기 등의 전력 설비와 충돌하여 전력 설비가 파손되고, 송전 또는 배전이 정지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8743호(2009.11.19)
본 발명의 과제는 중장비 시설 등이 전력 설비와 충돌하여 전력 설비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중장비 시설 등이 전력 설비로 접근하고 있음을 작업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접근 경보 시스템은 전주의 완철에 결합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연결되고, 전주에 구비된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본체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마련되고, 센서부가 물체를 감지하면,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물체가 접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경고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전주에 구비된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센서부가 물체를 감지하면 물체가 접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경고부와, 센서부가 결합되고, 센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접근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본체부를 전주의 완철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 및 제어 장치를 통해 다수 개의 센서의 감지 영역을 각각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를 포함하고, 영역 설정 단계는, 각각의 센서의 최대 감지 거리 및 하방의 감지 한계 거리를 설정하는 기초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근 경보 시스템의 센서부가 감지하고자 하는 영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위험 물체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센서부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송전 또는 배전을 위해 설치된 전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고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고정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본체부와 센서부가 한 쌍으로 마련되었을 때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감지 영역 설정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근 경보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고정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은 본체부(100), 센서부(200), 경고부(300), 고정부(400) 및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전주의 완철(10)에 결합된다(도 2 참조). 본체부(100)에는 후술할 센서부(200)가 결합된다. 본체부(1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센서부(200), 경고부(300)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본체부(100)를 완철(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부(400)는 제1 고정부(410)와 제2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410)는 본체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자석(411)을 통해 완철(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고정부(410)는 완철(10)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완철(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410)가 자석(411)에 의해 1차적으로 완철(10)에 고정되면, 제2 고정부(420)가 완철(10)의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며 제1 고정부(4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410)와 제2 고정부(420)의 결합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고정부(420)의 일단은 제1 고정부(410)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게 힌지(430) 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제2 고정부(420)의 타단은 제1 고정부(410)의 타단과 나사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제 제1 고정부(410)의 타단 및 제2 고정부(420)의 타단에는 결합을 위한 제1 고정판(412) 및 제2 고정판(422)이 마련되고, 제1 고정판(412)과 제2 고정판(422) 사이의 결합을 통해 제1 고정부(410)와 제2 고정부(4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부(42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425)가 형성되고, 제1 고정부(410)에는 이에 대응되는 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410)가 자석(411)에 의해 완철(10)에 1차적으로 고정되면, 제2 고정부(420)는 힌지(430)를 통해 완철(10)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도록 회전될 수 있고, 제2 고정부(420)의 돌기(425)와 제1 고정부(410)의 홈(415)이 맞물리면서 제1 고정부(410)와 제2 고정부(420)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제1 고정판(412)과 제2 고정판(422)을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매우 편리하고 견고하게 본체부(100)를 완철(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를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본체부(10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암부(550)를 통해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전주(1)에 구비된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이때 배전 또는 송전 장치는 배전 또는 송전을 위한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주(1)에 설치된 변압기(2), 전선(5), 애자(4) 등을 말한다(도 1 참조).
조절부(500)는 본체부(100)에 대한 센서부(200)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500)는 본체부(100)에 대한 센서부(200)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센서부(200)의 감지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전주로부터 측방으로 1m, 상방으로 1m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변압기의 하단으로부터 1m 이하까지 감지 영역이 형성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부(500)는 암부(550), 제1 각도 조절부(520) 및 제2 각도 조절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암부(550)는 센서부(200)와 본체부(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암부(550)는 본체부(100)로부터 측방 및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인장 또는 수축되는 것에 의해 센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된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암부(550)가 인장 또는 수축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암부(551) 및 제2 암부(552)가 마련되고, 제2 암부(552)가 제1 암부(551)의 중공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제1 암부(551)의 중공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에 의해 암부(550)의 전체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각도 조절부(520)는 암부(550)를 본체부(100)에 대해 제1 방향에 따른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이란, 암부(550)와 본체부(100)의 접점을 수평하게 관통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1 각도 조절부(520)는 일측이 본체부(100)에, 타측이 암부(550)에 결합되어 제자리에서 제1 방향에 따른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본체부(100)에 대한 센서부(200)의 각도를 변경하여 센서부(200)의 감지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각도 조절부(570)는, 센서부(200)를 암부(550)에 대해 제2 방향에 따른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이란,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제1 방향에 수직하면서 지면에 수평한 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2 각도 조절부(570)는 일측이 암부(550)에, 타측이 센서부(200)에 결합되고, 센서부(200)는 암부(550)에 마련된 제2 방향에 따른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감지 영역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경고부(300)는 본체부(100)와 일체로 마련된다. 경고부(300)는 센서부(200)가 물체를 감지하면,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물체가 접근하고 있음을 표시한다. 표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경고부(300)는 소리를 통해 물체의 접근을 표시하는 스피커(310)와, 빛을 통해 물체의 접근을 표시하는 광원(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은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전력 설비, 즉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물체를 제어하는 작업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가 전선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덜한 전주의 완철(10)에 결합됨으로써, 물체의 감지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고, 센서부(200)가 물체의 접근을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수의 센서부(200)를 사용하여 넓은 영역을 감지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이때 센서부(200)는 서로 다른 감지 영역을 갖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센서들은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 및 각각의 센서로부터 하방으로 감지할 수 있는 하방의 감지 한계 거리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센서들은 서로 다른 감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센서부(200)가 서로 다른 감지 영역을 가질 수 있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감지 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물체가 전력 설비와 충돌하기 용이한 영역에 감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고정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전 또는 송전 장치의 주위에는 가로수, 간판 등의 구조물(S)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구조물(S)이 센서부(200)의 감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구조물(S)이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게 되는 경우 센서부(200)와 경고부(300)는 물체가 접근한 것으로 오인하여 작동할 수 있다.
그런데 센서부(200)의 다수 개의 센서들은 감지 영역이 각각 설정될 수 있고, 배전 또는 송전 장치 주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S)들은 감지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됨으로써, 센서부(200)와 경고부(300)가 물체의 접근을 오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 및 센서부(200)는, 인접하는 2개의 전주(1)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본체부와 센서부가 한 쌍으로 마련되었을 때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부(도시 생략)와 센서부(200)가 인접하는 2개의 전주(1)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각각의 센서부(200)의 감지 영역이 중첩되는 감지 영역(O)을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마련될 수 있다.
접근 경보 시스템이 이와 같이 설치됨으로써, 중첩된 감지 영역(O)에서는 더욱 확실하게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특별히 적극적으로 감지할 필요가 있는 영역에 중첩된 감지 영역(O)이 형성되도록 각 센서부(200)들의 감지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변형례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감지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은 본체부(100'), 센서부(200'), 경고부(300'), 고정부(400') 및 조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변형례는 경고부(300')가 본체부(100')와 별도로 마련된 점에 있어서 전술한 접근 경보 시스템과 차이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고부(300')는 고정 밴드(350')를 통해 전주의 소정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경고부(300')가 결합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자에게 경고하기에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 고정 밴드(350')를 고정하여 경고부(3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고부(300')가 본체부(100')와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본체부(100')를 완철(10)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400')에 가해지는 힘이 감소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은 암부(550')가 제1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서부(200')의 감지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도록 센서부(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센서부(200')의 감지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상측에서 접근하는 물체들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접근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감지 영역 설정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근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주에 구비된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200)와, 센서부(200)가 물체를 감지하면 물체가 접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경고부(300)와, 센서부(200)가 결합되고, 센서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된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접근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센서 작동 확인 단계(S100), 설치 단계(S200), 감지 영역 설정 단계(S300), 감지 확인 단계(S400) 및 감지 개시 단계(S500)를 포함한다.
센서 작동 확인 단계(S100)는 센서부(200)의 각각의 센서들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센서 작동 확인 단계(S100)는 센서의 감지 거리를 예를 들어 1m로 초기화한 후, 감지 거리 내에 임의의 물체를 접근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센서 작동 확인 단계(S100)는 센서부(200)를 완철(10)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수행할 수 있다.
센서 작동 확인 단계(S100)가 완료되면, 센서부(200)가 결합된 본체부(100)를 전주의 완철(10)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S200)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측방으로 1m 정도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체부(100)가 설치되면, 제어 장치를 통해 다수 개의 센서의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감지 영역 설정 단계(S300)가 수행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감지 영역 설정 단계(S3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감지 영역 설정 단계(S300)는 기초 설정 단계(S310)와 감지 영역 보정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 설정 단계(S310)란, 다수 개의 센서의 최대 감지 거리 및 각각의 센서로부터 하방의 감지 한계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센서에 대하여 최대 감지 거리 및 하방의 감지 한계 거리를 설정하는 감지 거리 입력 단계(S311), 입력된 거리에 물체를 접근시켜 작동을 확인하는 감지 거리 확인 단계(S3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거리가 바르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감지 거리를 재입력하고 감지 작동 단계(S315)를 수행한다.
감지 영역 보정 단계(S330)란, 다수 개의 센서와 배전 또는 송전 장치 주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각각 측정하여, 다수 개의 센서가 구조물들을 감지하지 않도록 감지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 작동 단계(S315)에서 구조물이 감지된 경우, 센서와 구조물 사이의 이격 거리가 출력되고, 센서와 구조물 사이의 이격 거리를 기초로 센서의 감지 거리를 제어 장치에 입력하는 감지 거리 입력 단계(S331)가 수행된다. 구조물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감지 거리 입력 단계(S311)와 감지 작동 단계(S315)가 반복될 수 있다.
구조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감지 영역 보정 단계(S330)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이격 거리에 기초한 감지 거리를 재설정할지, 센서의 최대 감지 거리 및 하방의 감지 한계 거리를 재설정할지, 또는 변경 대상이 되는 센서를 변경할지 선택하는 추가 보정 단계(S350)가 수행된다.
전술한 단계들을 거쳐 감지 영역 설정 단계(S300)가 완료되면,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물체가 접근하였을 때, 센서부(200)가 물체를 감지하고, 경고부(300)가 물체의 접근을 표시하는지 확인하는 감지 확인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감지 확인 단계(S400)를 통해 접근 경보 시스템이 올바르게 작동한다고 확인되면, 감지 개시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주
2: 변압기
3: 컷 아웃 스위치
4: 애자
5: 전선
10: 완철
100: 본체부
200: 센서부
300: 경고부
310: 스피커
320: 광원
350: 고정 밴드
400: 고정부
410: 제1 고정부
411: 자석
412: 제1 고정판
415: 홈
420: 제2 고정부
422: 제2 고정판
425: 돌기
430: 힌지
500: 조절부
520: 제1 각도 조절부
550: 암부
551: 제1 암부
552: 제2 암부
570: 제2 각도 조절부

Claims (12)

  1. 전주의 완철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주에 구비된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상기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배전 또는 송전 장치를 향해 상기 물체가 접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경고부; 및
    상기 본체부에 대한 상기 센서부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센서부와 상기 본체부를 서로 연결하고, 인장 또는 수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센서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거리를 조절하는 암부;
    상기 암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암부와 상기 본체부의 접점을 수평하게 관통하되,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제1 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각도 조절부; 및
    상기 센서부를, 상기 암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면서 지면에 수평한 방향인 제2 방향에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접근 경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서로 다른 감지 영역을 갖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접근 경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센서들은, 상기 배전 또는 송전 장치 주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들을 감지하지 않도록 그 감지 영역이 설정된, 접근 경보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완철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자석을 통해 상기 완철의 외주면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완철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완철의 외주면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접근 경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소리를 통해 상기 물체의 접근을 표시하는 스피커와, 빛을 통해 상기 물체의 접근을 표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접근 경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센서부는, 인접하는 2개의 전주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센서부의 감지 영역이 중첩되는 감지 영역을 형성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마련된, 접근 경보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35450A 2017-10-18 2017-10-18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50A KR101877687B1 (ko) 2017-10-18 2017-10-18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50A KR101877687B1 (ko) 2017-10-18 2017-10-18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687B1 true KR101877687B1 (ko) 2018-07-12

Family

ID=6291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50A KR101877687B1 (ko) 2017-10-18 2017-10-18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36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작업자 안전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20A (ja) * 1992-08-14 1994-03-11 Sato Kensetsu Kogyo Kk 危険区域への接近を警告するための警報装置
KR20100059135A (ko) * 2008-11-26 2010-06-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장비 외물접촉예방 감지시스템
KR20100111905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신양산전 전력선 접근 경보장치
KR20120075033A (ko) * 2010-12-28 2012-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20130003463A (ko) * 2011-06-30 2013-01-09 한국전력공사 전기 충전 구역 접근 경보 장치
KR200470826Y1 (ko) * 2013-08-22 2014-01-16 남북중전기(주)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KR20170068258A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마이랜드 파라솔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20A (ja) * 1992-08-14 1994-03-11 Sato Kensetsu Kogyo Kk 危険区域への接近を警告するための警報装置
KR20100059135A (ko) * 2008-11-26 2010-06-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중장비 외물접촉예방 감지시스템
KR20100111905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신양산전 전력선 접근 경보장치
KR20120075033A (ko) * 2010-12-28 2012-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KR20130003463A (ko) * 2011-06-30 2013-01-09 한국전력공사 전기 충전 구역 접근 경보 장치
KR200470826Y1 (ko) * 2013-08-22 2014-01-16 남북중전기(주)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KR20170068258A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마이랜드 파라솔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436A (ko) *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화신 작업자 안전장치
KR102130267B1 (ko) * 2018-09-28 2020-07-08 (주)화신 작업자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383B1 (ko)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계한 보행자 안전시스템
EP3477247A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877687B1 (ko)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2669B1 (ko)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
CN106715317A (zh) 操作移动式起重机的方法与装置以及移动式起重机
JP2011063352A (ja) 他物接近監視機能付き高所作業用バケット
KR20090093478A (ko) 지중전력케이블의 이동변위 감지·경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5035B1 (ko) 케이블 선로 가변이 가능한 송전탑
KR101773170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KR101765065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KR101645519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US6554144B2 (en) Boom positioning device for high-position working
KR20160034236A (ko) 보행신호 음향안내 보조장치
CN103971486A (zh) 报警系统及工程机械
KR101958303B1 (ko) 애자 점검장치
RU162453U1 (ru) Опорно-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6737972B1 (en) Vibration sensor
JP2019066349A (ja) 侵入検出センサ
CN208860872U (zh) 电缆保护器支撑装置
KR101801038B1 (ko)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US8937560B2 (en) Vehicle detection two-wire magnetic field sensing probe with communication capability
KR20220040709A (ko) 라이다의 지정 영역 감지를 이용한 곡선구간용 스마트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KR102294176B1 (ko) 도로변 전주의 충돌방지시스템
KR102489089B1 (ko) 활선 경보 장치
KR102206909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