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303B1 - 애자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애자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303B1
KR101958303B1 KR1020170132630A KR20170132630A KR101958303B1 KR 101958303 B1 KR101958303 B1 KR 101958303B1 KR 1020170132630 A KR1020170132630 A KR 1020170132630A KR 20170132630 A KR20170132630 A KR 20170132630A KR 101958303 B1 KR101958303 B1 KR 10195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insulator
adjusting
rotary blade
flo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혁
박준영
김태균
박현민
윤용범
윤형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3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6Construction of test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자의 불량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이 설치되고, 부상력을 제공하는 부상수단; 및, 상기 부상수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애자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애자 점검장치{INSPECTING APPARATUS FOR INSULATOR}
본 발명은 측정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킨 애자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현재, 가공송전선로에서는 철탑과 송전전력선을 연결시키기 위해 절연체인 애자(Insulator)가 사용되고 있으며, 애자가 절연체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작동하는지 고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활선에서 사용되는 애자의 고장을 점검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애자는 장기간 사용될 경우 고전압 스트레스, 기계적 스트레스, 열 스트레스 및 환경 스트레스 등의 요인으로 인해 열화 및 절연 저하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열화 및 절연 저하에 의한 애자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애자를 점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측정작업자가 애자를 점검하기 위해 휴대용 측정장치를 휴대하고 송전탑에 올라가 수동으로 애자를 점검하였으나, 이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활선에 사용되고 있는 애자련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 없이 애자의 불량여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측정작업자가 활선 안전거리 외부에서 애자의 불량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선로전압의 크기에 따라 안전거리와 활선 작업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일례로, 선간전압에 대한 활선 작업거리는 선로전압 22[kV]의 경우 75[cm]이상, 선로전압 66[kV]의 경우 95[cm]이상, 선로전압 154[kV]의 경우 160[cm]이상, 선로전압 345[kV] 의 경우 350[cm]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작업자가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애자의 불량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애자점검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애자 점검장치의 사용시의 자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측정잡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애자 점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애자 점검장치가 급작스럽게 이동하는 것을 측정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충돌로 인한 애자 점검장치 및, 기존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애자 점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애자의 불량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이 설치되고, 부상력을 제공하는 부상수단 및, 상기 부상수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상수단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날개 및, 상기 제1 회전날개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는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1 회전날개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여 상기 부상수단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여 상기 부상수단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절지지수단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절연성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지지수단은, 일측 단부가 상기 부상수단에 설치되고, 연장 가능한 다단의 절연봉부재 및, 상기 절연봉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측정작업자의 그립부분을 제공하는 그립부재를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검출수단은 상기 부상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조절지지수단은, 상기 그립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부상수단은,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상수단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회전날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날개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부상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상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이 설치된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수단이 애자와 근접시 충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위치조절장치로 신호를 보내는 충돌방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부상수단은, 상기 부상수단의 중앙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부상수단의 평형여부를 감지하는 평형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
바람직하게, 부상수단에 설치되어 애자의 외관 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화상인식수단; 및, 상기 화상인식수단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고, 측정작업자가 눈으로 인식 가능하게 착용하는 화상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애자 점검장치의 사용시의 자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측정잡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애자 점검장치가 급작스럽게 이동하는 것을 측정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충돌로 인한 애자 점검장치 및, 기존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 점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 점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애자 점검장치의 검출수단과 부상수단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 점검장치의 위치조절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 점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 점검장치(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 점검장치(10)는 검출수단(100), 부상수단(200) 및, 조절지지수단(3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화상인식수단(400) 및, 화상표시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애자 점검장치(10)는 애자(S)의 불량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00)과, 상기 검출수단(100)이 설치되고, 부상력을 제공하는 부상수단(200) 및, 상기 부상수단(200)에서 연장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지지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검출수단(100)은 애자(S)에 접촉하여 전기적 특성 또는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애자(S)를 불량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이다.
검출수단(100)은 송전탑의 암부재(T)에 설치된 애자(S)의 불량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수단(100)에 설치된 센서부재를 통해 애자(S)의 전압, 저항, 전류 등의 다양한 특성을 측정하여 애자(S)의 고장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부상수단(200)은 본 발명의 애자 점검장치(10)에 부상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부상수단(200)에 의해 제공된 부상력에 의해 애자 점검장치(10)의 자중이 감소되면서 측정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애자(S)의 불량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상수단(200)에 의해 조절지지수단(300)에 처짐의 발생을 방지하고, 측정잡업자의 측정자세를 안정하게 만들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절지지수단(300)은 부상수단(200)에서 연장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조절지지수단(300)은 일측은 상기 부상수단(200)에 설치되고, 타측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자(S)가 설치된 송전탑의 암부재(T)와 같이 고소에서 돌풍 등으로 인해 애자 점검장치(10)가 급작스럽게 이동하는 것을 측정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풍 등으로 인해 애자 점검장치(10)가 송전탑, 암부재(T), 애자(S)와 충돌하는 것을 측정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설비 간의 충돌로 인한 애자 점검장치(10) 및, 기존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활선에 사용되고 있는 애자(S)련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 없이 애자(S)의 불량여부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측정작업자가 활선 안전거리 외부에서 애자(S)의 불량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이때, 선로전압의 크기에 따라 안전거리와 활선 작업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일례로, 선간전압에 대한 활선 작업거리는 선로전압 22[kV]의 경우 75[cm]이상, 선로전압 66[kV]의 경우 95[cm]이상, 선로전압 154[kV]의 경우 160[cm]이상, 선로전압 345[kV] 의 경우 350[cm]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선로전압 765[kV]인 활선을 가정한다면, 작업거리는 730[cm]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애자 점검장치(10)에서 부상수단(200)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검출수단(100)과 조절지지수단(300)을 조합하여 애자(S)의 불량여부를 점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선로전압이 높아질수록 활선 작업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조절지지수단(300)이 과도하게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과도하게 늘어난 조절지지수단(300)의 하중이 증가하면서 조절지지수단(300)에 처짐이 발생하고, 측정잡업자의 측정자세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측정의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부상수단(200)을 제외하고, 검출수단(100)과 조절지지수단(300)을 조합할 경우에는, 지지수단의 처짐으로 인해 선간전압에 대한 활선 작업거리가 350[cm] 정도의 범위이내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선로전압 345[kV] 이내의 전압에서만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자 점검장치(10)는, 검출수단(100), 부상수단(200) 및, 조절지지수단(300)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부상수단(200)에 의해 제공된 부상력에 의해 애자 점검장치(10)의 사용시의 자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선간전압에 대한 활선 작업거리가 350[cm] 정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범위까지 작업이 가능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부상수단(200)과 조절지지수단(300)의 구성을 조합함으로써, 작업거리는 730[cm]이상이 필요한 선로전압 765[kV]인 활선까지 조절지지수단(300)에 처짐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애자(S)의 점검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수단(100)은 상기 부상수단(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검출수단(100)은 상기 부상수단(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애자(S)의 형상 또는 설치각도 등에 따라 검출수단(100)을 회전시켜 측정대상 위치의 조절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절지지수단(3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절연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지지수단(300)은 내부가 중공된 경량화된 봉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절연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지지수단(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측정작업자가 애자(S)로부터 안전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애자(S)를 점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절지지수단(300)은, 일측 단부가 상기 부상수단(200)에 설치되고, 연장 가능한 다단의 절연봉부재(310) 및, 상기 절연봉부재(3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측정작업자의 그립부분을 제공하는 그립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절연봉부재(310)는 내부가 중공된 봉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하나의 절연봉부재(310)가 다른 절연봉부재(310)의 중공부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면서 복수 개의 절연봉부재(31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절지지수단(300)은, 상기 그립부재(330)에 형성되고, 상기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버튼(3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위치조절버튼(350)은 부상수단(2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좌회전버튼(351) 및, 부상수단(20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우회전버튼(353)을 구비할 수 있다.
위치조절버튼(350)은 부상수단(2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좌회전버튼(351), 부상수단(20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우회전버튼(353) 및, 부상수단(200)의 평행을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평형유지버튼(35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측정작업자가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식에는 수동모드와 자동모드가 존재한다.
수동모드는 측정작업자가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상태이다.
수동모드에는 좌회전버튼(351)과 우회전버튼(353)이 활용될 수 있다.
좌회전버튼(351)을 누를 경우, 부상수단(200)은 좌측으로 회전하고, 우회전버튼(353)을 누를 경우, 부상수단(200)은 우측으로 회전한다.
자동모드는 측정작업자의 조작없이 부상수단(200)이 자동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상태이다.
자동모드에는 평형유지버튼(355)이 활용될 수 있다.
평형유지버튼(355)은 부상수단(200)이 평형을 유지하도록, 제1 회전날개(230)와 상기 제2 회전날개(2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200)의 평형을 유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평형유지버튼(355)이 작동될 경우, 위치조절장치(270)는 평형감지센서(260)에서 감지된 부상수단(200)의 평형정도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날개(230)와 상기 제2 회전날개(2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200)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자동모드와 수동모드 간의 전환은 일측의 버튼을 누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례로, 자동모드와 관련된 평형유지버튼(355)을 누른 상태에서 수동모드와 관련된 좌회전버튼(351), 우회전버튼(353) 등의 버튼을 누를 경우 자동모드는 해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상수단(2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날개(230) 및, 상기 제1 회전날개(230)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날개(2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날개(230)와 제2 회전날개(250)는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제1 회전날개(230)의 회전축과 제2 회전날개(250)의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날개(230)의 회전방향 및, 경사방향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회전날개(2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회전날개(230)는 회전축에서 외측으로 바라보았을 때 우측방향의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회전날개(2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날개(250)는 회전축에서 외측으로 바라보았을 때 좌측방향의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상수단(200)은, 상기 제1 회전날개(230)와 상기 제2 회전날개(2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27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상수단(200)은, 부상수단(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상프레임(210)과, 상기 부상프레임(210)에 설치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날개(230) 및, 상기 부상프레임(210)에 상기 제1 회전날개(230)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날개(2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조절장치(270)는 평형감지센서(260)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회전날개(230)와 제2 회전날개(250)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부상수단(200)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외부의 바람 등에 의해 부상수단(200)의 평형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조절지지수단(300)의 위치조절버튼(350)을 통해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위치조절버튼(350)은 부상수단(200)의 위치조절장치(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날개(250)의 회전속도를 제1 회전날개(230)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여 부상수단(200)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날개(230)의 회전속도를 제2 회전날개(250)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여 부상수단(200)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상수단(200)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회전날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날개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부상수단(200)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27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회전날개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이 상이하고, 회전날개의 하향 경사방향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상수단(200)은, 상기 검출수단(100)이 설치된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수단(100)이 애자(S)와 근접시 충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위치조절장치(270)로 신호를 보내는 충돌방지센서(280)를 구비할 수 있다.
검출수단(100)과 애자(S)가 과도하게 근접하면서 충돌의 우려가 있을 경우, 충돌방지센서(280)는 충돌신호를 위치조절장치(270)로 보내고 위치조절장치(270)가 부상수단(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애자(S)와 검출수단(100)의 충돌을 방지할 있다.
구체적으로, 충동방지센서에서 충돌위험신호가 수신시 위치조절장치(270)가 부상수단(200)을 애자(S)에서 멀어지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부상수단(200)은, 상기 부상수단(200)의 중앙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부상수단(200)의 평형여부를 감지하는 평형감지센서(260)를 구비할 수 있다.
평형감지센서(260)는 부상수단(200)의 평형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평형감지센서(260)는 부상수단(200)의 기울어짐을 정도를 감지하여 부상수단(200)의 평형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평형감지센서(260)는 부상수단(200)의 부상프레임(210)의 상측 중앙영역에 설치되고, 제1 회전날개(230)의 회전축과 제2 회전날개(250)의 동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애자 점검장치(10)는 부상수단(200)에 설치되어 애자(S)의 외관 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화상인식수단(400) 및, 상기 화상인식수단(4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고, 측정작업자가 눈으로 인식 가능하게 착용하는 화상표시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인식수단(400)은 부상수단(200)의 부상프레임(210) 상단에 설치되는 화상카메라고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화상표시수단(500)은 화상인식수단(4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고, 측정작업자의 눈에 착용될 수 있다.
일례로, 화상표시수단(500)은 화상인식수단(4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고, 측정작업자의 눈에 착용하는 안경타입의 표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상표시수단(500)은 화상인식수단(4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고, 측정작업자가 볼 수 있는 테블릿 PC 등의 화상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애자 점검장치 100: 검출수단
200: 부상수단 210: 부상프레임
230: 제1 회전날개 250: 제2 회전날개
260: 평형감지센서 270: 위치조절장치
280: 충돌방지센서 300: 조절지지수단
310: 절연봉부재 330: 그립부재
350: 위치조절버튼 351: 좌회전버튼
353: 우회전버튼 355: 평형유지버튼
400: 화상인식수단 500: 화상표시수단
S: 애자 T: 암부재

Claims (11)

  1. 애자의 불량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이 설치되고, 부상력을 제공하는 부상수단 및,
    상기 부상수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부상수단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날개 및,
    상기 제1 회전날개에서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상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는 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1 회전날개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여 상기 부상수단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여 상기 부상수단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절지지수단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절연성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지지수단은,
    일측 단부가 상기 부상수단에 설치되고, 연장 가능한 다단의 절연봉부재 및,
    상기 절연봉부재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측정작업자의 그립부분을 제공하는 그립부재를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부상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자 점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지지수단은,
    상기 그립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버튼;을 더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수단은,
    상기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제2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수단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회전날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날개의 적어도 일부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부상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부상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이 설치된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검출수단이 애자와 근접시 충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위치조절장치로 신호를 보내는 충돌방지센서;를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수단은,
    상기 부상수단의 중앙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부상수단의 평형여부를 감지하는 평형감지센서;를 구비하는 애자 점검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수단에 설치되어 애자의 외관 상의 정보를 수집하는 화상인식수단; 및,
    상기 화상인식수단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고, 측정작업자가 눈으로 인식 가능하게 착용하는 화상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애자 점검장치.
KR1020170132630A 2017-10-12 2017-10-12 애자 점검장치 KR10195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30A KR101958303B1 (ko) 2017-10-12 2017-10-12 애자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30A KR101958303B1 (ko) 2017-10-12 2017-10-12 애자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303B1 true KR101958303B1 (ko) 2019-03-15

Family

ID=6576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630A KR101958303B1 (ko) 2017-10-12 2017-10-12 애자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455B1 (ko) * 2022-12-20 2023-04-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계식 불량애자 검출기 애자 이탈방지 날개 연장 슬레드, 및 이를 구비한 전계식 불량애자 검출기 및 그 방법
CN116973609A (zh) * 2023-09-21 2023-10-31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电网支柱复合绝缘子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913A (ko) * 2004-12-20 2006-06-23 한전기공주식회사 전압식 불량애자 검출시스템
KR101252080B1 (ko) * 2011-11-16 2013-04-12 김영진 쿼드로터형 비행로봇을 통한 송전탑 애자 크랙 검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913A (ko) * 2004-12-20 2006-06-23 한전기공주식회사 전압식 불량애자 검출시스템
KR101252080B1 (ko) * 2011-11-16 2013-04-12 김영진 쿼드로터형 비행로봇을 통한 송전탑 애자 크랙 검사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455B1 (ko) * 2022-12-20 2023-04-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계식 불량애자 검출기 애자 이탈방지 날개 연장 슬레드, 및 이를 구비한 전계식 불량애자 검출기 및 그 방법
CN116973609A (zh) * 2023-09-21 2023-10-31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电网支柱复合绝缘子检测装置
CN116973609B (zh) * 2023-09-21 2023-12-01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电网支柱复合绝缘子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303B1 (ko) 애자 점검장치
US20170340176A1 (en) Drone cleaning device
US59502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passenger boarding bridge to a movable body
JP6584859B2 (ja) 風力タービンでの避雷測定を実行するための無人航空機及び方法
US10597266B2 (en) Cran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verload protection of such a crane
JP6811871B2 (ja) 絶縁型高所作業車及びその絶縁型作業床の自動幅制限方法
WO2006033959A2 (en) Load detection system for motorized lateral and vertical arm awnings
KR101990416B1 (ko)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JP2012110134A (ja) 間接活線作業具
JP2018024489A (ja)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異常検出装置
KR101241318B1 (ko) 송배전 특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RU24829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дефекта в проводе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US11604056B2 (en) Device for the inspection of wind power plants
JP2016505440A (ja) 重負荷の運送制御システム、運送手段、及び運送制御方法
CN117740839A (zh) 基于无人机的输电金具x射线检测方法及系统
KR101804159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 완화장치
US20120298315A1 (en) Awning motion sensor
CN115792298A (zh) 一种方便使用的电力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KR20200138490A (ko) 사장교 케이블의 잔설제거 및 점검 로봇
JP2015184251A (ja) 架空電線検査装置
KR101877687B1 (ko) 접근 경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34455B1 (ko) 태양광 입사각 측정장치
AU2011217550B2 (en) Luffing-jib tower crane
CN106958726A (zh) 一种工程检测的固定装置
KR101337624B1 (ko) 추락 방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