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416B1 -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416B1
KR101990416B1 KR1020170153613A KR20170153613A KR101990416B1 KR 101990416 B1 KR101990416 B1 KR 101990416B1 KR 1020170153613 A KR1020170153613 A KR 1020170153613A KR 20170153613 A KR20170153613 A KR 20170153613A KR 101990416 B1 KR101990416 B1 KR 10199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snow
predetermined
auxiliary
auxiliar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357A (ko
Inventor
송창영
Original Assignee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filed Critical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8005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E04D13/106Snow remo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지붕에 쌓인 눈을 지면으로 낙하시켜 지붕 위 제설이 가능하며, 햇빛의 반사열을 이용하여 지붕 위에 남은 눈을 녹임으로써 남아있는 잔설함으로써, 지붕 위에 올라기지 않고도 제설이 가능하여 눈 무게로 인해 지붕이 붕괴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붕설치형 제설장치{ROOF MOUNTED TYPE SNOW REMOVAL EQUIPMENT}
본 발명은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 상단에 설치되어 지붕빗면을 따라 제설장치가 이동되면서 지붕에 적재된 눈이 바닥으로 떨어짐으로써 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별도의 열원장치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제설이 가능한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발생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평균 기온의 변화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온의 변화는 폭우, 폭설, 강풍 등의 자연재해를 유발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안전대책의 마련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겨울철 기상현상은 이전과 다르게 폭설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농가의 비닐하우스나, 건축물의 지붕이 붕괴되는 등의 사고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붕괴사고의 방지를 위해서는 지붕에 쌓이는 눈을 상시 제거해야 된다.
그러나 눈이 내리는 와중에 지붕위로 올라가 제설작업을 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더욱이 이미 내린 눈으로 인해 지붕이 매우 미끄러워 제설작업을 하다가 추락하게 되는 낙상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지붕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여 제설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강설 초기에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적설량이 증가하거나 기온이 극저온으로 떨어질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붕에 열선을 설치하여 지붕에 쌓인 눈을 녹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열선을 설치하기 위한 재료비 및 시공비가 매우 비싸고 시공기간이 오래 소요되며, 열선의 종류에 따라 내구연한의 차이가 매우 큰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스프링클러와 열선은 점검 및 유지보수 방법이 복잡하여 많은 유지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원활한 사용을 위하여 기본적인 설비유지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유지관리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설치가 간편하며, 강설시 효과적으로 제설이 가능한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2221호 (2013.08.2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을 가로지르며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제설장치가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지붕 위에 적재된 눈을 지붕 아래로 떨어뜨림으로써 지붕 위에 적재된 눈을 제거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반사판을 이용하여 지붕 위의 눈을 녹임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설이 가능한 지붕설치형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붕(R) 위에 쌓인 눈의 하단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붕(R) 밑으로 떨어뜨림으로써 지붕(R) 위의 제설이 가능한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붕설치형 제설장치는 지붕(R)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며, 지붕(R)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는 제설부(100)와, 상기 지붕(R)의 좌우측단부에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설부(100)의 양측단부와 결합되어 지붕(R)의 상하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제설부(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자연광을 소정의 각도로 반사시켜 지붕(R) 위로 자연광이 비춰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반사부(300)와, 상기 지붕(R)의 상측면에 구성되어 눈의 무게가 감지되어지는 감지센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설부(100)는 상기 지붕(R)의 경사면에 밀착되어 눈을 지붕(R) 밑으로 떨어뜨리는 제설몸체부(110)와, 상기 제설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며, 제설몸체부(110)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보조몸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설몸체부(110)는 소정의 두께로 구성되어 지붕(R)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는 몸체부재(111)와, 상기 몸체부재(111)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며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보조몸체부(120)가 뒤로 꺾이는 것이 방지되어지는 꺾임방지부재(112)와, 상기 몸체부재(111)의 측면부에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되어지는 관통부(113)와, 상기 몸체부재(111)의 양측단부에 돌출되어 구성되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지는 몸체 결합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몸체부(120)는 몸체부재(11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소정의 두께로 구성되어 지붕(R)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는 보조몸체부재(121)와,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의 소정의 위치에 관통되어 구성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배치되어지는 복수개의 관통부(122)와,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의 하측단부에 구성되어 몸체부재(111)의 관통부(113)와 힌지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지는 경첩부(123)와,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햇빛의 조도량 및 반사각도가 측정되어지는 조도센서부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200)는 지붕(R)의 상하길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양측단부에 구성되어지는 한 쌍의 메인 가이드부(210)와, 상기 한 쌍의 메인 가이드부(210)의 사이에 구성되어 제설부(100)가 평행하게 이동되어지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배치되어 구성되어지는 복수개의 보조 가이드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부(300)는 상기 제설부(100)의 보조몸체부(120)의 내부에 구성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모터부재(310)와, 상기 모터부재(310)에는 롤형상으로 구성되어지며, 햇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320)와, 상기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에 구성되어지며 상기 반사부재(320)가 펼쳐짐과 동시에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말려지는 롤러부재(330)와, 일측단부는 상기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롤러부재(33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반사부재(320)가 완전히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보조하는 펼침 보조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부재(310)는 보조몸체부(120) 내부의 상부 양측단부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상부 모터부재(311)와,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의 하부 양측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지며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어지는 하부 모터부재(312)와,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와 하부 모터부재(31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동일해지도록 조정하기 위한 링크부재(3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지붕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지붕에 쌓인 눈을 지면으로 낙하시켜 지붕 위 제설이 가능하며, 햇빛의 반사열을 이용하여 지붕 위에 남은 눈을 녹임으로써 남아있는 잔설함으로써, 지붕 위에 올라기지 않고도 제설이 가능하여 눈 무게로 인해 지붕이 붕괴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의 제설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의 제설장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의 제설장치 단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의 상세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셀치형 제설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설치형 제설장치는 지붕(R)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평이동되어지는 제설부(100)와, 지붕(R)의 양측단부에는 경사면을 따라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설부(100)의 양측단부와 결합되어지는 가이드부(20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붕설치형 제설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R)의 경사면을 따라 제설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지면서 지붕(R) 위의 눈을 지붕(R) 밑으로 떨어뜨림으로써 지붕(R) 위의 제설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설부(10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의 도시에 따른 편의상 짧은 길이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설부(100)는 지붕(R)의 좌우길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설부(100)는 상기 지붕(R)의 경사면과 밀착되어 눈을 지붕(R) 밑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제설몸체부(110)와, 상기 제설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결합되며, 제설몸체부(110)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보조몸체부(12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제설몸체부(110)와 보조몸체부(120)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눈의 열 전도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설몸체부(110)는 소정의 두께로 구성되는 몸체부재(111)와, 상기 몸체부재(111)의 일측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돌출되며 상기 보조몸체부(120)가 뒤로 더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꺾임방지부재(112)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꺾임방지부재(112)는 상기 제설부(100)가 눈을 밀면서 이동할 시에, 보조몸체부(120)가 눈에 의해 뒤로 더 꺾이게 되어는 것을 방지하여 지붕(R) 위의 제설이 더욱 용이하게 한다.
상기 몸체부재(111)의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지는 관통부(113)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관통부(113)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재(111)의 양측단부에는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지도록 양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는 몸체 결합부재(114)가 구성되어지며, 상기 가이드부(200)와는 나사결합되어지거나 용접결합되어지며, 상기 제설부(100)가 가이드부(200)를 따라 이동되어지면서 제설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조몸체부(120)는 몸체부재(11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소정의 두께로 구성된 보조몸체부재(121)는 상기 지붕(R)의 좌우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에는 복수개의 관통부(122)가 구성되어진데, 이때 상기 복수개의 관통부(122)는 보조몸체부재(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구성되어진다.
상기 관통부(122)는 평소에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바람이 불어올 시에 상기 관통부(122)로 바람이 통과하게 됨으로써 보조몸체부(120)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붕(R) 위에 쌓인 눈을 제설 할 시에는 반사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부(122)를 막게 되며, 지붕(R)의 눈을 완전하게 밀어뜨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의 하측단부에는 몸체부재(111)의 관통부(113)와 힌지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지는 경첩부(123)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관통부(113)와 경첩부(123)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결합되어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설몸체부(110)를 중심으로 보조몸체부(120)가 소정의 각도로 조절되어지게 된다.
한편 별도의 제어부(S)를 추가로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S)의 설정에 따라 상기 보조몸체부(12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보조몸체부재(121)의 소정의 위치에는 복수개의 조도센서부재(124)가 구성되어 햇빛의 조도량 및 반사각도를 측정하게 되며, 제어부(S)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하여 보조몸체부재(121)의 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부(200)는 상기 지붕(R)의 상하길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지며, 지붕(R)의 양측단부에 구성되어 한 쌍의 메인 가이드부(210)를 구성한다.
상기 한 쌍의 메인 가이드부(210)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 가이드부(210)가 구성되어, 상기 제설부(100)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제설부(100)가 지붕(R)의 경사면을 상하로 이동할 시에 어느 한곳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지면과 수평하도록 평행하게 이동되어지는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설부(100)와 가이드부(200)의 결합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설부(100)의 제설몸체부(110) 양측단부에 구성된 몸체 결합부재(114)에는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역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1141)와, 상기 양측단부로 단면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바퀴부재(1142)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가이드부(200)의 메인 가이드부(210)는 상측 중앙부분이 개방되어지고 속이 빈 강관 형상의 가이드 몸체부(211)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브러쉬 부재(2111)가 추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가이드 몸체부(211)에는 상기 지지부재(1141) 및 바퀴부재(1142)가 삽입되어지며, 상기 가이드 몸체부(211)의 상측 중앙부분에 관통된 부분을 따라 지지부재(1141)가 이동되어진다.
상기 브러쉬 부재(2111)는 가이드 몸체부(211) 내부로 눈과 같이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9는 상기 제설부(100)와 가이드부(200)의 결합관계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몸체 결합부재(114)에는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하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1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1141)와, 상기 지지부재(1141)의 하측단부에는 구형상의 슬라이드부재(1144)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가이드부(200)의 메인 가이드부(210)는 상측 중앙부분이 개방되어지고 내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14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몸체부(211)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브러쉬 부재(2111)가 추가로 구성되어진다.
추가로 상기 가이드 몸체부(211)의 내부에는 윤활재가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1144)의 마찰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반사부(300)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반사부(300)는 상기 제설부(100)의 보조몸체부(120)의 내부에 구성되어진다.
상기 반사부(300)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한 쌍의 모터부재(310)가 구성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보조몸체부(120)의 내부 양측단부에 구성되어진다.
상기 모터부재(310)에는 롤형상으로 구성되어 햇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32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반사부재(320)는 일반적으로 은박지와 같은 반사광 재질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에는 상기 반사부재(320)가 펼쳐짐과 동시에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말려지는 롤러부재(33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롤러부재(330)는 상기 반사부재(320)가 펼쳐질 시에, 하측단부에 잔여부분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상기 반사부재(320)를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반사부재(320)와 롤러부재(330) 사이에는 일측단부는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롤러부재(33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1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펼침 보조부재(340)가 구성되어진다.
상기 펼침 보조부재(340)는 상기 반사부재(320)가 더욱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보조하여, 반사부재(320)의 반사각도가 더욱 정확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모터부재(31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단부에는 상부 모터부재(311)가 구성되어지고,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의 하측단부에는 하부 모터부재(312)가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와 하부 모터부재(312)는 링크부재(313)로 연결되어 구성되어짐으로써 상부 모터부재(311)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하부 모터부재(31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동일하게 조정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와 하부 모터부재(31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동일해 짐으로써 반사부재(320)는 일정한 방향과 함께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S)는 상기 보조몸체부(120)에 구성된 조도센서부재(124)의 측정된 햇빛의 조도량 및 반사각도의 측정값을 수신받게 되어, 태양의 위치에 따라 보조몸체부(120)의 각도를 조정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R) 위로 햇빛을 반사시킴으로써, 제설부(100)가 제설하지 못한 잔설을 녹여 효과적으로 지붕(R) 위의 눈을 제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붕(R)의 소정의 위치에는 복수개의 감압센서부(400)를 구성하여, 지붕(R) 위로 쌓이게 되는 눈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S)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S)에서는 지붕(R) 위에 쌓이게 된 눈의 무게값에 따라 눈의 높이를 판단하게 되며, 눈의 무게값이 증가하게 되면 이를 눈의 높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설부(100)의 이동횟수 및 이동속도를 함께 증가시켜 지붕(R) 위의 눈을 제설하게 된다.
상기 눈의 높이는 아래와 같은 기준계산 식을 통하여 계산하게 된다.
단위면적 1㎡ 기준으로,
0~0.5m이하는 두께 1mm당 1N/㎡(= 약 0.1kg/㎡)
0.5m초과~1.0m는 두께 1mm당 1.5N/㎡(= 0.15kg/㎡)
1.0m초과~2.0m미만는 두께 1mm당 2.0N/㎡(= 0.2kg/㎡)
2.0m이상은 두께 1mm당 3.0N/㎡(= 0.3kg/㎡)
이때 눈의 비중은 1로 계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지붕(R) 위에 쌓인 눈의 무게값을 토대로 하여, 제설부(100)는 가이드부(200)를 따라 지붕(R)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설 후 조도센서부재(124)를 통해 햇빛을 감지하게 되면, 보조몸체부(120)의 각도를 조정하여 지붕(R)으로 햇빛을 반사시킴으로써 태양열로 잔설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지붕(R) 위의 눈을 제거하여, 지붕(R)의 내구수명을 증가시키고 눈 무게로 인하여 지붕(R)이 붕괴되는 것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R : 지붕 100 : 제설부
200 : 가이드부 300 : 반사부
400 : 감압센서부

Claims (4)

  1. 지붕(R) 위에 쌓인 눈의 하단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붕(R) 밑으로 떨어뜨림으로써 지붕(R) 위의 제설이 가능한 지붕설치형 제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붕설치형 제설장치는
    지붕(R)의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수평이동되며, 지붕(R)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는 제설부(100)와,
    상기 지붕(R)의 양측단부에 구성되어지며, 상기 제설부(100)의 양측단부와 결합되어 지붕(R)의 상하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지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제설부(10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자연광을 소정의 각도로 반사시켜 지붕(R) 위로 자연광이 비춰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반사부(300)와,
    상기 지붕(R)의 상측면에 구성되어 눈의 무게가 감지되어지는 감압센서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부(100)는 상기 지붕(R)의 경사면에 밀착되어 눈을 지붕(R) 밑으로 떨어뜨리는 제설몸체부(110)와,
    상기 제설몸체부(110)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며, 제설몸체부(110)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보조몸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300)는 상기 제설부(100)의 보조몸체부(120)의 내부에 구성되며,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모터부재(310)와,
    상기 모터부재(310)에는 롤형상으로 구성되어지며, 햇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320)와,
    상기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에 구성되어지며 상기 반사부재(320)가 펼쳐짐과 동시에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말려지는 롤러부재(330)와,
    일측단부는 상기 반사부재(320)의 하측단부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고, 타측단부는 상기 롤러부재(33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반사부재(320)가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보조하는 펼침 보조부재(34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재(310)는 보조몸체부(120) 내부의 상부 양측단부에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어지는 상부 모터부재(311)와,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의 하부 양측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지며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어지는 하부 모터부재(312)와, 상기 상부 모터부재(311)와 하부 모터부재(31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동일해지도록 조정하기 위한 링크부재(313)를 포함하며,
    상기 감압센서부(400)는,
    상기 지붕(R)에 쌓인 눈의 무게값를 측정하여 제어부(S)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S)는, 상기 감압센서(400)로부터 수신받은 상기 쌓인 눈의 무게값에 대응하여 상기 제설부(100)를 기설정된 이동횟수 및 이동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몸체부(110)는 소정의 두께로 구성되어 지붕(R)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는 몸체부재(111)와,
    상기 몸체부재(111)의 일측단부에 구성되며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보조몸체부(120)가 뒤로 꺾이는 것이 방지되어지는 꺾임방지부재(112)와,
    상기 몸체부재(111)의 측면부에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로 관통되어 형성되어지는 관통부(113)와,
    상기 몸체부재(111)의 양측단부에 돌출되어 구성되며, 가이드부(200)와 결합되어지는 몸체 결합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부(120)는 몸체부재(111)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소정의 두께로 구성되어 지붕(R)의 좌우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성되는 보조몸체부재(121)와,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의 소정의 위치에 관통되어 구성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배치되어지는 복수개의 관통부(122)와,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의 하측단부에 구성되어 몸체부재(111)의 관통부(113)와 힌지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지는 경첩부(123)와,
    상기 보조몸체부재(121)의 소정의 위치에 구성되어 햇빛의 조도량 및 반사각도가 측정되어지는 조도센서부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0)는 지붕(R)의 상하길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지붕(R)의 양측단부에 구성되어지는 한 쌍의 메인 가이드부(210)와,
    상기 한 쌍의 메인 가이드부(210)의 사이에 구성되어 제설부(100)가 평행하게 이동되어지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배치되어 구성되어지는 복수개의 보조 가이드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KR1020170153613A 2016-11-25 2017-11-17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KR101990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8224 2016-11-25
KR1020160158224 2016-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357A KR20180059357A (ko) 2018-06-04
KR101990416B1 true KR101990416B1 (ko) 2019-06-18

Family

ID=6262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613A KR101990416B1 (ko) 2016-11-25 2017-11-17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7916A (zh) * 2019-01-31 2019-05-24 卞洪丽 一种油田站间屋顶融雪装置
CN111877651B (zh) * 2020-07-30 2021-11-05 南宁学院 一种房顶斜面三自由度自动除雪设备
CN112031290A (zh) * 2020-09-04 2020-12-04 广东爱得威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屋顶除雪装置
CN114775927A (zh) * 2022-04-28 2022-07-22 兰雪梅 一种可清除积雪的三角屋顶
CN116905713A (zh) * 2023-09-12 2023-10-20 河南大方重型装备有限公司 一种可防雨雪堆积的钢结构厂房屋顶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297A (ja) * 2005-08-09 2007-02-22 Shigeru Inoue 屋根の除雪装置
US20150355392A1 (en) * 2014-06-04 2015-12-10 Jean Muscat Sun-Reflective Panel Useful For Melting Ice or Snow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248A (ko) * 2009-09-04 2011-03-10 오태길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조형물
KR101302221B1 (ko) 2011-12-26 2013-08-3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지붕 제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297A (ja) * 2005-08-09 2007-02-22 Shigeru Inoue 屋根の除雪装置
US20150355392A1 (en) * 2014-06-04 2015-12-10 Jean Muscat Sun-Reflective Panel Useful For Melting Ice or Sn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357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416B1 (ko) 지붕설치형 제설장치
CN105406389B (zh) 多线巡检电动飞车
EP3234273B1 (en) Pergola cover
WO2014162778A1 (ja) 太陽追尾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太陽追尾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20130039049A1 (en) Mobile light tower
WO2006033959A2 (en) Load detection system for motorized lateral and vertical arm awnings
US202200884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all - protection safety system
US20170352266A1 (en) Advanced flood gauge
CN103197358A (zh) 气象监测系统
AU2012312524A1 (en) Impact-resistant surface-mounted roof sensors
CN205724379U (zh) 一种接闪杆系统
US4102433A (en) Ladder
CN205537868U (zh) 一种道路积水水位监测装置
KR101486785B1 (ko) 강수형태와 얼음상황의 진단을 위한 강수온도 감지기
CN111257868A (zh) 一种自动协调变形的运营期隧道衬砌质量检测装置
CN110284722A (zh) 一种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
CN206321310U (zh) 自卷尺液位显示警示装置
KR102480716B1 (ko) 광섬유 격자센서를 이용한 강수량 측정장치
CN112281704B (zh) 一种倾倒后可自动站立的路障锥
CN212771922U (zh) 一种用于悬索桥主缆的外观巡检装置
CN213453298U (zh) 一种改进的可转动易折式助航灯
CN114809124A (zh) 一种基坑变形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208607157U (zh) 一种道路裂缝探测装置
KR200338831Y1 (ko)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CN214740449U (zh) 一种建筑施工中临边防护的预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