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038B1 -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038B1
KR101801038B1 KR1020160097987A KR20160097987A KR101801038B1 KR 101801038 B1 KR101801038 B1 KR 101801038B1 KR 1020160097987 A KR1020160097987 A KR 1020160097987A KR 20160097987 A KR20160097987 A KR 20160097987A KR 101801038 B1 KR101801038 B1 KR 10180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state
blocks
out swit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안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산업(주) filed Critical 안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9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7/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 H01H77/0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operated by excess current and requiring separate action for resetting in which the excess current itself provides the energy for opening the contacts, and having a separate reset mech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1/00Protective switches in which contacts are normally closed but are repeatedly opened and reclosed as long as a condition causing excess current persists, e.g. for current limi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전력선에 연결되어 있는 1차 인하선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기와,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1차 인하선 및 2차 인하선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블록 및 제2 블록, 그리고 상기 이격된 공간상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고 설정 각도로 회전 시마다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사이를 접속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부, 및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전류가 임계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정 각도로 회전 제어하여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의 전류 값이 임계 이상일 때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어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각 스위치의 상태 확인 및 스위치의 개폐 조작이 가능한 감시 패널을 구비하여 유지 보수 및 관리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바켓 차량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System for cut out switch}
본 발명은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전력선과 변압기 사이에 설치되어 과전류를 차단하는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전력선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변압기를 거쳐 적정 전압으로 다운되어 수용가로 다시 공급된다. 전력선과 변압기 사이에는 주로 과전류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한 컷아웃 스위치(COS;Cut Out Switch)가 설치된다.
컷아웃 스위치는 크게 상부 접속자, 하부 접속자 및 퓨즈를 감싸는 퓨즈 홀더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퓨즈 홀더는 상부 접속자와 하부 접속자 사이에 연결된다. 상부 접속자는 고압 전력선의 분기점과 연결되고, 하부 접속자는 변압기의 일차측(primary)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컷아웃 스위치의 경우, 상부 접속자를 통해 과전류가 유입되면 퓨즈가 즉시 융단되어 전력이 차단되는 동시에, 퓨즈 홀더가 아래로 젖혀져 작업자의 육안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차후에는 작업자가 다시 활선 바켓 차량에 직접 올라 퓨즈를 교체해야 하며 퓨즈 홀더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위험도가 높고 차량을 항상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1516호(2008.08.21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작업자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력선에 연결되어 있는 1차 인하선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기와,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1차 인하선 및 2차 인하선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블록 및 제2 블록, 그리고 상기 이격된 공간상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고 설정 각도로 회전 시마다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사이를 접속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부, 및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전류가 임계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정 각도로 회전 제어하여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간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싱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이 90°회전될 때마다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블록에 각각 동시에 접속되거나 동시에 접속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아웃 스위치부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제1 및 제2 블록을 내장하며, 내부 공간에 절연유 또는 절연 가스가 충진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1차 인하선 간을 연결시키는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2차 인하선 간을 연결시키는 제2 접속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은, 전신주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감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시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사이의 접속 또는 차단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접속 또는 차단 상태의 전환을 위한 조작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상기 컷아웃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컷아웃 스위치부를 개별 제어하며, 상기 감시 패널은, 상기 컷아웃 스위치부 각각에 대한 상태 출력 및 상태 조작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에 따르면, 전력선의 전류 값이 임계 이상일 때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어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각 스위치의 상태 확인 및 스위치의 개폐 조작이 가능한 감시 패널을 구비하여 유지 보수 및 관리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바켓 차량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의 설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컷아웃 스위치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과전류 차단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의 설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은 전류 감지기(100), 컷아웃 스위치부(200), 제어부(300), 그리고 감시 패널(400)을 포함한다.
전류 감지기(100)는 전력선(10)에서 분기된 1차 인하선(11)에 연결되어 1차 인하선(1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전류 감지기(100)는 통상의 CT(Current Transformer; 변류기)로 구현 가능한데, 물론 과전류 감지가 가능한 공지된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1차 인하선(11)은 전력선(10)의 고압 전력을 컷아웃 스위치부(200)로 내려준다. 컷아웃 스위치부(200)는 1차 인하선(11)을 통해 내려온 고압 전력을 2차 인하선(12)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2차 인하선(12)은 컷아웃 스위치부(200)를 통해 내려받은 전력을 변압기(20)의 1차측으로 전달한다. 변압기(20)는 1차측의 입력 전력을 변압하여 2차측으로 출력하는데, 2차 인하선(12)을 통해 내려받은 전력을 적정 전압으로 낮추어 각 수용가 등에 공급한다.
도 1의 경우, 컷아웃 스위치부(200), 1차 및 2차 인하선(11,12)은 전신주에 대해 복수 개(ex, 3개)의 세트로 설치된 것을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한 세트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변압기(20)는 각각의 컷아웃 스위치부(200)를 통과한 전력을 목표 전압으로 조정하여 각각의 목적지로 공급하는데 각각의 목표 전압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1차 인하선(11)의 전류 값이 임계치 미만의 정상 수준일 경우 컷아웃 스위치부(200)의 내부를 전력 전달 가능 상태(on)(이하, 접속 상태)로 제어하고, 전류 값이 임계치 이상일 경우 전력 전달 불가 상태(off)(이하, 차단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전류 감지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주기적으로 전류 값을 수신한다. 유선 방식의 경우 통상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결선하면 된다. 무선 방식의 경우 전류 감지기(100)는 무선 통신 모듈(RF, Bluetooth, Wi-Fi 등)을 내장한 IoT(Internet of Thing;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측정 전류 값을 제어부(300)로 실시간 무선 전송할 수 있다.
감시 패널(400)은 전신주에 설치 가능하며, 제어부(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감시 패널(400)은 컷아웃 스위치부(200)의 현재 상태를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10)와, 작업자로부터 스위치 상태를 직접 조작 받는 사용자 조작부(420)를 포함한다.
감시 패널(400)은 작업자가 별도의 장비(ex, 바켓 차량) 없이도 컷아웃 스위치의 상태 확인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신주 상의 적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어부(300)는 감시 패널(400)과 별개의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감시 패널(40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감시 패널(400)에 내장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410)는 컷아웃 스위치부(200)의 현재 상태(접속 또는 차단 상태)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사용자 조작부(420)는 컷아웃 스위치부(200)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게 하며, 접속 또는 차단 상태 전환을 위한 조작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설비 점검, 고장 수리 등이 필요할 때 작업자가 감시 패널(400)을 조작하여 컷아웃 스위치부를 직접 오프시킬 수도 있고, 다시 온 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 조작부(420)는 물리적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일 경우 화면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리적 버튼의 경우 온과 오프 버튼을 별도 구축하거나 하나로 구성하여 병용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하나의 전신주에 다수의 컷아웃 스위치가 설비된 경우, 제어부(300)는 다수의 컷아웃 스위치부(200)와 연결되어 각각의 컷아웃 스위치부(200)를 개별 제어한다. 물론 제어부(300)는 각 라인 상의 전류 감지기(100)의 측정 값을 기초로 해당 라인의 컷아웃 스위치부(200)를 개별 제어하면 된다.
또한, 이 경우 감시 패널(400)은 컷아웃 스위치부(200) 각각에 대한 상태 출력 및 상태 조작이 가능하게 구현된다. 즉, 컷아웃 스위치부(200)의 ID 별로 스위치 상태를 구분하여 출력하고, ID 별로 상태 조작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컷아웃 스위치부(200)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컷아웃 스위치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과전류 차단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컷아웃 스위치부(200)는 제1 블록(210), 제2 블록(220), 회전체(230), 케이스(240), 제1 접속단자(260) 및 제2 접속단자(260)를 포함한다.
케이스(240)는 제1 모듈(210)과 제2 모듈(220) 및 회전체(230)를 내장하며,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케이스(240)의 내부 공간에는 절연유 또는 절연 가스와 같은 절연 유체(270)가 충진된다.
제1 블록(210)은 케이스(24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1차 인하선(11)에 연결되어 전력이 유입된다. 제2 블록(220)은 케이스(240)의 내부 하측에 제1 블록(210)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설치되고 2차 인하선(12)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모듈(220)은 제1 모듈(210)의 하부에서 제1 모듈(210)과 마주보며 제1 모듈(210)과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모듈(210,220)은 통전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230)는 제1 및 제2 모듈(220) 간의 이격된 공간상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며, 설정 각도로 회전 시마다 제1 및 제2 블록(210,220) 사이를 접속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시킨다.
회전체(230)는 블레이드(231) 및 회전축(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레이드(231)는 회전축(232)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제1 및 제2 블록(210,220) 간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231) 역시 통전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32)은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블레이드(231)를 설정 각도(ex, 90°)씩 회전시킨다. 도면에서 제어부와 회전축 간의 제어 라인은 생략 도시하였다. 회전축(232)은 소형의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설정 각도씩 회전될 수 있다.
회전체(23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회전축(232)이 90°회전될 때마다, 블레이드(231)의 양측 단부는 제1 및 제2 블록(210,220)에 각각 동시에 접속되거나, 동시에 접속 해제된다.
제1 접속단자(260)는 케이스(240)의 상측에 관통 형성되며 제1 블록(210)과 1차 인하선(11) 간을 연결시킨다. 또한, 제2 접속단자(250)는 케이스(24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되며 제2 블록(220)과 2차 인하선(12) 간을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1차 인하선(11)에서 감지된 전류 값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회전체(2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1 및 제2 블록(210,220) 간을 접속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블록(210,220) 간의 접속 상태에서 전류가 임계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도 4와 같이 회전체(230)를 설정 각도로 회전 제어하여 제1 및 제2 블록(210,220) 간을 차단 상태로 전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1차 인하선(11)의 전류가 임계치 미만일 때는 도 3과 같이 블레이드(231)를 수직 상태로 제어하여, 제1 및 제2 블록(210,220) 간을 접속시키고 변압기(20)로의 전력 전달을 지속시킨다.
다만, 누전 등으로 인해 1차 인하선(11)에서 임계치 이상의 과전류가 감지되면, 그 즉시 제어부(300)는 도 4와 같이 회전축(232)을 설정 각도(ex, 90°)만큼 회전 제어하여 블레이드(231)를 수평 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제1 및 제2 블록(210,220) 간의 접속을 해제시키고 변압기(20)로의 전력 전달을 차단시킨다. 이때, 케이스(240) 내에 채워진 절연 유체(270)가 두 블록(210,220) 간의 전력 차단 상태를 더욱 견고히 한다.
물론, 이후에 다시 과전류가 없는 정상 상태로 복구될 경우, 제어부(300)는 회전축(232)을 설정 각도(ex, 90°)만큼 다시 회전 제어함으로써, 도 3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변압기(20)로의 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1)의 양측 단부는 제1 블록(210)과 제2 블록(220)에 각각 맞닿을 수 있는 길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게 약간 짧은 길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31)의 길이는 제1 및 제2 블록(210,220) 간의 이격 간격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소정 마이너스 오차 값을 반영하여 실제 이격 간격보다 약간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압 전력은 두 금속 간이 설정 거리(ex, 5cm) 이내이면 그 사이에 절연 유체가 존재하더라도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31)의 양측 단부가 각 블록(210,220)에 직접 맞닿지 않더라도 설정 거리 이내로만 근접하게 되면 원하는 바와 같이 전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설정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기 시작하면 당연히 전력 전달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회전체(230)는 일자 모양의 두 방향의 블레이드를 예시한 것이나, 블레이드의 방향을 세분화하여 십자 모양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십자 모양의 경우 45도 회전 시마다 접속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에 따르면, 전력선의 전류 값이 임계 이상일 때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어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각 스위치의 상태 확인 및 스위치의 개폐 조작이 가능한 감시 패널을 구비하여 유지 보수 및 관리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바켓 차량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컷아웃 스위치의 자동 및 수동 조작이 모두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컷아웃 스위치와 접촉하는 위험성이 크게 줄어 각종 안전 사고를 줄이고 그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류 감지기 200: 컷아웃 스위치부
210: 제1 모듈 210: 제1 블록
220: 제2 블록 230: 회전체
231: 블레이드 232: 회전축
240: 케이스 250: 제1 접속단자
260: 제2 접속단자 270: 절연 유체
300: 제어부 400: 감시 패널
410: 디스플레이부 420: 조작부

Claims (5)

  1. 전력선에 연결되어 있는 1차 인하선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기;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1차 인하선 및 2차 인하선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블록 및 제2 블록, 그리고 상기 이격된 공간상에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고 설정 각도로 회전 시마다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사이를 접속 상태 또는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부;
    상기 접속 상태에서 상기 전류가 임계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정 각도로 회전 제어하여 상기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 및
    전신주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는 감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간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이 90°회전될 때마다 상기 블레이드의 양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블록에 각각 동시에 접속되거나 동시에 접속 해제되며,
    상기 감시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블록 사이의 접속 또는 차단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접속 또는 차단 상태의 전환을 위한 조작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사용자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상기 컷아웃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각각의 컷아웃 스위치부를 개별 제어하며,
    상기 감시 패널은,
    상기 컷아웃 스위치부 각각에 대한 상태 출력 및 상태 조작이 가능하게 구현된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스위치부는,
    상기 회전체와 상기 제1 및 제2 블록을 내장하며, 내부 공간에 절연유 또는 절연 가스가 충진되고, 절연 재질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1차 인하선 간을 연결시키는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과 상기 2차 인하선 간을 연결시키는 제2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97987A 2016-08-01 2016-08-01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KR10180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87A KR101801038B1 (ko) 2016-08-01 2016-08-01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87A KR101801038B1 (ko) 2016-08-01 2016-08-01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038B1 true KR101801038B1 (ko) 2017-12-20

Family

ID=6093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987A KR101801038B1 (ko) 2016-08-01 2016-08-01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270A (ko) * 2019-02-14 2020-08-24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009B1 (ko) * 2003-04-16 2005-08-04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배전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009B1 (ko) * 2003-04-16 2005-08-04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배전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270A (ko) * 2019-02-14 2020-08-24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장치
KR102646987B1 (ko) 2019-02-14 2024-03-14 한국전력공사 활선 작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38254A5 (ko)
US7646575B2 (en) Manually-controlled arc flash energy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ircuit breaker trip units
US11328888B2 (en) Bus plug including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 and electr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667353B2 (en) Remote electrical device switching control, and status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TWI504088B (zh) Digital protection relays, digital protection relays test equipment and digital protection relays test method
MX2007002438A (es) Dispositivo que controla un sistema electrico con enlace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06663577A (zh) 断路器
MX2007016210A (es) Interruptor de circuito con proteccion ajustable de arco de destello y sensor inalambrico y metodo de uso.
JPH06506101A (ja) リモートプログラマブル電子引外しシステム
KR20130137370A (ko)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KR20230082007A (ko) 분전반 모니터링 장치
KR101801038B1 (ko)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CN204967230U (zh) 过欠压保护器
WO2010018454A3 (en)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by contact with connected-to-ground electric appliances and installations, and apparatus therefor
ES2319670T3 (es) Dispositivo de control/proteccion para redes de distribucion electrica.
KR101801039B1 (ko)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CN107732864A (zh) 智能空气开关系统、移动终端及服务器
KR101964375B1 (ko) 송출 전력의 전자제어 차단을 통한 주상변압기의 소손 방지 장치
KR20190106508A (ko) 배전반 제어 시스템
KR20090086877A (ko) 수배전반용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JP2018102024A (ja) 作業用接地外し確認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KR20180065595A (ko) 댁내 전원 제어 장치
KR20180075348A (ko) 전류감시보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01441A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CN111064160B (zh) 移动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