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089B1 - 활선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활선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089B1
KR102489089B1 KR1020170121285A KR20170121285A KR102489089B1 KR 102489089 B1 KR102489089 B1 KR 102489089B1 KR 1020170121285 A KR1020170121285 A KR 1020170121285A KR 20170121285 A KR20170121285 A KR 20170121285A KR 102489089 B1 KR102489089 B1 KR 102489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live wire
alarm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890A (ko
Inventor
배기우
김광수
최한열
서문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2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0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일정 영역 내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작동하는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자성체에 의해 설치 대상물에 고정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활선 경보 장치{Warning apparatus for live wire}
본 발명은 예컨대 고압 송전선의 철탑 상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중에 작업자가 전기가 통하고 있는 활선 상태의 전선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경보를 발생시켜, 작업자가 활선 측의 위험 영역 내로 잘못하여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활선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압 송전선의 철탑 상에서 작업할 경우, 전면적으로 송전을 정지할 수 없어 적어도 일부 전선은 활선 상태로 하여 작업이 이행된다. 이때, 작업자는 활선 측의 위험 영역 내에 잘못하여 침입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활선 측의 위험 영역을 명시하기 위해, 예를 들면 활선을 표시하는 문구가 기재된 깃발을 철탑의 활선 측의 기둥에 끈 또는 고정구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여 둔다. 이로써, 철탑 상에서 위험 영역의 구획을 명시할 수 있다.
하지만, 깃발 등에 의해 분명히 위험 영역이 표시되어 있어도, 작업에 집중하고 있는 작업자는 무심코 위험 영역에 가까워지거나 위험 영역 내로 침입해 버리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위험 영역을 침입해도 이러한 사실을 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없어 작업자가 매우 위험한 상황에 맞닥뜨리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작업자는 작업 중에도 끊임없이 위험 영역의 표시에 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허문헌 1) KR 1471650 B1
이에 본 발명은 예컨대 고압 송전선의 철탑 상에서 작업자가 위험 영역에 가까워졌을 때 경보를 발생시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활선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일정 영역 내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작동하는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자성체에 의해 설치 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험 영역에 가까워진 것을 경보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작업 중에 끊임없이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위험 영역 내에 잘못하여 침입하는 것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안전 사고로 발생하는 설비 피해 및 사회적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센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표시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설치 상태 중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센서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는 본체(10); 이 본체에 장착되어 일정 영역 내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20); 및 본체에 장착되어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작동하는 경보부(30)를 포함하고,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13)를 구비하여, 이 제1 자성체에 의해 설치 대상물(1)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는 고정부(11)와, 이 고정부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회동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13)는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13)는, 예컨대 철탑과 같은 설치 대상물(1)의 금속부에 결합가능한 영구자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1)에 구비된 제1 자성체에 의해, 본체(10) 그리고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활선 경보 장치가 철탑과 같은 설치 대상물에 용이하게 설치 및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회동부(12)는 고정부(11)에 설치된 회전축이나 스위블(swivel) 등과 같은 회전수단(미도시)을 매개로 하여 대략 200 ~ 360도 정도로 회전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우로의 선회가 가능한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회전수단으로 피벗축이 적용된 경우에는 상하 및 좌우로 회전될 수도 있다.
센서부(20)는 본체(10)의 타측에서 회동부(12)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센서부는 예컨대 초음파센서나 광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가 회동부에 장착됨으로써, 센서부의 감지방향이 수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센서부(20)의 감지범위는 대략 0.07 ~ 6m 정도의 범위를 갖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보부(30)는 센서부(20)의 감지에 의해 작동하는 청각적 경보수단(31)과 시각적 경보수단(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청각적 경보수단(31)으로는 버저(buzzer)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고정부(11)에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작업자가 쉽게 인지가능한 약 60 ~ 80dB의 소리를 발생할 수 있으면 된다.
시각적 경보수단(32)으로는 LED, 전구 등과 같은 광원이 구비된 램프가 채용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회동부(12)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경보수단은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광도부터 적어도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지상의 관찰자가 인지가능한 광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시각적 경보수단은 렌즈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부(30)의 청각적 경보수단(31)과 시각적 경보수단(32)의 배치와 개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보부가 모두 고정부(11) 또는 회동부(12)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도 되고, 전술한 예와 반대로 청각적 경보수단이 회동부에 장착되고, 시각적 경보수단이 고정부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는, 센서부(20)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들이고 이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경보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이 제어부와 센서부 및 경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와 전원부는 본체(1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센서부(20)에 의해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에 대한 제어신호를 경보부(30)로 송신한다.
전원부(50)는 제어부(40)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제어부를 통해 제어부뿐 아니라 센서부(20) 및 경보부(30)에 전기를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는 건전지, 충전식 전지, 또는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에는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과 같은 통신부(60)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제어부의 제어신호는 외부의 수신장치(2), 예를 들면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관찰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휴대폰은 활선 감지 또는 경보를 위한 휴대폰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문자 혹은 문양을 나타내거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부에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표시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설치 상태 중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는, 본체(10)에 설치되어, 이 본체로부터 인출되거나 본체 내로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는 표시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일단이 본체의 고정부(11) 내에 설치된 태엽스프링(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 자성체(72)가 장착된 안전띠(71)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70)의 설치를 위해 본체(10)의 고정부(11)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안전띠(71)는 이 관통공을 통해 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지만, 제2 자성체(72)는 관통공의 크기보다 커서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해 본체 내로 수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활선 경보 장치가 가진 표시부(70)는 그 일단이 본체의 고정부(11) 내에 설치된 태엽스프링과 제1 자성체(13)를 매개로 철탑과 같은 설치 대상물(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체2 자성체(72)에 의해 설치 대상물의 타측에 연결되게 됨으로써, 표시부 자체가 철탑과 같은 설치 대상물에 용이하게 고정됨은 물론, 설치 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게 되어 지속적으로 위험 영역의 경계를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부(70)의 안전띠(71)에는 "위험" 또는 "활선주의" 등과 같은 문자나, 활선 상태임을 표시하는 도안 및 문양이 적어도 일측면에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는 예시적으로 어느 하나의 활선 경보 장치에서 표시부(70)의 안전띠(71)가 펼쳐나와 이 안전띠의 제2 자성체(72)가 다른 하나의 활선 경보 장치에 부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활선 경보 장치가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걸쳐 철탑과 같은 설치 대상물을 둘러싸면서 배치되는 것이 센서부(20)의 감지범위를 넓게 설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때, 센서부(20)가 광센서인 경우에, 2개의 활선 경보 장치 중 하나의 센서부를 발광수단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센서부를 수광수단으로 사용하여도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활선 경보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활선 경보 장치가 철탑과 같은 설치 대상물(1)에 설치되고서, 표시부(70)의 안전띠(71)가 펼쳐나와 이 안전띠의 제2 자성체(72)가 설치 대상물에 직접 부착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경보 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예를 들어 고압 송전선의 철탑과 같은 설치 대상물(1)의 일측에다 본체(10)의 고정부(11)에 구비된 제1 자성체(13)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활선 경보 장치를 설치한다.
이어서, 본체(10)로부터 표시부(70)를 펼쳐내도록 인출하고, 표시부의 단부에 있는 제2 자성체(72)를 사용하여 이 단부를 설치 대상물(1)의 타측에 직접 또는 다른 활선 경보 장치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로써, 펼쳐진 표시부(70)를 경계로 하여 일측은 통전되어 있는 활선 상태의 위험 영역으로 되고, 반대측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의 회동부(12)를 회전시켜, 센서부(20)가 적절히 작업자를 향하도록 감지범위를 설정해 둔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활선 측의 위험 영역에 근접하여 활선 경보 장치의 센서부(20)가 작업자의 침입을 감지하면, 제어부(40)의 제어하에 경보부(30)의 버저와 같은 청각적 경보수단(31)이 소리를 발생하고, 동시에 램프와 같은 시각적 경보수단(32)이 계속해서 혹은 주기적으로 빛을 발생시켜, 소리와 빛으로 작업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더구나,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관찰자에게도 소리 또는 빛으로 작업자가 위험 영역을 침범했음을 인지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제어부(40)의 제어하에 통신부(60)를 통해 관찰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과 같은 수신장치(2)를 활용하여 침범 사실을 손쉽게 인지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서 관찰자는 본체(10)로부터 인지가능한 경보 또는 외부의 수신장치(2)를 통한 경보를 통해 작업에 집중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별도의 무전이나 경고수단을 통해 위험 영역에 대한 침입 여부를 알려주고 작업자의 감전 방지를 위한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험 영역에 가까워진 것을 경보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작업 중에 끊임없이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는 작업에 집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위험 영역 내에 잘못하여 침입하는 것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센서부
30: 경보부 40: 제어부
50: 전원부 60: 통신부
70: 표시부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일정 영역 내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의해 작동하는 경보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경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경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설치 대상물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성체가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회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회동부의 외측에 결합되고, 광원이 구비되는 램프 및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부와 추가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는 외부의 휴대폰으로 전송되고,
    상기 휴대폰은,
    문자 혹은 문양을 나타내거나 음향을 발생시키는 활선 경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본체 내로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의 설치를 위해 상기 본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경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고정부 내에 설치된 태엽스프링에 연결되고 타단에 제2 자성체가 장착된 안전띠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띠의 타단은 상기 제2 자성체에 의해 상기 설치 대상물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경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띠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문자나 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경보 장치.
KR1020170121285A 2017-09-20 2017-09-20 활선 경보 장치 KR10248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85A KR102489089B1 (ko) 2017-09-20 2017-09-20 활선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85A KR102489089B1 (ko) 2017-09-20 2017-09-20 활선 경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90A KR20190032890A (ko) 2019-03-28
KR102489089B1 true KR102489089B1 (ko) 2023-01-16

Family

ID=6590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85A KR102489089B1 (ko) 2017-09-20 2017-09-20 활선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17Y1 (ko) * 2021-10-08 2024-01-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활선경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493B2 (ja) * 1989-03-23 2000-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KR200433326Y1 (ko) 2006-09-26 2006-12-08 김영순 활선 접근 경보 장치
JP2011222053A (ja) 2011-08-11 2011-11-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接近警報用の保安具及び活線接近警報方法
JP2012011943A (ja) 2010-07-02 2012-01-19 East Japan Railway Co 活線警報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493U (ja) * 1998-08-06 1999-02-16 株式会社トーエネック 非常用警報装置
KR20130003463A (ko) * 2011-06-30 2013-01-09 한국전력공사 전기 충전 구역 접근 경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493B2 (ja) * 1989-03-23 2000-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
KR200433326Y1 (ko) 2006-09-26 2006-12-08 김영순 활선 접근 경보 장치
JP2012011943A (ja) 2010-07-02 2012-01-19 East Japan Railway Co 活線警報器
JP2011222053A (ja) 2011-08-11 2011-11-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活線接近警報用の保安具及び活線接近警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90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131B1 (ko) 비상 알림 경고장치
ES2908688T3 (es) Disposición de seguridad
JP2016048518A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KR102489089B1 (ko) 활선 경보 장치
KR101638042B1 (ko) 타워 크레인 후크 자동경보장치
KR20190056754A (ko) 철도 차량 감지 시스템
KR101492411B1 (ko) 작업자용 철도차량 접근 경고장치
KR10188997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휀스
CN103114538B (zh) 一种智能光电光幕隔离带装置
CN105064239A (zh) 桥(函)洞水位报警防护系统
CN202275469U (zh) 安全警示围栏
KR101154817B1 (ko) 송전탑용 낙뢰통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뢰통보 시스템
KR20150115103A (ko)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항공장애 표시장치
KR101672733B1 (ko) 누전 알림 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분전함
KR101318283B1 (ko) 가로등주의 누전 및 램프상태 표시장치
ES2953432T3 (es) Dispositivo regulador de intensidad luminosa para torres de luz led
JP3189993U (ja) 高さ制限超過通報装置
CN201791279U (zh) 一种激光引导紧急疏散装置
KR20210042723A (ko)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KR20210040529A (ko) 작업자 경보시스템용 경광봉
CN205563931U (zh) 一种高压架空线路激光防护网
CN110838218A (zh) 高压架空电线智能警示保护系统
KR102249777B1 (ko) 가로등 누전 경보 시스템
KR20130024548A (ko) 지중 선로 표지기
JP3184777U (ja) クレーンブーム接近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