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723A -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 Google Patents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723A
KR20210042723A KR1020190125639A KR20190125639A KR20210042723A KR 20210042723 A KR20210042723 A KR 20210042723A KR 1020190125639 A KR1020190125639 A KR 1020190125639A KR 20190125639 A KR20190125639 A KR 20190125639A KR 20210042723 A KR20210042723 A KR 2021004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larm function
wire
danger sign
d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철
강민식
이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2723A/ko
Publication of KR2021004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가 접근하면 물체의 접근을 경보하여, 물체와 전선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은, 경고문구가 표기되고, 배전선로(1)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1)와, 상기 플레이트(11)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21)과, 상기 태양광 패널(21)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22)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3)와, 상기 배터리(22)의 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감지센서(23)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를 경보하는 경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DANGER SIGNS FOR CABLES WITH ALARM FUNCTION}
본 발명은 전주에 가설된 고압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고압 배전선로가 설치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전선용 위험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체가 접근하면 물체의 접근을 경보하여, 물체와 전선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전주에 가설되는 고압 배전선로에는 작업자가 고압 배전선로가 가설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전선용 위험 표지판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용 위험 표지판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용 위험 표지판은 배전선로(1)에 행거(2)를 통하여 설치된다. 정해진 모양으로 형성된 플레이트(11)에 경고 문구가 표기되고, 상기 플레이트(11)의 상단에 상기 행거(2)에 연결되는 고정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1)에는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관통홀(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용 위험 표지판은 단순히 플레이트(11)에 경고문구만 표기되어 있어서, 시각적으로만 전선용 위험 표지판의 존재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 전선용 위험 표지판으로 물체가 접근하더라도, 작업자가 상기 전선용 위험 표지판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상기 배전선로가 절달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이삿짐 운반용 크레인, 통신용 작업 크레인 등과 같이, 배전선로에 인접한 상태에서 고소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배전선로(1) 또는 상기 전선용 위험 표지판을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여, 상기 크레인이 상기 배전선로(1)와 접촉하여 단선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삿짐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 작업을 용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2상의 이상의 고압 배전선로를 묶어, 작업을 하는데, 이때, 상기 선로가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고전압 위험표지판 설치용 고정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20-0176370 Y1 (2000.0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청각적인 신호로도 물체의 접근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한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은, 경고문구가 표기되고,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감지센서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를 경보하는 경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경보수단은 물체가 접근하면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에서 경고문구는 한 쪽면에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경고문구가 기재되지 않은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광 패널은 도로의 중앙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에 양쪽 면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경고문구는 한쪽 면에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플레이트에 동일한 면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수단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정해진 시간동안 물체의 접근을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에서 도로의 중앙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경고문구가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배전선로에 구비된 행거에 설치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거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바람이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전선용 위험 표지판에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경보함으로써 고압 배전선로로 물체가 접근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을 통하여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별도의 유지보수를 하지 않더라도 고압 배전선로로 물체가 접근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선용 위험 표지판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의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은, 경고문구가 표기되고, 배전선로(1)에 설치되는 플레이트(11)와, 상기 플레이트(11)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21)과, 상기 태양광 패널(21)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22)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3)와, 상기 배터리(22)의 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감지센서(23)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를 경보하는 경보수단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1)는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는 최대한 시각적으로 인지가 용이하도록 반사가 용이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에 전선용 위험 표지판이 설치되었을 때, 바람이 통과하는 관통홀(13)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1)는 풍압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1)가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플레이트(11)에는 경고문구가 표기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특고압' 등의 경고문구가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에는 경고문구뿐만 아니라 관리기관의 연락처 등과 같은 안내문구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경고문구 또는 상기 안내문구는 건물을 향하는 면에 표기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는 행거(2)를 통하여 배전선로(1)에 장착된다. 상기 행거(2)는 상기 배전선로(1)에 장착되는 상기 플레이트(11)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12)가 상기 행거(2)의 일츠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1)를 비롯한 본 발명의 전선용 위험 표지판이 상기 배전선로(1)에 설치되도록 한다.
태양광 패널(21)은 상기 플레이트(11)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태양광 패널(21)은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력이 출력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감지센서(23) 및 경보수단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태양광 패널(21)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11)에서 상기 경고문구가 기재되지 않은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11)에서 경고문구가 기재되는 면은 경고문구에 의해 태양광이 수광되는 면적이 좁아지므로, 상기 플레이트(11)에 상기 경고문구와 상기 태양광 패널(21)은 서로 반대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21)는 도로의 중심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다만, 상기 태양광 패널(21)은 상기 플레이트(11)의 양쪽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11)에서 상기 경고문구가 기재되는 면이 남쪽을 향하게 되면, 상기 태양광 패널(21)은 북향이 되어 충분한 전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에서 상기 경고문구가 남향인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 패널(21)은 상기 플레이트(11)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22)는 상기 태양광 패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21)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충전된다.
상기 배터리(22)는 상기 플레이트(11)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22)는 상기 경고문구가 표기되지 않은 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22)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후술되는 감지센서(23)와 경보수단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감지센서(23)는 상기 플레이트(11)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11)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23)는 상기 플레이트(11)에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11)로 접급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예컨대, 상기 플레이트(11)의 전면에서 보면(도 2 참조), 서로 이격된 위치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2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의 후면에서도 서로 이격된 위치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23)가 설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복수의 감지센서(23)가 상기 플레이트(11)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위험 표지판으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경보수단은 상기 감지센서(23)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 이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경보수단은 스피커(24)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4)는 상기 감지센서(23)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 음향신호를 발생시켜 물체의 접근을 경보한다.
이때, 경보수단, 즉 상기 스피커(24)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23), 상기 경보수단은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센서(23)에서 출력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에 따르면, 이사짐 운반, 통신 작업 등 고소 작업시, 전선용 위험 표지판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크레인이나 작업자가 배전선로(1)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경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전선로(1)로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전선로(1)의 단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1 : 선로
2 : 행거
11 : 플레이트
12 : 고정부
13 : 관통홀
21 : 태양광 패널
22 : 배터리
23 : 감지센서
24 : 스피커
111 : 플레이트
112 : 고정부
113 : 관통홀

Claims (13)

  1. 경고문구가 표기되고,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발생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감지센서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를 경보하는 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물체가 접근하면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서 경고문구는 한 쪽면에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경고문구가 기재되지 않은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도로의 중앙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양쪽 면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경고문구는 한쪽 면에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플레이트에 동일한 면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정해진 시간동안 물체의 접근을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서 도로의 중앙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경고문구가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배전선로에 구비된 행거에 설치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행거의 일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바람이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KR1020190125639A 2019-10-10 2019-10-10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KR20210042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39A KR20210042723A (ko) 2019-10-10 2019-10-10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639A KR20210042723A (ko) 2019-10-10 2019-10-10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23A true KR20210042723A (ko) 2021-04-20

Family

ID=7574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639A KR20210042723A (ko) 2019-10-10 2019-10-10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27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938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CN117238089A (zh) * 2023-11-10 2023-12-15 山东强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线缆防盗预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70Y1 (ko) 1999-09-27 2000-03-1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위험표지판 설치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70Y1 (ko) 1999-09-27 2000-03-15 한국전력공사 고전압 위험표지판 설치용 고정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938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34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35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39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40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36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43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42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37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KR20220169941A (ko) * 2021-06-21 2022-12-28 한국전력공사 전선용 위험 표시 장치
CN117238089A (zh) * 2023-11-10 2023-12-15 山东强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线缆防盗预警装置
CN117238089B (zh) * 2023-11-10 2024-01-30 山东强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电站线缆防盗预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2723A (ko) 경보 기능을 구비한 전선용 위험 표지판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20160129206A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CN106408830A (zh) 一种电缆桩
KR101492411B1 (ko) 작업자용 철도차량 접근 경고장치
KR20090093478A (ko) 지중전력케이블의 이동변위 감지·경보 장치 및 그 방법
CN102092640B (zh) 起重机的安全监控装置、方法以及包括该装置的起重机
CN206194065U (zh) 一种电缆桩
KR101645519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KR20160034236A (ko) 보행신호 음향안내 보조장치
KR20220138441A (ko) 태양광 발전 기반의 재난안전 경보 시스템
SE536311C2 (sv) Nödutrymningsmodul och nödutrymningssystem
KR20220072056A (ko) 터널의 교통안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TWI353402B (ko)
KR20160067493A (ko) 누전 알림 기능을 갖는 가로등용 분전함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CN110491087A (zh) 一种便携式声光安全警示报警设备
CN210574210U (zh) 一种便携式声光安全警示报警装置
CN213781149U (zh) 一种新型电缆防盗系统
JP2015108230A (ja) 機械と高所物体との接触事故防止装置および防止方法
KR20190066724A (ko) 보행자 감지 기반의 스마트 경고 시스템
KR100227862B1 (ko) 중장비의 작업자 접근감지장치
CA2900585A1 (en)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device
CN103159137A (zh) 一种起重机近电报警器
CN206546619U (zh) 一种智能安防宣传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