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878B1 -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878B1
KR102299878B1 KR1020210027909A KR20210027909A KR102299878B1 KR 102299878 B1 KR102299878 B1 KR 102299878B1 KR 1020210027909 A KR1020210027909 A KR 1020210027909A KR 20210027909 A KR20210027909 A KR 20210027909A KR 102299878 B1 KR102299878 B1 KR 10229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unit
switchboard
panel part
switchboard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자
Original Assignee
홍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자 filed Critical 홍현자
Priority to KR102021002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보시스템은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배전반 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설비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반 설비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키는 메인 제어부; 상기 배전반 설비의 주변부 혹은 상기 배전반 설비로 진입하는 진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설비의 보안 감시 및 접근을 막기위한 멀티감시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anger}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로, 배전반 등을 포함하는 전력설비상에서 발생되는 위험(예: 감전사고 등)을 감지하여 사고를 방지하며,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물체, 사람, 동물을 감지하여 부가 구비된 장치를 이용하여 경보를 울리며 진동과 충격을 완충시켜 물리적이고 외형적인 충격으로 부터 안정적으로 운용되므로 강력한 안전관리와 모니터링 수단을 제공하여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설비 구축과 운영이 가능한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 사용되는 배전반 설비에 센서부를 설치하여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을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기술이 개발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서 보다 물리적이고 외형적으로 안정적이고 강력한 안전관리 및 모니티렁 수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관리수단이 부가된 기술의 개발과 제공이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851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비에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을 감지하여 경보를 울릴 수 있으며 물리적이고 외형적으로 안정적이고 강력한 안전관리 및 모니티렁 수단을 제공하는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단 자체에 모니티렁 기능을 탑재하되, 이러한 모니터링 기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내진과 고정 구조가 적용된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수단들이 펜스나 가벽 등 접근제한을 위한 구조물로 역할 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보시스템은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배전반 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설비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반 설비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키는 메인 제어부; 상기 배전반 설비의 주변부 혹은 상기 배전반 설비로 진입하는 진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설비의 보안 감시 및 접근을 막기위한 멀티감시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감시유닛(200)은, 중심패널부(211)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일방에 제1연결부(214)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패널부(212)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타방에 제2연결부(215)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패널부(213)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상부에 승강수단(216)으로 위치되는 제1승강구동체(217)와,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내부로부터 상방으로 출몰되는 제2승강구동체(2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의 전면부에는 전면으로 출몰되는 다수의 제1돌출플레이트(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승강구동체(218)의 전면부에는 전면으로 출몰되는 다수의 제2돌출플레이트(2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가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를 상하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bar) 형상의 제1관통연결체(231)가 장착되며,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는 삽입된 상태인 상기 제1관통연결체(231)의 하부를 내부로 가압하며 당기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는 삽입된 상태인 상기 제1관통연결체(231)의 상부를 내부로 가압하며 당기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는 상기 제1관통연결체(231)를 매개로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일측패널부(212)는 상기 제1연결부(214)를 통해 상기 중심패널부(211)로부터 저속 혹은 고속으로 근접이동 또는 이격유동되며, 상기 타측패널부(213)는 상기 제2연결부(215)를 통해 상기 중심패널부(211)로부터 저속 혹은 고속으로 근접이동 또는 이격유동되며,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의 일측면에는 제1이동체(261)와, 상기 제1이동체(261)와 대향하는 제2이동체(2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의 타측면에는 제3이동체(263)와, 상기 제3이동체(263)와 대향하는 제4이동체(264)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패널부(212)의 상부에는 제1감시장치(242)가 제1받침체(241)를 통해 구비되며, 상기 타측패널부(213)의 상부에는 제2감시장치(252)가 제2받침체(251)를 통해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체(261)와 상기 제2이동체(262)는, 상기 일측패널부(212)가 상기 중심패널부(211)로 이동되면, 상기 제1감시장치(242)를 사이에두고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제1감시장치(242)는 일방에 제1촬영모듈(243)이 구비되며, 상기 제3이동체(263)와 상기 제4이동체(264)는, 상기 타측패널부(213)가 상기 중심패널부(211)로 이동되면, 상기 제2감시장치(252)를 사이에두고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제2감시장치(245)는 일방에 제2촬영모듈(253)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받침체(241)는 상기 일측패널부(212)가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가속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감시장치(242)의 충격전달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돌출되는 제1완충부(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받침체(251)는 상기 타측패널부(213)가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가속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감시장치(252)의 충격전달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돌출되는 제2완충부(L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완충부(L1)와 상기 제2완충부(L2)는 엘라스토머재질을 포함하거나, 내부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일측패널부(212)는 상부 일방에 제1타워구조물(271)이 구비되며, 상기 제1타워구조물(271)의 상부에는 제1타워촬영체(272)가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며, 상기 타측패널부(213)는 상부 일방에 제2타워구조물(281)이 구비되며, 상기 제2타워구조물(281)의 상부에는 제2타워촬영체(282)가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며, 상기 제2승강구동체(218)는, 일측에 구비된 제1연동봉(291)과 상기 제1연동봉(291) 하부의 제2연동봉(292)으로 상기 제1타워구조물(271)상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제2승강구동체(218), 타측에 구비된 제3연동봉(293)과 상기 제3연동봉(293) 하부의 제4연동봉(294)으로 상기 제2타워구조물(281)상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제2연동봉(292)에는 제1구동모듈(3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동봉(291)에는 상기 제1구동모듈(311)로부터 상부로 위치되는 제1결속구(312)가 외삽되며, 상기 제1구동모듈(311)은 상기 제1결속구(312)를 내부 혹은 외부로 진퇴시켜, 상기 제1연동봉(291)과 상기 제2연동봉(292)사이에 가압힘이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제3연동봉(293)에는 제2구동모듈(411)이 구비되며, 상기 제4연동봉(294)에는 상기 제2구동모듈(411)로부터 상부로 위치되는 제2결속구(412)가 외삽되며, 상기 제2구동모듈(411)은 상기 제2결속구(412)를 내부 혹은 외부로 진퇴시켜, 2상기 제3연동봉(293)과 상기 제4연동봉(294)사이에 가압힘이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중심패널부(211)와 상기 일측패널부(212)와 상기 타측패널부(213)의 하부에는 받침패널(411)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패널(411)은 상부 일측에 제1결속패널(41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 타측에 제2결속패널(413)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결속패널(412)은 상기 제1타워구조물(241)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1-1삽입체(4121)와 상기 일측패널부(212)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1-2삽입체(41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결속패널(413)은 상기 제2타워구조물(251)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2-1삽입체(4131)와 상기 일측패널부(212)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2-2삽입체(4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속패널(412)과 상기 제2결속패널(413)은, 상기 제1-1삽입체(4121) 내지 상기 제2-2삽입체(41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패널(411)로부터 상하 유동되어 높이를 조절되어, 상기 중심패널부(211), 상기 일측패널부(212) 및 상기 타측패널부(213)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인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비에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위험을 감지하여 경보를 울릴 수 있으며 물리적이고 외형적으로 안정적이고 강력한 안전관리 및 모니터링 수단을 제공하는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 자체에 모니티렁 기능을 탑재하되, 이러한 모니터링 기능을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장치 구성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내진과 고정 구조가 적용된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수단들이 펜스나 가벽 등 접근제한을 위한 구조물로 역할 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도 2의 UWB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추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배전반 설비는 고압에서 저압에 이르는 전압을 수전하여 상용전압으로 강압시켜 건물 내의 각부로 배전하기 위한 배전반, 3상 전동기를 제어(ON, OFF)하여 3상 전동기를 보호하는 전동기 제어반(MCC), 또는 옥내 배선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설치되는 분전반과 같은통상의 배전반 설비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따른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 내지 3d는 도 2의 UWB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는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 (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배전반 설비(10)에 설치되어 배전반 설비(10)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장치로서, 센서부(110), 메모리부(120), 통신부(140), 전원 차단부(150), 음성 출력부(160), 발광 표시부(170) 및 메인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는 조작부(180), 전원 공급부(190) 및 배터리(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옥내의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과 같은 배전반 설비(10)에 설치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옥내의 배전반 설비(10)의 도어(11)에 직접 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110)는 배전반 설비(10)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신호로 하여 메인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UWB(Ultra Wide Ban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WB 센서는 배전반 설비(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채널 영역을포함한다. 상기 UWB 센서는 마이크로 웨이브와 같이 수십MHz의 대역폭을 갖는 전파형 감지기와는 달리450~500MHz의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센서로 거리 분해능력을 높인 감지기이다. 즉, 상기 UWB 센서는 2~3ns의 짧은 펄스를 발생시켜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약 30cm 단위로 물체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높은 거리분해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에서는 UWB 센서를 110번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UWB 센서(110)는 배전반 설비(10)(구체적으로는, 배전반 설비(10)의 도어(11))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채널 영역(A), 제2 채널 영역(B) 및 제3 채널 영역(C)을 형성한다.
물론, 이러한 채널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이보다 많게 혹은 적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 채널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물체의 이동방향을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UWB 센서(110)의 채널 영역을 더 많게 세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채널 영역(A)은 배전반 설비(10)로부터 제1 거리(a)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배전반 설비(10)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채널 영역(B)은 제1 채널 영역(A)으로부터 제2 거리(b)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채널 영역(C)은 제2 채널 영역(B)으로부터 제3 거리(c) 이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채널 영역의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그 거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배전반 설비(10)가 사용되는 장소의 거리 폭이 좁은 경우에는 각 채널 영역의 거리를 좁게 설정하고, 넓은 경우에는 각 채널 영역의 거리를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거리(a)는 30cm이고, 제2 거리(b)는 30cm이며, 제3 거리(c)는 40cm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기 UWB 센서(110)가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 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UWB 센서(110)는 각각의 채널 영역에 감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에서 감지되고 나서 제2채널 영역(B) 및 제1 채널 영역(A)에서 차례로 감지되면, 이 물체가 배전반 설비(10)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반면,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제2 채널 영역(B)에서만 감지되면, 이 물체가 배전반 설비(10) 근처를 단순히 지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하나의 채널 영역에서만 감지되면, 이 물체가 배전반 설비(10) 근처를 단순히 지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더불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에서 감지되고 나서 제2 채널 영역(B)에서 감지되면, 이 물체가 배전반 설비(10)를 향해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도 3a 및 3b와 도 3d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경보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각각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그 후 상기 물체가 다시 제3 채널 영역(C)에서 감지된다면, 그 때에는 이 물체가 배전반 설비(10) 근처를 단순히 지나가는 것으로 인식하여 제어신호에 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UWB 센서(110)는 어떤 물체가 감지될 때, 배전반 설비(10)로부터 먼 채널에서 순차적으로 가까운 채널로 인식되되, 배전반 설비(1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제1 채널 영역(A) 또는 제2 채널 영역(B)까지 인식되어야만 이 물체가 배전반 설비(10)에 접근하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UWB 센서(110)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배전반 설비(10)를 향해 접근하려는 물체에대하여만 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WB 센서(110)에는 배전반 설비(1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크기의 최소값이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물체라 하더라도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상 기 UWB 센서(110)에는 각각의 채널 영역별로 최소값을 설정하여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동물에 의해 제어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WB 센서(110)에 저장된 신호크기의 최소값은 제3 채널 영역 (C)에서 제1 채널 영역(A)으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센서부(110)는 배전반 설비(10)에 물체의 접근 거리를 구체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초음파 센서(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센서부(110)는 초음파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물체의 접근 거리와 UWB 센서(110)에 의하여 감지된 물체의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메인 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130)로 하여금 제어신호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경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제어신호에 따른 경보 발생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장치이다. 이러한 메모리부(120)는 그 내부에 미리 설정된 정보를 인출하여 다른 장비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이동식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보 발생 정보는 배전반 설비(10)와 물체와의 거리, 즉 UWB 센서(110)와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 다른 경보는, UWB 센서(110)에 의하여 감지된물체의 이동방향을 포함하는 제어신호에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에서 제2 채널 영역(B)에 접근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 표시부(170) 및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발생되는 일반적인 제1 경보와, 제어신호에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 제2 채널 영역(B), 제1 채널 영역(A)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표시부(170) 및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전원 차단을 알리는 변형된 제2 경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보와제2 경보의 형식은 배전반 설비(10)의 설치장소 및 조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경보는 버저(161)를 통하여 출력되는 짧은 버저음일 수 있고, 제2 경보는 스피커(162)를 통하여 출력되는 연속적인 버저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보 발생시에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배전반 설비(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 통신부(140)는 외부의 관리 서버(미도시)에 의하여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경보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신호 처리한 후 메인 제어부(130) 및 메모리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 차단부(150)는 메인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배전반 설비(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UWB 센서(110)에 의하여 제1 채널 영역(A)에서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지되는 경우에 전원 차단부(150)를 통하여 배전반 설비(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 차단부(150)는 배전반 설비(10)와 배전반 설비(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기기의 사이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메인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배전반 설비(10)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각각 다르게 발생된 제1 경보 및 제2 경보에 해당되는 음성들을 버저(161) 또는 스피커(16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제1 경보 및 제2 경보의 출력 방식을 달리하여 버저(161) 또는 스피커(162)로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제1 경보 및 제2 경보를 각각 버저(161) 및 스피커(162)로 별도로 출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발광 표시부(170)는 메인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배전반 설비(10)로의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의 신호를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표시부(170)는 다수 개의 엘이디(LED) 소자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발광 표시부(170)는 메인 제어부(130)에 의하여 각각 다르게 발생된 제1 경보 및 제2 경보에 해당되는 색상들을 엘이디 소자들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제어신호를 경보 발생 정보와 비교 분석하고, 경보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UWB 센서(110)에 의하여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과 제2 채널 영역(B)에 순차적으로 감지되면 일반적인 제1 경보를 발생시키고, 어떤 물체가 제3 채널 영역(C)과 제2 채널 영역(B) 및 제1 채널 영역(A)에서 차례로 감지되면 전원 차단을 알리는 변형된 제2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80)는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의 동작이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작부(180)는 배전반 설비(10)로의 전원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전원공급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여, 전원 공급 스위치를 온 시켜 전원 공급부로부터 배전반 설비(10) 내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한 후, 각 설비에서 필요로 하는 복수의 직류 전압으로 만들어 각 부분에 공급해주도록 할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작부(180)는 센서부(110), 메인 제어부(130), 음성 출력부(160) 및 발광 표시부
(170) 등에 각각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고, 배터리에는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본 배전반 설비(10) 내의 상용 전원을 정류하여 각 설비의 필요한 부분에 공급하는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195)는 정전 시에도 일정 시간 동안 본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는 이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에 배터리(195)를 내장시켜 정전시에도 경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항상 감전 사고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100)에 따르면, 고압 및 저압의 전기가사용되는 배전반 설비(10)에 센서부(110)를 설치하여 소정거리 이내로 물체 또는 사람이 접근하면 소정거리별로 각각 다른 위험 경보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부주의한 접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추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보시스템은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배전반 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설비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전반 설비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키는 메인 제어부; 상기 배전반 설비의 주변부 혹은 상기 배전반 설비로 진입하는 진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설비의 보안 감시 및 접근을 막기위한 멀티감시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감시유닛(200)은, 중심패널부(211)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일방에 제1연결부(214)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패널부(212)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타방에 제2연결부(215)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패널부(213)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상부에 승강수단(216)으로 위치되는 제1승강구동체(217)와,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내부로부터 상방으로 출몰되는 제2승강구동체(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의 전면부에는 전면으로 출몰되는 다수의 제1돌출플레이트(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승강구동체(218)의 전면부에는 전면으로 출몰되는 다수의 제2돌출플레이트(2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가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를 상하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바(bar) 형상의 제1관통연결체(231)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는 삽입된 상태인 상기 제1관통연결체(231)의 하부를 내부로 가압하며 당기도록 유동되며,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는 삽입된 상태인 상기 제1관통연결체(231)의 상부를 내부로 가압하며 당기도록 유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돌출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돌출플레이트(222)는 상기 제1관통연결체(231)를 매개로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일측패널부(212)는 상기 제1연결부(214)를 통해 상기 중심패널부(211)로부터 저속 혹은 고속으로 근접이동 또는 이격유동되며, 상기 타측패널부(213)는 상기 제2연결부(215)를 통해 상기 중심패널부(211)로부터 저속 혹은 고속으로 근접이동 또는 이격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의 일측면에는 제1이동체(261)와, 상기 제1이동체(261)와 대향하는 제2이동체(2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의 타측면에는 제3이동체(263)와, 상기 제3이동체(263)와 대향하는 제4이동체(264)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패널부(212)의 상부에는 제1감시장치(242)가 제1받침체(241)를 통해 구비되며, 상기 타측패널부(213)의 상부에는 제2감시장치(252)가 제2받침체(251)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이동체(261)와 상기 제2이동체(262)는, 상기 일측패널부(212)가 상기 중심패널부(211)로 이동되면, 상기 제1감시장치(242)를 사이에두고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제1감시장치(242)는 일방에 제1촬영모듈(24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이동체(263)와 상기 제4이동체(264)는, 상기 타측패널부(213)가 상기 중심패널부(211)로 이동되면, 상기 제2감시장치(252)를 사이에두고 눌러 고정시키며, 상기 제2감시장치(245)는 일방에 제2촬영모듈(253)이 구비되며,
상기 제1받침체(241)는 상기 일측패널부(212)가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가속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감시장치(242)의 충격전달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돌출되는 제1완충부(L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받침체(251)는 상기 타측패널부(213)가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가속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감시장치(252)의 충격전달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패널부(211)측으로 돌출되는 제2완충부(L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완충부(L1)와 상기 제2완충부(L2)는 엘라스토머재질을 포함하거나, 내부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패널부(212)는 상부 일방에 제1타워구조물(271)이 구비되며, 상기 제1타워구조물(271)의 상부에는 제1타워촬영체(272)가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며, 상기 타측패널부(213)는 상부 일방에 제2타워구조물(281)이 구비되며, 상기 제2타워구조물(281)의 상부에는 제2타워촬영체(282)가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승강구동체(218)는, 일측에 구비된 제1연동봉(291)과 상기 제1연동봉(291) 하부의 제2연동봉(292)으로 상기 제1타워구조물(271)상에 삽입 결속되며, 상기 제2승강구동체(218), 타측에 구비된 제3연동봉(293)과 상기 제3연동봉(293) 하부의 제4연동봉(294)으로 상기 제2타워구조물(281)상에 삽입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연동봉(292)에는 제1구동모듈(3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동봉(291)에는 상기 제1구동모듈(311)로부터 상부로 위치되는 제1결속구(312)가 외삽되며, 상기 제1구동모듈(311)은 상기 제1결속구(312)를 내부 혹은 외부로 진퇴시켜, 상기 제1연동봉(291)과 상기 제2연동봉(292)사이에 가압힘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연동봉(293)에는 제2구동모듈(411)이 구비되며, 상기 제4연동봉(294)에는 상기 제2구동모듈(411)로부터 상부로 위치되는 제2결속구(412)가 외삽되며, 상기 제2구동모듈(411)은 상기 제2결속구(412)를 내부 혹은 외부로 진퇴시켜, 2상기 제3연동봉(293)과 상기 제4연동봉(294)사이에 가압힘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심패널부(211)와 상기 일측패널부(212)와 상기 타측패널부(213)의 하부에는 받침패널(411)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패널(411)은 상부 일측에 제1결속패널(41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 타측에 제2결속패널(413)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결속패널(412)은 상기 제1타워구조물(241)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1-1삽입체(4121)와 상기 일측패널부(212)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1-2삽입체(41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결속패널(413)은 상기 제2타워구조물(251)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2-1삽입체(4131)와 상기 일측패널부(212)의 외곽으로 장착되는 제2-2삽입체(4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속패널(412)과 상기 제2결속패널(413)은, 상기 제1-1삽입체(4121) 내지 상기 제2-2삽입체(41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패널(411)로부터 상하 유동되어 높이를 조절되어, 상기 중심패널부(211), 상기 일측패널부(212) 및 상기 타측패널부(213)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선로, 배전반 등을 포함하는 전력설비상에서 발생되는 위험(예: 감전사고 등)을 감지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물체, 사람, 동물 등을 감지하여 부가 구비된 장치를 통하여 경보를 울릴 수 있으며 진동과 충격을 완충시켜 물리적이고 외형적 충격으로 부터 안정적으로 운용되므로 강력한 안전관리와 모니터링 수단을 제공하여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전력설비 구축과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전반 설비 11: 도어
100: 감전위험 경보장치 110: 센서부
120: 메모리부 130: 메인 제어

Claims (1)

  1.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은 배전반, 전동기 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어느 하나인 배전반 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반 설비의 감전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반 설비에 접근하는 물체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를 발생시키는 메인 제어부;
    상기 배전반 설비의 주변부 혹은 상기 배전반 설비로 진입하는 진입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설비의 보안 감시 및 접근을 막기위한 멀티감시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감시유닛(200)은
    중심패널부(211)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일방에 제1연결부(214)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일측패널부(212)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타방에 제2연결부(215)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타측패널부(213)와,
    상기 중심패널부(211) 상부에 승강수단(216)으로 위치되는 제1승강구동체(217)와,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내부로부터 상방으로 출몰되는 제2승강구동체(218)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구동체(217)의 전면부에는 전면으로 출몰되는 다수의 제1돌출플레이트(2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승강구동체(218)의 전면부에는 전면으로 출몰되는 다수의 제2돌출플레이트(222)가 구비되는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KR1020210027909A 2021-03-03 2021-03-03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KR10229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09A KR102299878B1 (ko) 2021-03-03 2021-03-03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09A KR102299878B1 (ko) 2021-03-03 2021-03-03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878B1 true KR102299878B1 (ko) 2021-09-08

Family

ID=7778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909A KR102299878B1 (ko) 2021-03-03 2021-03-03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87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069B1 (ko) * 2021-09-24 2022-02-08 노영철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381768B1 (ko) * 2021-10-14 2022-04-04 (주)대광기술단 변압기에 연결된 가공 배전선로가 설치된 전신주 기울기 측정시스템 구축방법
KR102383475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전신주 보호시스템 제공방법
KR102383482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보호커버 장치 제공방법
KR102404289B1 (ko) * 2022-01-12 2022-06-07 김앤영엔지니어링(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408033B1 (ko) * 2021-12-10 2022-06-14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3369B1 (ko) * 2022-01-26 2022-06-29 주식회사 전기안전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59152B1 (ko) * 2022-02-08 2022-10-26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설비 장애구간 자동 관리시스템
KR102466738B1 (ko) * 2022-02-08 2022-11-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672A (ja) * 2015-03-24 2016-10-13 セコム株式会社 センサ装置
KR101932960B1 (ko) * 2018-08-02 2018-12-27 (주)윤앤영이앤씨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KR102043882B1 (ko) * 2019-08-30 2019-12-02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 장치
KR20200018514A (ko) 2017-12-07 2020-02-19 주식회사 아이티이 배전계통 전원선로 고장시 실시간 탐지/복구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
KR102102793B1 (ko) * 2020-02-27 2020-05-29 이원석 가공배전선로의 이상구간 검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672A (ja) * 2015-03-24 2016-10-13 セコム株式会社 センサ装置
KR20200018514A (ko) 2017-12-07 2020-02-19 주식회사 아이티이 배전계통 전원선로 고장시 실시간 탐지/복구시스템 및 그 공사방법
KR101932960B1 (ko) * 2018-08-02 2018-12-27 (주)윤앤영이앤씨 배전선로의 고장 자동감시장치
KR102043882B1 (ko) * 2019-08-30 2019-12-02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시 장치
KR102102793B1 (ko) * 2020-02-27 2020-05-29 이원석 가공배전선로의 이상구간 검출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069B1 (ko) * 2021-09-24 2022-02-08 노영철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383475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전신주 보호시스템 제공방법
KR102383482B1 (ko) * 2021-10-12 2022-04-11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 보호커버 장치 제공방법
KR102381768B1 (ko) * 2021-10-14 2022-04-04 (주)대광기술단 변압기에 연결된 가공 배전선로가 설치된 전신주 기울기 측정시스템 구축방법
KR102408033B1 (ko) * 2021-12-10 2022-06-14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한 지중 배전선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4289B1 (ko) * 2022-01-12 2022-06-07 김앤영엔지니어링(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413369B1 (ko) * 2022-01-26 2022-06-29 주식회사 전기안전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59152B1 (ko) * 2022-02-08 2022-10-26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설비 장애구간 자동 관리시스템
KR102466738B1 (ko) * 2022-02-08 2022-11-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878B1 (ko) 배전선로의 위험감지 경보시스템
DE69534662T2 (de) Tragbares Alarmsystem
KR200470826Y1 (ko) 수배전반 설비 감전위험 경보장치
US6113037A (en) Railroad maintenance-of-way personnel war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20070120667A1 (en) Piezoelectric Cable-Based Monitoring System
KR100888951B1 (ko)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
KR100978470B1 (ko) 출력펄스개수로 추정한 활선전압크기에 따른 배전반 활선 상태 음성경보장치
CN210377731U (zh) 一种脉冲式电子围栏入侵报警系统
CN103617698A (zh) 一种警用碰撞预警装备系统
KR101676324B1 (ko) 교통현장 감지장치
US3497995A (en) Height sensitive proximity door operator system
US68389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 electronic pet containment transmitter
KR100892106B1 (ko) 광통신을 이용한 배전반 활선 상태 음성경보장치
CN108765986A (zh) 一种道路交通信号控制机及其控制系统
CN208335424U (zh) 一种立体车库监测报警系统
KR102130567B1 (ko) 침수 피해 방지 배전반 및 그 시스템
CN104050766A (zh) 一种脉冲电子围栏接触报警系统及检测方法
AU730512B2 (en) Railroad traffic war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20210084111A (ko)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시스템
KR200472266Y1 (ko) 컨트롤러가 내장된 패널형 금속탐지기
CN201750074U (zh) 箱式变电站
KR20100052725A (ko) 수배전반 감전 예보 장치
CN203931057U (zh) 一种脉冲电子围栏接触报警系统
CN208367857U (zh) 一种基于gprs无线技术的脉冲电子围栏主机报警系统
KR100357770B1 (ko) 지하주차장용 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