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6324B1 - 교통현장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교통현장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324B1
KR101676324B1 KR1020160018466A KR20160018466A KR101676324B1 KR 101676324 B1 KR101676324 B1 KR 101676324B1 KR 1020160018466 A KR1020160018466 A KR 1020160018466A KR 20160018466 A KR20160018466 A KR 20160018466A KR 101676324 B1 KR101676324 B1 KR 10167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management server
camera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비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비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이비로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1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교통현장 감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시장치는 무선통신부(130)와; 카메라(140)와; 상기 도로의 지상구조물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송출하는 충격감지센서(111)가 구비되는 감지부(110)와; 상기 충격신호가 수신된 때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충격신호 및 상기 카메라(140)의 영상정보가 상기 관리서버(200)에 각 송출되게 함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200)가 상기 카메라(140)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1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현장 감지장치{THE MONITOR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FIELD}
본 발명은 도로의 지상구조물에 대한 관리 등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로의 지상구조물은 도로상 설치되는 모든 인공구조물을 지칭하는 말로서, 교량, 옹벽, 도로용 차벽, 도로용 콘크리트구조물, 가드레일, 방음벽 등 그 종류와 수를 모두 거론조차 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도로의 지상구조물은 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 내지는 방지하고 원활한 교통환경을 제공하고자 설치되는 것이나, 그 유지보수 등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유지보수 등 관리를 신속하고도 적절이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상구조물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파악하는 업무가 선행되어야만 하나, 현재까지는 사람이 수시로 현장에 직접 임하여 지상구조물에 대한 이상 여부를 일일이 검증 내지는 판단하는 사전검증단계가 진행되어야만 하는 실정이므로, 유지보수를 위한 현황파악단계에서조차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많은 시간이 지체됨에 따라 신속하고도 적절한 관리업무가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용 차벽·콘크리트구조물 등 도로의 주요 지상구조물이 차량충돌 등으로 인해 그 파손이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지상구조물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고 이에 관한 유지보수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일정시간단위로 기온 및 습도의 변화를 자동 계측 및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개발생을 자동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자동 보고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정 진도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보고함으로써 천재지변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보고함으로써 인명구조 및 그 사후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지게 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가진단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기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자동 보고하도록 구현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태양광 또는 풍력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이 실시되고, 그와 같이 만들어진 전기를 전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는,
도로의 지상구조물에 설치되고,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무선통신부(130)와;
카메라(140)와;
상기 도로의 지상구조물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송출하는 충격감지센서(111)가 구비되는 감지부(110)와;
상기 충격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충돌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200)가 상기 카메라(140)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는, 도로의 지상구조물에 설치되고, 관리서버(200)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무선통신부(130);
카메라(140);
상기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180);
상기 도로의 지상구조물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면 충격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송출하는 충격감지센서(111)와, 일정 진도 이상의 진동이 감지될 때에만 제어부(150)에 진동신호를 송출하는 진동감지센서(112)가 구비되는 감지부(110);
상기 무선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충격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에 충돌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충격발생 전후 당시의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무선송출하며, 진동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에 지진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된 지진발생 전후 당시의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는, 교통사고음이 가지는 특유의 주파수대역을 다수 가지는 유효파형정보가 구비되는 DB부(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110)에는 외부소음을 음원으로 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송출하는 마이크(1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50)에는 상기 음원을 디지털음원으로 변환하는 A/D변환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A/D변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을 디지털음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음원이 상기 DB부(120)의 유효파형정보와 동일 또는 유사한지 판단하며, 동일 또는 유사하다고 판단된 때에는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교통사고발생신호를 무선송출하고, 상기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사고발생 당시의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부(110)에는 안개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안개발생신호를 송출하는 안개감지센서(1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안개발생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상기 무선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안개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안개발생 전후 당시의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무선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110)에는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온도/습도정보신호가 제어부(150)에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온·습도감지센서(11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50)는 무선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일정시간단위로 상기 온도/습도정보신호를 상기 관리서버(200)에 무선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용 차벽·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밖의 도로의 주요 지상구조물에 대한 무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신속하고도 적절한 유지보수업무가 합리적인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정시간단위로 온도 및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자동보고하고, 안개·지진·교통사고의 발생을 자동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악천후·천재지변·인명구조 및 사고처리 등 그 업무에 관하여 이를 통합 관리 운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기의 이상 여부를 스스로 자가 진단하고 기기이상이 진단 내지는 감지될 경우 그 감지신호를 관리자에게 무선 송출함으로써 자동 보고한다는 점과, 친환경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작용이 실시되고 그와 같이 만들어진 전기를 전원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유지보수의 용이성, 개선된 관리환경의 제공가능성 및, 유지보수에 관한 비용절감성 등의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지부(110)의 구성요소들에 관한 구성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감지장치의 기능별 예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설물파손감지모드(S110)의 흐름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기기이상감지모드(S130)의 흐름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지진감지모드(S210)의 흐름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안개감지모드(S230)의 흐름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교통사고감지모드(S310)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100)의 네트워크 연결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 감지장치(100)(이하에서는, 기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이라고 약칭함)는 주로 도로의 지상구조물에 설치장착되는 것으로서, 교통환경과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전국에 걸쳐 여러 지역과 장소에 분포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무선통신기지국(400) 및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관리서버(200)와 연결되고, 상기 관리서버(200)는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복수의 무선모바일(500)과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무선모바일(500)은 도로의 지상구조물과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에 대한 각각의 유지보수관리업무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지보수담당자가 그 업무에 관하여 소지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도로의 지상구조물(이하, '시설물'이라고 약칭함)의 설치업체, 유지보수업체 또는 그 담당공무원 등 관리담당자에게 시설물에 관한 설치작업 또는 유지보수작업을 요청 내지는 지시하거나, 기타 관계자들에게 교통현장상황 등에 대해 안내 내지는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지부(110)의 구성요소들에 관한 구성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50)가 감지부(110), DB부(120), 무선통신부(130), 카메라(140), 정보저장부(180), 배터리(160) 및 콘덴서(18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콘덴서(180)는 태양광발전부(170)와 제어부(150)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상기 DB부(120)에는 충돌사고임을 판단하기 위한 유효충격정보 및 그 범위정보와, 지진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유효진동값 및 그 범위정보와, 다양한 다수의 교통사고음만이 가지는 특정 주파수대역에 관한 정보 등 다수의 유효파형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DB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게 될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130)는 통상의 LTE라우터가 사용되었다.
한편, 상기 감지부(110)는 시설물의 현장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등이 시설물과 충돌하였을 경우 그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충격감지센서(111)와,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진동의 크기와 정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진동감지센서(112)와, 도로와 도로주변의 외부소음을 입력받아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마이크(113)와,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자동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안개감지센서(114)와,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온·습도감지센서(115)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케이블(전선)이 단락되었을 경우 이를 자동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전기단락감지센서(116)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미도시)에 구비된 개폐도어(미도시)가 강제개방될 경우 이를 자동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개폐감지센서(117)와 및, 주로 배터리(16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의 것으로서 배터리(16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치가 저전류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저전류감지센서(118)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도시 생략되었으나 위 구성요소들(111~118)은 모두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기능별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그와 같은 기능은 교통환경과 여건 및 제반사정 등을 고려하여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가동(활성화)할 수 있고, 그 전부를 가동(활성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시설물관리모니터링(S100)과 자연환경모니터링(S200) 및 교통환경모니터링(S300)으로 구분되고, 상기 시설물관리모니터링(S100)은 시설물파손감지모드(S110)와 기기이상감지모드(S130), 상기 자연환경모니터링(S200)은 지진감지모드(S210)와 안개감지모드(S230) 및 온도습도감지모드(S250), 상기 교통환경모니터링(S300)은 교통사고감지모드(S310)와 관리자감지모드(S330)로서 각각 세분화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카메라(140)는, 앞서 살펴본 위 기능들이 부분적 또는 그 전부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가 동작하는 한 촬영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기능별 작동원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 시설물파손감지모드 (S110)>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설물파손감지모드(S110)의 흐름도이다. 상술하면, 사용자가 시설물파손감지모드(S110)를 선택하여 이를 활성화 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제어부(150)는 충격감지센서(11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시설물이 외력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될 경우(예컨대, 차량이 시설물과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그 충격의 크기와 정도 및 지속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와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발하게 된다(S111).
제어부(150)는 충격감지센서(111)로부터 수신한 충격값이 DB부(12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유효충격정보보다 클 것인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113). 제어부(150)는 위 단계(S113)의 판단결과가 부정일 경우(다시 말해, 수신한 충격값이 DB부(120)의 유효충격정보보다 작을 경우) 위 단계(S111)로 피드백시킴으로써 그 충격신호에 대해 이를 충돌사고로 처리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제어부(150)는 위 판단결과가 긍정인 때(수신한 충격값이 DB부(120)의 유효충격정보보다 클 경우)에는 충돌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충돌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한 다음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고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충돌 전후 당시의 영상자료를 검출한 후 "충돌사고발생신호"와 "검출영상자료"를 관리서버(200)에 무선 송출한다(S115).
이와 같이 송출된 "충돌사고발생신호" 및 "영상정보"는 무선통신망(300)을 경유하여 관리서버(200)에 수신되고, 관리서버(200)는 위 수신신호 및 정보에 기해 해당 시설물관리자의 무선모바일(500)에 사고처리 및 유지보수에 관한 작업지시를 명하게 된다(도 1 참조).
위 단계(S115)의 다음으로는 시설물파손감지모드(S110)를 종료할 것인지 판단하게 되는데(S117), 이 단계(S117)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시설물파손감지모드(S110)를 종료시키고, 그와 같은 종료명령이 입력되지 아니한 때에는 위 단계(S111)로 피드백시킨다.
< 기기이상감지모드 (S130)>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기기이상감지모드(S130)의 흐름도이다. 상술하면, 사용자가 기기이상감지모드(S130)를 선택하여 이를 활성화 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제어부(150)는 전기단락감지센서(116)와 개폐감지센서(117) 및 저전류감지센서(118)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개폐감지센서(117)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미도시) 중 개폐도어(미도시)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개폐도어(미도시)가 외력에 의해 강제개방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게 된다(S131).
제어부(150)는, 상기한 수신신호에 기하여 개폐도어(미도시)의 강제개방사실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한 후, 이러한 신호가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무선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34).
상기 전기단락감지센서(116)는 전력케이블(미도시)이 단락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한다(S132). 상기한 출력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50)는 전선단락신호를 생성한 다음, 그와 같은 신호가 관리서버(200)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무선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35). 이때의 사용 전원은 태양광발전부(170)와 제어부(150)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콘덴서(160)로부터 공급된다(도 2 참조).
상기 저전류감지센서(118)는 주로 배터리(16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용도의 것으로서, 배터리(16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치가 저전류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한다(S133). 제어부(150)는 그와 같은 수신신호에 기해 배터리이상신호를 생성한 후, 그와 같은 신호가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무선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36). 이때의 사용 전원 역시 상기 콘덴서(160)로부터 제공된다(도 2 참조).
위 단계들(S134, S135, S136)의 다음으로는 기기이상감지모드(S130)를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되고(도면부호 미도시), 이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기기이상감지모드(S130)를 종료시키고, 종료명령이 입력되지 아니하면 위 단계들(S131, S132, S133)의 전단계로 피드백시킨다.
< 지진감지모드 (S210)>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지진감지모드(S210)의 흐름도이다. 상술하면, 사용자가 지진감지모드(S210)를 선택하여 이를 활성화 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제어부(150)는 진동감지센서(112)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진동감지센서(112)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 그 발생진동의 크기와 정도 및 지속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와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발한다(S211).
제어부(150)는 진동감지센서(112)로부터 수신한 진동값이 DB부(12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유효진동값보다 클 것인지 여부에 대해 비교 판단한다(S213).
상기 제어부(150)는 위 단계(S213)의 판단결과가 부정일 경우(즉 입력된 진동값이 DB부(120)의 유효진동값보다 작을 경우) 이는 지진이 아닌 것으로 처리하고, 위 단계(S211)로 피드백시킨다. 반면, 그 판단결과가 긍정인 때(즉 입력된 진동값이 DB부(120)의 유효진동값보다 클 경우)에는 지진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고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진동 전후 당시의 영상자료를 검출한 후, 그와 같은 "지진발생신호"와 "검출영상자료"가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무선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S215).
이후 제어부(150)는 상기 진동감지센서(112)로부터 진동신호가 수신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하여 지진이 계속중인지에 대해 판단한다(S217). 위 단계(S217)의 판단 결과가 긍정이면(즉 진동감지센서(112)로부터 여전히 진동신호가 감지되고 있으면) 위 단계(S215)로 피드백시키고, 부정이면(즉, 진동감지센서(112)로부터 진동신호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아니하면) 지진감지모드(S210)를 종료할 것인지 판단한다(S219). 위 단계(S219)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지진감지모드(S210)를 종료하고, 그러한 종료명령이 입력되지 아니하면 앞서 언급된 처음의 단계(S211)로 피드백시킨다.
< 안개감지모드 (S230)>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안개감지모드(S230)의 흐름도이다. 상술하면 사용자가 안개감지모드(S230)를 선택하여 활성화 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제어부(150)는 안개감지센서(114)를 작동시키고, 안개감지센서(114)를 통해 안개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231).
상기 제어부(150)는 위 판단단계(S231)의 결과가 부정이면(안개발생신호가 안개감지센서(114)로부터 수신되지 아니하면) 안개발생신호가 감지될 때까지 그 전단계로 피드백시킨다. 반면, 위 판단결과가 긍정일 경우(안개발생신호가 안개감지센서(114)로부터 제어부에 수신될 경우) 제어부(150)는 안개발생신호를 생성한 다음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고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안개발생 전후 당시의 영상자료를 검출한 후 "안개발생신호" 및 "검출영상자료"가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무선 송출하도록 제어한다(S233).
이후 제어부(150)는 안개발생신호가 상기 안개감지센서(114)로부터 수신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하여 안개상태가 계속중인지를 판단한다(S235). 이에 대한 판단결과가 긍정이면(안개발생신호가 안개감지센서(114)로부터 여전히 감지되고 있으면) 제어부(150)는 위 단계(S231)로 피드백시키고, 부정이면(즉, 안개발생신호가 안개감지센서(114)로부터 수신되지 아니하면) 안개감지모드(S230)를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237). 위 단계(S237)에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될 경우 안개감지모드(S230)를 종료하고, 그러한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아니할 경우는 앞서 언급한 위 단계(S231)로 피드백시킨다.
< 교통사고감지모드 (S310)>
도 9는 도 4의 교통사고감지모드(S310)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사용자가 교통사고감지모드(S310)를 선택하여 활성화 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제어부(150)는 마이크(113)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부(150)에는 상기 마이크(113)로부터 도로와 도로의 주변소음이 음원으로서 입력되고, 상기 음원은 제어부(150)에 탑재된 A/D변환기를 통해 디지털음원으로 변환된다(S311).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디지털음원이 DB부(120)에 기저장되어 있는 교통사고음이 가지는 특유의 주파수대역에 해당하는 유효파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312). 위 단계(S312)에서 디지털음원의 파형이 DB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파형과 동일 또는 유사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제어부(150)는 위 단계(S311)로 피드백시킴으로써 교통사고음이 아니라고 처리한다. 반면, 위 단계(S312)에 대한 판단결과가 긍정이면 즉, 디지털음원이 DB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파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제어부(150)는 교통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한 다음,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고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발생 전후 당시의 영상자료를 검출한 후 "교통사고발생신호" 및 "검출영상자료"가 관리서버(200)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무선 송출하도록 제어한다(S313).
이후, 교통사고감지모드(S310)를 종료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되고(S315),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종료명령이 입력되면 교통사고감지모드(S310)를 종료하고, 그러한 종료명령이 입력되지 아니하면 위 단계(S311)로 피드백시킨다.
< 온도습도감지모드 (S250) >
온도습도감지모드(S250)에 대해 살펴보면, 도시 생략되어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이 모드(S250)가 선택 실행되는 경우에는 온·습도감지센서(115)가 작동되고, 이로써 감지된 주변온도와 습도는 제어부(150)에 입력되며, 제어부(150)는 이를 일정시간단위로 관리서버(200)에 송출한다. 이를 수신한 관리서버(200)는 여러 장소로부터 수신한 온도 및 습도정보를 기상청에 자동 전송한다.
< 관리자감지모드 (S330)>
관리자감지모드(S330)에 대해 살펴보면, 관리서버(200)의 운영자는 앞서 본 이상상황들이 발생하지 아니하더라도(즉, 감지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로부터 관리서버(200)에 수신되지 아니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가 관리서버(200)에 의해 원격 제어됨으로써 관리서버(200)와 연결된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를 구성하는 카메라(140)의 촬영 영상이 실시간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다시 말해, 관리서버(200)의 운영자(사용자)가 관리서버(200)에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에 대한 원격제어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관리서버(200)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한 입력신호가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에 수신될 수 있도록 관리서버(20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한 명령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제어부(15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50)는 그 즉시 상기 관리서버(200)의 제어부(미도시)와 동기화를 시도하게 된다.
동기화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제어부(150)는 관리서버(200)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는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에 기해 카메라(140)의 촬영 영상이 관리서버(200)의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실시간 표시될 수 있도록 원격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100)의 카메라는 초점조정(FOCUS)과, 틸트 조정(TILT : 카메라 상하회동 조정) 및 팬조정(PAN : 카메라 좌우회동 조정) 기능이 모두 관리서버(200)의 제어하에서 기동하게 되는 것이다.
100 : 본 발명에 따른 "교통현장감지장치"
110 : 감지부
111 : 충격감지센서 112 : 진동감지센서
113 : 마이크 114 : 안개감지센서
115 : 온·습도감지센서 116 : 전기단락감지센서
117 : 개폐감지센서 118 : 저전류감지센서
120 : 데이터베이스(DB) 130 : 무선통신부
140 : 카메라 150 : 제어부
160 : 배터리 170 : 태양광발전부
180 : 콘덴서 200 : 관리서버
300 : 무선통신망 400 : 무선통신기지국
500 : 무선모바일
S100 : 시설물관리모니터링 S110 : 시설물파손감지모드
S130 : 기기이상감지모드
S200 : 자연환경모니터링 S210 : 지진감지모드
S230 : 안개감지모드 S250 : 온도습도감지모드
S300 : 교통환경모니터링 S310 : 교통사고감지모드
S330 : 관리자감지모드

Claims (5)

  1. 차량 등이 시설물과 충돌하였을 경우 그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충격감지센서(111)와, 지진이 발생하였을 경우 그 진동의 크기와 정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진동감지센서(112)와, 도로와 도로주변의 외부소음을 입력받아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마이크(113)와, 안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자동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안개감지센서(114)와, 외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온·습도감지센서(115)가 구비된 교통현장 감지장치에 있어서,
    태양광발전부(170);
    상기 제어부(150)와 상기 태양광발전부(17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덴서(160);
    전력케이블이 단락되었을 경우 이를 자동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전기단락감지센서(116);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개폐도어가 강제개방될 경우 이를 자동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개폐감지센서(117);
    카메라(140);
    상기 카메라(140)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와 상기 마이크(113)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이 저장되는 정보저장부(180);
    상기 제어부(150)와 상기 태양광발전부(170) 및 상기 카메라(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160);
    상기 배터리(16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치가 저전류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50)에 그 출력신호를 발하는 저전류감지센서(118);
    상기 제어부(150)의 명령에 따라, 관리서버(200)와 사이에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30);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충격감지센서(111), 진동감지센서(112), 안개감지센서(114) 및, 온·습도감지센서(115)로부터의 수신신호와,
    상기 전기단락감지센서(116), 개폐감지센서(117), 저전류감지센서(118)로부터의 이상수신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130)에 의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A/D변환기에 의해 상기 마이크(113)로부터 입력된 음원을 디지털음원으로 변환하고(S311),
    상기 디지털음원이 교통사고음만이 가지는 특유의 주파수대역에 해당하는 유효파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비교 판단하며(S312),
    위 판단단계(S312)에서 상기 디지털음원의 파형이 상기 유효파형과 동일 또는 유사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S311)로 피드백시킴으로써 교통사고음으로 처리하지 아니하고,
    상기한 판단단계(S312)에서 상기 디지털음원의 파형이 상기 유효파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교통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한 다음, 상기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정보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교통사고발생 전후 당시의 영상자료를 검출한 후 "교통사고발생신호" 및 "검출영상자료"가 상기 관리서버(200)에 송출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130)를 제어하게 되는 것(S313)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원격제어명령"이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상기 무선통신부(130)을 통해 수신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동기화 되고,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카메라(140)의 초점조정(FOCUS), 틸트 조정(TILT : 카메라 상하회동 조정) 및 팬조정(PAN : 카메라 좌우회동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14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현장 감지장치(100).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8466A 2016-02-17 2016-02-17 교통현장 감지장치 KR10167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66A KR101676324B1 (ko) 2016-02-17 2016-02-17 교통현장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466A KR101676324B1 (ko) 2016-02-17 2016-02-17 교통현장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324B1 true KR101676324B1 (ko) 2016-11-17

Family

ID=5754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466A KR101676324B1 (ko) 2016-02-17 2016-02-17 교통현장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3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72B1 (ko) * 2017-09-15 2018-08-20 김찬곤 태양광을 이용한 휀스
KR102158853B1 (ko) * 2020-02-19 2020-09-22 (주)고려진공안전 램프 역주행 방지장치 및 램프 역주행 방지방법
CN111913485A (zh) * 2020-08-04 2020-11-10 无锡绿科源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辅助车的避险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204145B1 (ko) * 2020-02-19 2021-01-18 (주)고려진공안전 램프 역주행 방지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597A (ko) * 2008-11-20 2010-05-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 수집 장치, 방법 및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정보 분석 장치
KR20110121885A (ko) * 2010-05-03 2011-1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사고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1906A (ko) * 2014-01-07 2015-07-15 한국도로공사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1605A (ko) * 2014-05-15 2015-11-25 한국도로공사 통합형 구조물 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597A (ko) * 2008-11-20 2010-05-2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 수집 장치, 방법 및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정보 분석 장치
KR20110121885A (ko) * 2010-05-03 2011-11-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사고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1906A (ko) * 2014-01-07 2015-07-15 한국도로공사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1605A (ko) * 2014-05-15 2015-11-25 한국도로공사 통합형 구조물 진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72B1 (ko) * 2017-09-15 2018-08-20 김찬곤 태양광을 이용한 휀스
KR102158853B1 (ko) * 2020-02-19 2020-09-22 (주)고려진공안전 램프 역주행 방지장치 및 램프 역주행 방지방법
KR102204145B1 (ko) * 2020-02-19 2021-01-18 (주)고려진공안전 램프 역주행 방지시스템
CN111913485A (zh) * 2020-08-04 2020-11-10 无锡绿科源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辅助车的避险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1913485B (zh) * 2020-08-04 2022-12-06 无锡绿科源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辅助车的避险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324B1 (ko) 교통현장 감지장치
KR101691559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인프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4464138B (zh) 太阳能低功耗多元识别防盗监控预警系统
CN106971478A (zh) 架空输电线路防外力破坏监测系统及监测设备
CN106652323A (zh) 一种分布式输电线路防外力破坏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WO2016031976A1 (ja) 災害時等の支援装置
KR101895215B1 (ko) 태양광과 일반전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력형 무선비상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CN203444602U (zh) 周界智能安防系统
CN111198398A (zh) 一种投射式的滑坡监测装置、系统及方法
KR100892164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시설 감시시스템
CN201781323U (zh) 高压架空输电线路巡线系统以及铁塔现场监测设备
KR101649415B1 (ko) 조경등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CN104021653B (zh) 道口值班状态视频分析报警系统及方法
CN110853271A (zh) 无人值守战场监控子系统
CN210777028U (zh) 一种灵活布设的变电站作业区域智能管控装置
CN101751745B (zh) 具有烟雾侦测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及烟雾侦测方法
KR101666652B1 (ko) 시설물유지관리 및 교통현장 관제시스템
CN105620388A (zh) 车辆控制装置和车辆控制方法
CN110300378B (zh) 一种基于gnss的野外可移动文物保护装置及系统
CN205335926U (zh)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装置
KR200261285Y1 (ko) 항공장애등 장치
JP4077171B2 (ja) 照明灯動作情報収集方法および照明灯動作情報収集システム
JP5002549B2 (ja) 異常設備検知システム
CN210072851U (zh) 一种电子围栏
KR102522796B1 (ko) 태양광 자가 충전식 지진감지 및 응급구조요청 초고속 무선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