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906A -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906A
KR20150081906A KR1020140001876A KR20140001876A KR20150081906A KR 20150081906 A KR20150081906 A KR 20150081906A KR 1020140001876 A KR1020140001876 A KR 1020140001876A KR 20140001876 A KR20140001876 A KR 20140001876A KR 20150081906 A KR20150081906 A KR 2015008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image data
photographing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751B1 (ko
Inventor
박양흠
이창래
장성식
서영효
유택항
정민욱
박현정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박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박현정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4000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7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운행에 의한 도로시설물의 파손시점을 판단하고, 파손시킨 차량을 자동으로 영상촬영 하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기 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영상촬영 시스템은, 도로시설물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발생하는 촬영부;, 차량에 의한 상기 도로시설물의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전기신호에 의해 녹화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작 시점 이후에 상기 촬영부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TAKING A PHOTOGRAPH SYSTEM WHEN BUMPED BY CA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운행에 의한 도로시설물의 파손시점을 판단하고, 파손시킨 차량을 자동으로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기 설정된 장치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로를 이용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높은 확률로 교통사고가 발생 되고 있으며, 필연적으로 도로시설물이 파손되고 있다.
이 경우, 교통사고를 미신고하거나 사고차량의 운전자가 도주를 하여, 이 파손된 채 방치되거나 세금으로 복구를 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 CCTV를 이용하여 녹화된 영상을 통해서 도주차량을 추적하게 되지만, 기존의 CCTV는 화질의 열화가 심하고, 사각지역이 있으며, 지속적인 녹화를 하고 있어 불필요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메모리를 낭비하였다.
그리고,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전부 검색하고, 필요한 영상 데이터를 별도로 발췌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서, 도주차량 확인이 어려우며, 확인을 위한 비용이 과다 발생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도로시설물 훼손하고 도주한 차량에 대한 원상복구에 대한 책임을 부여를 하여 사회정의를 실현할 필요성이 있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세금으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사건발생 후 신원확인이 가능한 시간에 대해서만 촬영되면,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절약을 통해 도주차량에 대해 원상복구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여 사회정의를 실현하고, 세금을 절약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다만, 고속도로와 같은 국가시설물의 경우 전 구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예산이 필요하게 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게 설계를 해서 설치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간단한 물리적 구성으로 구성되며, 사건발생을 인지 후 일정시간 동안 발생된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자동 영상촬영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KR1998067098 A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KR10079741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의해 도로시설물이 충격을 받은 경우, 충격발생지점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전송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운행에 의한 도로시설물의 파손 여부를 판단하고, 파손시킨 차량에 대해 자동으로 영상촬영을 하며, 파손시기부터 일정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신호를 자동으로 저장 또는 전송하여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절약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게 설계되어 설치 및 유지비용이 감소된 자동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영상촬영 시스템은, 도로시설물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발생하는 촬영부;, 차량에 의한 상기 도로시설물의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전기신호에 의해 녹화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작 시점 이후에 상기 촬영부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충격 감지부는, 도로시설물의 일면에 위치되는 강선; 및 상기 강선에 연결되어 상기 도로시설물 및 상기 강선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에 구동 전력의 공급을 위해 상기 전력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 및 생산된 상기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전부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솔라셀(Solar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FDD(Floppy Disk Drive), 자기테이프,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카드(Secure Digital Card), MicroSD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USB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Flash Drive), MMC(Multi Media Card), MagicGate, Memory stick, CF카드(CompactFlash Card), xD카드(xD-Picture Card),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 Ray 및 HD DVD(High 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전송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및 원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기상상태 또는 촬영하는 시각에 따라 판단한 촬영에 필요한 광량에 기반하여 차량에 조명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명의 방향 및 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도로시설물에 발생된 충격발생지점을 인식하고, 촬영부가 상기 충격발생지점을 촬영하도록 자동으로 촬영초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상기 차량번호를 추출 및 인식하고, 저장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는 줌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와 관련된 영상촬영 방법으로, 촬영부가 도로시설물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충격 감지부가 차량에 의한 상기 도로시설물의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기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녹화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메모리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작 시점 이후에 상기 촬영부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고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가 촬영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절약을 통해 도주차량에 대해 원상복구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여, 세금을 절약할 수 있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도주차량 확인에 따른 행정력 낭비를 제거하여 업무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설의 설치시 굴착이 필요 없어 시공비용이 감소되고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므로 유지비용이 감소되는 자동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이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의 영상 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S30 단계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S40 단계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종래의 경우, 도로시설물의 파손 또는 절취에 대해 예산부족으로 인해 촬영하는 장치가 미설치되거나, 설치된 경우도 화질의 열화가 심하고 지속적인 녹화로 인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해왔다. 이 경우 필요한 영상데이터의 확보 및 검색으로 인한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으로 인한 현실적 한계로 인해 파손된 도로시설물의 정비를 세금으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저비용으로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해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높게 설계되며, 필요한 일정시간 동안만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영상촬영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차량운행에 의한 도로시설물의 파손시점을 판단하고, 파손시킨 차량에 대해 자동으로 영상촬영을 하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저장 및 전송하는 시간을 차량확인에 필요한 일정시간만으로 한정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촬영 시스템(1100)은 촬영부(1110), 전원공급부(1120), 충격감지부(1130), 메모리(1140), 영상전송부(1150), 출력부(1160), 조명부(1170), 제어부(1180), 사용자 입력부(1190) 및 영상처리부(1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영상촬영 시스템(1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우선 촬영부(1110)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촬영부(1110)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데이터를 발생한다. 처리된 영상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161)에 표시될 수 있다.
촬영부(1110)에서 처리된 영상데이터는 메모리(1140)에 저장되고, 무선 통신부(1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촬영부(1110)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촬영부(1110)는 설치된 영역에서 촬영 가능한 객체, 즉, 보행자 및 차량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촬영부(1110)는 줌렌즈를 포함할 수 있고, 줌렌즈를 통해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서 거리가 먼 피사체를 확대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120)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12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발전부(1121) 및 전력저장부(1122)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전부(1121)은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자가 운용을 위해 전원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발전방식으로 풍력, 조력, 태양열, 지열 등을 이용하거나 터빈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지만, 소형화에 적합한 보편적인 방식으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방식은 솔라셀(Solar Cell)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발전부(1121)은 솔라셀(Solar Cell)을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구성이 단순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저렴한 영상촬영 시스템용 발전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솔라셀(Solar Cell)의 크기는 20 X 30 cm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보다 작은 경우 시스템 운영을 위한 전력 생산이 부족할 수 있고, 이보다 큰 경우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설치 및 운영 시 제한이 생길 수 있다. 솔라셀(Solar Cell)로 발전부(1121)가 구성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위한 굴착시공이 불필요 하고 시스템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솔라셀(Solar Cell)로 생산되는 전력은 영상촬영 시스템(1100)을 구성하는 장비들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해 장비들이 보편적으로 요구하는 전압인 12V의 직류전력이 타당하다.
한편, 전력저장부(1122)는 발전부(1121)에서 발생된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전력을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 공급할 수 있다. 전력저장부(1122)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전지로서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저장부(1122)는 12V의 전압과 10A의 전류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 시스템(1100)을 구성하는 장비들이 보편적으로 요구하는 전압이 12V이고,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유지를 위한 충분한 전류가 10A이기 때문이다. 또한, 발전부(1121)에서 전력이 생산되지 않아도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 3일간 사용 가능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국내 기상상태는 3일 이상 태양광 발전이 어려울 정도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충격감지부(1130)는 도로시설물(30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충격감지부(1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코일 스프링이 연결되서 충격을 감지하는 코일 스프링 타입 또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동일 극을 구비하는 마그네트 타입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충격감지부(1130)은 강선(1131) 및 스위치(113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강선(1131) 및 스위치(1132)로 구성되는 경우, 충격감지부(1130)의 구성이 단순해져서 구성비용이 저렴하고, 물리적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어 작동 오류가 없으며, 내구도가 높아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이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의 사용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충격 감지부(1130)의 구성 및 설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강선(1131)은 도로시설물(3000)의 일면에 위치되고, 스위치(113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다음에 위치될 영상촬영 시스템(1100)까지 연결될 수 있고,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강선(1131)은 직경이 1.0mm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1.0mm보다 작을 경우 내구도가 약할 수 있고, 충격 외에도 움직여서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직경이 1.0mm보다 큰 경우 차량에 의한 충격이 감지되어도 기 설정된 거리만큼 움직이지 않아 영상촬영 시스템(1100)이 영상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위치(1132)는 강선(1131)에 연결되고, 강선이 기 설정된 거리이상 이동됨에 따라 접점된다. 이때, 기 설정된 거리는 12mm임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짧은 거리인 경우 충격 외에 움직임에 의해도 충격을 감지한 것으로 인지하여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긴 거리인 경우 차량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어도 영상촬영 시스템(1100)이 영상데이터를 저장 또는 전송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메모리(1140)는 제어부(1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14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고, 촬영부(1110)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18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가 입출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1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타입(multimedia card type)이 있고, 카드 타입의 메모리로서 SD카드(Secure Digital Card), MicroSD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MagicGate, Memory stick, CF카드(CompactFlash Card), xD카드(xD-Picture Card) 등이 있으며, SSD(Solid State Disk),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Floppy Disk Drive, FDD), 광디스크로서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 Ray, HD DVD(High 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촬영 시스템(1100)은 상기와 같은 메모리(1140)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촬영 시스템(1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메모리(1140)의 경우, SD카드(Secure Digital Card)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고, 저장용량이 크며,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범용적으로 사용되기 ?문이다.
영상전송부(1150)는 영상촬영 시스템(1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영상촬영 시스템(1100)과 영상촬영 시스템(1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전송부(11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전송부(1150)는 이동통신 모듈(1151), 무선 인터넷 모듈(1152), 근거리 통신 모듈(1153) 및 위치정보 모듈(11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5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영상촬영 시스템(1100),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1154)은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4)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모듈(1154)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GPS모듈(1154)를 통해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위치를 전송해서 도로시설물(3000) 훼손지점 파악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출력부(116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161), 음향 출력 모듈(1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61)는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또는 출력 한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촬영된 영상의 제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61)는 2D 및 3D 표시 모드를 지원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16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16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영상촬영 시스템(1100)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16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영상촬영 시스템(1100)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62)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62)은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16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조명부(1170)는 촬영부(1110)가 도로시설물을 훼손한 차량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영상촬영 시스템(1100)이 위치된 지역의 기상상태 또는 촬영하는 시각에 따라 섬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용 조명은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램프, 방전램프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 광원이 사용되고, 빛을 기 설정된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광원의 후면에 반사경을 두기도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부(1170)의 경우, LE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2W의 전력을 소비하는 LED가 2개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LED에서 발생되는 조명은 직진성이 강해 조명부(1170)에서 먼 거리에서도 광량을 확보할 수 있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생산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이다. 또한, 악천후 및 야간에도 선명한 촬영을 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1180)는 통상적으로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은 제어부(1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촬영부(1110)의 동작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부(1180)는, 촬영부(1110)의 시동을 제어하고, 촬영부(1110) 포함되는 줌렌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도로시설물(3000)이 차량(200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 충격발생지점을 인식할 수 있고, 촬영부(1110)가 차량(2000) 및 도로시설물(3000)을 명확하게 촬영하도록 자동으로 촬영초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110)에서 발생된 영상데이터에 촬영 날짜 및 시각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충격감지부(1130)과 관련하여 제어부(1180)는, 상기 충격감지부(1130)가 발생한 전기신호를 감지하고, 발생된 전기신호에 의해 녹화 시작 시점을 판단하며, 녹화 시작 시점 이후에 촬영부(1110)의 촬영으로 발생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1140)에 저장하고, 영상전송부(1150)를 통해 기 설정된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80)는 메모리에 영상데이터가 저장되거나 영상전송부를 통해 기 설정된 장치에 전송하는 시간을 제어하고, 이때 시간은 10초가 바람직하다. 이보다 짧으면 해당 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지 못할 수 있고, 이보다 긴 경우 불필요한 영상데이터를 저장 또는 전송하여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영상처리부(1200)가 메모리(1140)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에서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지 못한 경우, 저장 또는 전송시간은 보다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0)는 영상데이터를 저장 또는 전송이 완료된 경우, 스위치(1132)가 접점된 것을 차량(2000)에 의한 충격받기 전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 할 수 있고, 이동된 강선(1131)을 원 상태로 되돌릴 수 있으며, 복귀가 불가능한 경우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정상적인 작동 불능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신호를 출력부(1160)에 출력하거나 영상전송부(1150)을 통해 기 설정된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영상전송부(1150)의 동작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부(1180)는, 전송을 위해 기 설정된 장치와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장치는 도로시설물을 유지, 보수하는 기관의 컴퓨터 또는 차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다른 영상촬영 시스템, 도로상황을 관리하는 기관의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상태에 따라 촬영부(1110)에서 발생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정확히 전송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출력부(1160)의 동작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부(1180)는, 디스플레이부(1161)에서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또는 출력 하도록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촬영된 영상의 제어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촬영부(1110)에서 발생된 영상데이터 및 메모리(114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170)의 동작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부(1180)는, 영상촬영 시스템(1100)이 위치된 지역의 기상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기상상태 및 촬영하는 시각에 따라 필요한 광량을 계산하여 조명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한 광량에 따라 조명부(117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고, 피사체를 향하도록 조명부(117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190)는 사용자가 영상촬영 시스템(1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190)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트들 중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컨텐트를 지정하는 신호는, 터치입력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하드키 및 소프트 키입력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90)는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컨텐트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영상촬영 시스템(1100)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관련된 아이콘을 생성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1190)는 방향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례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0)는 메모리(1140)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차량(2000)의 번호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2000)의 번호판을 포함하여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해상도를 낮추는 다운 샘플링을 수행하여 촬영부(1110)의 움직임에 의한 화질 저하를 완화하고, 다운 샘플링된 영상을 공간해상도가 각기 다른 영상 피라미드로 구성하며, 번호판의 칼라 정보를 이용하여 색상의 정도를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고,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영상으로 전환하고, 가로/세로 방향으로의 프로젝션 영상 생성 및 가로/세로 프로젝션 영상과 번호판의 가로/세로 비율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며, 번호판 영역의 위치와 크기가 올바른지를 판단해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한다.
또한 추출된 번호판 영역에서 개별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데, 추출된 번호판 영역을 그레이 레벨로 변환하고, 번호판 영역에 수평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하며, 분리된 번호판 영역에 수직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번호판영역에 존재하는 개별 문자를 추출하고 적절한 임계치 선택을 통해 이진화 처리룰 통해 개별 문자 영역이 추출된다.
이후, 추출된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데, 추출된 번호판 영역의 각 개별 문자에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고,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며, 4차원(8×8)의 매핑을 수행하고, 매핑된 각 개별 문자의 값을 정규화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개별 문자 영역에서 추출된 특징 벡터에서 문자 및 숫자를 인식하여 해당 차량(2000)의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200)는 메모리(1140)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1140)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이용되는 압축기술로, 모션 JPEG, 모션 JPEG 2000, MPEG-1, MPEG-2(파트 2), MPEG-4(파트 2/ASP 파트 10/AVC), HEVC,H.120, H.261, H.262, H.263, H.264, HEVC,AMV, AVS, Bink, Dirac, DV, Indeo, 마이크로소프트 비디오1, Pixlet, 리얼비디오, RTVideo, SheerVideo, 스매커 비디오, Theora, VC-1, VP6, VP7, VP8, WMV 및 Xvid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운행에 의한 도로시설물의 파손시점을 판단하고, 파손시킨 차량에 대해 자동으로 영상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영상촬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체적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영상촬영 시스템의 영상 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체적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1120)가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 구동전력을 공급한다(S10).
영상촬영 시스템(1100)에 전력이 공급되면, 촬영부(1110)가 기 설정된 방향을 촬영하기 시작한다(S20).이때, 촬영부(1110)에서 영상데이터를 발생하여도, 이를 저장 및 전송하지 않는다.
이후, 충격 감지부(1130)는 도로시설물(3000)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충격이 감지되면 전기신호를 발생한다(S30).
전기신호가 발생된 후, 제어부(1180)는, 도로시설물(3000)에 차량(2000)에 의해 발생된 충격발생지점을 인식하고 촬영부(1110)가 충격발생지점을 촬영하도록 자동으로 촬영초점을 제어하며, 충격발생지점을 보다 크게 촬영하기 위해 줌렌즈의 동작을 제어한다(S40).
촬영부(1110)이 충격발생지점을 촬영하면, 제어부(1180)는 녹화 시작 시점을 판단해서 인식하고, 제어부(1180)의 제어에 의해 녹화 시작 시점 이후에 촬영부(1110)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터가 메모리(1140)에 저장된다(S50).
메모리(1140)에 데이터가 저장된 후,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영상전송부(1150)에 의해 기 설정된 장치에 전송된다(S60). 여기서 기 설정된 장치는 도로시설물을 유지, 보수하는 기관의 컴퓨터 또는 차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다른 영상촬영 시스템, 도로상황을 관리하는 기관의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녹화 시작 시점 이후의 영상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 또는 기 설정된 장치로 전송이 완료된 후, 제어부(1180)는 충격감지부(1130)를 충격감지 전의 상태로 복원한다(S70).
한편, 도 6은 도 5에 따른 S30 단계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30 단계는 차량(2000)이 도로시설물(3000)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에 의해 도로시설물(3000)에 결합된 강선(1131)이 충격에 의해 이동되는 단계(S31) 및 강선(1131)이 이동되서 스위치(1132)가 접점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단계(S32)로 구체화 될 수 있다. 이때 강선(1131)이 이동되는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 스위치(1132)가 접점될 수 있고, 기 설정된 거리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12mm가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도 5에 따른 S40 단계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40 단계는 제어부(1180)가 촬영부(1110)에 포함되는 줌렌즈의 동작을 제어하고, 도로시설물(3000)이 차량(200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 충격발생지점을 인식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촬영초점을 제어해서 촬영부(1110)가 충격발생지점을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촬영 시작 후 영상처리부(1200)가 메모리(1140)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차량번호를 추출 및 인식하는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정 및 차량번호의 추출 및 인식방법은 위에서 본 바와 같다.
그리고 영상처리부(1200)가 차량번호를 추출 및 인식한 후, 촬영부(1110)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데이터의 압축은 위에서 본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한다.
또한, 영상데이터가 압축된 후, 제어부(1180)의 제어에 의해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1140)에 저장하고, 영상전송부(1150)에 의해 기 설정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장치는 위에서 본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선(1131) 및 스위치(1132)로 구성된 충격 감지부(1130)을 이용하여, 차량운행에 의한 도로시설물의 파손시점을 판단하고, 파손시점을 녹화시작시점으로 하여, 그 이후 부터 일정기간동안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차량번호와 함께 자동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영상촬영 방법이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영상데이터는 압축되서 처리 및 유지비용이 적게 들도록 지원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간단한 물리적 구성으로 구성되며, 사건발생을 인지 후 일정시간 동안 발생된 영상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거나 전송해서 행정력 낭비를 제거하여 업무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세금을 절약하며,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0 : 영상촬영 시스템,
1110 : 촬영부,
1120 : 전원공급부,
1121 : 발전부,
1122 : 전력저장부,
1130 : 충격감지부,
1131 : 강선,
1132 : 스위치,
1140 : 메모리,
1150 : 영상전송부,
1151 : 이동통신 모듈,
1152 : 무선인터넷 모듈,
1153 : 근거리 통신 모듈,
1154 : 위치 정보 모듈,
1160 : 출력부,
1161 : 디스플레이부,
1162 : 음향 출력 모듈,
1170 : 조명부,
1180 : 제어부,
2000 : 차량,
3000 : 도로시설물.

Claims (15)

  1. 도로시설물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발생하는 촬영부;
    차량에 의한 상기 도로시설물의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충격 감지부;
    상기 전기신호에 의해 녹화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작 시점 이후에 상기 촬영부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부는,
    상기 도로시설물의 일면에 위치되는 강선; 및
    상기 강선에 연결되어 상기 도로시설물 및 상기 강선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구동 전력의 공급을 위해 상기 전력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부; 및
    생산된 상기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부;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솔라셀(Solar Cell);을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FDD(Floppy Disk Drive), 자기테이프,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카드(Secure Digital Card), MicroSD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USB메모리(Universal Serial Bus Flash Drive), MMC(Multi Media Card), MagicGate, Memory stick, CF카드(CompactFlash Card), xD카드(xD-Picture Card),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 Ray 및 HD DVD(High 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장치에 전송하는 영상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송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및 원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원거리 무선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기상상태 또는 촬영하는 시각에 따라 판단한 촬영에 필요한 광량에 기반하여 상기 차량에 조명을 부여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명의 방향 및 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어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시설물에 발생된 충격발생지점을 인식하고, 상기 촬영부가 상기 충격발생지점을 촬영하도록 자동으로 촬영초점을 제어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상기 차량번호를 추출 및 인식하고, 저장되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는 줌렌즈;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시스템.
  13. 촬영부가 도로시설물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
    충격 감지부가 차량에 의한 상기 도로시설물의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기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전기 신호에 의해 녹화 시작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메모리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작 시점 이후에 상기 촬영부에서 발생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영상처리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고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가 촬영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촬영 방법.
KR1020140001876A 2014-01-07 2014-01-07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7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876A KR101572751B1 (ko) 2014-01-07 2014-01-07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876A KR101572751B1 (ko) 2014-01-07 2014-01-07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906A true KR20150081906A (ko) 2015-07-15
KR101572751B1 KR101572751B1 (ko) 2015-12-01

Family

ID=5379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876A KR101572751B1 (ko) 2014-01-07 2014-01-07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7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24B1 (ko) * 2016-02-17 2016-11-17 (주)아이비로시스템 교통현장 감지장치
CN113792793A (zh) * 2021-09-15 2021-12-14 河北雄安京德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不良气象环境下道路视频监测提升方法
CN115242957A (zh) * 2021-04-22 2022-10-25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中的快速拍照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24B1 (ko) * 2016-02-17 2016-11-17 (주)아이비로시스템 교통현장 감지장치
CN115242957A (zh) * 2021-04-22 2022-10-25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中的快速拍照的方法
CN115242957B (zh) * 2021-04-22 2024-01-23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中的快速拍照的方法
CN113792793A (zh) * 2021-09-15 2021-12-14 河北雄安京德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不良气象环境下道路视频监测提升方法
CN113792793B (zh) * 2021-09-15 2024-01-23 河北雄安京德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不良气象环境下道路视频监测提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751B1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552B2 (en)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22141418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以及装置
WO2022141376A1 (zh) 一种位姿估计方法及相关装置
US202200202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ly reporting of roadway incidents on an ai device
KR101572751B1 (ko) 차량충격시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2141445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以及装置
WO2022141477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以及装置
CN104134352A (zh) 基于长短曝光结合的视频车辆特征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US20140049654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mage captur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090201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lined wireless data transfer
KR101561626B1 (ko) 주행차량의 번호판 인식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CN114093142A (zh) 通过组合视觉传感和热传感的对象感知的温度异常监控和预警
CN111308953A (zh) 组合式智能灯杆和采用该灯杆的路灯以及路灯的控制方法
KR101558419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CN105899911A (zh) 用于增强现实支持的系统和方法
CN105636202A (zh) 一种室内融合定位系统
WO2022141333A1 (zh) 一种图像处理方法以及装置
WO2022141351A1 (zh) 一种视觉传感器芯片、操作视觉传感器芯片的方法以及设备
CN102323608B (zh) 便携式现场记录装置及现场记录方法
JP5040615B2 (ja) 電子カメラ
CN103108128A (zh) 一种自动对焦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JP2019047401A (ja) 画像処理装置
KR101306887B1 (ko)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201733373U (zh) 高清面部抓拍识别摄像机
CN116684525A (zh) 一种事件提醒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